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648B1 -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648B1
KR100950648B1 KR1020030019259A KR20030019259A KR100950648B1 KR 100950648 B1 KR100950648 B1 KR 100950648B1 KR 1020030019259 A KR1020030019259 A KR 1020030019259A KR 20030019259 A KR20030019259 A KR 20030019259A KR 100950648 B1 KR100950648 B1 KR 10095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adaptive
frequency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704A (ko
Inventor
키시다카히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7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5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frequency dom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때에 발생하는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로부터의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억압하여 수신하는 이미지 신호억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를 적응신호처리를 이용해 보상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입력신호의 신호품질특성이나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와의 신호레벨의 차, 그리고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상호 상관특성 등에 의해, 이미지 신호억압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복소신호로 표현된 로컬신호를 이용하여, 실신호 또는 복소신호로 표현된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고, 복소신호로 표현된 목적신호출력을 얻기 위한 주파수 변환수단과,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에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적응신호처리를 이용한 보상처리에 의해 억압하는 보상수단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이,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의 절환을 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제공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등에 이용됨.
Figure R1020030019259
적응신호처리, 이미지 신호, 복소 신호, 주파수 변환기

Description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Apparatus of Suppressing Imaginary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 1 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 2 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 3 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4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이용하는 대역제한필터를 복소계수필터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4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이용하는 대역제한필터를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대한 일실 시예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에 대한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신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신기의 특성보상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안테나
2 직교검파기
3a, 3b 제 1 , 제 2 ADC(A/D 변환기)
4 특성보상기
5 복소 믹서
6 제 1 검파기
7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
8 제 1 특성보상기
9 제 2 검파기
10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
11 제 2 특성보상기
21 제 1 직교 캐리어 발진기(제1 주파수)
22, 23, 31, 32, 33, 42, 43, 45, 46, 51 제 1 내지 제 10 승산기
34, 47, 85, 86 제 1 내지 제 4 가산기
35, 36, 37 제 1 내지 제 3 절환기
41 제 2 직교 캐리어 발진기(제2 주파수)
52 LMS 코어
53, 54 제 1 , 제 2 ATT
61 대역제한필터
63, 64 제 1, 제 2 신호레벨검출기
65 제 1 제어부
66 공역 복소신호 생성부
67 상호 상관기
68 제 2 제어부
69 제 3 제어부
71, 72 제 1, 제 2 복소계수 필터
80, 83 제 1 , 제 2 지연기
81. 84 제 1 , 제 2 힐버트 변환기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때에 발생하는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 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로부터의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억압하여 수신하는 이미지 신호억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를 적응신호처리를 이용해 보상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날로그 회로에 의한 주파수 변환기는, 실부를 I, 허부를 Q로 할 때에 IQ 간의 진폭이 완전히 같지 않고, 또한 위상차도 완전히 90도가 되지 않으므로, 목적의 출력신호 주파수의 복소공역 주파수에 이상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 이미지 신호가 나타난다. 그 때문에, 주파수 변환기의 출력에 있어서,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이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신호가 목적신호의 대역 내에 발생하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에 의한 방해신호(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가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의 출력에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보상처리에 의해 억압하는 특성보상기를 구비한 수신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특성보상은 2가지 방법이 있다. 그것은 하드웨어의 특성 보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고정밀한 특성 보상을 필요로 하는 경우이다.
우선, 하드웨어의 특성 보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하드웨어의 특성이 빈 번하게 변화하는 것이 아니므로, 특성보상의 계수갱신은 빈번하게 수행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고정밀한 특성 보상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아날로그 회로의 작은 특성변화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정밀한 특성보상의 계수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회로에서 실현한 직교변조기/직교검파기의 이미지 신호억압특성은 30[dB] 정도이므로, 특성보상이 정확하고 안정되어 있는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보상함으로써, 60[dB] 정도의 특성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신기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써, 직교검파기(실입력 복소출력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신기는, 안테나(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직교검파기(2)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신호에 대해서, 제 1 직교 캐리어 발진기(21)에서 발생하는 제1 주파수의 로컬 신호의 실수축 신호 "cos"와, 실수축 신호보다 90도 위상이 진행된 허수축 신호 "-sin"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2개의 승산기(22 내지 23)을 구비한 직교검파기(2)는, Low IF 복소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Low IF 복소신호로 변환된 복소신호출력을 A/D 변환기인 제 1, 제 2 ADC(3a, 3b)에 전달하여 각각 A/D 변환한다.
그리고, 특성보상기(4)는 제 1, 제 2 ADC(3a, 3b)에서 A/D 변환된 신호에 대해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직교검파기(2)의 특성 보상을 수행한다.
