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19B1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7819B1 KR100947819B1 KR1020080045516A KR20080045516A KR100947819B1 KR 100947819 B1 KR100947819 B1 KR 100947819B1 KR 1020080045516 A KR1020080045516 A KR 1020080045516A KR 20080045516 A KR20080045516 A KR 20080045516A KR 100947819 B1 KR100947819 B1 KR 100947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 source material
- weight
- ceramics
- copper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2—Pretreate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성분을 함유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에 있어서, 장석, 석회석 및 규석을 75∼95중량% 함유하고,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0.05∼3중량% 함유하며,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는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갖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갖는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형성하여 구리 성분의 휘발을 억제함으로서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고 재현성이 있는 도자기를 얻을 수가 있다.
도자기, 진사유약, 구리 소스원료, 유리질 박막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갖는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형성하여 구리 성분의 휘발을 억제함으로서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고 재현성이 있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약은 도자기의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되면 표면에 융착되어 광택을 내는 얇은 유리층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약은 도자기의 흡수성을 저하시켜 투수성을 억제하고 도자기에 강도를 부여하며 도자기의 표면에서 표출하는 광택 등에 의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각적인 심미감을 느끼게 한다. 이와 같이 도자기류의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에 의해 광택을 띠는 유약은 일반적으로 장석, 석회석, 규석, 점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소량의 안료가 첨가되어져 있다. 유약에는 백유, 청자유, 분청유, 투명유, 재유, 천목유, 결정유, 이라보유, 진사유 등이 있다.
이러한 유약 중에서 붉은색을 내는 진사유약은 장석, 석회석 및 규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유약을 기본 유약을 하여 산화동의 구리 성분을 안료로 첨가하여 환원 분위기로 소성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진사유약은 요변성이 강하고 재현성 면에서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기본유약에 첨가한 구리 성분이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즉, 구리 성분은 300∼700℃의 온도 범위에서 휘발하는데, 이로 인하여 균일하게 색상을 재현하는데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도 1은 진사유약을 적용한 도자기를 보여주는 사진인데, 구리 성분의 휘발성에 의해 제품의 전체 색상이 고르게 발현되지 않고 흰색이 부분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구리 성분의 휘발성을 제어하여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고 재현성이 있는 진사유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진사유약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0584842호는 도자기 진사유약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장석, 규석,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한 94~96중량%와 여기에 산화동 1~3중량%와, 경면주사 2~4중량%가 혼합된 조성비로 이루어진 도자기 진사유약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리 성분의 휘발성을 제어하여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고 재현성이 있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리 성분의 휘발성을 제어하여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고 재현성이 있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구리 성분을 함유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에 있어서, 장석, 석회석 및 규석을 75∼95중량% 함유하고,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0.05∼3중량%, 점토 1∼15중량% 및 산화주석(SnO2) 0.5∼10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는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갖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리 소스원료는 산화동(CuO), 탄산동(CuCO3), 염화동(CuCl2) 및 황산구리(CuSO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의 입경은 5∼30㎛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질 박막은, 붕산 또는 붕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고, 100㎚∼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은, 탄산바륨(BaCO3) 3∼20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구리 성분이 휘발하는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갖고 용융되어 유리질을 이루는 소재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구리 소스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와, (b)혼합된 결과물을 