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031B1 -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031B1
KR101568031B1 KR1020140011805A KR20140011805A KR101568031B1 KR 101568031 B1 KR101568031 B1 KR 101568031B1 KR 1020140011805 A KR1020140011805 A KR 1020140011805A KR 20140011805 A KR20140011805 A KR 20140011805A KR 101568031 B1 KR101568031 B1 KR 10156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release lever
sensor
fingerprint
fingerprin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789A (ko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주)혜강씨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강씨큐리티 filed Critical (주)혜강씨큐리티
Priority to KR102014001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0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율을 높임과 아울러 지문인식센서가 커버 부재의 회동시 노출되고 커버부재의 복귀시 은폐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일련의 작동이 지문인식센서의 센서커버를 위한 별도의 구동 구조 없이 매우 간결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되도록 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모듈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가락의 진입에 의하여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틸팅과 동시에 센서커버에 의하여 은폐되어 있던 지문인식센서가 노출됨과 아울러, 지문인식센서에 의하여 지문이 인식되고 난 후 대기상태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결하고 신뢰도 높은 지문 인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Multipurpose Fingerprint Recognize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출입통제보안시스템 및 디지털 도어록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지문인식센서 모듈은 경사 돌출되어 손가락 지문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센서가 지문 문양을 감지하도록 하되, 손가락 지문을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상단에 지문인식센서 모듈을 경사 돌출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지문인식센서 모듈이 이물질로 인하여 오염되거나 외력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동 또는 수동 개폐 커버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따라서, 지문인식센서 모듈은 대부분 경사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야 하는 설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디자인의 자유로운 설계가 어렵게 되고, 특히 돌출 부위로 인하여 스림화한 디자인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192597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사용되는 지문 인식기용 커버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태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네 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지문 인식기를 수용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측벽 중 어느 한 쌍의 마주보는 측벽에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쪽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11)로부터 멀어지도록 마련되는 홈부인 제1가이드 홈(121);
상기 제1가이드 홈(121)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돌기(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가 상기 제1가이드 홈(1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11)를 개방시켜 상기 지문 인식기가 노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개구부(11)를 폐쇄하여 상기 지문 인식기를 보호하는 커버부재(20);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개구부(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인 제1스프링(31); 및,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개구부(11)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 돌기(21)가 상기 제1스프링(31)을 가압함에 따라 제1스프링(31)에 의해 눌려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활성화하는 웨이크업 스위치(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의 지문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손가락 끝으로 커버부재(20)를 누르게 되면 커버부재(20)의 제1가이드돌기(21)가 웨이업스위치(40)를 누르면서 밀려 올라가며, 이때 커버부재(20)의 제1가이드돌기(21)와 제2가이드돌기(22)가 각각 제1가이드홈(121) 및 제2가이드홈(12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사선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개구부(11)를 통하여 지문인식센서모듈이 노출되며, 밀어 넣은 손가락 저면의 지문이 인식되어 도어록의 개방 동작이 실시되는 것이며, 손가락을 빼내면 제1스프링(31), 제2스프잉(32), 제3스프링(33)에 의하여 커버부재(20)가 원위치 됨과 동시에 웨이크업스위치(40)가 오프 되어 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인용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의 저면을 접촉시키기 용이한 도어록의 상단에 지문인식센서모듈을 설치함에 의한 정형화된 디자인에서 벗어나 도어록의 전면이면 어느 위치라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어서 자유로운 디지털 도어록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지문인식센서모듈을 경사 돌출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화하여 미려한 디자인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은 손가락의 끝 부분이 커버부재(20)에 닿게 되며 이에 따라 손톱이 긴 여성의 경우에는 손톱이 커버부재에 닿아 손가락의 진입이 불충분하게 되어 지문인식센서 모듈에서의 지문 인식 기능이 불완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192597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톱의 길이가 다소 긴 경우에도 커버 부재에 의하여 손가락의 지문 인식 과정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여 지문 인식률을 높임과 아울러 지문인식센서가 커버 부재의 회동 시 노출되고 커버부재의 복귀 시 은폐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일련의 작동이 지문인식센서의 센서커버를 위한 별도의 구동 구조 없이 매우 간결한 구조에 의하여 구현되도록 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모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진입에 의하여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틸팅 시 센서커버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와, 상기 커버부재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이 하향돌기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와,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에 대하여 지문인식완료 후 릴리즈레버의 습동으로 하향돌기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의 복귀스프링을 구비하여서 지문인식센서가 센서커버에 의하여 재차 은폐 상태로 되도록 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론트바디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커버부재와 지문인식센서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고정축에 의하여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의 틸팅 시 센서커버가 젖혀져 커버부재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상기 지문인식센서가 노출되되, 내장된 스텝모터의 동력으로 캠이 회전하는 구동조립체와,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캠홀이 구비된 측판과, 상기 구동조립체의 캠과 상기 측판의 캠홀이 결합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보안시스템이나 디지털 도어록의 어느 위치라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은 손톱의 길이에 무관하게 신뢰도 높은 지문 인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간결하여 고장 발생 요인이 크게 감소되어 신뢰도 높은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지문 인식기용 커버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장착한 디지털 도어록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장착한 디지털 도어록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장착한 디지털 도어록의 대기 상태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을 장착한 디지털 도어록의 대기 상태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 인식 작동 상태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 인식 작동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대기상태에서 자석과 홀소자의 간격을 보인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지문 인식 상태에서 자석과 홀소자의 간격을 보인 설명도.