그리고, 특성보상기(4)의 복소신호 출력의 실수축 신호(Y. I)와 허수축 신호(Y. Q)에, 제 2 직교 캐리어 발진기(41)에서 발생하는 제2 주파수 로컬 신호의 실수축 신호 "cos"와, 실수축 신호보다 90도 위상이 진행된 허수축 신호 "-sin"을 각각 승산하는 2개의 승산기(42, 43)와, 또한 제 6 승산기(42)의 출력으로부터 제 7 승산기(43)의 출력을 감산하여 실수축 신호 출력으로 하는 감산기(44)를 구비함과 동시에, 특성보상기(4)의 복소신호 출력의 실수축 신호(Y. I)와, 허수축 신호(Y. Q)에, 마찬가지로 제 2 직교 캐리어 발진기(41)에서 발생하는 제2 주파수의 로컬 신호의 허수축 신호 "-sin"과, 실수축 신호 "cos"를 각각 승산하는 2개의 승산기(45, 46)과, 또한 제 8 승산기(45)의 출력에 제 9 승산기(46)의 출력을 가산하여 허수축 신호 출력으로 하는 가산기(47)를 구비한 복소 믹서(5)(복소입력 복소출력 믹서)에 의해, 특성보상기(4)의 Low IF 복소신호 출력을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검파기(6)에 전달하고 제 1 검파기(6)에서 검파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신기에서는, 특성보상기(4)에 의한 특성 보상에 있어서, 60[dB] 정도의 이미지 신호 억압특성은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나, 60[dB]를 크게 초과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특성을 얻고자 하면, 실수성분과 허수성분 사이의 미세한 특성변동으로 이미지 신호 억압특성이 악화되는 점에서, 적응신호처리에 의해 보상특성의 계수갱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신기의 특성보상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1은, 특성보상기(4)를 적응신호처리를 통해 실현하는 경우의 실시예로써, 직교검파기(2)로부터 제 1, 제 2 ADC(3a, 3b)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화된 실수축 신호(S. I)와 허수축 신호 (S. Q)에 대해, 계수의 갱신식은 이하의 <수 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다.
h1,k = h1,k-1 + μ(Y. I) Xqe
h2,k = h2,k-1 + μ(Y. I) Xqe
h3,k = h3,k-1 + μ(Y. I) Xie
(단, σ는, 원하는 신호 진폭값을 나타내며, e = σ2-(Y. I2 + Y. Q2)로 한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 따라, 적응적으로 갱신되는 계수 h1, h2 및 h3에 의해,
Y. I = h3 ×S. I
Y. Q = h1 ×S. Q + h2 ×S. I
의 처리를 수행하고, 직교성 및 진폭의 오차가 보상된 실수축 신호(Y. I) 및 허수축 신호(Y. Q)를 얻는다.
또한, 매우 고성능인 이미지 신호 억압특성을 요구하는 주파수 변환기를 포 함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그 특성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교정용의 교정(calibration)신호 뿐 아니라,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적응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특성보상의 계수갱신을 실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적응신호처리를 수행하고, 고정밀의 보상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응신호처리의 연산 정밀도에도 높은 정밀도가 요구됨과 동시에, 입력신호의 SNR(S/N비)의 약화 등으로 적응신호처리의 연상정밀도가 크게 저하하고, 보상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적응신호처리의 적응예에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7-321715호" 또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10-173489호"에 개시된 데이터 수신장치나 적응필터가 있다. 이들 기술에서는, 입력신호의 자기상관특성이나 SNR에 의해, 그 적응 파라미터의 변경이나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등으로 인해, 연상량의 삭감이나 음질의 개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적응신호처리를 수행한 수신기에 있어서는, 입력신호의 자기상관특성이나 SNR 뿐만 아니라, 목적신호와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와의 신호레벨의 차나, 입력신호의 신호품질특성, 그리고, 목적신호와,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상호 상관특성 등에 의해, 그 적응능력이 크게 저하하며, 목적으로 하는 이미지 억압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사이의 상호 상관도가 높을 때에는, 적응신호처리가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미지 주파수 방해신호 뿐 아니라, 목적신호도 억압하고자 하여 목적신호에 왜곡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입력신호의 신호품질특성이나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와의 신호레벨의 차, 그리고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상호 상관특성 등에 의해, 이미지 신호억압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복소신호로 표현된 로컬신호에 의해, 실신호 또는 복소신호로 표현된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복소신호로 표현된 목적신호출력을 얻는 주파수 변환수단(예를 들어 도 1 의 직교검파기(2))과,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에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적응신호처리를 이용한 보상처리에 의해 억압하는 보상수단(예를 들어, 도 1의 제 1 특성보상기(8), 또는 도 8의 제 2 특성보상기(11))을 포함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이,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의 절환을 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보상수단에 있어서의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를 자유롭게 제어하여,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적응제어를 이용하여 억압한 신호나, 혹은 적응신호처리가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 조건 하, 또는 고정밀의 보상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고정제어를 이용하여 억압한 신호 중 어느 것이라도 간단하게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 검출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제 2 신호레벨 검출기(64))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제어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제 1 제어부(6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억압장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이 소정치 이하이며, 이미지 주파수 신호에 의한 목적신호에 대한 이미지 방해가 작고, 또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SNR 저하에 의해 정확한 적응신호처리가 곤란한 상태에서는,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의 억압을 주파수 제어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목적신호검출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제 1 신호레벨 검출기(63))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 검출 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제 2 신호레벨검출기(64))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상기 목적신호의 신호레벨로 나눈 값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제어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제 1 제어부(6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목적신호의 신호레벨로부터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감산한 값이 제 3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이 목적신호의 신호레벨과 비교하여, 소정의 비보다 작고(예를 들어, D/U 비가 20[dB] 필요할 때, 이미지 억압비 30[dB]이라면, 이미지 신호/목적신호=10[dB], 즉 이미지 신호가 목적신호레벨+10[dB] 이하의 레벨로 되었을 때), 이미지 주파수 신호에 의한 목적신호에 대한 이미지 방해신호를 무시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적응신호처리에 의해 보상할 필요도 없고, 또한 등가적으로 이미지주파수 신호의 SNR 저하로도 볼 수 없으므로, 정확한 적응신호처리가 곤란해지므로, 보상수단에 의한 적 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의 억압을 고정 제어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를 생성하는 복소공역신호 생성수단(예를 들어, 도 4의 공역복소신호 생성부(66))과, 상기 목적신호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구하는 상관계산수단(예를 