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312B1 - 원료탄 장입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탄 장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312B1
KR101245312B1 KR1020100095141A KR20100095141A KR101245312B1 KR 101245312 B1 KR101245312 B1 KR 101245312B1 KR 1020100095141 A KR1020100095141 A KR 1020100095141A KR 20100095141 A KR20100095141 A KR 20100095141A KR 101245312 B1 KR101245312 B1 KR 10124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aw coal
scraper
sliding plate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556A (ko
Inventor
이상인
김명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9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3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3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원료탄 장입용 스크래퍼의 하단의 불규칙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를 수평으로 진행시키는 상태에서 원료탄의 장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료탄 장입시 원료탄이 운반되는 벨트의 쏠림을 최소화하여 원료탄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상에 놓여져 벨트 이동에 따라 벨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벨트 폭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와 대응되는 위치의 벨트 하부에 설치되는 평판 구조의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료탄 장입 장치{DEVICE FOR CHARGING RAW COAL}
본 발명은 원료탄을 호퍼로 장입하기 위한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원료탄을 블랜딩빈에 장입하는 스크래퍼의 국부적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원료탄 장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원산지에서 생산되는 각종 광석은 원료 처리 설비에 의해 탄종별로 야드에 적치된다. 그리고 각 원료탄은 배합 계획에 의거 리크레이머로 불출된 후 파쇄기에서 탄종별로 파쇄된다. 파쇄된 원료탄은 블랜딩빈의 호퍼에 탄종별로 저장된다. 호퍼에 저장된 원료탄은 탄종별 배합비에 의해 불출되어 배합되고 석탄건조기를 거치면서 건조된 후 콜빈으로 수송된다.
상기한 양탄 공정에서 탄종별 원료탄은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된다. 벨트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는 스크래퍼에 의해 벨트 폭방향으로 밀려나가 슈트를 통해 블랜딩빈으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스크래퍼가 구비된 대차는 블랜딩빈 상에 설치된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슈트를 통해 개방된 블랜딩빈 상부로 탄종별 원료탄을 낙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는 벨트 상에 놓여져 원료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는 데, 벨트 위에 놓여졌을 때, 스크래퍼의 하중에 의해 벨트가 쳐지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벨트의 하부에 복수개의 평롤러를 배치하여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벨트를 사이에 두고 평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스크래퍼 하단이 부분적으로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스크래퍼의 마모된 하단과 벨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고 이 틈새를 통해 원료탄이 빠져나가게 되어 장입 불량이 발생된다.
이에, 원료탄 장입용 스크래퍼의 하단의 불규칙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원료탄 장입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상에 놓여져 벨트 이동에 따라 벨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벨트 폭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와 대응되는 위치의 벨트 하부에 설치되는 평판 구조의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블랜딩빈의 각 호퍼 상단의 장입구 상에 연통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측단으로 연장되어 벨트로부터 배출되는 원료탄을 받기 위한 고정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스크래퍼는 벨트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벨트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양면이 각도를 두고 절곡되어 벨트의 폭방향에 대해 바깥쪽을 향하는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대차 또는 설비 상에 설치되어 벨트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슬라이딩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크기의 받침대가 볼트결합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받침대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스크래퍼의 하단이 균일하게 마모되어 벨트와의 밀착성을 계속 긴밀하게 유지하여, 원료탄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원료탄의 장입 불량을 방지하여 생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래퍼의 국부적 마모를 방지하고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어,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의 슬라이딩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의 슬라이딩플레이트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의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랜딩빈의 상부 중앙에는 원료탄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10)가 위치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0)의 양 측단쪽에는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블랜딩빈의 각 호퍼로 원료탄을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도시되지 않음)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본 장치는 벨트컨베이어(10) 상에 위치하며, 벨트(12)를 따라 이동되며 원료탄을 탄종별로 블랜딩빈의 각 호퍼로 입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20)와, 레일부재(20)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30), 대차(30)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12) 상에 놓여져 벨트(12) 이동에 따라 벨트(12)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벨트(12) 폭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스크래퍼(40)를 포함한다.
이에 벨트(12)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탄은 스크래퍼(40)에 의해 벨트(12) 폭방향으로 밀려나, 벨트(12) 폭방향에 위치한 장입구를 통해 블랜딩빈의 각 호퍼로 투입된다.
