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094B1 -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4094B1 KR101744094B1 KR1020160003996A KR20160003996A KR101744094B1 KR 101744094 B1 KR101744094 B1 KR 101744094B1 KR 1020160003996 A KR1020160003996 A KR 1020160003996A KR 20160003996 A KR20160003996 A KR 20160003996A KR 101744094 B1 KR101744094 B1 KR 1017440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print recognition
- door lock
- finger
- recognition modul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02—Faceplates or front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G06K9/00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하되, 사용자 및 사용 편의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핑거 커버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에 관한 것으로,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결합시 지문인식 모듈의 지문인식 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에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지문인식 면 상부를 덮기 위한 핑거 커버와, 상기 핑거 커버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상기 핑거 커버를 지문인식 면 상부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하되, 사용자 및 사용 편의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핑거 커버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인터폰이나 비디오폰과 같은 도어폰을 실내에 설치하고 있고, 출입문 사용의 편리를 위해서 도어락을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도어락에는 특정한 형태의 열쇠를 필요로 하는 일반 잠금 장치와, 카드 또는 비밀번호 입력, 지문, 홍채를 인식해야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등이 있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이 일반화되어 있기는 하나, 사용중인 비밀번호의 노출 우려와 보안성 강조를 위해 근래에는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생체정보의 하나로써 지문정보를 이용하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 외부에 출입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는 지문인식 모듈, 지문인식 모듈에서 인식한 신호를 코드화하여 저장하는 지문저장부, 인식된 지문패턴을 처리하여 저장된 지문패턴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도어개폐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지문인식용 디지털 도어락은 지문인식 모듈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오염이 쉽고, 파손의 우려가 높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부 노출로부터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도입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채용된 디지털 도어락(10)의 사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지문인식 모듈(11)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12)가 지문인식 모듈(11) 상부에 위치하며, 커버(11)는 도어락 이용자의 손가락 힘에 의해 디지털 도어락(10)의 길이방향인 상부로 이동 가능하며,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인 지문인식 모듈(11) 상부로 이동한다.
즉, 디지털 도어락(10) 이용자는 지문인식을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커버(12) 밑에 접촉시킨 후 상방으로 밀어 지문인식 모듈(11)이 노출되도록 하고, 지문인식 면에 자신의 손가락 지문을 접촉시킨 후 지문인식 면에서 손가락 바닥면을 이탈시킨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도어락(10)의 길이방향 상부로 이동한 커버(12)는 스프링(13)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지문인식 모듈(11)은 외부 노출로부터 보호된다.
이와 같이 지문인식 모듈 보호용 커버(12)가 디지털 도어락(10)의 길이방향인 세로축(이하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언급하기로 함)으로 이동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커버(12)를 수직방향 상방으로 밀어 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 편의상 지문인식 모듈(11)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부에 위치하는 지문인식 모듈(11)은 아웃바디 데코(20)의 돌출 경사면(2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문인식 면에 손가락 지문을 접촉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도어락(10)의 상부에 지문인식 모듈(11)을 위치시키고, 또한 커버(12)를 디지털 도어락(10)의 길이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에서는 불필요하게 디지털 도어락(10)의 상부 길이를 연장시켜야 하는 모순점이 존재하며, 반원형 궤적을 따라 커버(12)가 오픈되는 제품에서는 오픈되는 커버(12)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그 아웃바디 베이스에 결합되는 아웃바디 데코(20)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 또한 불필요하게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사이즈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핑거 커버를 구비하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킴은 물론, 불필요한 제품 사이즈의 확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락 아웃바디의 폭 방향(이하 수평방향이라 함)으로 이동 가능한 핑거 커버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핑거 커버로의 핑거(finger) 진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는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결합시 지문인식 모듈의 지문인식 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를 포함하며,
결합되는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지문인식 면 상부를 덮기 위한 핑거 커버와;