열처리 장비에서 용융되어 유리질을 이루는 소재의 용융 온도보다 높고 구리 성분이 휘발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상기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유리질을 이루는 상기 소재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c) 용융된 결과물을 냉각하고, 서로 엉켜 덩어리진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입자들을 서로 분리시키고 미분화하기 위하여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분쇄하는 단계 및 (d) 분쇄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0.05∼3중량%와, 장석, 석회석 및 규석 75∼95중량%, 점토 1∼15중량% 및 산화주석(SnO2) 0.5∼1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리 소스원료로 산화동(CuO), 탄산동(CuCO3), 염화동(CuCl2) 및 황산구리(CuSO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분쇄에 의해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의 입경이 5∼30㎛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되어 유리질을 이루는 상기 소재로 붕산 또는 붕산 나트륨을 사용하고, 상기 유리질 박막은 100㎚∼5㎛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탄산바륨(BaCO3) 3∼20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사유약 조성물에 포함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입자는 유리질 박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유리질 박막은 구리 성분의 휘발성을 억제한다.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에서 구리 소스원료 입자를 둘러싸는 유리질 박막은 진사유약 조성물이 도자기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될 때 구리 소스원료의 휘발을 억제하여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진사유약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광택도 및 색상이 모두 양호하고, 색상 발현이 고르게 나타나며, 재현성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자기는 도기(陶器)와 자기(磁器)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이하에서 도자기라 함은 도기와 자기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도자기에는 점토, 장석, 석회석, 규석 등의 원료가 주로 사용되며, 도자기는 이들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성형한 다음 소성하여 경화시킨 제품을 말한다. 도기는 소지(素地)의 흡수율이 크므로 두드려 보았을 때 탁한 음을 내고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다. 자기는 소지의 흡수율이 거의 없어 두드려 보았을 때 맑은 음을 내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장석은 비교적 낮은 100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을 시작하여 기계적 결합에 참여함과 동시에 점토나 규석을 융해하는 융제로서 작용한다. 약 1000℃ 부근에서 나타나는 장석의 자화과정을 통해 소지내의 기공들이 감소하여 치밀해짐으로서 도자기의 수축이 일어난다. 규석은 도자기 소지에서 백색도를 높이고, 골격의 역할로 변형을 방지하여 도자기의 형태를 유지한다. 점토는 성형에 필요한 가소성을 주며, 건조 강도를 높이고, 고온에서 열 변화를 일으켜 뮬라이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사유약 조성물은 장석, 석회석 및 규석을 75∼95중량% 함유하고, 프릿(frit)화된 구리(Cu) 소스(source)를 0.05∼3중량% 함유하며, 점토 1∼15중량% 및 산화주석(SnO2) 0.5∼1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사유약 조성물은 이외에도 탄산바륨(BaCO3) 3∼20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구리 소스원료는 산화동(CuO), 탄산동(CuCO3), 염화동(CuCl2) 및 황산구리(CuSO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입자는 유리질 박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지며, 유리질 박막은 구리 성 분의 휘발성을 억제한다. 상기 유리질 박막은 구리 성분이 휘발하는 온도(예컨대, 300∼700℃)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물질인 붕산(boric acid), 붕산 나트륨(sodium borate; Na2B4Oㆍ10H2O) 등의 저융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붕산(H3BO3)은 용융점이 170.9℃로서 저온에서 쉽게 액상을 형성하며,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갖게 되어 구리 성분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다.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의 입경은 5∼3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질 박막은 100㎚∼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프릿(frit)화된 구리(Cu) 소스(source)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구리 소스원료 입자의 둘레를 둘러싸는 유리질 박막을 형성하는 붕산과 같은 저융점 소재와, 산화동(CuO), 탄산동(CuCO3), 염화동(CuCl2) 및 황산구리(CuSO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구리 소스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다. 구리 소스원료와 저융점 소재는 중량비로 1:1∼1:10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융점 소재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저융점 소재가 충분히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를 둘러싸지 못하며, 저융점 소재가 너무 많을 경우에는 저융점 소재를 용융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비경제적이다. 상기 구리 소스원료와 저융점 소재의 혼합물에 실리카 졸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실리카 졸을 첨가하게 되면 유리질 박막은 실리케이트 글래스(silicate glass)를 형성하여 안정성이 우수한데, 저융점 소재로서 붕산을 첨가하게 되면 붕산은 실리카 졸과 반응하여 보로실리케이트 글래스(borosilicate glass)를 형성한다. 