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349B1 -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349B1
KR100948349B1 KR1020080047767A KR20080047767A KR100948349B1 KR 100948349 B1 KR100948349 B1 KR 100948349B1 KR 1020080047767 A KR1020080047767 A KR 1020080047767A KR 20080047767 A KR20080047767 A KR 20080047767A KR 100948349 B1 KR100948349 B1 KR 10094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fingerprint
unit
main body
butt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728A (ko
Inventor
한덕희
김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80047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34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 센서가 설치된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버튼부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가 회동되어 상기 지문 인식 센서가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장치로서, 지문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출입 또는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지문 인식 장치로서, 한 번의 손동작만으로 지문 인식 센서의 개방, 지문 인식, 및 지문 인식 센서의 폐쇄와 같은 일련의 지문 인식 단계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어락, 지문 인식, 지문 인식 센서, 원터치

Description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finger frint in one-touch type}
본 발명은 도어락 등의 보안 설비에 설치되는 지문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 인식 센서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한 번의 손동작만으로 지문 인식 센서의 개방, 지문 인식, 및 지문 인식 센서의 폐쇄와 같은 일련의 지문 인식 단계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Lock)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은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권한이 있는 사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잠금장치를 출입문에 설치하여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 및 안전을 보호하고,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설비로서, 이러한 도어락은 보통 전면의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해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보안설비의 보조 수단으로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이외에도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중의 보안 수단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지문 인식 장치는 지문을 판독하기 위한 지문 입력부가 통상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지문 입력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1a 내지 1c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락의 지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a의 지문 인식 장치는, 본체(10)의 내측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저면에 지문 인식부(12)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지문 인식부(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1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지문 인식 장치의 경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보호 커버(13)를 손으로 개방한 후에 지문 인식 작업을 하고, 지문 인식 작업을 수행한 후에 다시 보호 커버(13)를 닫는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문 인식을 위해 총 3번의 동작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어서, 도 1b의 지문 인식 장치는, 자판기의 하측에 설치된 동전커버의 구성처럼, 본체(10)의 내측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저면에 지문 인식부(12)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지문 인식부(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13)가 상부의 축(14)을 중심으로 본체(10)의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지문 인식 장치의 경우(도 1a의 경우도 마찬가지), 손가락이 지문 인식부(12)가 설치된 공간 내부로 들어가야 하므로, 손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의 두께가 일정두께 이상이 되어야 하고, 보호 커버(13)가 손가락에 걸려있는 상태로 지문 인식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초래하였다.
또한, 지문 인식부(12)가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정확한 지문 인식부(12)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워 지문 인식 작업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다음으로, 도 1c의 지문 인식 장치는, 본체(10)의 내측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전면에는 지문 인식부(12)가 일체로 형성된 보호 커버(13)가 하부의 축(14)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지문 인식 장치는, 보호 커버(13)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내부의 고정수단(미도시)이 해제되어 보호 커버(13)가 본체(10)의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지문 인식부(12)가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부를 향한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도 1c의 지문 인식 장치 역시 보호 커버(13)를 눌러 지문 인식 작업을 수행한 후에, 다시 손으로 보호 커버(13)를 닫아야 하기 때문에, 도 1c의 지문 인식 장치와 마찬가지로 지문 인식을 위해 총 3번의 동작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한 번의 손동작만으로 지문 인식 센서가 개방되는 단계,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지문 인식 센서가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지문 인식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지문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출입 또는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지문 인식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 센서가 설치된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버튼부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가 회동되어 상기 지문 인식 센서가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버튼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 1 기어; 상기 지문 인식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문 인식부는 좌우 측면에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은 상기 지문 인식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어는 전방 일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후방 일부가 하측으로 만곡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를 후방으로 미는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버튼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부는 상부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문 인식 센서의 인식 작업 동안 상기 버튼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번의 손동작만으로 지문 인식 센서의 개방, 지문 인식, 및 지문 인식 센서의 폐쇄와 같은 일련의 지문 인식 단계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지문 인식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본체 내부에 집어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의 측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는 디지털 도어락, 대형 금고, 보안 컴퓨터 등의 보안 설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출입 또는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보안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는 본체(101),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버튼부(110),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20), 및 버튼부(110) 및 지문 인식부(120)를 연동시켜 선택적으로 지문 인식 센서(1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연동 수단을 포 함한다.
버튼부(110)는 본체(101)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본체(101)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람이 손가락으로 밀기 쉽게 전면 하부가 일정각도의 경사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버튼부(110)는 좌우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슬라이더(115)를 구비하고, 본체(101)의 내측에는 슬라이더(115)가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102)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더(115)가 본체(101)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지문 인식부(120)는 버튼부(10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본체(101)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본체(10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지문 인식부(120)의 상면(버튼부(110)의 저면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지문을 스캔하여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 센서(121)가 설치된다.