들어, 도 4의 상호상관기(67))과, 상기 목적신호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와의 상호 상관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제어수단(예를 들어, 도 4의 제 2 제어부(6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상호 상관도가 높고, 적응신호처리에 있어서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식별하기 어려우며, 목적신호에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에,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의 억압을 고정 제어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검출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제 2 신호레벨검출기(64))과, 상기 보상수 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예를 들어, 도 1의 제 2 검파기(9))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며, 또한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측정결과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 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제어수단(예를 들어, 도 5의 제 3 제어부(69))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이 소정치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 즉 목적신호의 신호레벨이 충분히 높거나, 보상특성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목적신호가 이미지 주파수 신호에 의해 수신품질에 관련된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응신호처리를 계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은 정지하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이 이미지 방해에 의해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의 억압을 고정 제어한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이 악화되는 경우,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목적신호 주파수 대역을 통과대역으로 하는 목적신호용 필터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 주파수대역을 통과대역으로 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목적신호용 필터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에 의해 각각 대역 제한한 후, 상기 보상수단에 의해,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에 발생하는 상기 이 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억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보상수단의 입력에 있어서,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신호 캔슬동작에 있어서의 억압하고자 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의 신호 레벨과, 그 밖의 신호나 잡음을 합한 신호레벨과의 차를 크게 하고,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목적신호용 필터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를, 이미지 주파수 신호 검출수단이나 목적신호검출수단, 그리고 상관계산수단에, 목적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필터로서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필터를 설치하지 않고 목적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신호용 필터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위상처리에 의해 억압하는 이미지 리젝션 필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힐버트(Hilbert) 변환을 이용하여 위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목적신호용 필터 또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의 실수측의 처리는 허수측의 힐버트 변환처리의 지연을 보상하는 지연처리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복소 계수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연산량을 절반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6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이,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소정의 고정치를 이용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이,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소정의 고정치를 이용하여 보상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적응신호처리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한 경우, 적응처리를 수행하기 전보다 보상처리의 성능이 악화되고 있는 지도 모르기 때문에, 이미 준비한 소정의 고정치에 의해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이미 측정된 수신회로의 특성에 근거하여 설정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이미 측정된 수신회로의 특성에 근거하여 설정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주파수 변환수단을 시작으로 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요인을 파라미터로 하는 보상치의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 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복수의 값 중에서,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값으로서 선택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복수의 값 중에서,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값으로서 선택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나, 수신신호대역이 넓게 전 대역에 걸쳐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억압하는 것에 적절한 수속치를 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공장 출하 시의 파라미터를 복수 개 준비하여, 이 중에서 최적의 보상치를 선택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소정치 이상일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 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소정치 이상일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공장 출하 후의 경년변화에 의한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양호한 보상특성이 얻어지고 있을 때의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를 보존하고, 이 값에 의해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의 발명에 관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나, 수신신호대역이 넓게 전 대역에 걸쳐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억압함에 적절한 수속치를 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응신호처리결과가 양호했을 때의 파라미터를 복수 개 준비하고, 이 중 최적의 보상치를 선택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의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종래예의 수신기의 구성요소와 같은 부호를 부여한 구성요소는, 종래예의 수신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안테나(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신호에 제 1 직교 캐리어 발진기(21)가 발생시키는 제1 주파수 로컬 신호의 실수축 신호 "cos"와, 실수축 신호보다 90도 위상이 진행된 허수축 신호 "-sin"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 1 승산기(22)와 제 2 승산기(23)을 구비한 직교검파기(2)를 구비한다.
그리고, 직교검파기(2)는 상기 수신신호를 Low IF 복소신호로 변환하고, Low IF 복소신호로 변환된 직교검파기(2)의 복소신호출력을 A/D 변환기인 제 1, 제 2 ADC(3a, 3b)에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된 복소신호는 제 1, 제 2 ADC(3a, 3b)에 의해 각각 A/D 변환되며, Low IF 복소디지털 신호(R. I, R. Q)로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로 입력한다.