실리카 졸은 저융점 소재와의 성분비를 고려하여 첨가하는데, 저융점 소재로 붕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붕산의 첨가량에 대하여 2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배합된 원료를 오븐(oven)과 같은 열처리 장비에서 저융점 소재의 용융온도 보다 높고 구리 성분이 휘발하는 온도(예컨대, 300∼700℃)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 시간(예컨대, 30분∼10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저융점 소재를 용융시킨다. 예를 들면, 저융점 소재로 붕산을 사용할 경우 붕산의 용융점인 170.9℃보다 높은 온도, 예컨대 250℃ 정도에서 용융시킨다. 저융점 소재가 용융되면 저융점 소재는 액상이 되어 구리 소스원료 입자를 둘러싸게 되어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얻을 수 있다. 저융점 소재가 충분히 용융되면 냉각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 공정은 공기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냉각되면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입자들은 서로 엉켜서 덩어리져 있게 되므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입자들을 서로 분리시키고 미분화하기 위하여, 냉각된 배합 원료들을 분쇄한다. 분쇄된 프릿화된 구소 소스의 입경은 5∼3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는 자동 유발을 이용할 수 있는데, 자동 유발기에 배합 원료를 넣고 30분∼10시간 동안 분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는 건식 또는 습식 볼밀링(Ball Milling)법, 밀링 미디어(Milling Media)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볼밀링법에 의한 분쇄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합 원료를 볼밀링기(ball milling machine)에 장입하여 용매와 함께 습식 혼합한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볼 밀링기를 이용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배합 원료를 기계화학적으로 분쇄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볼 밀링에 사용되는 볼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와 같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볼은 모두 같은 크기의 것일 수도 있고 2가지 이상의 크기를 갖는 볼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볼의 크기, 밀링 시간, 볼 밀링기의 분당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목표하는 입자의 크기로 분쇄한다. 예를 들면,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여 볼의 크기는 1㎜∼30㎜ 정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볼 밀링기의 회전속도는 100∼150rpm 정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볼 밀링은 목표하는 입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12시간 동안 실시한다. 볼 밀링에 의해 배합 원료는 미세한 크기의 입자로 분쇄되고, 균일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게 되며, 균일하게 혼합되게 되게 된다.
분쇄된 배합 원료를 장석, 석회석, 규석 등의 다른 원료와 혼합하여 원하는 성분비를 갖는 진사유약 조성물을 제조한다. 진사유약 조성물은 장석, 석회석, 규석을 75∼95중량% 함유하고, 프릿(frit)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0.05∼3중량%, 점토 1∼15중량% 및 산화주석(SnO2) 0.5∼10중량%를 함유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탄산바륨(BaCO3) 3∼20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점토는 진사유약의 슬립 점도를 조절하고, 진사유약이 도자기의 표면에 잘 점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화주석(SnO2)은 환원 분위기에서 소성할 때 환원성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산바륨(BaCO3)은 융제로서 용융점을 낮추어 도자기가 저온에서 소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에서 구리 소스원료 입자를 둘러싸는 유리질 박막은 진사유약 조성물이 도자기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될 때 구리 소스원료의 휘발을 억제하여 색상이 고르게 발현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 성분의 휘발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붕산(boric acid)을 이용하여 프릿(frit)화한 구리(Cu) 소스(source)를 준비한 후, 진사유약을 제조하였다. 붕산은 용융점이 170.9℃로서 저온에서 쉽게 액상을 형성하여 구리 소스원료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갖게 되어 구리 성분의 휘발을 제어할 수 있다.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의 경우에는 아래의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네 가지의 배합을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붕산은 미국 보랙스(Borax)사의 옵티보(Optibor)를 사용하였고, 구리 소스원료는 대정화금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실리카 졸은 신흥규산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표 1에서 'O'는 해당 물질을 첨가하였음을 나타내는 의미이고, 'X'는 해당 물질을 첨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구리 소스원료 | 붕산 | 실리카 졸 | |
실험예 1 | CuO | O | O |
실험예 2 | CuO | O | X |
실험예 3 | CuCl2 | O | O |
실험예 4 | CuCl2 | O | X |
붕산, 구리 소스원료 및 실리카 졸은 중량비로 1:1:0.2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렇게 배합된 원료를 250℃의 오븐(oven)에서 5시간 동안 용융시킨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하였다.
