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019B1 - 승차권 보관함 - Google Patents

승차권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019B1
KR100949019B1 KR1020070128435A KR20070128435A KR100949019B1 KR 100949019 B1 KR100949019 B1 KR 100949019B1 KR 1020070128435 A KR1020070128435 A KR 1020070128435A KR 20070128435 A KR20070128435 A KR 20070128435A KR 100949019 B1 KR100949019 B1 KR 10094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pallet
cover
fixing lev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426A (ko
Inventor
오재용
김대영
육진국
김경종
오광택
박현수
김태형
김경훈
고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0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설치되어 승차권을 보관하는 승차권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성과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승차권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용 잠금장치와 승차권 보관함 운용을 위한 커버를 별도의 구조로 구성하고, 운용자의 경우 임의로 승차권 보관함의 커버를 개방할 수 없으며, 발매장치나 회수장치에 상기 승차권 보관함을 장착시 커버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차권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승차권, 보관함, 링크형 잠금장치

Description

승차권 보관함{Ticket box}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장치 및 승차권 회수장치에 설치되어 승차권을 보관하는 승차권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성과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승차권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이용객은 출발역에서 승차권을 구입하고 개찰구에서 역무원에게 검표를 받은 후 기차에 탑승하게 되고, 도착역의 집찰구에서는 승차권을 검표 및 회수하는 절차를 거치게 되며, 한편 지하철 이용객은 승차권의 발매는 물론 검표 및 회수작업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역무 자동화 설비 즉,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회수장치 등이 지하철 역사마다 설치되어 있어 이를 사용하여 쉽게 상기와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되므로 역무원의 인력절감 및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는 승차권을 보충하여 저장하는 승차권 보관함(ticket box)이 구비되어 있 는 바, 상기 승차권 보관함은 관리자 이외, 내부에 저장된 승차권에 대한 타인의 접근을 막아야 하며, 반면에 승차권의 보충이나 제거에 있어서는 편리성이 확보되는 구조이어야 된다.
그런데, 종래의 승차권 보관함은 관리자가 아닌, 임의의 운용자에 의해 커버가 쉽게 개폐되고, 따라서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승차권이 쉽게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관리자용 잠금장치와 승차권 보관함 운용을 위한 커버를 별도의 구조로 구성하고, 운용자의 경우 임의로 승차권 보관함의 커버를 개방할 수 없으며, 발매장치나 회수장치에 상기 승차권 보관함을 장착시 커버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차권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설치되어 승차권을 보관하며, 사방이 평판으로 둘러쌓여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있으나, 승차권을 내부에 적층할 수 있도록 전방에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하우징 구조로 설치된 승차권 보관함에 있어서,
하우징부(10) 내에서 승차권의 회수 및 보충을 위해 개방 가능한 상부 커버(12)와, 승차권의 회수 및 보충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개방 가능한 전면 커버(13)와, 상기 상부 커버(12)의 개폐 작동 및, 파레트부(11)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잠금 및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상기 하우징부(10) 내의 링크형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링크형 잠금장치는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키(21)에 의해 잠금 및 해제 동작을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형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에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마련된 키(21)가 삽입 가능한 키홈부(22)와; 상기 키(21)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며 보관함 전면부에 힌지를 매개로 장착되어 있는 커버 고정레버(23)와; 상기 커버 고정레버(23)와 작동 링크(25)를 매개로 링크 연결되어 파레트 고정레버(28)를 누름 작동시키는 회동캠(26)과; 상기 회동캠(26)과 연동하는 상방의 작동 로드(27)와 일체 고정되며 고정핀(28a)을 매개로 수직 슬롯홀(28b)을 따라 상하 작동하는 파레트 고정레버(28)와; 상기 파레트 고정레버(28)의 경사 슬롯홀(28d)에 삽입된 작동핀(28c)과 더불어 수평 이동하는 래칫(29)과; 상기 래칫(29)의 작동에 의해 파레트부(1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파레트 고정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형 잠금장치는 상기 파레트부(11)를 승차권 보관함에 장착하여 록킹하고자 상기 키(21)를 초기 작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 시, 상기 회동캠(26) 및 파레트 고정레버(28)가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우징부(10)와 함께 연결된 리턴 스프링(26a,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고정레버(23)는 상부 커버(12)와 일체 조립되어 상기 상부 커버(12)와 함께 슬라이드 작동하는 커버 고정레버 브라켓(24)과 키(21) 작동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섭, 록킹되는 돌출부(23a)가 상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에 의하면, 제한적인 잠금 해제를 구현하는 링크형 구조로 이루어진 2중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승차권 보관함의 밀폐성과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상부 커버의 닫힘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파레트부의 해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파레트부의 해제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설치되어 승차권을 보관하는 장치로서, 특히 외부 충격이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SUS 재질이 사용되고, 사방이 평판으로 둘러쌓여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있으나, 승차권을 내부에 적층할 수 있도록 전방에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하우징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바, 승차권 보관함의 하우징부(10) 내의 링크형 잠금장치를 통해 고정되는 파레트부(11)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하우징부(10) 내에서 승차권의 회수 및 보충을 위해 개방 가능한 상부 커버(12)와, 승차권의 회수 및 보충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개방 가능한 전면 커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커버(13)는 운용자에 의한 임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물쇠(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버(12) 및 상기 파레트부(11)를 자동으로 록킹하는 링크형 잠금장치는 승차권 보관함이 아닌,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키(key)(21)에 의해 잠금 및 해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승차권 보관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자물쇠(14)와 링크형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2중의 잠금장치와, 파레트부(11)를 하우징부(10) 내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주요 구성으로 하며, 이외에 이동 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핸들부(15)가 전면과 측면에 취급용 및 이송용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 전면에 장착된 핸들부(15)는 운용 시 전면 커버(13)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 