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019U -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 Google Patents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019U
KR20090012019U KR2020080006680U KR20080006680U KR20090012019U KR 20090012019 U KR20090012019 U KR 20090012019U KR 2020080006680 U KR2020080006680 U KR 2020080006680U KR 20080006680 U KR20080006680 U KR 20080006680U KR 20090012019 U KR20090012019 U KR 20090012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ecognition
cover
cover part
recognition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진
천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80006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019U/ko
Publication of KR20090012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문 인식부에 손가락이 접촉됨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제1 덮개부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의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는 제2 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의 덮개부를 개방하는 동작과 동시에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지문 인증이 완료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의 덮개부를 개방하는 일회 동작만으로도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인증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문 잠금장치, 외측본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 덮개부

Description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Outside main body for the door lock device}
본 고안은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이나 금고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지문 인식부의 덮개부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인증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외부인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문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보안설비의 보조 보완 수단으로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이외에도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 인식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중의 보안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문 인식부는 지문을 판독하기 위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가 통상적으로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지문 인식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문 잠금장치는 문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내측본체(미도시)와 문의 실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본체(10)로 이루어진다. 외측본체(10)는 암호가 입력되는 번호입력부(미도시)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와,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를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부(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외측본체(10)의 덮개부(13)가 개폐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지문인식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종래의 제1 실시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가 외측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덮개부(13)가 외측본체(1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덮개부(13)가 개폐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덮개부(13)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덮개부(13)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손가락을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에 대고 쓸어 내리면, 사용자의 지문이 인증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덮개부(13)를 다시 하방향으로 내리면 덮개부(13)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를 폐쇄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제1 실시형태는 사용자가 지문 인증을 완료하기 위해서 3단계의 동작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의 제2 실시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가 외측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덮개부(13)의 상단이 외측본체(10)와 축(1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덮개부(13)가 개폐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덮개부(13)의 하단에 위치시킨 후, 손가락을 안쪽으로 밀어 넣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에 접촉한 다음 손가락을 쓸어 내린다. 그러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한다.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에 의한 지문 인증이 끝나면, 사용자는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빼내고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를 폐쇄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제2 실시형태는 사용자 손가락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가 설치된 공간 내부로 들어가야 하므로, 손가락이 삽입되는 공간만큼 외측본체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며, 덮개부(13)가 손가락 위에 걸려서 동작하게 되므로, 지문 인증 동작이 불편하다. 또한, 본 종래의 제2 실시형태는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3)가 사용자의 육안으로 쉽게 인식하기 어려운 안쪽에 위치하므로, 정확한 지문 인증이 어렵다.
종래의 제3 실시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3)의 내측에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가 장착되고, 덮개부(13)가 축(14)과 스프링(15)으로 외측본체(10)에 고정된다. 덮개부(13)가 개폐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덮개부(13)의 외측 상단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면, 덮개부(13)가 회동하여 덮개부(13)의 내측에 장착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지문 인증을 위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의 상부에 대고 손가락을 쓸어내린다. 그러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에 의해 지문 인증 완료된 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덮개부(13)를 밀어 닫으면, 덮개부(13)가 폐쇄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제3 실시형태는, 사용자가 지문 인증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3단계의 동작을 해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문이나 금고 등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지문인식부의 덮개부를 개방하는 일회의 동작만으로도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인식을 신속 정확하게 이루도록 하여 편리성이 향상된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문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문 인식부에 손가락이 접촉됨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제1 덮개부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의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는 제2 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덮개부의 우측 상단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좌측 상단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얹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반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의 덮개부를 개방하는 동작과 동시에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지문 인증이 완료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의 덮개부를 개방하는 일회 동작만으로도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인증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측본체 내측으로 사용자 손가락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측본체의 측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설계에 제한이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측본체의 덮개부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 외측본체의 덮개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 외측본체의 덮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100)는 문의 외측면에 장착된다. 외측본체(100)는 번호입력부(110), 지문 인식부(120), 덮개부(130)로 이루어진다.
번호입력부(110)는 외측본체(10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암호를 입력한다.
지문 인식부(120)는 번호입력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인식한다. 지문 인식부(120)는 띠 형태이며 사용자 손가락을 쓸어내리면서 지문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지문 인식부(120)는 센서의 크기가 작고 대량 주문시 단가가 저렴한 열감지식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감지식 센서는 센서 표면이 온도 차이를 감지할 수 있는 반도체 셀로 구성되므로, 융선이 센서와 닿는 부분과 닿지 않는 부분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지문 영상을 얻어내는 것이다.
덮개부(130)는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로 이루어진다.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는 회전가능하게 외측본체(100)에 설치된다. 덮개부(130)는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의 상부를 덮어 직사광선이나 먼지 등과 같은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한다.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에는 축(140,140')이 각각 형성된다. 축(140,140')에는 탄성부재(150,150')가 결합된다. 축(140,140')은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가 개방된 후, 다시 복귀가 용이하도록 제1 덮개부(132)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고, 제2 덮개부(134)의 중심에서 우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된다.
제1 덮개부(132)의 우측 상단부(132a)와 제2 덮개부(134)의 좌측 상단부(134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얹어지기 용이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가 폐쇄되면 상단부(132a,134a)들이 모아진 형상은 "U"자 형상이다.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의 상단부(132a,134a)에 사용자 손가락을 얹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덮개부(132)는 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덮개부(134)는 축(14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 전하여 지문 인식부(120)를 개방한다.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의 상단부들(132a,134a)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탄성부재(150,150')에 의해 제1 덮개부(132)는 축(1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덮개부(134)는 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문 인식부(120)를 폐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얹어지기 용이하도록 반원통 형상으로 외측본체(100) 보다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덮개부(130)를 얇은 판 형상으로 하여 외측본체(100)의 표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도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덮개부(130)를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로 구분하여 한정하였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 덮개부(130)를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로 구분하지 않고 일체형의 덮개부(130)로 성형하여 지문 인식부(120)를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의 덮개부(130)가 개폐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쇄된 상태의 제1 덮개부(132)의 우측 상단부(132a)와 제2 덮개부(134)의 좌측 상단부(134a)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올린 후, 손가락을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수직이동하면, 제1 덮개부(132)는 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제2 덮개부(134)는 축(14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를 개방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를 쓸어내리므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를 통해 지문 인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지문 인증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에서 떼면 탄성부재(150,150')에 의해 제1 덮개부(132)와 제2 덮개부(134)가 자동 복귀되어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를 폐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의 덮개부(130)를 개방하는 동작과 동시에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에 손가락이 접촉되어 지문 인증이 완료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띠 형태의 지문 인식부(120)의 덮개부(130)를 개방하는 일회 동작만으로도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인증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외측본체(100) 내측으로 사용자 손가락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측본체(100)의 측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설계에 제한이 없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지문인식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측본체의 덮개부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 외측본체의 덮개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 잠금장치 외측본체의 덮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이다.
- 주요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외측본체 110: 번호입력부
120: 지문인식부 130: 덮개부
132: 제1 덮개부 132a: 우측 상단부
134: 제2 덮개부 134a: 좌측 상단부
140, 140': 축 150, 150': 탄성부재