그리고,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에서는, 제 1, 제 2 ADC(3a, 3b)에 의해 디지털 신호화되어 입력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에, 목적 주파수 대역의 신호(목적신호 : S. I, S. Q)와, 목적 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주파수(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 : I. I, I. Q)를 분리하는 대역제한을 실시하고, 후단에 접속된 제 1 특성보상기(8)로 출력함과 동시에, Low IF 복소신호(R. I, R. Q)로부터,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처리의 ON/OFF(작동/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C"를 생성하여, 제 1 특성보상기(8)로 출력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적응처리의 계수로 바뀌는 고정계수 데이터 "D"도 제 1 특성보상기(8)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특성보상기(8)에서는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하는 대역제한이 실시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에 대해,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하는 제어신호 "C"와 적응처리를 정지할 때에 보존된 최종의 계수, 혹은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하는 고정계수 데이터 "D"에 따라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직교검파기(2)의 특성보상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 1 특성보상기(8)의 복소신호출력의 실수축 신호(Y. I)와 허수축 신호(Y. Q)에, 직교 캐리어 발진기(41)에서 발생하는 제2주파수의 로컬 신호의 실수축 신호 "cos"와, 실수축 신호보다 90도 위상이 진행된 허수축 신호 "-sin"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2개의 승산기(42, 43)와, 그리고 제 6 승산기(42)의 출력으로부터 제 7 승산기(43)의 출력을 감산하여 실수축 신호출력으로 하기 위한 감산기(44)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 1 특성보상기(8)의 복소신호출력의 실수축 신호(Y. I)와 허수축 신호(Y. Q)에, 마찬가지로 제 2 직교 캐리어 발진기(41)에서 발생하는 제2주파수 로컬 신호의 허수축 신호 "-sin"과, 실수축 신호 "cos"를 각각 승산하는 2 개의 승산기(45, 46)와, 더불어 제 8 승산기(45)의 출력에 제 9 승산기(46)의 출력을 가산하여 허수축 신호출력으로 하기 위한 가산기(47)을 구비한 복소 믹서(5)에 의해, 제 1 특성보상기(8)의 Low IF 복소신호 출력을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 2 검파기(9)에서 검파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검파기(9)로부터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로 입력되고 있는 수신신호품질 신호 "B"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이용되는 제 1 특성보상기(8)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 1 특성보상기(8)는, 우선, 입력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허수축 신호(I. Q)에 "-1"을 승산함으로써, 허수축 신호(I. Q)의 부호를 반전시켜, 입력된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를 작성하기 위한 제 10 승산기(51)와, 제 1 특성보상기(8)의 출력신호를 오차신호, 작성된 복소공역신호를 참조 번호로 하여,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한 제어신호 "C"에 따라, 필터의 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적응필터의 중심 부분인 LMS 코어(52)와, LMS 코어(52)의 출력(이미지 주파수 방해 캔슬 신호)의 신호레벨을 조정하는 실수축측의 신호 감쇄기인 제 1 ATT(53), 및 허수축측 신호 감쇄기인 제 2 ATT(54)와, 제 1 ATT(53)와 제 2 ATT(54)에 의해 조정된 이미지 주 파수 방해 캔슬 신호를, 입력된 목적신호(S. I, S. Q)에 각각 합성하는 실수축측 감산기(55), 및 허수축측의 감산기(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특성보상기(8)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로부터 생성한 복소공역신호를 참조신호 "S"로 하여, 입력된 목적신호(S. I, S. Q) 중에 존재하는 직교검파기(2)에서 발생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 참조신호 "S"와의 오차가 최소로 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오차가 완전히 없을 때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는 완전히 억압되므로,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정밀도한계까지 이미지 신호 억압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8)은, 적응처리 시에 교정(calibration)신호를 입력하여 적응필터의 계수를 구할수도 있다.
또한, LMS 코어(52)의 출력의 신호레벨을 조정하는 실수축측 신호 감쇄기인 제 1 ATT(53) 및 허수축측 신호 감쇄기인 제 2 ATT(54)는, LMS 코어(52)의 필터 계수어 길이를 최소한의 계수어 길이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이유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가 적응 필터에 참조신호로서 입력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로부터 생성된 복소 공역신호(참조신호 "S")보다, 신호레벨이 상당히 작아지기 때문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감쇄기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LMS 코어(52)는 계수값의 크기를 가변함으로써, 출력인 이미지 주파수 방해 캔슬 신호를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 동일한 레벨로 가변한다.
그러나, 계수값을 작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 이것은 필터 계수어 길이를 짧게 하는 것과 다름없다.
여기서, 필터 계수어 길이는 참조신호 "UD"와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 "UI"의 비 UI/UD(=주파수 변환기의 이미지 억압도)에 비례하여 짧은 값이 된다. 계수의 비트길이(계수어 길이)가 짧아지면 적응 정밀도가 낮아지므로, 양호한 이미지 신호억압특성을 실현하기 위해, 필터 계수어 길이를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분의 계수어 길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필터부 출력에 감쇄기를 삽입함으로써, 필터 계수값에 의해 필터 출력 레벨을 작게 할 필요가 없어지며, 필터 계수어 길이는 최소어 길이이어도 된다.
또한, 트랜스버설(transversal)형의 이퀄라이저에 있어서도 필터 계수값에 의해 생성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 캔슬 신호를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 동일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으나, 계수값이 작아짐으로써, 정확한 이퀄라이저 특성을 실현할 수 없게 되므로,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계수어 길이를 여분이 있는 값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퀄라이저 출력에 감쇄기를 삽입함으로써, 이퀄라이저의 계수는 마찬가지로 최소의 계수어 길이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방해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 비교하여 목적신호가 강하고, 필요로 되는 DU비(희망파와 방해파의 비)가 확보된다면, 아날로그 변조에서는 왜곡특성, 디지털 변조에서는 BER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DU비 개선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아날로그 부의 특성변화가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일은 없으므로, 이미지 주파 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가 시간 축 상에서 완만하기 변동하는 경우, 적응처리를 항상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필요한 때 이외에는, 적응 필터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도록 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하는 제어신호 "C"에 근거하여, 제 1 특성보상기(8)의 LMS 코어(52)의 적응처리 동작의 ON/OFF(작동/정지)를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시간만 적응처리를 수행하고, 남은 시간은 구해진 계수(적응처리를 정지하였을 대에 보존된 최종 계수), 혹은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출력하는 고정계수 데이터 "D"에 의해 LMS 코어(52)의 적응 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체적으로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처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의 구성을 제 1 부터 제 3 의 실시예로서 표현하고, 이를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다.