커버(12)는 링크형 잠금장치와 더불어 작동 가능하며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키(21)에 의해 잠금 및 해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에는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승차권 보관함을 장착 시에 그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키(21)가 삽입 가능한 키홈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21)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며 보관함 전면부에 힌지를 매개로 장착되어 있는 커버 고정레버(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 고정레버(23)는 상측으로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즉 키(21)가 키홈부(2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3a)로 인하여 그 상측에 상부 커버(12)와 일체 조립되어 상기 상부 커버(12)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는 커버 고정레버 브라켓(24)이 간섭되어 록킹되므로 상부 커버(12)가 개방 가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커버(1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키(21)가 키홈부(22)에 삽입된 상태에서만 릴리스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반면, 승차권의 회수 및 보충을 위해 관리자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12)가 개방된 상태, 즉 상기 커버 고정레버 브라켓(24)이 상부 커버(12)와 더불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커버 고정레버(23)의 돌출부(23a)와 간섭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21)가 키홈부(22)에 삽입되더라도 커버 고정레버 브라켓(24)이 회동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키(21)를 동작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파레트부(11)의 외부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항상 키(21)를 이용한 잠금 해제는 상부 커버(12)가 닫혀진 상태에서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고정레버(23)는 작동 링크(25)를 매개로 파레트 고정레버(28)를 누름 작동시키는 회동캠(26)과 링크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 고정레버(23)가 키(21)의 회전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할 경우, 작동 링크(25)와 함께 회동캠(26)이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파레트 고정레버(28)를 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캠(26)은 그 일측에 리턴 스프링(26a)이 고정되어 하우징부(10)의 전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든 작동이 완료된 후 회동캠(26)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캠(26)의 하방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작동 로드(27)가 장착되어 이와 일체로 이루어진 파레트 고정레버(28)를 하방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레트 고정레버(28) 상에는 고정핀(28a)을 매개로 수직 슬롯홀(28b)이 형성되어 파레트 고정레버(28)가 수직 방향으로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슬롯홀(28b)의 하측에는 경사 슬롯홀(28d)이 형성되어 상기 파레트 고정레버(28)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톱니 형상의 래칫(ratchet)(29)이 그 래칫(29)에 일체 형성된 작동핀(28c)을 매개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파레트 고정레버(28)가 수직 슬롯홀(28b)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경사 슬롯홀(28d)의 하단부에 위치한 작동핀(28c)과 더불어 래칫(29)이 경사 슬롯홀(28d)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래칫(29)은 파레트부(11)를 인출할 수 없는 고정 상태에 있게 한 파레트 고정브라켓(30)의 고정 상태를 릴리스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파레트 고정브라켓(30)이 릴리스 되어 이탈되면서 승차권이 보관되어 있는 파레트부(11)의 외부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된 파레트부(11)는 하우징부(10) 내부의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하우징부(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파레트부(11)의 해제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승차권 발매장치 또는 승차권 회수장치에 장착된 키(21)의 회전 구동에서부터 파레트부(11)가 인출 가능한 상태로 해제되는 작동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파레트부(11)를 다시 승차권 보관함에 장착하여 록킹하고자 할 경우, 키(21)를 초기 작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파레트 고정레버(28)와 래칫(29)이 파레트 고정레버(28) 및 하우징부(10)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된 상태의 리턴 스프링(31)에 의해 원상태로 압축, 복귀되면서 파레트 고정브라켓(30)을 원상태로 위치시키게 되므로 상기 파레트부(11)가 승차권 보관함의 하우징부(10) 내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상부 커버의 닫힘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파레트부의 해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보관함의 파레트부의 해제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파레트부
12 : 상부 커버 13 : 전면 커버
14 : 자물쇠 15 : 핸들부
21 : 키 22 : 키홈부
23 : 커버 고정레버 24 : 커버 고정레버 브라켓
25 : 작동 링크 26 : 회동캠
27 : 작동 로드 28 : 파레트 고정레버
29 : 래칫 30 : 파레트 고정브라켓
31 : 리턴 스프링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하우징 구조의 승차권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보관함은 개방 가능한 상부 커버(12), 개방 가능한 전면 커버(13),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12)의 개폐와 파레트부(11)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링크형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형 잠금장치는
    키(21)가 삽입되는 키홈부(22);
    상기 키(21)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며, 보관함 전면부에 힌지를 매개로 장착되는 커버 고정레버(23);
    상기 커버 고정레버(23)와 작동 링크(25)를 매개로 링크 연결되어, 파레트 고정레버(28)를 누름 작동시키는 회동캠(26);
    상기 회동캠(26)과 연동하는 상방의 작동 로드(27)와 일체 고정되며, 고정핀(28a)을 매개로 수직 슬롯홀(28b)을 따라 상하 작동하는 파레트 고정레버(28);
    상기 파레트 고정레버(28)의 경사 슬롯홀(28d)에 삽입된 작동핀(28c)과 더불어 수평 이동하는 래칫(29); 그리고
    상기 래칫(29)의 작동에 의해 파레트부(1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파레트 고정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형 잠금장치는
    하우징부(10)에 결합된 리턴 스프링(26a,31)을 더 포함하여, 상기 키(21)를 초기 작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 시, 상기 리턴 스프링(26a,31)이 상기 회동캠(26) 및 파레트 고정레버(28)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보관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레버(23)는 상측에 돌출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a)는 상기 상부 커버(12)와 일체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커버 고정레버 브라켓(24)과 선택적으로 간섭,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보관함.
KR1020070128435A 2007-12-11 2007-12-11 승차권 보관함 KR10094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35A KR100949019B1 (ko) 2007-12-11 2007-12-11 승차권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35A KR100949019B1 (ko) 2007-12-11 2007-12-11 승차권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26A KR20090061426A (ko) 2009-06-16
KR100949019B1 true KR100949019B1 (ko) 2010-03-23

