KR101429202B1 -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02B1
KR101429202B1 KR1020120060530A KR20120060530A KR101429202B1 KR 101429202 B1 KR101429202 B1 KR 101429202B1 KR 1020120060530 A KR1020120060530 A KR 1020120060530A KR 20120060530 A KR20120060530 A KR 20120060530A KR 101429202 B1 KR101429202 B1 KR 10142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elletizer
pellets
pellet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828A (ko
Inventor
오재헌
차두송
김재원
김석권
김용훈
황진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6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2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식 플랜트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재 원료가 발생한 아파트 단지내 가지치기 작업 현장, 가로수 전정 작업 현장 또는 병해충 피해목 벌채 작업 현장에서 직접 목재 펠릿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재 원료의 장거리 이송을 위한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저장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펠릿 생산 공정을 일체화시켜 원료 목재의 분쇄로부터 생산된 목재 펠릿의 선별 및 포장까지 일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료수급 문제와 인건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SMALL SIZED MOBILE WOOD PELLET PLANT}
본 발명은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이동식 플랜트 방식으로 형성하여 목재 원료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직접 목재 펠릿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펠릿 생산 공정을 일체화시켜 원료 목재의 분쇄로부터 생산된 목재 펠릿의 선별 및 포장까지 일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오매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가로 인한 대체 연료로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목재 펠릿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펠릿의 원료인 목재의 수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바이오매스는 특성상 넓은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이를 수확하여 운송하는 과정을 거치야 하기 때문에, 비용절감 차원에서 소규모이고 분산적으로 발생하는 목질의 바이오매스 자원을 효과적으로 펠릿화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는 고정 플랜트 방식이기 때문에 펠릿 제조에 필요한 목질 원료가 운송되어 수집되어야 하는 원거리 운송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원료의 가격상승 및 지속적인 원료 공급이 어려워지거나 연속적인 공장 가동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지역 및 농촌지역에서 소규모의 가로수정비 사업시 발생되는 잔가지 등과, 참나무 시들음병, 소나무 재성충 등과 같이 병충해 발생 지역의 벌목 현장에서 발생하는 병충해 피해목들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능한 이동식 플랜트 방식으로 형성하여 목재 원료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직접 펠릿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 공정을 일체화시켜 목재의 분쇄로부터 선별 및 포장까지 일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는, 이동용 차량의 적재부에 적재 가능하도록 적재 베드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펠릿 제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펠릿 제조기는 목재를 기설정된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생산된 목재 분쇄물을 열풍 건조기를 이용해 열풍 건조시키며 이송 공급하는 라인 건조기; 상기 라인 건조기를 통해 건조 이송된 상기 목재 분쇄물을 담아 저장하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목재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 타이져; 상기 펠릿 타이져로부터 성형된 목재 펠릿을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상기 목재 펠릿을 선별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상기 목재 펠릿을 계량하여 포장하는 계량 및 포장기; 및 상기 펠릿 제조에 필요한 가동력을 제공하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론과 상기 펠릿 타이져를 연결하는 이송 배관 상에 설치되어 펠릿 성형되는 상기 목재 분쇄물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수율 측정 장치는 공급되는 상기 목재 분쇄물에 대한 연속적인 함수율 측정이 가능한 전기 전도도 측정 방식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디텍션 측정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배관 상에서 상기 펠릿 성형기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릿 성형기로 유입되는 상기 목재 분쇄물에 첨가물과 수분을 공급하는 컨디셔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 건조기는 생산된 상기 목재 펠릿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펠릿 연소형 열풍 건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수단은 내연 기관 엔진 또는 전기 구동 모터가 선택적으로 채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따르면, 이동식 플랜트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재 원료가 발생한 아파트 단지 내 가지치기 작업 현장, 가로수 전정 작업 현장 또는 병해충 피해목 벌채 작업 현장에서 직접 목재 펠릿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재 원료의 장거리 이송을 위한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현장에서 저장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따르면, 펠릿 생산 공정을 일체화시켜 원료 목재의 분쇄로부터 생산된 목재 펠릿의 선별 및 포장까지 일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료수급 문제와 인건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따르면, 목재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발생 형태 및 수량에 따라 구동 방식을 내연 기관 엔진을 사용한 엔진 장착형 또는 전기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따르면, 건조 라인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열풍 건조기는 생산된 목재 펠릿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펠릿 연소식 열풍 건조기를 채용하여 목재 분쇄물의 건조를 위한 열원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에 따르면, 현장에서 발생하는 목재 원료의 다양한 함수율에 대응하여 원료의 함수율 