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601B1 -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 Google Patents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601B1
KR100942601B1 KR1020090072927A KR20090072927A KR100942601B1 KR 100942601 B1 KR100942601 B1 KR 100942601B1 KR 1020090072927 A KR1020090072927 A KR 1020090072927A KR 20090072927 A KR20090072927 A KR 20090072927A KR 100942601 B1 KR100942601 B1 KR 10094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weighing
plate
vehicle
sp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선
최위달
Original Assignee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김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김학선 filed Critical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Priority to KR102009007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in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30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by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6Means for damping oscillations, e.g. of weigh beams
    • G01G23/12Means for damping oscillations, e.g. of weigh beam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oscillations due to movement of the l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지중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지지대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곳에 위치하는 로드셀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수평면과 경사면이 일정간격 배열되는 계량대와, 상기 받침대에 배열되는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면에서 다수개의 철근고정대가 일정간격 배열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계량대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계량대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연결판,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차량의 축무게를 측정하는 축중기가 구성된 무게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판체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볼트홈이 형성된 보조판이 연결판에 의해 판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프링판과, 상기 무게측정부와 스프링판에 연결되며 무게측정부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도로와 무게측정부, 스프링판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덮개로 구성된 보호캡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를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 연결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이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함으로써, 계량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위치되는 계량대를 다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계량대를 보강대와 연결판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계량대의 하측에 위치되는 로드셀이나 일부분이 파손된 계량대 부분 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로드셀이 파손된 계량대의 부분이나 파손된 계량대만을 유지보수할 수 있어, 파손된 계량대나 로드셀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비용이나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량대, 무게 측정, 이물질방지, 로드셀, 스프링판

Description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The truck scale for overload vehicle control of high-speed and low-speed}
본 발명은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과적을 단속할 때,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대를 수평면과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차량이 위치되는 계량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차량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계량대의 상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차량이 계량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차량이 계량대로 이동할 때 상기 무게측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스프링판에 의해 차량의 무게가 분산되지 않고 계량대로 집중되도록 하여 차량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은 도로의 일면을 절개한 후,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측으로 판넬을 설치하여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도로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피에조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바퀴의 폭을 감지하여 차량의 과적 및 차량정보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에조센서는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도로에 피에조센서를 다수개로 설치하여야 하는데 차량이 도로를 고속주행할 때 차량의 바퀴가 피에조센서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차량을 제대로 감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도로에 물기가 생길 경우에는 차량의 바퀴와 도로 사이에 마찰력이 줄어들게 되어 차량의 무게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이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계량대로 진입할 때, 계량대의 진입부위나 진출부위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게 되어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오작동되었으며, 지면의 하측에 설치된 로드셀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계량대 전체를 도로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덧붙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동이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의 외측으로 분산되어 차량무게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무게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해 장시간이 지나게 되면 계량대가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인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은 도로의 지중에 설치되는 지지 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지지대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곳에 위치하는 로드셀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수평면과 경사면이 일정간격 배열되는 계량대와, 상기 받침대에 