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699B1 -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699B1
KR100946699B1 KR1020100003877A KR20100003877A KR100946699B1 KR 100946699 B1 KR100946699 B1 KR 100946699B1 KR 1020100003877 A KR1020100003877 A KR 1020100003877A KR 20100003877 A KR20100003877 A KR 20100003877A KR 100946699 B1 KR100946699 B1 KR 10094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elt conveyor
blocking member
conveyed materi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삼
Original Assignee
김준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삼 filed Critical 김준삼
Priority to KR102010000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입자 형태로 된 이송물을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 낙하물을 차단 장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홈을 구비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차단 부재와 접촉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차단 부재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DROPPED RAWMATERIAL IN A BELT CONVEYER SYSTEM}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로, 보다 자세하게는 미세입자 형태로 된 이송물을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분진 및 낙하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은 철광석을 석회석과 함께 소결공장을 거쳐 고로에서 용융시켜 용선상태에 있게 하고, 이 용선을 전로에서 금속의 기계적 성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황과 인을 제거하여 연속주조기 및 압연기를 거쳐 사용목적에 따른 제품으로 생산한다.
따라서, 제철소에서는 석회석이나 철광석을 야적장에서 소격공장으로, 무연탄을 야적장에서 코크스 공장으로 운반하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며, 이는 대부분 컨베이터 벨트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대개의 구성이 동력원 및 이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벨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벨트는 옮기고자 하는 위치에 이르도록 적당한 길이로 연결되고 연결된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이동하게 되는 벨트 상면에 철광석 또는 무연탄과 같은 낙하물을 적재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이송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이송물을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해 이송 컨베이어부를 오목하게 구성하고 그 상측에 커버를 씌워 바람이나 진동 등에 의해 분진이 비산되거나 상기 벨트 컨베이어 측부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낙하물이 불안정하게 낙하하여 적치된다면 좌우로 요동을 일으켜, 낙하물이 한쪽으로 썰리고 이에 따라 벨트는 사행되어 낙하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사행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이 낙하되어 장시간 방치되면 그 처리가 곤란하고 사행의 조정이 불가능하면 대량의 이송물이 낙하되어 원료 손실 및 공정지연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홈을 구비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 및 차단 부재와 밀착 접촉되어 차단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벨트의 사행 및 이송물의 적재 위치에 관계없이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있어서, 미세입자 형태로 된 이송물을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 낙하물을 차단 장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홈을 구비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차단 부재와 접촉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차단 부재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때,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에는 설비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구동 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홈은 이송물의 낙하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 1 차단홈, 상기 제 1 차단홈이 차단하지 못한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제 2 차단홈 및 상기 제 2 차단홈이 차단하지 못한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제 3 차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간의 결합은,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이에 대응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결합홈 간의 상호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차단 부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 거칠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상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물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트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이송물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 내부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저면에 이송물의 낙하를 차례대로 차단하는 제 1 차단홈, 제 2 차단홈 및 제 3 차단홈을 구비하는 차단 부재 및 차단 부재와 밀착 접촉되어 차단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벨트의 사행 및 이송물의 적재 위치에 관계없이 이송물의 낙하를 엄격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낙하물 처리에 따른 수고 및 관련된 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회전돌기를 구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차단 부재와 벨트 컨베이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차단 부재의 수리 및 교체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에 이송물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컨베이어 벨트 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경사면을 갖음으로, 이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쪽으로 안내되어 이송물의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채용되는 차단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대한 저면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대한 사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채용되는 차단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100)는 크게 이송물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110),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홈(135)을 구비한 돌출부(133)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130), 상기 차단 부재(130)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 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40),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지지 부재(14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은 상기 지지 부재(140)와 결합되고 상기 차단 부재(130)와 접촉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차단 부재(130)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차단 부재(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돌기(153)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100)는 미세입자 형태로 된 이송물을 벨트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 낙하물을 차단 장치하는 장치이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는 낙하되는 이송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는 벨트(115)가 희동하게 되면, 상기 벨트(115) 하부에 마찰결합되어 있는 구동 롤러(120)가 설정한 경로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 롤러(120)는 별도의 공장의 바닥이나 지상에 고정되는 설비 프레임(도면 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를 지지하고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는 상기 구동 롤러(105)의 구동에 의해 흔들리게 되는데, 여기서 흔들림이라 함은 이송물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주요 구성부품의 진동, 전후, 좌우, 상하 흔들림,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 상부 즉, 상기 지지 부재(140) 상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로 이송물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 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슈트 부재(16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165)을 갖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165)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 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슈트 부재(160)로 유입되는 이송물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 중앙쪽으로 안내되어 이송물의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차단 부재(130)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130)의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부재(13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벨트를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 예컨대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33)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차단홈(1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홈(135)은 이송물의 낙하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 1 차단홈(135a), 상기 제 1 차단홈(135a)이 차단하지 못한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제 2 차단홈(135b) 및 상기 제 2 차단홈(135b)이 차단하지 못한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제 3 차단홈(135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 부재(130)에 다수개로 이루어진 차단홈(135)이 구비됨으로써, 여러 차례 이송물의 낙하를 엄격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차단홈(135)의 갯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단홈(135)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요철을 갖는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1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차단 부재(13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40)는 상기 차단 부재(130)의 내측면과 결합하며 그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슈트 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50)는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지지 부재(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일측면은 상기 지지 부재(14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40)와 상기 가이드 부재(150) 간의 결합은 상기 지지 부재(14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41)와 이에 대응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결합홈(151) 간의 상호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140)와 상기 가이드 부재(150) 간의 결합은 돌기와 홈의 체결 이외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143)을 이용한 다양한 체결방법으로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타측면은 상기 차단 부재(130)와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타측면에는 상기 차단 부재(130)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차단 부재(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회전돌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돌기(153)는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축(155)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회전돌기(153)의 표면은 상기 차단 부재(13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빗살 무늬, 격자 무늬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표면 거칠기를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가이드 부재(150)에 따른 상기 차단 부재(130)의 이동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 부재(130)는 일반적으로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 절단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상부측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차단 부재(130)와 밀착 접촉되어 있는 상기 회전돌기(153)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지지 부재(14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간격은 상기 가이드 부재(150)의 회전돌기(153)의 회전력에 의해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100)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이송물의 낙하를 차례대로 차단하는 상기 제 1 차단홈(135a), 제 2 차단홈(135b) 및 제 3 차단홈(135c)을 구비하는 차단 부재(130) 및 상기 차단 부재(130)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차단 부재(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벨트(115)의 사행 및 이송물의 적재 위치에 관계없이 이송물의 낙하를 엄격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부재(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상기 회전돌기(153)를 구비한 상기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단 부재(13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트 부재(16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컨베이어 벨트 내부로 길게 연장된 경사면(165)을 갖음으로써, 이송물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110)의 중앙쪽으로 안내되어 이송물의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105 : 설비 프레임 110 : 벨트 컨베이어
120 : 롤러 130 : 차단 부재
140 : 지지 부재 150 : 가이드 부재
160 : 슈트 부재