측정 장치에 의한 펠릿 열풍 건조기의 건조 능력을 제어하여 생산되는 목재 펠릿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펠릿 제조기 부분을 이동용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펠렛 제조기 부분을 이동용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펠릿 제조기의 구성을 일렬로 펼쳐 도시한 전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는 이동용 차량(1)의 적재부에 적재 가능하도록 적재 베드(110)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펠릿 제조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용 차량(1)은 펠릿 제조기(100)의 이동을 위해 주로 5톤, 8톤, 암롤형 챠량, 윙바디 등의 화물 차량이 주로 사용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펠릿 제조기(100)를 적개 베드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이동용 차량(1)을 이용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원료 목재가 발생한 아파트 단지내 가지치기 작업 현장, 가로수 전정 작업 현장 또는 병해충 피해목 벌채 작업 현장에서 얻어지는 원료 목재를 이용해 직접 목재 펠릿의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원료 목재의 장거리 이송을 위한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현장에서 저장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펠릿 제조기 부분을 이동용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펠렛 제조기 부분을 이동용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펠릿 제조기의 구성을 일렬로 펼쳐 도시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펠릿 제조기(100)는 분쇄기(120), 라인 건조기(160)(160), 사이클론, 펠릿 타이져(180), 냉각기(190), 선별기(200), 계량 및 포장기(210) 및 가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펠릿 제조기(100)는 원료 목재를 되어 분쇄, 건조 및 성형하여 목재 펠릿을 생산하고, 생산된 목재 펠릿을 냉각, 선별 및 포장 작업을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원료수급 문제와 인건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분쇄기(120)는 상기한 작업 현장에서 발생한 원료 목재가 기설정된 크기의 목재 분쇄물로 분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목재 분쇄물은 대략 톱밥 형태의 크기로 잘게 분쇄하는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재 펠릿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분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분쇄기(120)에서 분쇄된 목재 분쇄물은 이송 라인 상에 설치되는 이송팬(130)으로 불어 이젝터(140)를 통해 라인 건조기(160)로 이송되도록 한다. 라인 건조기(160)는 이를 통과해 이송되는 목재 분쇄물을 열풍 건조기(150)에서 만들어진 열풍을 이용해 건조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풍 건조기(150)는 상기 목재 펠릿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펠릿 연소형 열풍 건조기인 것이 예시한다. 이처럼, 생산된 목재 펠릿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펠릿 연소식 열풍 건조기(150)를 채용하여 목재 분쇄물의 건조를 위한 열원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싸이클론(170)은 상기한 라인 건조기(160)(160)를 통해 건조 이송된 목재 분쇄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며 담아 저장하도록 하고, 펠릿 타이져(180)는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목재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도록 한다.
한편, 싸이클론(170)과 펠릿 타이져(180)를 연결하는 이송 배관 상에는 목재 분쇄물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율 측정 장치(260) 및 펠릿 타이져(180)로 유입되는 목재 분쇄 물에 성형을 첨가물과 함께 함수율을 조절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컨디셔닝 장치(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함수율 측정 장치(260)는 목재 분쇄물에 대한 연속적인 함수율 측정이 가능한 전기 전도도 측정 방식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디텍션 측정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펠릿 타이져(180)를 통해 성형된 목재 펠릿은 함수율이 5.1%~8.8%이며 밀도는 1.07~1.27g/cm3으로 외국에서 통용되는 목재 펠릿 밀도 규격을 만족하도록 한다.
여기서, 목재 펠릿의 함수율은 상기한 함수율 측정 장치(260)에 의해 측정된 목재 분쇄물의 함수율에 따라 상기한 열풍 건조기(150)의 열량 제어 즉, 연료공급량 제어를 통해 적정 함수율을 조절하게 되며, 목재 분쇄물이 과건조되는 경우는 펠릿 타이져(180)로 유입되기 전에 설치된 컨디셔닝 장치(260)를 통해 성형을 위한 첨가물과 함께 수분을 분사하여 적정 함수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펠릿 타이져(180)를 통과해 펠릿 형태로 성형된 목재 펠릿은 냉각기(190)를 통해 냉각된 후, 선별기(200)를 통해 제품이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선별기(200)에서 선별된 상기 목재 펠릿은 계량 및 포장기(210)를 통해 기설정된 무게로 계량되어 개별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제 펠릿 제조 과정에서 분쇄기(120) 및 펠릿 타이져(180)를 구동하기 위한 주요 가동 수단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가동 수단은 내연 기관 엔진(240, 250) 또는 발전기(220)를 이용한 전기 구동 모터(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채택 가능하게 구성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가 이동식뿐만 아니라 고정식으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는 이동식 플랜트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료 목재가 발생한 아파트 단지내 가지치기 작업 현장, 가로수 전정 작업 현장 또는 병해충 피해목 벌채 작업 현장에서 직접 목재 펠릿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료 목재의 장거리 이송을 위한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저장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펠릿 생산 공정을 일체화시켜 원료 목재의 분쇄로부터 생산된 목재 펠릿의 선별 및 포장까지 일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료수급 문제와 인건비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이동용 차량 100: 펠릿 제조기
110: 적재 베드 120: 분쇄기
130: 이송팬 140: 이젝터
150: 열풍 건조기 160: 라인 건조기
170: 싸이클론 180: 펠릿 타이져
190: 냉각기 200: 선별기
210: 계량 및 포장 220: 발전기
240, 250: 내연 기관 엔진 260: 함수율 측정 장치 및 컨디셔닝 장치

Claims (6)

  1. 이동용 차량의 적재부에 적재 가능하도록 적재 베드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펠릿 제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펠릿 제조기는,