도11 내지 도13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작동 대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4 내지 도16은 스텝모터를 사용하여 작동 대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동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7은 캠이 구비된 구동 조립체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캠이 구비된 구동 조립체에 의하여 커버부재가 틸팅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캠이 구비된 구동 조립체에 의하여 커버부재가 대기 상태로 복귀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은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출입문에 고정,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전면 중앙 하부에 적용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3 이하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가락의 진입에 의하여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200)와, 커버부재(200)의 틸팅 회전 시 센서커버(400)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200)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커버부재(200) 내부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300)와,
상기 커버부재(200)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201)이 하향돌기(502)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500)와,
지문인식완료 후 릴리즈레버(500)의 습동으로 하향돌기(502)가 상기 걸림턱(201)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400)의 복귀스프링(401)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된 지문인식센서 모듈이 모두 프론트바디(100)의 상단에 설치되었던 것에 비하여 하방에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문인식센서 모듈이 장착된 디지털 도어록이 상단 경사 돌출되는 획일적 디자인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센서모듈은 작동 대기 상태에서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전면 하방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프론트바디(100)의 하방에 지문인식센서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도 4의 분리사시도로 보인 바와 같이, 키실린더(103)가 구비된 프론트바디프레임(102)에 프론트바디(100)를 고정하되, 프론트바디(100)의 하방에 형성된 통공(101)으로 커버부재(200)와 커버부재(200)의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으로 지문인식센서 PCB(301)의 지문인식센서(300)가 노출되도록 끼우고,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간에 설치된 고정축(202)에 의하여 회동함과 동시에 그 상단의 걸림턱(201)이 맞물리는 하향돌기(502)를 가지며, 복귀버튼(501)을 구비한 릴리즈레버(50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회동을 위하여 고정축(202) 및 고정축(202) 양측에 설치된 에어댐퍼(20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5로 보인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401)의 탄력에 의하여 센서커버(400)가 커버부재(200)의 경사출몰공을 경유하여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을 덮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문인식센서(300)가 은폐되어 외부의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격리되어 보호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이러한 상태는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 상단의 걸림턱(201)이 릴리즈레버(500)의 복귀버튼(501)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어 커버부재(200)의 상단이 도6의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센서커버(400)가 복귀스프링(401)에 의하여 도6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력을 받아 센서커버(400)가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을 가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센서 상방의 커버부재(200)를 미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넣으면 커버부재(20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커버부재(20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201)이 릴리즈레버(500)의 하향돌기(502)에 맞물리는 순간까지 진행되어 도7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에 따라 하향스프링(503)의 탄력으로 하향돌기(502)가 걸림턱(201)에 맞물려 커버부재(200)는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못하는 지정 각도(
Figure 112014010059341-pat00001
)에서 고정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센서커버(400)의 상측이 커버부재(200)의 경사출입공(205)에 걸려 있으며, 커버부재(200)가 고정축(202)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도7로 보인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401)을 탄력을 이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밀려 회전되는 것이므로 센서커버(400)의 상단 높이가 낮아지고 커버부재(200)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 위치가 높아지므로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으로 지문인식센서(300)가 노출되는 것이어서,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으로 지문인식센서(300)가 노출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부재(200)를 손가락으로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자연스럽게 경사 형성된 커버부재(200)의 지문인식센서(300)에 지문을 접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톱이 다소 긴 경우에도 커버부재(200) 상단에서 지문인식센서(300)까지의 거리(