배열되는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면에서 다수개의 철근고정대가 일정간격 배열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계량대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계량대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연결판,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차량의 축무게를 측정하는 축중기가 구성된 무게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판체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볼트홈이 형성된 보조판이 연결판에 의해 판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프링판과, 상기 무게측정부와 스프링판에 연결되며 무게측정부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도로와 무게측정부, 스프링판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덮개로 구성된 보호캡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은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를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 연결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이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함으로써, 계량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위치되는 계량대를 다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계량대를 보강대와 연결판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계량대의 하측에 위치되는 로드셀이나 일부분이 파손된 계량대 부분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로드셀이 파손된 계량대의 부분이나 파손된 계량대만을 유지보수할 수 있어, 파손된 계량대나 로드셀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비용이나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대의 상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차량의 바퀴와 바닥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차량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측정부와 스프링판과 도로의 사이에 공간에 보호캡을 위치시키고, 다수개의 차선에 설치되는 각각의 무게측정부 사이에 탄성연결부를 설치하고 무게측정부와 스프링판 사이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로드셀의 오작동이나 이물질에 의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무게측정부의 진입부분이나 진출부분에 루프코일을 더 포함하여 설치하여 차량의 정보 및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스프링판의 외측으로 고무를 코팅하여 습기에 의한 스프링판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무게측정부의 진입부분이나 진출부분에 스프링판을 설치하여 무게측정부로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차량의 무게가 다른 곳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무게가 다른 계량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5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보호캡(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무게측정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지중에 설치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지지대(11)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곳에 위치하는 로드셀(r)과,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다수 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수평면(12)과 경사면(13)이 일정간격 배열되는 계량대(14)와, 상기 계량대(14)에 배열되는 철근(s)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면(12)에서 다수개의 철근고정대(15)가 일정간격 배열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계량대(14)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계량대(14)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대(16)와 상기 보강대(16)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연결판(17),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차량의 축무게를 측정하는 축중기(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측정부(10)의 계량대(1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며, 다수개의 차선에 각각 설치되는 계량대(14) 사이로 고정부(19a)와 고정판(19b)과 고무덮개(19c)가 형성된 탄성연결부(19)를 이용하여 각각의 계량대(14)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계량대(14) 사이로 먼지 및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판(2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측정부(10)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판체(21)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볼트홈(22)이 형성된 보조판(23)이 연결판(24)에 의해 판체(2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판(20)의 일측으로는 루프코일(p)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무게측정부(10)의 계량대(14)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 출입상황을 확인하도록 하며, 스프링판(20)의 외측으로 고무(k)를 코팅하여 햇빛이나 습기와 같은 현상에 의해 스프링판(20)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판(20)의 보조판(23)에는 핀홈(22a)이 형성되도록 하며 스프링판(20)에는 결합재(25)가 더 포함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스프링판(20)에 고무(k)를 코팅할 때, 상기 고무(k)는 판체(21)와 보조판(23)의 상측과 양측면으로만 코팅하도록 하는데, 이는 판체(21)와 보조판(23)의 하측으로도 고무(k)가 코팅되면 보조판(23)의 볼트홈(22)과 핀홈(22a)에 삽입되는 볼트(도면에 미도시) 및 핀(도면에 미도시)이 고무(k)에도 결합되게 되면서 고무(k)의 탄성에 의해 볼트와 핀이 흔들리게 되어, 상기 볼트와 핀이 보조판(23)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판(20)에 고무(k)를 판체(21)와 보조판(23)의 상측와 하측으로만 코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체(21)와 보조판(23)을 연결하는 연결판(24)에는 고무(k)가 연결판(24)의 상, 하측 모두 코팅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줄이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연결판(24)의 파손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호캡(30)은 상기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에 연결되며 무게측정부(1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도로와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31)와 결합덮개(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g)의 일면을 절개한 후, 절개한 도로의 지중에 지지대(11)를 설치한다.
그리고,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r)을 일정간격 배열하도록 하는데, 상기 로드셀(r)을 설치할 때, 로드셀(r)이 설치되는 지지대(11)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곳으로 설치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11)는 H빔이나 I빔 형태를 사용하도록 한 다.