Family

ID=4099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435A KR100949019B1 (ko) 2007-12-11 2007-12-11 승차권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966A (ja) * 1993-06-30 1995-06-06 Takamisawa Cybernetics Co Ltd 硬貨処理装置
KR19980030956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승차권발행기의 동전투입구 자동 개폐장치
KR20000003063U (ko) * 1998-07-15 2000-02-15 윤종용 티켓 발매기용 동전보관함의 부정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966A (ja) * 1993-06-30 1995-06-06 Takamisawa Cybernetics Co Ltd 硬貨処理装置
KR19980030956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승차권발행기의 동전투입구 자동 개폐장치
KR20000003063U (ko) * 1998-07-15 2000-02-15 윤종용 티켓 발매기용 동전보관함의 부정 방지장치
KR200233419Y1 (ko) 1998-07-15 2001-10-25 윤종용 티켓발매기용동전보관함의부정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26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0255A1 (en) Lockable enclosure with loading cartridge
US5715923A (en) Currency acceptor with locking cash box
US5476220A (en) Lockable mailbox apparatus
US2973139A (en) Locking coin box
KR100949019B1 (ko) 승차권 보관함
US7766148B2 (en) Money handling unit provided with a removable coin receptacle
KR20060112280A (ko) 금고잠금장치
JPH07146966A (ja) 硬貨処理装置
JP7217449B2 (ja) 宅配ボックス
JP7340781B2 (ja) 宅配ボックスの押印装置及び宅配ボックス
CN216211252U (zh) 公交投币机
JP4150226B2 (ja) リジェクトカード回収庫のシャッタロック機構
JP6934619B2 (ja) 宅配ボックスの施錠装置
CN214825904U (zh) 一种证件箱
JP2001006035A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CN105844794A (zh) 一种具有双锁控制开启功能的硬币回收箱
JP3692839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KR102563412B1 (ko) 매체저장장치
JPS6327252Y2 (ko)
JPH11296731A (ja) 自動販売機の扉施錠装置
JPS6120947Y2 (ko)
US3450244A (en) Coin operated lock mechanism
US974813A (en) Vending-machine.
JPS6025645Y2 (ja) 釣銭補給装置の錠装置
JP2021049219A (ja) 宅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