Figure 112014010059341-pat00002
)는 손톱 끝에서 지문 끝까지의 거리가 보다 충분히 길므로 지문인식센서(300)는 사용자의 지문을 정확하게 읽어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문인식센서(300)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며, 지문이 접촉되면 1회의 스캔으로 지문 전체를 읽어 내는 평판형 지문인식센서(300)와 사용자가 지문대고 아래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사각 스트라이프로 분할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재구성되어 지문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인증하는 스윕형 지문인식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정으로 지문을 읽어 낸 후 릴리즈레버(500) 전단의 복귀버튼(501)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릴리즈레버(500)는 고정축(20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향돌기(502)가 상방으로 들려지므로 커버부재(200) 상단의 걸림턱(201)은 구속되지 않는 상태로 되고, 복귀스프링(401)에 의하여 센서커버(400)가 도7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탄력을 받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부재(200)를 회동시키게 되는 바, 커버부재(200)의 상방은 고정축(202)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도6으로 보인 작동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센서커버(400)가 대기상태와 같이 경사출입공(205)을 통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상단의 위치가 높아지게 되고, 커버부재(200)의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도5,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센서커버(400)에 의하여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이 가려지는 작동 대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양측부에 고정축(202)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202) 양측에 에어댐퍼(203)를 설치하여 그 내부의 회전날개에 의한 회전 저항에 의하여 커버부재(200)의 고정축(202) 회전속도가 적정 범위로 되도록 함으로써 정숙한 상태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커버부재(200)를 손가락으로 미는 순간 웨이크업 기능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버부재(200)의 후면에 부착되는 자석(600) 및 프론트바디프레임(102)에 설치되는 홀소자(601)를 구비하였으며, 이에 따라 작동 대기상태인 도9로 보인 상태에서는 자석(600)과 홀소자(601)의 거리가 근접되어 홀소자(601)에서 소정의 출력이 발생하였으나, 도10으로 보인 커버부재(200)가 경사지도록 손가락을 밀어 넣은 상태에서는 자석(600)과 홀소자(601)간의 거리가 이격되어 홀소자(601)의 출력이 소실되고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구동회로(700)의 출력이 반전되면서 디지털 도어록 전체의 작동 전원 공급이 개시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손가락을 커버부재(200)로 진입시켜 도7,8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한 다음 지문인식을 완료하였을 시 커버부재(200) 및 센서커버(400)를 도5,6으로 보인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버튼(501)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문인식센서(300)에 의하여 지문인식이 완료되었음이 인지된 순간 디지털 도어록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동회로(700)에 제어 출력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구동회로(700)에 의하여 솔레노이드(701)의 승강로드(702)가 상기 릴리즈레버(500)의 일단을 눌러 줌으로써 손가락으로 복귀버튼(501)을 누른 것과 동일한 동작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11 내지 도1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200)와, 커버부재(200)의 틸팅 회전시 센서커버(400)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200)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커버부재(200) 내측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300)와,
상기 커버부재(200)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201)이 하향돌기(502)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500)와,
릴리즈레버(500)의 습동으로 하향돌기(502)가 상기 걸림턱(201)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400)의 복귀스프링(401)을 구비하되,
상기 릴리즈레버(500)의 상방 일측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50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구동회로(700)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701)의 승강로드(702)가 구비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걸림턱(201)이 릴리즈레버(500)의 하향돌기(502)와 맞물린 상태로 틸팅 된 상태에서 지문인식센서(300)에 의한 지문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구동회로(700)에 소정을 출력을 인가하여 구동회로(700)가 솔레노이드(701)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701)가 승강로드(702)를 하방으로 밀어 내게 된다.