여기서, 지중에 설치되는 로드셀(r)과 지면 사이에 로드셀(r)을 지지하는 받침목(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장치를 추가하여 설치하여 로드셀(r)이 지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도로를 일정간격 절개할 때, 무게측정부(10)의 간격보다 크게 절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지지대(11)나 계량대(14)를 지중에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계량대(14)를 설치하는데 상기 계량대(14)를 다수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설치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계량대(14)를 도로의 절개면 전체에 하나의 부분으로 설치할 경우, 계량대(14)의 지지력이 감소하게 되어 계량대(14)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계량대(14)를 하나의 수평면(12)으로만 형성하지 않고, 수평면(12)과 상기 수평면(12)에 연결되는 경사면(13)이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경사면(13)에 의해 차량이 위치되는 계량대(14)의 지지력을 증가시켜 계량대(14)가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계량대(14)를 다수개로 나누어 설치할 때, 계량대(14)와 계량대(14)를 밀착시키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하도록 하는데, 이는 계량대(14)와 계량대(14) 사이에 간격을 두어 파손된 계량대만(14)을 별도로 분리시켜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계량대(14)가 설치되면 계량대(14)의 일측으로 축중기(18)를 설치하는데 상기 축중기(18)는 차량의 전체무게를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가 아닌 차량이 이동하게 되면 차량에 위치된 차축이 이동되면서 하나의 차축씩 순서대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11)의 상측으로 계량대(14)와 축중기(18)를 혼합하여 설치한 후, 상기 계량대(14)의의 수평면(12)에 설치된 철근고정대(15)의 간격에 맞게 철근(s)을 위치시키고 상기 철근(s)은 철근고정대(15)에 결속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결속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스프링판(20)을 무게측정부(10)의 일측으로 위치시켜 설치하는데 상기 스프링판(20)은 무게측정부(10)의 지지대(11)의 상측으로 위치시키지 않고, 지지대(11)의 일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스프링판(20)을 무게측정부(10)의 지지대(11)에 설치하지 않고 일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이유는 차량이 계량대(14)로 진입할 때,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른 충격과 진동이 계랑대(14)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스프링판(20)을 통과하면서 감소시키도록 하며, 차량의 정확한 무게만이 계량대(14)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무게측정부(10)의 지지대(11)에 스프링판(20)을 위치시키게 되면, 스프링판(20)으로 전달되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이 계량대(14)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어 차량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덧붙여, 상기 스프링판(20)을 설치할 때, 스프링판(20)에 결합되는 결합재(25)를 계량대(14)나 지면의 측면에 볼트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결합재(25)에 스프링판(20)의 보조판(23)을 위치시킨 후, 상기 보조판(23)에 형성된 볼트홈(22)과 핀홈(22a)에 볼트와 핀을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판(23)에 볼트홈(22)과 핀홈(22a)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보조판(23)을 결합재(25)에 고정시킬 때, 결합재(25)에 고정되는 보조판(23)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볼트홈(22) 외에 핀홈(22a)을 더 형성하여 상기 볼트홈(22)과 핀홈(22a)에 볼트와 핀을 동시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판(20)에 결합재(25)를 결합하는 이유는 판체(21)의 양측면으로 결합되는 보조판(23)이 지면에 결합재(2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을 도로에 설치할 때, 도로의 상측면에 편평하게 설치되도록 지면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을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덧붙여, 차량이 스프링판(20)으로 위치하게 되면 차량의 무게, 충격, 진동 등이 보조판(23)과 판체(21)를 통과하게 되면서, 판체(21)와 보조판(23)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판(24)에 의해 차량의 무게, 충격, 진동 등이 감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판체(21)와 보조판(23)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되는 연결판(24)이 판체(21)와 보조판(23)에 결합되는 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을 설치한 후, 계량대(14)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일측에 루프코일((p)을 더 포함하여 설치한다.