상기 핑거 커버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상기 핑거 커버를 지문인식 면 상부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는,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결합시 지문인식 모듈의 지문인식 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를 포함하며,
결합되는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지문인식 면 상부를 덮기 위한 핑거 커버와;
상기 핑거 커버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상기 핑거 커버를 지문인식 면 상부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서 상기 핑거 커버에 부착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접근을 감지하여 지문인식 면 노출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와;
상기 홀센서의 신호레벨에 따라 지문인식 모듈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는 지문인식 모듈과, 상기 지문인식 모듈이 안착되는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결합시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지문인식 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의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단부에 핑거 걸림턱이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측벽 방향으로 스프링 결합부가 돌출되어 상기 지문인식 면 상부에 위치하는 핑거 커버와;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핑거 걸림턱에 접촉한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상기 핑거 커버를 상기 지문인식 면 상부로 복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핑거 커버에 부착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접근을 감지하여 지문인식 면 노출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와;
상기 홀센서의 신호레벨에 따라 지문인식 모듈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상부 면에는 상기 핑거 커버가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한 핑거 커버의 스프링 결합부와 마주 보는 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 옆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핑거 커버의 핑거 걸림턱이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의 개구부 일측면은 상기 핑거 걸림턱으로의 핑거 수평 진입이 용이하도록 굴곡져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상부 경사면에 지문인식 모듈을 위치시키고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핑거 커버를 구비하되, 핑거 커버의 이동방향이 디지털 도어락의 폭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설계함으로써, 불필요한 제품 사이즈의 확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핑거 커버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핑거 커버들에 비해 커버 오픈 조작이 쉽고,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해 핑거가 진입해야 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면에 굴곡면을 형성해 줌으로써, 핑거 커버 혹은 지문인식 모듈로의 핑거 진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 소자를 이용해 핑거 커버의 오픈 상태를 인지하므로, 기계적 스위치를 이용해 핑거 커버의 오픈 상태를 인지하는 도어락에 비해 내구성이 높으며, 기계적 설계가 단순해 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채용된 디지털 도어락(10)의 일 예시도.
도 2는 지문인식 모듈의 장착 위치를 보이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상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 커버의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모듈의 상부 면 예시도.
도 2는 지문인식 모듈의 장착 위치를 보이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상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 커버의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모듈의 상부 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하기에서는 지문인식 센서(44)와 지문인식 센서(44)가 장착되는 모듈(45)을 하나의 구성으로 하여 지문인식 모듈(46)로 통칭하기로 하며, 디지털 도어락의 길이방향인 세로축을 수직축, 디지털 도어락의 폭 방향인 가로축을 수평방향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 커버(48)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모듈(46)의 상부 면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아웃바디와 인바디로 구분 가능하다. 이에 하기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는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42)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와 결합시 지문인식 모듈(46)의 지문인식 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36)가 형성되어 있는 아웃바디 데코(3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락 사용자의 지문 인식 행위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아웃바디 데코(30)의 상부 경사면(32)에 지문인식 모듈(46)이 위치한다.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30)의 상부 면이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것은 지문인식 면에 손가락(이하 핑거라 함) 지문을 용이하게 접촉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30)의 개구부(36) 일측면은 핑거 걸림턱(50)으로의 핑거 수평 진입이 용이하도록 굴곡져 있다. 