이에 따라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되어 릴리즈레버(500)의 하향돌기(502)가 상방으로 들려지므로 커버부재(200)의 걸림턱(201)과의 물림상태가 해제되고 전술한 복귀버튼(501)을 누른 것과 동일한 상태로 되어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와 센서커버(400)가 대기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일련의 동작을 완료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키실린더(103)가 작동하여 문을 개방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릴리즈레버(500)의 복귀버튼(501)을 누르지 않고 대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솔레노이드(701)를 구동하는 실시예외에도 모터(803)를 사용하여 대기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문인식센서(300)에 의하여 지문인식이 완료되었음이 인지된 순간 디지털 도어록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동회로(700)에 제어 출력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구동회로(700)에 의하여 모터(803) 및 모터(803)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802)과 이에 맞물린 래크(801)가 승강하면서 상기 릴리즈레버(500)의 일단을 눌러 줌으로써 손가락으로 복귀버튼(501)을 누른 것과 동일한 동작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14 내지 도1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200)와, 커버부재(200)의 틸팅 회전 시 센서커버(400)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200)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커버부재(200) 내측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300)와,
상기 커버부재(200)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201)이 하향돌기(502)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500)와,
릴리즈레버(500)의 습동으로 하향돌기(502)가 상기 걸림턱(201)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400)의 복귀스프링(401)을 구비하되,
상기 릴리즈레버(500)의 상방 일측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500)를 승강시키기 위한 래크(801)와 래크(801)를 승강시키는 피니언(802)과, 피니언(802)을 회동시키는 스텝모터(803)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803)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펄스출력회로(800)를 구비하여서 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의 걸림턱(201)이 릴리즈레버(500)의 하향돌기(502)와 맞물린 상태로 틸팅된 상태에서 지문인식센서(300)에 의한 지문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펄스출력회로(800)에 소정을 출력을 인가하여 정회전을 위한 순서로 작동 펄스를 공급하여 스텝모터(803)가 래크(801)를 하방으로 밀어 내게 된다.
이에 따라 도15로 보인 바와 같이 되어 릴리즈레버(500)의 하향돌기(502)가 상방으로 들려지므로 커버부재(200)의 걸림턱(201)과의 물림상태가 해제되고 전술한 복귀버튼(501)을 누른 것과 동일한 상태로 되어 도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와 센서커버(400)가 대기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일련의 동작을 완료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펄스출력회로(800)에 소정을 출력을 인가하여 역회전을 위한 순서로 작동 펄스를 공급하여 스텝모터(803)가 래크(801)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대기상태로 되게 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키실린더(103)가 작동하여 문을 개방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지문인증을 마친 후 복귀버튼(501)을 누르지 않고도 릴리즈레버(500)가 원위치 되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보인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한 예를 보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은 그 형태를 얇게 할 수 있고 경사지거나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가볍게 제작되는 것이어서 출입통제설비의 개폐기구의 어느 곳이라도 설치하여 편리하게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웨이크업 스위치나 터치 패드를 터치하는 경우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틸팅 상태로 되고, 틸팅 된 커버부재에서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센서커버로 가려져 있던 지문인식센서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지문 인식 동작이 실시되도록 한 다음 지문 인식 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커버부재 및 센서커버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19에서 도시하였다.
즉, 도 1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실린더(103)가 구비된 프론트바디프레임(102)에 프론트바디(100)를 고정하되, 프론트바디(100)의 하방에 형성된 통공(101)으로 커버부재(200)와 커버부재(200)의 지문인식센서 노출창(204)으로 지문인식센서 PCB(301)의 지문인식센서(300)가 노출되도록 끼우고, 상기 커버부재(200)가 그 중간에 설치된 고정축(202)에 의하여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200)의 틸팅 회전시 센서커버(400)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200)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상기 커버부재(200) 내부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300)를 구비하되,
내장된 스텝모터의 동력으로 캠(901)이 회전하는 구동조립체(90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캠홀(903)이 구비된 측판(902)과,
상기 구동 조립체(900)의 캠(901)과 상기 측판의 캠홀(903)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 조립체(900)의 스텝모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는 펄스출력회로가 공급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관용 기술이므로 구체적 기재를 생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면에는 불표시한 터치패드나 또는 별도로 준비된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지하여 펄스출력회로를 경유하여 스텝모터의 코일에 설정된 순서로 펄스 출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스텝모터가 설정된 방향, 각도만큼 구동조립체(900)의 캠(901)을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200) 측면의 측판(902)에 형성된 캠홀(903)에서 캠(901)이 회동하게 되므로 도18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가 설정된 각도로 틸팅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센서커버(400)가 커버부재(200) 하방의 경사출입공(20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미는 힘을 받아 그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고 커버부재(200)의 지문인식센서 노출공(204)은 회동하면서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지문인식센서(300)가 노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지문을 접촉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지문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으로 입력된 지문 입력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키실린더를 회전시켜 문이 열리게 하거나 외부로 인증 데이터를 송출하여 출입통제보안시스템에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지문 인증이 완료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재차 펄스출력회로를 경유하여 구동 조립체(900)에 내장된 스텝모터의 코일에 종전과는 상반된 순서로 펄스 출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종전과는 반대의 방향, 각도만큼 캠(901)을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커버부재(200) 측면의 측판(902)에 형성된 캠홀(903)에서 캠(901)이 회동하게 되면서 도19로 보인 바와 같이, 커버부재(200)가 원래의 대기상태인 수직으로 기립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도17 내지 도19로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하는 경우 터치패드에 의한 번호 입력 데이터와 지문 인증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만 키실린더(103)가 작동되어 개문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여러 공지 요소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프론트바디 101: 통공 102: 프론트바디프레임