이는, 계량대(14)로 차량이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차량의 통행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스프링판(20)의 외측으로 고무(k)를 코팅할 때, 상기 보조판(23)에 형성된 볼트홈(22)과 핀홈(22a)이 고무(k)에도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게측정부(10)의 계량대(14)에 철근이 위치되면 계량대(14)의 상측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데 이때, 상기 계량대(14)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가 계량대(14)의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콘크리트보호막(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부(10)에 다수개로 설치된 계량대(14)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 후 계량대(14)와 계량대(14)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일측의 계량대(14)와 타측의 계량대(14)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공간을 이용하여 일측과 타측의 계량대(14)의 측면으로 보강대(16)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대(16)의 상측으로 연결판(17)을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강대(16)를 계량대(14)에 고정시킬 때와 보강대(16)의 상측으로 연결판(17)을 설치할 때, 볼트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 지면에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이 설치되게 되면, 지면과 무게측정부(10) 및 스프링판(20)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그 공간으로 먼지,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게 되면서 무게측정부(10)에 형성된 로드셀(r)이 오작동되거나 계량대(14)가 파손되게 되는데 그러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과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보호캡(30)을 이용하여 덮는 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지면을 일측면과 무게측정부(10) 및 스프링판(20)의 일측면으로 결합부(31)를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결합시킨 후, 상기 결합부(31)의 상측으로 결합덮개(32)를 위치시키면서 볼트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부(31)와 결합덮개(32)를 고정결합시킨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결합부(31)나 결합덮개(32)에는 결합부(31)나 결합덮개(32)를 고정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도로에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보호캡(30)을 설치할 때, 도로의 특성상 다수개의 차선에 상기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보호캡(30) 등이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차선과 차선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부(10)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무게측정부(10) 사이로 탄성연결부(19)를 설치하도록 하는데, 차선과 차선 사이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부(10)에서 일측의 차선에 설치된 계량대(14)의 콘크리트(c)에 고정부(19a)를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타측의 차선에 설치된 계량대(14)의 콘크리트(c)에 고정부(19a)를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그런 후, 상기 고정부(19a)의 상측으로 고정판(19b)을 볼트나 용접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후, 상기 고정부(19a)와 고정판(19b)의 상측으로 고정부(19a)와 고정판(19b)이 완전치 덮힐 수 있도록 고무덮개(19c)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9a)와 고정판(1b)의 상측으로 고무덮개(19c)를 덮는 이유는 다수개의 차선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부(1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차선과 차선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부(10)를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다른 차선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부(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보호캡(30), 탄성연결부(19) 등을 지면이나 각각 고정결합시킬 때, 볼트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각각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도로에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보호캡(30), 탄성연결부(19), 루프코일(p)이 설치된 후 차량이 도로를 주행하여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을 통과하게 되면, 차량의 진입방향에서 최우선에 설치된 루프코일(p)을 차량이 통과하면서 상기 루프코일(p)이 차량의 진입상황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면, 차량이 루프코일(p)을 통과한 후, 스프링판(20)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차량의 진행속도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스프링판(20)을 통해 감소되고 차량이 무게측정부(10)의 계량대(14)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무게측정부(10)에는 축중기(18)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이 계량대로 진입하면서 차량에 다수개로 설치된 차축의 수대로 차축의 무게를 축중기(18)가 순서대로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축중기(18)를 통과하게 되면서 차축의 수대로 차축의 무게를 측정하여 각각의 차축의 무게를 합산하여 차량의 총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상기 축중기(18)를 통과하면서 계량대(14)로 진입하게 되면서,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도로를 주행하여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루프코일(p)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루프코일(p)의 순서대로 차량의 통과여부 및, 주행속도가 감지되며,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 충격이 스프링판(20)에 의해 감소되면서 차량의 무게를 무게측정부(10)가 정확하게 측정되게 된다.
그런 후, 무게측정부(10)에 설치된 축중기(18)에 의해 차량의 차축의 무게가 순서대로 측정되고 마지막으로 계량대(14)에 의해 차량의 총무게가 측정되게 된다.