냉각된 배합 원료들을 자동 유발기로 30분간 분쇄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분쇄된 배합 원료를 장석, 석회석, 규석 등의 다른 원료들과 혼합하여 진사유약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동 유발기는 독일 레취(Retsch)사의 모르타르 그라인더 RM 200(Mortar Grinder RM 200)을 사용하였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진사유약 조성물의 조성을 보여주고 있다.
조성비(중량%) | |
장석 | 70.01 |
석회석 | 9.94 |
규석 | 3.13 |
BaCO3 | 9.11 |
구리 소스(Cu source)원료 | 0.46 |
SnO2 | 2.76 |
와목점토 | 4.60 |
합계 | 100 |
위와 같이 준비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진사유약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진사유약 조성물을 도자기의 표면에 칠하여 1200℃∼1300℃의 온도에서 10∼36시간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조한 후, 색상과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사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L* | a* | b* | 60° | |
실험예 1 | 36.98 | 54.83 | 27.25 | 91.4 |
실험예 2 | 35.54 | 59.9 | 27.63 | 87.9 |
실험예 3 | 37.2 | 57.23 | 26.32 | 89.4 |
실험예 4 | 34.3 | 55.98 | 25.21 | 90.2 |
진사유약 표면의 광택도는 광택도 측정기로서 비와이케이(BYK)사의 마이크로트리글로스(Micro Tri Glo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광택도 측정기는 30°, 60°, 90°의 세 가지 각도에서 측정된 값을 제공하는데, 이 중에서 60°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였다.
진사유약의 색상은 색도 측정기(모델명 포터블 스펙트로미터(Porta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색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표면색, 즉 불투명한 물체에서 반사하는 빛의 색에 대한 색차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L*a*b* 표색계와 문셀(Munsell) 표색계 등이 있는데, L*a*b* 표색계에서 a* 및 b*는 색의 방향을 표시하고, a*는 적-녹 방향, b*는 황-청 방향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사유약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표 3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4,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택도 및 색상이 모두 양호하고, 색상 발현이 고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도자기의 전체 색상이 고르게 발현되지 않고 흰색이 부분적으로 발현된 도자기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진사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laims (8)
- 구리 성분을 함유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에 있어서,장석, 석회석 및 규석을 75∼95중량% 함유하고,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0.05∼3중량%, 점토 1∼15중량% 및 산화주석(SnO2) 0.5∼10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는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소스원료는 산화동(CuO), 탄산동(CuCO3), 염화동(CuCl2) 및 황산구리(CuSO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의 입경은 5∼30㎛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질 박막은, 붕산 또는 붕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지고, 100㎚∼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은, 탄산바륨(BaCO3) 3∼20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 (a) 구리 성분이 휘발하는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갖고 용융되어 유리질을 이루는 소재와, 구리 성분을 포함하는 구리 소스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b)혼합된 결과물을 열처리 장비에서, 용융되어 유리질을 이루는 소재의 용융 온도보다 높고 구리 성분이 휘발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상기 구리 소스원료의 입자가 유리질 박막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유리질을 이루는 상기 소재를 용융시키는 단계;(c) 용융된 결과물을 냉각하고, 서로 엉켜 덩어리진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입자들을 서로 분리시키고 미분화하기 위하여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를 분쇄하는 단계; 및(d) 분쇄된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 0.05∼3중량%와, 장석, 석회석 및 규석 75∼95중량%, 점토 1∼15중량% 및 산화주석(SnO2) 0.5∼1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소스원료로 산화동(CuO), 탄산동(CuCO3), 염화 동(CuCl2) 및 황산구리(CuSO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분쇄에 의해 상기 프릿화된 구리 소스원료의 입경이 5∼30㎛ 범위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용융되어 유리질을 이루는 상기 소재로 붕산 또는 붕산 나트륨을 사용하고, 상기 유리질 박막은 100㎚∼5㎛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탄산바륨(BaCO3) 3∼20중량%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516A KR100947819B1 (ko) | 2008-05-16 | 2008-05-16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516A KR100947819B1 (ko) | 2008-05-16 | 2008-05-16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458A KR20090119458A (ko) | 2009-11-19 |