Claims (7)

  1. 미세입자 형태로 된 이송물을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 낙하물을 차단 장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며, 외측면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홈을 구비한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
    상기 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면은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차단 부재와 접촉되는 타측면에는 상기 차단 부재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에는 설비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구동 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홈은 이송물의 낙하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제 1 차단홈, 상기 제 1 차단홈이 차단하지 못한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제 2 차단홈 및 상기 제 2 차단홈이 차단하지 못한 이송물의 낙하를 차단하는 제 3 차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 간의 결합은,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이에 대응된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결합홈 간의 상호 체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차단 부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 상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물을 공급하기 위한 슈트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이송물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 중앙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벨트 컨베이어 내부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KR1020100003877A 2010-01-15 2010-01-15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KR10094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77A KR100946699B1 (ko) 2010-01-15 2010-01-15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77A KR100946699B1 (ko) 2010-01-15 2010-01-15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699B1 true KR100946699B1 (ko) 2010-03-12

Family

ID=4218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77A KR100946699B1 (ko) 2010-01-15 2010-01-15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35B1 (ko) * 2012-01-31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770024B1 (ko) * 2015-06-19 2017-08-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942A (ja) * 1995-03-28 1996-10-08 Nkk Corp ベルトコンベア乗継部の搬送物落下防止支持装置
JPH09221212A (ja) * 1996-02-16 1997-08-26 Kureha Elastomer Kk コンベヤベルトの物品投入シュート
JP2000072220A (ja) 1998-08-28 2000-03-07 Babcock Hitachi Kk ベルトコンベアの粒塊物落下防止装置
JP2001233432A (ja) 2000-02-24 2001-08-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942A (ja) * 1995-03-28 1996-10-08 Nkk Corp ベルトコンベア乗継部の搬送物落下防止支持装置
JPH09221212A (ja) * 1996-02-16 1997-08-26 Kureha Elastomer Kk コンベヤベルトの物品投入シュート
JP2000072220A (ja) 1998-08-28 2000-03-07 Babcock Hitachi Kk ベルトコンベアの粒塊物落下防止装置
JP2001233432A (ja) 2000-02-24 2001-08-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35B1 (ko) * 2012-01-31 2013-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770024B1 (ko) * 2015-06-19 2017-08-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6132B2 (en) Surface treatment machine
KR1009466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KR20120063600A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424455B1 (ko) 트리퍼카용 이송물 제거장치
KR101605242B1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039714B1 (ko)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JP4784327B2 (ja) スクレーパ装置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TW200419125A (en) An apparatus for supplying raw materials for a rotary hearth furnace
JP4894280B2 (ja) スクレーパ装置
KR10142443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77837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45312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JP2017202903A (ja) 大塊検出装置及びアンローダ
KR20220002894U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캐리어 롤러
KR19990000125U (ko) 그레이트바 공극부의 분광 자동제거장치
KR101354929B1 (ko) 트리퍼의 낙광 방지장치
KR101148941B1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KR101277746B1 (ko) 자력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