(제1 실시형태의 제1 실시예)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 1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O. I, O. Q)단자를 통해 입력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에 목적 주파수대역과 이미지 주파수 대역의 대역 제안을 실시하고, (P. I, P. Q) 단자와 (Q. I, Q. Q) 단자에, 각각 목적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를 출력하는 대역제한 필터(61)와, 목적신호(S. I, S. Q)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제 1 신호레벨검출 기(63)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제 2 신호레벨검출기(64)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제 1 신호레벨검출기(63)과 제 2 신호레벨검출기(64)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처리의 ON/OFF(작동/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C"와,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고정계수데이터 "D"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6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제어부(65)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신호 레벨을, 목적신호(S. I, S. Q)의 신호레벨로 나눈 값이 규정치 이하인 경우, 또는 목적신호(S. I, S. Q)의 신호레벨로부터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신호 레벨을 감산한 값이 규정치 이상인 경우에,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OFF)하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신호 "C"로서 출력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이 정지하는 경우에는, 적응처리의 에러가 커지기 전에 적응 필터 계수 갱신을 정지함으로써 제 1 특성보상기(8)가 보존된 최종의 필터 계수에 의한 이퀄라이저로써 동작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 필터를 이퀄라이저로써 동작시키기 위한 고정계수 데이터 "D"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신호레벨검출기(63)을 생략하여, 제 2 신호레벨 검출기(64)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이 규정치 이하인 경우 에,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OFF)하는 신호를 제어신호 "C"로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제2 실시예)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 2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O. I, O. Q)단자로부터 입력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에 목적 주파수 대역과 이미지 주파수 대역의 대역제한을 실시하고, (P. I, P. Q)단자와 (Q. I, Q. Q)단자에, 각각 목적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를 출력하는 대역제한필터(61)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공역 복소 신호를 생성하는 공역복소신호생성부(66)와, 목적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공역복소신호와의 상호상관을 계산하는 상호 상관기(67)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상호 상관기(67)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처리의 ON/OFF(작동/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C"와,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 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고정계수 데이터 "D"를 출력하는 제 2 제어부(68)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제어부(68)는, 상호 상관기(67)가 출력하는 목적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복소 공역 신호와의 상호 상관도가, 규정치 이상인 경우에,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OFF)시키는 신호를 제어신호 "C"로서 출력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제1 실 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적응처리의 에러가 커지기 전에 적응 필터 계수 갱신을 정지함으로써, 제 1 특성보상기(8)는, 보존된 최종의 필터계수에 의한 이퀄라이저로서 동작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고정계수 데이터 "D"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의 제3실시예)
도 5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 3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O. I, O. Q)단자로부터 입력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에 목적주파수 대역과 이미지 주파수 대역의 대역제한을 실시하고, (P. I, P. Q)단자와 (Q. I, Q. Q)단자에, 각각 목적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를 출력하는 대역제한필터(61)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제 2 신호레벨검출기(64)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제 2 신호레벨검출기(64)의 출력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제 2 검파기(9)로부터 취득된 BER(Bit Error Rate)를 수신신호품질 신호인 신호 "B"로서 입력받고, 상기 두 가지 값으로부터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처리의 ON/OFF(작동/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C"와,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 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고정계수데이터 "D"를 출력하기 위한 제 3 제어부(69)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3 제어부(69)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의 신호레벨이 규정 이상이고 제 2 검파기(9)에 있어서 취득된 BER(Bit Error Rate)에 의해 나타낸 수신신호품질 신호인 "B"가 규정치 이상인 경우에,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OFF)하는 신호를 제어신호 "C"로서 출력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 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적응처리의 에러가 커지기 전에 적응 필터 계수 갱신을 정지함으로써, 제 1 특성보상기(8)는, 보존된 최종의 필터 계수에 의한 이퀄라이저로서 동작한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 신호 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 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고정계수데이터 "D"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신신호품질 신호인 "B"는 BER 외에, FER(Frame Error Rate)이나 SNR, CNR 등, 수신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되는 대역 제한 필터(61)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여기서, 도 6은 도 3 내지 도 4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이용하는 대역제한필터를 복소계수필터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소계수필터로 구성된 대역제한필터는 각각 목적 주파수 대역과 이미지 주파수 대역의 대역제한을 실시하는 제 1, 제 2 복소 계수 필터(71, 72)로 구성된다.
한편, 도 7은 도 3 내지 도 4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이용하는 대역제한필터를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구성된 대역제한필터는 제 1, 제 2 힐버트 변환기(81, 84)와, 힐버트 변환에 따른 지연량을 보상하기 위한 제 1, 제 2 지연기(80, 83)로 구성된다.
여기서,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는 경우는, 감산기(82)에 의해, (O. I, O. Q)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O. I)의 지연신호로부터, 신호(O. Q)의 힐버트 변환 후의 신호를 감산한 신호를 목적신호의 실수축측 신호로 하고, 제 3 가산기(85)에 의해, 신호 (O. I)의 힐버트 변환 후의 신호와, 신호(O. Q)의 지연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목적신호의 허수축측 신호로 하여, (P. I, P. Q)단자로 출력한다. 또한, 제 4 가산기(86)에 의해, (O. I, O. Q)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O. I)의 지연신호와, 신호(O. Q)의 힐버트 변환 후의 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실수축측 신호로 하고, 감산기(87)에 의해, 신호(O. I)의 힐버트 변환 후의 신호로부터, 신호(O. Q)의 지연신호를 감산한 신호를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허수축측 신호로 하여, (Q. I, Q. Q)단자로 출력한다.