여기서 상기 각 호퍼 상단의 장입구 상에는 장입구와 연통 설치되고 상기 벨트(12)의 측단으로 연장되어 벨트(12)로부터 배출되는 원료탄을 받기 위한 고정슈트(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슈트(50)는 각 호퍼의 위치에 맞춰 대응 설치되어 각 호퍼와 연통된다. 상기 고정슈트(50)와 고정슈트(50) 사이에는 호퍼 상단의 장입구를 막는 덮개(54)가 더 설치되어 고정슈트(50) 사이의 장입구를 외부와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 블랜딩빈의 각 호퍼 상단의 장입구는 덮개(54)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며 오로지 고정슈트(50)를 통해서만 각 호퍼는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벨트(12)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탄은 고정슈트(50)를 통해서만 장입이 이루어지며, 장입과정에서 발생되는 분광과 먼지가 장입구를 통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슈트(50)는 상단이 개방되어 입구(52)를 이루며 벨트(12) 측단 하부로 연장된다. 고정슈트(50)의 상단 입구(52)는 벨트(12)로부터 밀려나는 원료탄을 잘 받을 수 있도록 벨트(12) 측단을 폭넓게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슈트(50)의 상단 입구(52)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본 장치의 레일부재(20)는 한 쌍이 벨트컨베이어(10)의 상부에서 벨트(1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에 대차(30)는 레일부재(20)를 따라 벨트(12)와 같은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대차(30)는 하단의 각 모서리쪽에 휠(32)이 설치되어 레일부재(20) 상에 놓여진다. 이에 이 휠(32)이 구동되어 대차(30)가 레일부재(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휠(32)의 구동을 위해 본 장치는 대차(30)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4)와, 구동모터(34)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35), 대차(30)에 설치되어 레일에 놓여지는 휠(3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동풀리(36),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구동벨트(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35)와 피동풀리(36) 사이에 동력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중간풀리(39)가 더 구비된다.
상기 대차(30)의 이동에 따라 대차(30)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래퍼(40)를 원하는 호퍼의 위치에 이동시켜 해당 호퍼로 원료탄을 장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40)는 대차(30) 하부에 설치되고 벨트(12) 표면에 밀착되어 벨트(12)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탄을 양 측단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래퍼(40)는 벨트(12)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벨트(12)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양면이 각도를 두고 절곡되어 벨트(12)의 폭방향에 대해 바깥쪽을 향하는 경사면(42)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뾰족한 삼각형태를 이루어 벨트(12)의 진행방향에 대해 앞쪽에 배치되고 양 측의 경사면(42)이 벨트(12) 측단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벨트(12)에 적재된 원료탄은 스크래퍼(40)의 양쪽 경사면(42)에 의해 양 측단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40)의 높이는 원료탄이 스크래퍼(40) 위쪽으로 넘어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크래퍼(40)는 벨트(12)와 접촉되는 선단이 벨트(12)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래퍼(40)는 하단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40)는 대차(30) 하부에 설치되어 벨트(12)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대(44)를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44)에 회동바(46)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동바(46)의 선단에 스크래퍼(40)가 고정된다.
그리고, 필요시 상기 스크래퍼(40)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40)에 는 와이어(47)가 설치되어 대차(30) 상부로 연장되고, 대차 상부에는 구동실린더(48)가 설치되어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49) 선단에 상기 와이어(47)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대차(30) 상에는 구동실린더(48)에 연결된 와이어(47)의 진행방향을 스크래퍼(40)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이(45) 더 설치된다.
이에 구동실린더(48)가 작동되면 와이어(47)가 당겨져 스크래퍼(40)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스크래퍼(40)는 지지대(44)에 대해 축결합되어 있는 회동바(46)가 회동되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조의 원료탄 장입장치에 있어서, 본 장치는 스크래퍼(40)에 의해 눌려지는 벨트(12)를 받쳐 지지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60)를 더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60)는 평판 구조물로, 스크래퍼(40)와 대응되는 위치의 벨트(12)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60)는 벨트(12)와 같은 수평면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딩플레이트(60)에 의해 눌려지는 벨트(12)의 전면을 고르게 받쳐 지지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6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60)는 상기 대차 또는 설비 상에 설치되어 벨트(12) 하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대차 또는 설비 상에는 지지프레임(62)이 고정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62) 상에 슬라이딩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2)이 대차에 연결된 경우 대차의 이동에 따라 지지프레임(62)과 슬라이딩플레이트(60) 역시 대차와 같이 이동되어 항상 스크래퍼(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2)이 설비 상에 설치된 경우에는 대차와 같이 이동되지 못하므로, 작업 위치 즉, 각 고정호퍼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2) 상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60)를 고정하기 위해 슬라이딩플레이트(60)와 대응되는 크기의 평판 구조물인 받침대(64)가 볼트(70)를 매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64) 상에 슬라이딩플레이트(60)가 역시 볼트(70)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60)는 고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60)를 지지하는 받침대(64)는 슬라이딩플레이트(60)보다 상대적으로 고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본 장치는 벨트(12)를 수평으로 진행시키는 상태에서 벨트(12) 상에 적재된 원료탄은 스크래퍼(40)에 의해 벨트(12) 폭방향으로 밀려나 블랜딩빈의 각 호퍼로 장입된다.