연동 수단은 버튼부(11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지문 인식부(120)가 회동되어 지문 인식 센서(121)가 선택적으로 본체(101)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버튼부(110)와 지문 인식부(120)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연동 수단은 버튼부(110)의 좌우 단부(슬라이더(115)의 하부)에 각각 하방 즉, 지문 인식부(120)를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기어(131), 지문 인식부(120)의 좌우 단부에 각각 상방 즉, 버튼부(110)를 향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기어(132), 그리고 본체(101) 내부에 설치되어 제 1 기어(131) 및 제 2 기어(132) 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 기어(1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버튼부(110)를 본체 후방으로 누르면, 제 1 기어(131)가 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 기어(13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기어(132)가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지문 인식부(120)가 본체(101)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지문 인식 센서(121)가 외부로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문 인식부(120)는 좌우 측면에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된 장공(123)을 구비한다. 이 장공(123)은 본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22)이 끼워져 지문 인식부(120)가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장공(123)의 길이만큼 지문 인식부(12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더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지문 인식부(120)가 좀 더 본체(10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 기어(131)는 버튼부(110)의 좌우 단부의 저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2 기어(132)는 전방 일부가 제 1 기어(131)와 마찬가지로 지문 인식부(120)의 좌우 단부의 상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방 일부가 하측으로 만곡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기어(132)의 후방 일부가 하측으로 만곡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부(11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지문 인식부(120)가 전방으로 일정길이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지문 인식부(120)를 하방으로 누르면, 제 2 기어(132)의 후방측과 회전 기어(133)가 서로 맞물려 작동하면서 지문 인식부(120)가 하방으로 일정각도 회동된다.
따라서, 지문 인식부(120)의 상면에 설치된 지문 인식 센서(121)가 하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위치되므로, 좀 더 편하게 손가락을 올려놓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튼부(110)의 후방에 탄성부재(140)가 설치된다. 이 탄성부재(140)는 버튼부(110)의 후방에 형성된 원통홈(111)에 일단이 고정되고, 본체(101)의 배면측에 타단이 고정되어, 손가락으로 버튼부(110)를 후방으로 밀면 압축된 상태가 되고, 버튼부(110)에서 손가락을 떼면 팽창된 상태가 된다.
즉, 이 탄성부재(140)는 버튼부(110)를 후방으로 미는 압력이 해제되면 버튼부(110)가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문 인식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버튼부(110)를 눌러 지문 인식부(120)를 외부로 노출시킨 다음 지문 인식 작업을 수행한 후에, 버튼부(110)에서 손가락을 떼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버튼부(1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문 인식부(120)는 다시 회동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문 인식 센서(1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100)는 버튼부(110)가 후방으로 밀려서 지문 인식부(120)가 본체(101)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지문 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버튼부(110)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50)를 더 포함한다.
이 솔레노이드 스위치(150)는 버튼부(11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그 하단이 버튼부(1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삽입되어 버튼부(1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 스위치(150)의 하부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솔레노 이드 스위치(150)가 고정홈(112)에 삽입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5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스위치(15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만 솔레노이드 스위치(150)가 스프링(15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이동되어 고정홈(112)에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에서는, 지문 인식부(120)가 외부로 노출되고 지문 인식 센서(121)의 상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여진 상태에서, 지문 인식 센서(121)가 지문 인식 작업 즉, 스캔 작업을 하는 동안에만 솔레노이드 스위치(150)에 전류가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15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홈(121)에 삽입되어 버튼부(110)를 고정해준다.
그 결과, 사용자는 지문 인식 작업을 하는 동안 지문 인식부(120)를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4d는 보안 설비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작동 순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의 지문 인식 장치를 보면, 버튼부(110) 및 지문 인식부(120) 모두 본체(10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이고, 회전 기어(133)는 버튼부(110) 후방의 제 1 기어(131) 및 지문 인식부(120) 전방의 제 2 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버튼부(110)를 누르면, 버튼부(110)가 본체(101)의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지문 인식부(120)가 본체(101)의 전방측으로 일정길이만큼(장공(123)의 길이만큼) 외부로 노출된다.
즉, 버튼부(110)와 지문 인식부(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회전 기어(133)는 버튼부(110) 중간의 제 1 기어(131) 및 지문 인식부(120) 후방의 제 2 기어(132)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지문 인식부(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지문 인식 센서(121)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지문 인식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본체(101) 내부에 집어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101)의 측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손가락을 이용하여 버튼부(110)를 좀 더 후방으로 누름과 동시에 지문 인식부(120)를 하방으로 누르면, 지문 인식부(120)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일정각도 회동된다.
이와 동시에, 지문 인식부(120) 상면에 설치된 지문 인식 센서(121)가 완전하게 외부로 노출되고, 지문 인식 센서(121)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체(101) 내부의 솔레노이드 스위치(150)에 전류가 인가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150)가 버튼부(110) 상부의 고정홈(112)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버튼부(110)가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지문 인식 작업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지문 인식 장치(100)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솔레노이드 스위치(150)에 인가되었던 전류가 해제되어 솔레노이드 스위치(150)는 다시 고정홈(112)으로부터 이격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110)가 다시 본체(101)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버튼부(11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지문 인식부(120)가 일정각도 상방으로 회동한 후, 본체(101)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문 인식부(120)의 지문 인식 센서(121)가 본체(101) 내부의 폐쇄된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지문 인식 장치를 누르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도 지문 인식 센서(121)가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단계, 지문 인식 단계, 및 지문 인식 센서(121)가 후방으로 폐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는 한 번의 손동작만으로 지문 인식 센서의 개방, 지문 인식, 및 지문 인식 센서의 폐쇄와 같은 일련의 지문 인식 단계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지문 인식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본체 내부에 집어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체의 측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락의 지문 인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4d는 보안 설비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작동 순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문 인식 장치 101: 본체
110: 버튼부 111: 원통홈
112: 고정홈 120: 지문 인식부
121: 지문 인식 센서 122: 회전축
123: 장공 131: 제 1 기어
132: 제 2 기어 133: 회전 기어
140: 탄성 부재 150: 솔레노이드 스위치
151: 스프링