103: 키실린더 200: 커버부재 201: 걸림턱
202: 고정축 203: 에어댐퍼 204: 지문인식센서 노출창
205: 경사출입공 300: 지문인식센서 301: 지문인식센서 PCB
400: 센서커버 401: 복귀스프링 500: 릴리즈레버
501: 복귀버튼 502: 하향돌기 503: 하향스프링
600: 자석 601: 홀소자 700: 구동회로
701: 솔레노이드 702: 승강로드 800: 펄스출력회로
801: 래크 802: 피니언 803: 모터
900: 구동 조립체 901: 캠 902: 측판
903: 캠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손가락의 진입에 의하여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틸팅 시 센서커버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와,
    상기 커버부재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이 하향돌기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와,
    상기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에 대하여 지문인식완료 후 릴리즈레버의 습동으로 하향돌기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의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릴리즈레버의 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릴리즈레버의 하향돌기 상면에 하향 탄력을 제공하는 하향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부에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 양측에 에어댐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 자석 및 홀소자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6. 손가락의 진입에 의하여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틸팅 시 센서커버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커버부재 내측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와,
    상기 커버부재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이 하향돌기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와,
    상기 릴리즈레버의 습동으로 하향돌기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의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릴리즈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를 승강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구동회로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의 승강로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7. 손가락의 진입에 의하여 손가락 저면으로 틸팅 되도록 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틸팅 시 센서커버가 젖혀짐과 동시에 커버부재가 이루는 경사각도에 의하여 노출되는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된 지문인식센서와,
    상기 커버부재가 틸팅 시 그 상단의 걸림턱이 하향돌기에 물리도록 하여서 된 릴리즈레버와,
    상기 릴리즈레버의 습동으로 하향돌기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센서커버의 복귀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 릴리즈레버의 상방 일측에 연결되어 릴리즈레버를 승강시키기 위한 래크와, 상기 래크를 승강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동시키는 스텝모터와, 상기 스텝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펄스출력회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1805A 2014-01-29 2014-01-29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KR10156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05A KR101568031B1 (ko) 2014-01-29 2014-01-29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05A KR101568031B1 (ko) 2014-01-29 2014-01-29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789A KR20150090789A (ko) 2015-08-06
KR101568031B1 true KR101568031B1 (ko) 2015-11-10

Family

ID=5388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805A KR101568031B1 (ko) 2014-01-29 2014-01-29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18B1 (ko) * 2018-01-05 2019-10-17 (주)솔리티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CN112668554A (zh) * 2021-01-18 2021-04-16 钧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静脉采集装置及静脉采集识别方法
CN113542467B (zh) * 2021-07-13 2023-06-30 深圳市光千合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的防水指纹识别装置
KR102488341B1 (ko) * 2021-12-21 2023-01-13 박인숙 의류 제작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778Y1 (ko) * 2005-12-29 2006-03-08 주식회사 아이레보 실린더형 지문인식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778Y1 (ko) * 2005-12-29 2006-03-08 주식회사 아이레보 실린더형 지문인식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789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031B1 (ko)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US20140028439A1 (en) Sensor-embedded door handle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US9489783B2 (en) Door system with noncontact access control and noncontact door operation
KR20190083713A (ko)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CA2632757A1 (en) Lock set to deadbolt interlock
KR101623732B1 (ko) 지문 인식장치
KR101566673B1 (ko) 도어용 핸들
KR101471437B1 (ko) 지문인식 디지털 도어락
WO2017067475A1 (zh) 一种无线控制锁具的装置及防止外侧开锁的方法
WO2007144766A2 (en) Electronic locking/unlocking apparatus
KR200428162Y1 (ko)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KR102361150B1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KR10101802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좌우수 공용장치
KR102133350B1 (ko)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KR100811672B1 (ko) 디지털 도어록용 커버 개폐장치
KR100948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KR101744094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KR200449294Y1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100920501B1 (ko) 지문인식부의 덮개 자동 차폐장치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시스템
CN113795644A (zh) 认证装置以及程序
CN220410428U (zh) 车辆的手套箱及车辆
KR20090012019U (ko) 문 잠금장치의 외측본체
KR102448136B1 (ko) 능동형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고
CN221096136U (zh) 基于蓝牙控制的多功能智能手执门锁
KR102080941B1 (ko)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