또한, 힐버트 변환에 있어서는 FIR 필터를 이용하는 것 뿐 아니라, IIR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연산량으로 양호한 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 1 특성보상기(8)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였을 때,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로부터 설정하는 고정계수 데이터 "D"에 의해 제 1 특성보상기(8)의 적응필터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직교검파기(2)를 시작으로 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요인을 파라미터로 하는 보상치의 테이블을 작성하여 고정계수 데이터 "D"를 제어함으로써, 적응 동작의 정지시에 개개의 장치마다의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에 따른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발휘하는 이미지 신호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정계수 데이터 "D"는, 공장 출하 후의 경년변화에 의한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양호한 보상특성이 얻어지고 있는 때의 적응신호 처리의 보상치를 보존하여 이용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시에 있어서의 보상처리 성능을 위한 최저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계수 데이터 "D"는,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나, 수신신호 대역이 넓게 전 대역에 걸쳐 있어서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억압하는 것에 대한 적절한 수속치를 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공장 출하 시의 파라미터나, 적응신호 처리결과가, 양호하였을 때의 파라미터를 복수 개 준비하여, 이 중에서 최적을 보상치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최저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목적신호의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직교검파기(2)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억압할 때, 제 1 특성보상기(8)에 있어서의 적응신호 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를, 입력신호의 자기상관특성이나 SNR 뿐 아니라, 목적신호와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와의 신호레벨의 차나, 입력신호의 신호품질특성, 그리고 목적신호와, 목 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에 상당하는 복제신호와의 상호상관특성에 의해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상호 상관특성에 따라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로부터 제어함으로써, 적응신호처리가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 조건 또는 고정밀의 보상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응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미리 준비한 소정의 고정치에 의해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최저 보장된 특성 보상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적응동작을 정지함으로써, 목적외 신호의 특성이나 잡음에 의한 특성보상성능의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리 준비한 소정의 고정치에 의해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입력신호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특성보상기(8)의 입력은, 대역제한필터(61)에 의해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의 신호레벨과 그 이외의 신호나 잡음을 합한 신호레벨의 차를 크게 하고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역제한 필터(61)를 제 1, 제 2 신호레벨검출기(63, 64)나 상호 상관기(67)에 목적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필터로서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필터를 설치하지 않고 목적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역 제한 필터(61)를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복소계수 필터와 비교하여 연산량을 절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신속한 응답에 의해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더 적은 소비전력으로,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종래예의 수신기의 구성요소와 같은 부호를 부여한 구성요소는, 종래예의 수신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안테나(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신호에 제 1 직교 캐리어 발진기(21)가 발생시키는 제1 주파수 로컬 신호의 실수축 신호 "cos"와, 실수축 신호보다 90도 위상이 진행된 허수축 신호 "-sin"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제 1 승산기(22)와 제 2 승산기(23)를 구비한 직교검파기(2)를 구비한다.
그리고, 직교검파기(2)는 상기 수신신호를 Low IF 복소신호로 변환하고, Low IF 복소신호로 변환된 직교검파기(2)의 복소신호출력을 A/D 변환기인 제 1, 제 2 ADC(3a, 3b)에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된 복소신호는 제 1, 제 2 ADC(3a, 3b)에 의해 각각 A/D 변환되며, Low IF 복소디지털 신호(R. I, R. Q)로서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로 입력한다.
그리고, 특성보상제어부(10)에서는, 제 1, 제 2 ADC(3a, 3b)에 의해 디지털 신호화되어 입력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로부터 제 2 특성보상기(11)의 적응처리의 ON/OFF(작동/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C"를 생성하여 제 2 특성보상기(11)로 출력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적응처리의 계수로 바뀌는 고정계수 데이터 "D"도 제 2 특성보상기(11)로 출력한다.
한편, 제 2 특성보상기(11)에서는 제 1, 제 2 ADC(3a, 3b)에 의해 디지털 신호화되어 입력된 Low IF 복소디지털 신호(R. I, R. Q)를,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 "C"와, 적응처리를 정지하였을 때에 보존된 최종의 계수, 혹은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가 출력하는 고정계수 데이터 "D"에 따라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직교검파기(2)의 특성보상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 2 특성보상기(11)의 복소신호출력의 실수축 신호(Y. I)와 허수축 신호(Y. Q)에, 제 2 직교 캐리어 발진기(41)에서 발생하는 제2주파수의 로컬 신호의 실수축 신호 "cos"와, 실수축 신호보다 90도 위상이 진행된 허수축 신호 "-sin"을 각각 승산하기 위한 2개의 승산기(42, 43)와, 그리고 제 6 승산기(42)의 출력으로부터 제 7 승산기(43)의 출력을 감산하여 실수축 신호출력으로 하기 위한 감산기(44)를 구비함과 동시에, 제 2 특성보상기(11)의 복소신호출력의 실수축 신호(Y. I)와 허수축 신호(Y. Q)에, 마찬가지로 제 2 직교 캐리어 발진기(41)에서 발생하는 제2주파수 로컬 신호의 허수축 신호 "-sin"과, 실수축 신호 "cos"를 각각 승산하는 2개의 승산기(45, 46)와, 더불어 제 8 승산기(45)의 출력에 제 9 승산기(46)의 출력을 가산하여 허수축 신호출력으로 하기 위한 가산기(47)을 구비 한 복소 믹서(5)에 의해, 제 2 특성보상기(11)의 Low IF 복소신호 출력을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 2 검파기(9)에서 검파를 수행한다.
또한, 제 2 검파기(9)로부터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로, 입력되고 있는 수신신호품질 신호 "B"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이용되는 제 2 특성보상기(11)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특성보상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의 제 2 특성보상기(11)는, 적응처리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 직교검파기(2)로부터 제 1, 제 2 ADC(3a, 3b)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화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의 실수축 신호(R. I)와 허수축 신호 (R. Q)에 대해, 계수의 갱신식은 이하의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8>과 같다.
h1,k = h1,k-1 + μ(Y. I) Xqe
h2,k = h2,k-1 + μ(Y. I) Xqe
h3,k = h3,k-1 + μ(Y. I) Xie
(단, σ는, 원하는 신호 진폭값을 나타내며, e = σ2-(Y. I2 + Y. Q2)로 한다)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8>에 따라, 적응적으로 갱신되는 계수 h1, h2 및 h3에 의해, 제 3 승산기(31)에 있어서,
Y. I = h3 ×S. I
의 처리를 수행하고, 제 4, 제 5 승산기(32, 33)와 제 1 가산기(34)에 있어서,
Y. Q = h1 ×S. Q + h2 ×S. I
의 처리를 수행하고, 직교성 및 진폭의 오차가 보상된 실수축 신호(Y. I) 및 허수축 신호(Y. Q)를 얻는다.