Claims (3)

  1. 문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문 인식부에 손가락이 접촉됨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제1 덮개부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의 나머지 부분을 개방하는 제2 덮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덮개부와 상기 제2 덮개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의 우측 상단부와 상기 제2 덮개부의 좌측 상단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얹어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반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2020080006680U 2008-05-22 2008-05-22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200900120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80U KR20090012019U (ko) 2008-05-22 2008-05-22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80U KR20090012019U (ko) 2008-05-22 2008-05-22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19U true KR20090012019U (ko) 2009-11-26

Family

ID=4929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680U KR20090012019U (ko) 2008-05-22 2008-05-22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01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9805A (zh) * 2016-11-22 2017-05-10 重庆欧帆门业有限公司 智能锁安全防盗门
CN109003379A (zh) * 2018-09-25 2018-12-14 李双凤 一种智能家居用安防智能门锁
CN109914926A (zh) * 2019-03-26 2019-06-21 深兰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门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9805A (zh) * 2016-11-22 2017-05-10 重庆欧帆门业有限公司 智能锁安全防盗门
CN109003379A (zh) * 2018-09-25 2018-12-14 李双凤 一种智能家居用安防智能门锁
CN109003379B (zh) * 2018-09-25 2020-12-08 嘉兴管通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用安防智能门锁
CN109914926A (zh) * 2019-03-26 2019-06-21 深兰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28439A1 (en) Sensor-embedded door handle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KR20120041876A (ko) 지문인식 도어락
CN102330519A (zh) 开启安全性改善的电子锁的方法
CN109791714A (zh) 使用指纹传感器控制对物理空间的访问
KR20080060277A (ko) 보호식 생체인식 센서 잠금 조립체를 구비한 도어 록
US20200002977A1 (en) Door access device
KR20090012019U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CN207799774U (zh) 一种家居可视门禁面板
KR101471437B1 (ko) 지문인식 디지털 도어락
KR200449294Y1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CN207367291U (zh) 一种智能执手静脉识别电子锁
KR20170131912A (ko) 생체인식도어락
KR101568031B1 (ko)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KR20140015016A (ko) 도어락의 지문 인식부 개폐 장치
KR102192425B1 (ko) 도어락 장치
KR100948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KR20060019136A (ko) 키패드부 청소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 록과 키패드부청소방법
KR20090012523U (ko) 지문인식부의 커버 조립체
CN208236129U (zh) 一种智能指纹锁
CN207742710U (zh) 多功能智能门禁机
KR200473808Y1 (ko) 지문입력센서 모듈
KR200464128Y1 (ko) 번호 입력이 용이한 문 잠금장치
KR20180122875A (ko) 키패드 차폐장치가 마련된 디지털 도어록
CN211598057U (zh) 一种智能锁室内面板结构
CN218234713U (zh) 一种多功能智能电子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