이때, 스크래퍼(40)의 자중에 의해 벨트(12)가 밑으로 눌려지게 되고, 눌려지는 벨트(12)는 벨트(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60)에 받쳐져 그 처짐이 방지된다.
슬라이딩플레이트(60)는 벨트(12)가 접하는 면이 평면 구조로, 벨트(12)를 받쳐 지지하면서 벨트(12)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스크래퍼(40)의 하단이 벨트(12)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플레이트(6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하는 상태가 된다. 즉, 평면의 슬라이딩플레이트(60)에 의해 벨트(12)가 스크래퍼(40) 하단에 고른 압력으로 접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벨트(12)와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퍼(40) 하단이 마모됨에 있어서, 스크래퍼(40) 하단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40) 하단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모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에도 스크래퍼(40)와 벨트(12) 사이의 밀착성을 계속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스크래퍼(40)와 벨트(12) 사이로 원료탄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벨트컨베이어 12 : 벨트
20 : 레일부재 30 : 대차
32 : 휠 34 : 구동모터
35 : 구동풀리 36 : 피동풀리
38 : 구동벨트 40 : 스크래퍼
42 : 경사면 44 : 지지대
46 : 회동바 47 : 와이어
48 : 구동실린더 49 : 피스톤로드
50 : 고정슈트 52 : 입구
60 : 슬라이딩플레이트 62 : 지지프레임
64 : 받침대 70 : 볼트

Claims (3)

  1. 원료탄이 이송되는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놓여져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배치된 각 블랜딩빈으로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상에 놓여져 벨트 이동에 따라 벨트 상에 적재된 원료탄을 벨트 폭방향으로 밀어내어 블랜딩빈의 각 호퍼로 장입시키기 위한 스크래퍼,
    상기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와 대응되는 위치의 벨트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평판 구조의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슬라이딩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가 결합 고정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95141A 2010-09-30 2010-09-30 원료탄 장입 장치 KR10124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141A KR101245312B1 (ko) 2010-09-30 2010-09-30 원료탄 장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141A KR101245312B1 (ko) 2010-09-30 2010-09-30 원료탄 장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556A KR20120033556A (ko) 2012-04-09
KR101245312B1 true KR101245312B1 (ko) 2013-03-19

Family

ID=4613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141A KR101245312B1 (ko) 2010-09-30 2010-09-30 원료탄 장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214B1 (ko) * 2020-10-06 2022-11-02 주로테크 주식회사 비산재 안정화물 분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41U (ja) * 1993-03-15 1994-10-11 クレハ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のガイド装置
JPH0687321U (ja) * 1993-05-27 1994-1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コンベアベルトの支持装置
JP2000095341A (ja) 1998-09-25 2000-04-04 Kobe Steel Ltd ベルトコンベヤ中間排出装置及び積付機
JP2003012131A (ja) * 2001-07-02 2003-01-15 Mitsubishi Materials Corp 中間払い出し部を備えたベルト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941U (ja) * 1993-03-15 1994-10-11 クレハ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コンベヤベルトのガイド装置
JPH0687321U (ja) * 1993-05-27 1994-1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コンベアベルトの支持装置
JP2000095341A (ja) 1998-09-25 2000-04-04 Kobe Steel Ltd ベルトコンベヤ中間排出装置及び積付機
JP2003012131A (ja) * 2001-07-02 2003-01-15 Mitsubishi Materials Corp 中間払い出し部を備えたベルトコンベ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556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726B1 (ko) 운송설비의 운송물 탑재 유도장치
CN201458333U (zh) 卸料装置
KR101504423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KR101118316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KR101245312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KR101235635B1 (ko) 이송 원료 평탄 장치
KR101277495B1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101039714B1 (ko)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1188085B1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998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N210557368U (zh) 一种输煤皮带机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N219822645U (zh) 一种防跑偏的烟草输送带
CN112027519A (zh) 一种滚筒式皮带机
CN219030743U (zh) 冷压球自动化布料系统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US3355005A (en) Load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 points
KR1012894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스탠드
CN220392435U (zh) 一种可移动带式给料机
CN215515909U (zh) 水平溜管动力卸料装置
KR20220002894U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캐리어 롤러
CN216376285U (zh) 一种移动式皮带运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