즉,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30)의 상부 경사면(32)의 일 부분에는 굴곡면(34)이 형성되어 지문인식 모듈(46)로의 핑거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와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30) 사이에는 개구부(36)를 통해 노출되는 지문인식 면 상부를 덮기 위한 핑거 커버(36)가 위치하며, 상기 핑거 커버(36)의 일측 단부에 돌출된 스프링 결합부(52)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핑거 커버(36)를 지문인식 면 상부로 복원시키는 스프링(56)이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에 더 포함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핑거 커버(36)와 스프링(56) 및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에는 지문인식 모듈(46)이 안착되는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42)이 상부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42) 옆 바닥면에는 스프링(56)이 안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56) 및 스프링 안착홈(58)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문인식 모듈(46)의 상부 면에는 핑거 커버(48)가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47)에 안착한 핑거 커버(48)의 스프링 결합부(52)와 마주 보는 면(바닥 면)에는 상기 스프링(56)이 안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49)이 더 형성되어 있다. 즉,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42)에 지문인식 모듈(46)이 안착되면, 지문인식 모듈(46)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49)과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일측면 바닥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58)은 서로 정렬됨으로써, 후술할 2개의 스프링(56)이 정상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지문인식 모듈(46)의 상부 면 일측에는 도어락의 아웃바디 데코(30)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면(34)과 정합될 수 있도록 굴곡진 면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는 핑거 커버(48)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핑거 커버(48)에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30)의 개구부(36)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단부에 핑거 걸림턱(50)이 돌출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측벽 방향으로 스프링 결합부(52)가 돌출되어 지문인식 모듈(46)의 지문인식 면(S) 상부에 위치한다.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베이스(40)와 도어락의 아웃바디 데코(30) 결합시 상기 개구부(36)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핑거 커버(48)의 핑거 걸림턱(50)에는 도어락 사용자의 핑거가 접촉하여 핑거 힘에 의해 수평방향, 즉 도어락의 일 측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문인식 면(S)이 외부에 노출된다.
핑거 커버(48)에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 결합부(52)에는 스프링(56) 일측이 결합되며 스프링(56) 타측은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측벽과 맞닿아 스프링 안착홈(58)에 안착됨으로써, 핑거 걸림턱(50)에 접촉한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핑거 커버(48)를 지문인식 면(S) 상부로 복원시킨다. 이러한 스프링(56) 역시 디지털 도어락 아웃바디의 일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스프링(56)은 핑거 커버(48)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축되고 핑거 접촉 이탈시 원위치로 핑거 커버(48)를 복원시킬 수 있는 복원력을 가진 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를 구성할 수 있지만, 핑거 커버(48)의 개폐에 따라 지문인식 모듈(46)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것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는 상술한 구성 외에 상기 핑거 커버(48)에 부착되는 자석(60)과, 상기 자석(60)의 접근을 감지하여 지문인식 면(S) 노출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70)와, 상기 홀 센서(70)의 신호레벨에 따라 지문인식 모듈(46)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핑거 커버(48)에서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스프링 결합부(52) 사이에 돌출되어 있는 자석 부착부(54)에 저면(61)에 부착되거나 저면(61)에 형성되어 있는 홀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60)이 부착되는 자석 부착부(54)의 저면(61)이 수직축에 대하여 α만큼 경사져 있는 이유는 핑거 커버(48)의 장착 위치가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30)의 상부 경사면에 위치하므로, 상부 경사면 각도와 후술하는 홀 센서(70) 장착 위치를 고려하여 홀 센서(70)가 정상적으로 핑거 커버(48)의 오픈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에 놓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홀 센서(70)는 전기회로 기판상에 부착되되, 기판상의 부착위치는 핑거 커버(48)에 돌출되어 있는 자석 부착부(5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 자석(60)이 근접 마주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된다. 상기 전기회로 기판은 디지털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4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안착홈(58)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트 체결홈(90)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자석(60)과 홀 센서(70)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에 있어서는 제어부(80)가 홀 센서(70)의 출력신호레벨을 통해 핑거 커버(48)의 수평방향 이동, 즉 핑거 커버(48) 오픈 상태를 인지하여 지문인식 모듈(46)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상부 경사면에 지문인식 모듈을 위치시키고 지문인식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핑거 커버를 구비하되, 핑거 커버의 이동방향이 디지털 도어락의 폭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설계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불필요하게 제품 사이즈가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핑거 커버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핑거 커버들에 비해 커버 오픈 조작이 쉽고,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해 핑거가 진입해야 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면에 굴곡면을 형성해 줌으로써, 핑거 커버 혹은 지문인식 모듈로의 핑거 진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 소자를 이용해 핑거 커버의 오픈 상태를 인지하므로, 기계적 스위치를 이용해 핑거 커버의 오픈 상태를 인지하는 종전 도어락에 비해 내구성이 높으며, 기계적 설계가 단순해 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 삭제