KR100947819B1 true KR100947819B1 (ko) | 2010-03-15 |
Family
ID=4160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5516A KR100947819B1 (ko) | 2008-05-16 | 2008-05-16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781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5126B1 (ko) * | 2012-05-08 | 2013-10-07 | 최인규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6586B1 (ko) * | 2012-02-29 | 2013-09-10 | 한국세라믹기술원 | 하회안료의 제조방법 |
KR102264212B1 (ko) * | 2019-11-27 | 2021-06-11 | 권영배 | 세라믹 제품용 진사 유약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953B1 (ko) | 2000-05-20 | 2005-04-13 | 신규식 | 도자기용 유액의 제조방법 |
KR100506119B1 (ko) | 2002-05-28 | 2005-08-05 | 임항택 | 조선백자 진사안료의 제조방법 및 그 안료 |
KR100574842B1 (ko) | 2004-08-05 | 2006-04-27 | 김선식 | 도자기 진사유약 조성물 |
KR100780917B1 (ko) | 2006-12-01 | 2007-11-30 | 박종훈 | 금강약돌이 함유된 청자유약 제조방법 |
-
2008
- 2008-05-16 KR KR1020080045516A patent/KR1009478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953B1 (ko) | 2000-05-20 | 2005-04-13 | 신규식 | 도자기용 유액의 제조방법 |
KR100506119B1 (ko) | 2002-05-28 | 2005-08-05 | 임항택 | 조선백자 진사안료의 제조방법 및 그 안료 |
KR100574842B1 (ko) | 2004-08-05 | 2006-04-27 | 김선식 | 도자기 진사유약 조성물 |
KR100780917B1 (ko) | 2006-12-01 | 2007-11-30 | 박종훈 | 금강약돌이 함유된 청자유약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5126B1 (ko) * | 2012-05-08 | 2013-10-07 | 최인규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9458A (ko) | 2009-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83942B2 (ja) | 釉薬組成物及び施釉方法 | |
US10391039B2 (en) | Al2O3-free lithium silicate glass composition | |
JP5072657B2 (ja) | アルミノシリケートガラスおよびセラミックス系歯冠陶材用の色調調整組成物 | |
CA1053710A (en) | Beads of ceramic material | |
CN106187141A (zh) | 一种cbs系ltcc材料及其制备方法 | |
KR20120073710A (ko) | 치아용 고강도 결정화유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54671B1 (ko) | 내마모 및 질감이 우수한 도자기용 저광택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US11414340B2 (en) | High strength lithium silicate glass ceramic having high shielding property | |
KR100947819B1 (ko) | 도자기용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91206A (ko) | 내수성이 우수한 저융점 유리 조성물 | |
CN113149438B (zh) | 牙釉面组合物、牙釉面的形成方法和义齿修复体 | |
KR20070096131A (ko) | 소결 지르코늄실리케이트 비드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결 지르코늄실리케이트 비드 | |
KR101098243B1 (ko) | 고강도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도자기의 제조방법 | |
JP5842561B2 (ja) | 低膨張ガラス及びペースト状ガラス組成物 | |
Lira et al. | Sintering and crystallisation of CaO–Al2O3–SiO2 glass powder compacts | |
KR20180072062A (ko) | 다수의 기포가 유약층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녹유 도자기의 제조방법 | |
JP2009143839A (ja) | グレーズ/ステイン用ガラス質粒子、グレーズおよびステイン | |
CN107555803A (zh) | 一种玻璃粉料、其制备方法及应用 | |
CN115028364A (zh) | 玻璃陶瓷、其制备方法及牙齿修复材料 | |
KR100479688B1 (ko) |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온소성 유전체 세라믹의 제조방법 | |
JP4582028B2 (ja) | 快削性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 |
CN110713345B (zh) | 珐琅彩料及制备方法及在瓷胎画珐琅文物修复上的应用 | |
CN115385672B (zh) | 一种乳光瓷粉及其制备方法 | |
JP4161565B2 (ja) | 電子回路基板作製用無鉛ガラスおよびガラスセラミックス組成物 | |
CN114538780B (zh) | 一种前牙饰面瓷材料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