Claims (7)

  1. 지문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출입 또는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지문 인식 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 센서가 설치된 지문 인식부; 및
    상기 버튼부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가 회동되어 상기 지문 인식 센서가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버튼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 1 기어;
    상기 지문 인식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기어 및 제 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 된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부는 좌우 측면에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은 상기 지문 인식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어는 전방 일부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후방 일부가 하측으로 만곡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를 후방으로 미는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버튼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부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버튼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문 인식 센서의 인식 작업 동안 상기 버튼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KR1020080047767A 2008-05-22 2008-05-22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KR10094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767A KR100948349B1 (ko) 2008-05-22 2008-05-22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767A KR100948349B1 (ko) 2008-05-22 2008-05-22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728A KR20090121728A (ko) 2009-11-26
KR100948349B1 true KR100948349B1 (ko) 2010-03-22

Family

ID=4160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767A KR100948349B1 (ko) 2008-05-22 2008-05-22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7917A (zh) * 2016-07-18 2016-1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指令接收模组结构及具有其的移动终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85Y1 (ko) 2001-02-23 2001-07-19 구홍식 지문인식 장치의 커버
KR200324591Y1 (ko) 2003-05-23 2003-08-25 주식회사 카모스 키박스 보호 기능을 가지는 도어락 장치
KR200331183Y1 (ko) 2003-07-21 2003-10-22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오염 방지 수단을 구비한 지문인식 보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85Y1 (ko) 2001-02-23 2001-07-19 구홍식 지문인식 장치의 커버
KR200324591Y1 (ko) 2003-05-23 2003-08-25 주식회사 카모스 키박스 보호 기능을 가지는 도어락 장치
KR200331183Y1 (ko) 2003-07-21 2003-10-22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오염 방지 수단을 구비한 지문인식 보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728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48B1 (ko) 보호식 생체인식 센서 잠금 조립체를 구비한 도어 록
US20120042704A1 (en) Cash box
KR20120041876A (ko) 지문인식 도어락
KR102033418B1 (ko)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JP4925852B2 (ja) 認証システム、端末装置、権限書込装置及び認証ロック装置
JP3221383U (ja) ロックセット
US7377144B1 (en) Protective device for electronic lock
KR100948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KR100884045B1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락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68031B1 (ko)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JP2020084413A (ja) 施解錠装置及び施解錠方法
KR102192425B1 (ko) 도어락 장치
JP3162728U (ja) 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保管庫
JP2009185477A (ja) 施錠装置
JP4446751B2 (ja) 鍵穴保護装置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20140015016A (ko) 도어락의 지문 인식부 개폐 장치
KR20090012019U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200324591Y1 (ko) 키박스 보호 기능을 가지는 도어락 장치
JP5174710B2 (ja) 貸金庫システム
GB2430298A (en) A concealed data entry device
KR200464128Y1 (ko) 번호 입력이 용이한 문 잠금장치
KR200449294Y1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101726078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JP2006035838A (ja) 印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