- 삭제
- 지문인식 모듈과, 상기 지문인식 모듈이 안착되는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와 결합되는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데코의 상부에는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상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경사면에는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지문인식 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의 일측면은 핑거의 수평 진입이 용이하도록 굴곡져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내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지문인식 면 상부에 위치하되, 일측 단부에 핑거 걸림턱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 내로 삽입된 타측 단부에는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측벽 방향으로 2개의 스프링 결합부가 돌출되어 있는 핑거 커버와;
상기 2개의 스프링 결합부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핑거 걸림턱에 접촉한 핑거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한 상기 핑거 커버를 상기 지문인식 면 상부로 복원시키는 스프링들과;
상기 핑거 커버에서 돌출된 2개의 스프링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결합부 돌출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자석 부착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접근을 감지하여 지문인식 면 노출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와;
상기 홀센서의 신호레벨에 따라 지문인식 모듈의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 부착부의 저면은 상기 핑거 커버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자석과 상기 홀 센서가 마주할 수 있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도어락 아웃바디 베이스의 지문인식 모듈 안착 홀 옆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모듈의 상부 면에는 상기 핑거 커버가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한 핑거 커버의 스프링 결합부와 마주 보는 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996A KR101744094B1 (ko) | 2016-01-13 | 2016-01-13 |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996A KR101744094B1 (ko) | 2016-01-13 | 2016-01-13 |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4094B1 true KR101744094B1 (ko) | 2017-06-09 |
Family
ID=5922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3996A KR101744094B1 (ko) | 2016-01-13 | 2016-01-13 |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40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56476A (zh) * | 2018-06-26 | 2018-11-06 | 桂林芝麻开门电子商务有限公司 | 一种门内指纹防误打开的防盗门锁 |
-
2016
- 2016-01-13 KR KR1020160003996A patent/KR10174409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56476A (zh) * | 2018-06-26 | 2018-11-06 | 桂林芝麻开门电子商务有限公司 | 一种门内指纹防误打开的防盗门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50659B2 (en) | Door assembly | |
US10664071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US20080110217A1 (en) | Security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 |
US6355991B1 (en) | Hot plug switch mechanism | |
KR101090379B1 (ko) |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 |
CN109891040A (zh) | 用于门的锁定系统 | |
JP7210063B2 (ja) | ロック装置 | |
KR20080060277A (ko) | 보호식 생체인식 센서 잠금 조립체를 구비한 도어 록 | |
KR101744094B1 (ko) | 디지털 도어락의 아웃바디 | |
KR20190083713A (ko) |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 |
JP7214769B2 (ja) | 収納装置 | |
KR101471437B1 (ko) | 지문인식 디지털 도어락 | |
KR101568031B1 (ko) |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 |
US6871242B1 (en) | Personal computer with a biometric sensor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environmental distortions | |
JP3770236B2 (ja) | 異常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装置 | |
ES2802284B2 (es) | Periferico para la instalacion de un sistema de alarma | |
CN210422199U (zh) | 防误闭锁装置及系统 | |
US11304320B2 (en) | Providing access to a switch of electronic devices | |
JPH11507474A (ja) | 能動・受動切換部のための組込みキー素子を備えたプリント板カードのフロントパネルシステム | |
KR100869705B1 (ko) | 도어록 장치 | |
RU2318968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кода доступа в контроллер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мка | |
JP4458994B2 (ja) | 蓋体を具えた電気機器 | |
KR100641327B1 (ko) | 슬림형 금고 | |
KR200230809Y1 (ko) | 오염 방지창을 구비한 지문 인식 장치 | |
KR101958314B1 (ko) | 패닉 기능을 구비한 출입문 제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