또한, 적응처리를 정지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 "C"에 의해 상술한 계수 h1, h2, 및 h3의 계수갱신처리를 정지하고 보존된 최종의 계수를 이용한 고정계수에 의한 직교검파기(2)의 특성보상을 수행하거나, 제어신호 "D"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내지 제 3 절환기(35, 36, 37)을 이용하여 상기 계수 h1, h2, 및 h3을 제 2 특성보상 기 제어부(10)가 출력하는 고정계수데이터 "D"로 절환함으로써 고정계수 데이터 "D"에 의한 직교검파기(2)의 특성보상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도,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방해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와 비교하여 목적신호가 강하고, 필요한 DU비(희망파와 방해파의 비)가 확보된다면, 아날로그 변조에서는 왜곡특성, 디지털 변환에서는 BER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DU비 개선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부의 특성변화가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일은 없으므로,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가 시간축 상에서 완만하게 변동하는 경우, 적응처리를 항상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억압장치도, 제1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와 마찬가지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특성보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신호 "C"와 고정계수 데이터 "D"에 의해 제 2 특성보상기(11)의 적응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이미지 신호억압장치에 이용되는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는, 제1 실시형태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과 이하의 점이 다르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가, (O. I, O. Q)단자로부터 입력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에 목적 주파수 대역과 이미지 주파수 대역의 대역제한을 실시하고, (P. I, P. Q)단자와 (Q. I, Q. Q)단자로, 각각 목적신호 (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를 출력하는 것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에는, (P. I, P. Q)단자와 (Q. I, Q. Q)단자가 존재하지 않고, 목적신호(S. I, S. Q)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I. I, I. Q)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다. 그 이외에 관해서는,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와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는 다른 점이 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 2 특성보상기(11)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였을 때,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으로부터 설정하는 고정계수 데이터 "D"에 의해 제 2 특성보상기(11)를 이퀄라이저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고정계수 데이터 "D"는 제1 실시형태의 이미지 억압장치와 마찬가지로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요인을 파라미터로 하는 보상치의 테이블이나 양호한 보상특성이 얻어지는 때의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 혹은 공장 출하 시의 파라미터나 적응 신호처리결과가 양호하였을 때의 파라미터를 복수 개 준비하여, 이 중에서 최적의 값으로 선택된 보상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는, 제1 실시형태의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와 마찬가지로 제 2 특성보상기(11)에 있어서의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를,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가 입력신호의 자기상관특성이나 SNR 뿐 아니라, 목적신호와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와의 신호레벨의 차나, 입력신호의 신호품질특성, 그리고 목적신호와, 목적외 신호(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미지 주파수 방해 신호와의 상호 상관특성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적응신호처리가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 조건, 또는 고정 밀한 보상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응 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미리 준비한 소정의 고정치에 의해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최저 보장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적응동작을 정지함으로써, 목적외 신호의 특성이나 잡음에 의한 특성보상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리 준비한 소정의 고정치에 의해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입력신호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특성보장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역제한필터(61)를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복소 계수 필터에 비하여 연산량을 절반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소비전력으로,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특성보상기 제어부(7) 또는 제 2 특성보상기 제어부(10)에서는, ADC(3a, 3d)에 의해 디지털 신호화된 Low IF 복소 디지털 신호(R. I, R. Q)로부터, 목적신호나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레벨, 혹은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공역복소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구하고 있으나, 이들은 제 1, 제 2 ADC(3a, 3b)에 의해 디지털 신호화되기 전의 아날로그 상태의 신호로부터 구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보상수단에 있어서의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를 자유롭게 제어하여,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적응제어를 이용하여 억압한 신호나, 주파수 변환기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고정제어를 이용하여 억압한 신호 중 어느 것이라도 간단하게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이 필요하지 않거나, 혹은, 적응신호처리가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적응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최저 보장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주파수 신호에 의한 목적신호에 대한 이미지 방해가 작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SNR 저하에 의해 정확한 적응신호처리가 곤란한 상태에서는,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레벨이 목적신호의 레벨과 비교하여 작은 경우, 적응신호처리에 의해 보상할 필요가 없고, 또한 등가적으로 이미지주파수 신호의 SNR 저하로도 볼 수 없으므로,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적응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잡음에 의한 특성보상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한 이 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상호 상관도가 높고, 적응신호처리에 있어서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와의 식별이 어려우며, 목적신호에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에,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적응동작을 정지함으로써, 목적외 신호의 특성에 의한 특성보상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신호가 이미지 주파수 신호에 의해 수신품질에 관련된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응신호처리를 계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은 정지한다. 또한, 수신신호품질이 악화되는 경우,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재개한다. 따라서, 수신신호의 품질이 일정해 지도록,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언제라도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상수단의 입력에 있어서, 목적신호와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필터를 설치하지 않고, 이미지 주파수 신호 검출수단이나 목적신호 검출수단, 그리고 상관계산수단에, 목적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힐버트(Hilbert) 변환을 이용하여 위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소 계수 필터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연산량을 절반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로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신속한 응답에 의해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힐버트 변환을 이용하여, 더 적은 소비전력으로, 양호한 특성보상성능 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준비한 소정의 고정치에 의해 보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신호에 상관없이 안정된 특성보상성능을 유지하는 이미지 신호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변환수단을 시작으로 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요인을 파라미터로 하는 보상치의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마다의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에 추종하여, 양호한 특성보상성능을 발휘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년변화에 의한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양호한 