    목재를 기설정된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서 생산된 목재 분쇄물을 열풍 건조기를 이용해 열풍 건조시키며 이송 공급하는 라인 건조기;
    상기 라인 건조기를 통해 건조 이송된 상기 목재 분쇄물을 담아 저장하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목재 분쇄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 타이져;
    상기 펠릿 타이져로부터 성형된 목재 펠릿을 냉각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상기 목재 펠릿을 선별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상기 목재 펠릿을 계량하여 포장하는 계량 및 포장기; 및
    상기 목제 펠릿 제조에 필요한 가동력을 제공하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2. 제1항에서,
    상기 사이클론과 상기 펠릿 타이져를 연결하는 이송 배관 상에 설치되어 펠릿 성형되는 상기 목재 분쇄물의 함수율을 측정하기 위한 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3. 제2항에서,
    상기 함수율 측정 장치는,
    상기 목재 분쇄물에 대한 연속적인 함수율의 측정이 가능한 전기 전도도 측정 방식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디텍션 측정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4. 제2항에서,
    상기 이송 배관 상에서 상기 펠릿 타이져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릿 타이져로 유입되는 상기 목재 분쇄물에 첨가물과 수분을 공급하는 컨디셔닝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5. 제1항에서,
    상기 열풍 건조기는,
    상기 목재 펠릿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펠릿 연소형 열풍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6. 제1항에서,
    상기 가동 수단은,
    내연 기관 엔진 또는 전기 구동 모터가 선택적으로 채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KR1020120060530A 2012-06-05 2012-06-05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KR10142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30A KR101429202B1 (ko) 2012-06-05 2012-06-05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30A KR101429202B1 (ko) 2012-06-05 2012-06-05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28A KR20130136828A (ko) 2013-12-13
KR101429202B1 true KR101429202B1 (ko) 2014-08-13

Family

ID=4998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530A KR101429202B1 (ko) 2012-06-05 2012-06-05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80A (ko) * 2019-12-27 2021-07-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펠릿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펠릿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16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나무 뿌리를 활용한 이동식 톱밥 및 우드칩 제조장치
KR100901792B1 (ko) 2008-05-30 2009-06-25 (주)건조기술 원료의 함수율 조절이 가능한 펠릿 연료 제조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KR20100112343A (ko) * 2009-04-09 2010-10-19 바이오매스아시아 주식회사 목재 펠릿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16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나무 뿌리를 활용한 이동식 톱밥 및 우드칩 제조장치
KR100901792B1 (ko) 2008-05-30 2009-06-25 (주)건조기술 원료의 함수율 조절이 가능한 펠릿 연료 제조장치 및 그의제조방법
KR20100112343A (ko) * 2009-04-09 2010-10-19 바이오매스아시아 주식회사 목재 펠릿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080A (ko) * 2019-12-27 2021-07-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펠릿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펠릿 제조 방법
KR102450247B1 (ko) 2019-12-27 2022-10-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펠릿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펠릿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28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0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eparing biomass particles for fuel and for use as chemical feed stock
US20110119997A1 (en) Biomass fuel compact processing method
US20120104123A1 (en) Powdered fuel production methods and systems useful in farm to flame systems
EP17701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lletizing unprocessed sugar-cane bagasse
Spinelli et al. Performance of a mobile mechanical screen to improve the commercial quality of wood chips for energy
US20100281767A1 (en) Biomass pelletizing process
KR101007651B1 (ko) 목질원료 및 목재를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56851A1 (en) Compressed Fuel Product Using Flax Straw Derivative
US20090056206A1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plant biomass solid fuel
CN106613030A (zh) 一种秸秆打包机
CN202766500U (zh) 生物质燃料成型的自动化生产线
KR101429202B1 (ko) 이동식 소형 목재 펠릿 생산 플랜트
JP5531289B2 (ja) 竹ペレット燃料の製造方法
Balingbing et al. Mechanized collection and densification of rice straw
JP2004292787A (ja) 植物ペレ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と植物混合燃料の製造方法。
JP5742316B2 (ja) 竹ペレット燃料の製造方法
CN105779066A (zh) 一种生物颗粒燃料的制造工艺
JP3134558U (ja) 固形燃料製造設備
KR20110116379A (ko) 농산부산물인 볏짚을 이용한 연료용 펠릿 및 그 제조방법
RU99778U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продукции из торфа
JP2006231712A (ja) ペレタイザ
KR100296791B1 (ko)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 하는 방법
CN1093744C (zh) 稻草颗粒粕制作方法
CN202829984U (zh) 生物质燃料致密成型自动化生产线
WO2015042003A1 (en) System for shredding and grinding biom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