보상특성이 얻어지고 있을 때의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를 보존하고, 이 값에 의해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응신호처리의 수속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나, 수신신호대역이 넓게 전 대역에 걸쳐 이미지 주파수 신호를 억압하는 것에 적절한 수속치를 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파라미터를 복수 개 준비하여, 이 중에서 최적의 보상치를 선택함으로써,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보상처리성능의 보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언제라도 가장 양호한 상태의 특성보상성능을 발휘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복소신호로 표현된 로컬신호를 이용하여, 실신호 또는 복소신호로 표현된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고, 복소신호로 표현된 목적신호출력을 얻기 위한 주파수 변환수단과, 목적신호의 주파수와 복소공역의 관계에 있는 이미지 주파수에 존재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이미지 방해에 의해,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에 발생하는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적응신호처리를 이용한 보상처리에 의해 억압하는 보상수단을 구비한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이,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작동과 정지의 절환을 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이 제 1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목적신호검출수단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 검출 수단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상기 목적신호의 신호레벨로 나눈 값이 제 2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목적신호의 신호레벨로부터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감산한 값이 제 3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복소공역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목적신호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구하는 상관계산수단과,
    상기 목적신호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복소공역신호와의 상호 상관도가 제 4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도록 하기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 주파수 신호검출수단과,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품질측정수단과,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신호 레벨이 제 5 소정치 이상이며, 또한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측정결과가 제 6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 처리의 적응동작을 정지하도록 하기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대역으로 하는 목적신호용 필터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대역으로 하는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목적신호용 필터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에 의해 각각 대역 제한한 후, 상기 보상수단에 의해,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의 출력에 발생하는 상기 이미지 주파수 방해신호를 억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신호용 필터와 상기 이미지 주파수 신호용 필터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위상처리에 의해 억압하는 이미지 리젝션 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상기 보상수단이 보상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고정치를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에 의한 적응신호처리의 적응동작의 정지 시에, 상기 보상수단 이 보상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고정치를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미리 측정된 수신회로의 특성에 근거하여 설정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복수의 값 중에서,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값으로서 선택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제 7 소정치 이상일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 미지 신호 억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미리 측정된 수신회로의 특성에 근거하여 설정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복수의 값 중에서,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값으로서 선택된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의 출력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제 7 소정치 이상일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고정치는, 상기 품질측정수단에 의한 수신신호품질 측정결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에 기억된 적응신호처리의 보상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신호 억압장치.
KR1020030019259A 2002-04-04 2003-03-27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 KR100950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2874 2002-04-04
JP2002102874A JP3902498B2 (ja) 2002-04-04 2002-04-04 イメージ信号抑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704A KR20030079704A (ko) 2003-10-10
KR100950648B1 true KR100950648B1 (ko) 2010-04-01

Family

ID=2938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259A KR100950648B1 (ko) 2002-04-04 2003-03-27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02498B2 (ko)
KR (1) KR100950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5650B2 (en) 2005-06-24 2011-10-25 Panasonic Corporation Radio receiving apparatus
JP4845633B2 (ja) * 2006-08-07 2011-12-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妨害信号除去装置及び妨害信号除去方法
CN102165685A (zh) 2008-09-26 2011-08-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复数信号处理电路、接收电路、信号再生装置
JP2011199554A (ja) 2010-03-19 2011-10-06 Panasonic Corp 複素信号処理回路、受信回路、信号再生装置
JP6116829B2 (ja) * 2011-10-21 2017-04-19 株式会社ダイヘン 単相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
WO2013108590A1 (ja) 2012-01-20 2013-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交変換誤差補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9904A (ja) 1997-01-21 1998-08-07 Hitachi Denshi Ltd 受信機
JP2002043962A (ja) 2000-07-19 2002-02-0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方法及び受信機
KR20020063492A (ko) * 2001-01-29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변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9904A (ja) 1997-01-21 1998-08-07 Hitachi Denshi Ltd 受信機
JP2002043962A (ja) 2000-07-19 2002-02-0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方法及び受信機
KR20020063492A (ko) * 2001-01-29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704A (ko) 2003-10-10
JP2003309612A (ja) 2003-10-31
JP3902498B2 (ja)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4345B2 (ja) 相互変調歪みの打ち消しの集積回路、通信ユニットおよび方法
JP5575912B2 (ja) 混変調歪みのキャンセレーションのための通信ユニット、及び方法
JP4429533B2 (ja) 周波数変換器
JP4554262B2 (ja) 平衡伝送装置
TWI524706B (zh) 具有同相正交信號失衡估測及校正技術的無線通信接收器
US8964875B2 (en) Adaptive IQ imbalance estimation
JP5528431B2 (ja) 2次歪補正受信機及び2次歪補正方法
US11239854B2 (en) Non-linearity correction
CN114762257A (zh) 非线性校正
JP6559088B2 (ja) 通信機および衛星通信システム
KR100950648B1 (ko) 이미지 신호 억압 장치
WO2020015713A1 (en) Ca power measurement
US7672655B1 (en) Frequency-selective and adaptive I/Q mismatch digital compensation
US6920471B2 (en) Compensation scheme for reducing delay in a digital impedance matching circuit to improve return loss
CN109495421B (zh) 一种同相分量正交分量失配补偿装置及方法
US20100297974A1 (en) Orthogonality compensating device, radio receiving device, orthogonality compens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4689101B2 (ja) 干渉波抑圧装置
US20100297973A1 (en) Orthogonality compensating device, radio receiving device, orthogonality compens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40422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046420A (ja) 干渉波抑圧装置
JP2609735B2 (ja) 送受信装置に使用される初期引き込み装置
CN113824659A (zh) 位于数字域之讯号处理电路及方法
JPS5963827A (ja) エコ−・キヤンセ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