덧붙여, 차량이 무게측정부(10)를 진출하는 장소에 루프코일(p)을 더 설치하게 되면, 차량이 상기 루프코일(p)을 통과하면서 차량이 무게측정부(10)를 완전히 진출했다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게측정부(10)의 계량대(14)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지 않고 다수개로 나누어 설치함으로써 계량대(14)나 로드셀(r)이 파손되었을 때, 계량대(14) 전체를 교체하거나 제거하지 않고도, 파손된 부분의 계량대(14)를 분리하여 파손된 계량대(14)나 로드셀(r)을 교체, 유지보수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로 설치된 계량대(14)를 분리할 경우에는 분리하고자 하는 계량대(14)에 설치된 보강대(16)와 연결판(17)을 각각 계량대(14)에서 분리한 후, 해당 계량대(14)를 지지대(11)에서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이 지면에 설치될 때, 도로와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보호캡(30)에 의해 막음으로써, 그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을 상기 보호캡(30)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로드셀(r)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부(10)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차량이 스프링판(20)을 통과하면서 감소시키도록 하여 차량의 무게를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무게가 추가되지 않고 순수한 차량의 무게만을 측정하도록 하게 한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부(10)에 지지대(11)의 하측으로 로드셀(r)을 설치할 때, 로드셀(r)이 설치되는 부분의 지지대(11)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이유는 계량대(14)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무게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이며, 상기 로드셀(r)이 위치되는 곳에 지지대(11)를 제거할 수도 있지만, 이는 지지대(11)가 계량대(14)의 하측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계량대(14)의 지지력을 높이면서 계량대(11)로부터 전달되는 차량의 무게가 로드셀(r)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로드셀(r)이 위치되는 지지대(11)의 일부분만 절단하는 것이다.
덧붙여, 차선과 차선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부(10)의 사이에 탄성연결부(19)를 설치하도록 하여, 무게측정부(10)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막음으로써 그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차량이 일측의 무게측정부(10)를 통과하더라고, 상기 탄성연결부(19)에 의해 다른 차선의 무게측정부(10)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강대(16)와 연결판(17), 탄성연결부(19), 보호캡(30) 등에 의해 무게측정부(1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며, 상기 보강대(16), 연결판(17) 및 보호캡(30)을 이용하여 임의의 지점에 설치된 계량대(14)만을 따로 분리하도록 하여 파손된 계량대(14)나 로드셀(r)만을 따로 분리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게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게측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링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게측정부와 스프링판을 결합한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을 도시한 간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게측정부 11 : 지지대
12 : 수평면 13 : 경사면
14 : 계량대 15 : 철근고정대
16 : 보강대 17 : 연결판
18 : 축중기 19 : 탄성연결부
19a : 고정부 19b : 고정판
19c : 고무덮개 20 : 스프링판
21 : 판체 22 : 볼트홈
22a : 핀홈 23 : 보조판
24 : 연결판 25 : 결합재
30 : 보호캡 31 : 결합부
32 : 결합덮개 c : 콘크리트
r: 로드셀 s : 철근
p : 루프코일 k : 고무
50 :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Claims (7)

  1. 도로의 지중에 설치되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지지대(11)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곳에 위치하는 로드셀(r)과,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수평면(12)과 경사면(13)이 일정간격 배열되는 계량대(14)와, 상기 계량대(14)에 배열되는 철근(s)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면(12)에서 다수개의 철근고정대(15)가 일정간격 배열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계량대(14)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계량대(14)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대(16)와 상기 보강대(16)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연결판(17), 상기 지지대(11)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차량의 축무게를 측정하는 축중기(18)가 구성된 무게측정부(10);
    상기 무게측정부(10)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판체(21)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볼트홈(22)이 형성된 보조판(23)이 연결판(24)에 의해 판체(2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프링판(20);
    상기 무게측정부(10)와 스프링판(20)에 연결되며 무게측정부(1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도로와 무게측정부(10), 스프링판(20)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31)와 결합덮개(32)로 구성된 보호캡(3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부(10)의 계량대(14)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부(10)에는 고정부(19a)와 고정판(19b)과 고무덮개(19c)가 형성된 탄성연결부(19)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20)의 일측으로는 루프코일(p)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20)의 외측으로 고무(k)가 코팅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20)의 보조판(23)에는 핀홈(22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20)에는 결합재(2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KR1020090072927A 2009-08-07 2009-08-07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KR10094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27A KR100942601B1 (ko) 2009-08-07 2009-08-07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927A KR100942601B1 (ko) 2009-08-07 2009-08-07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601B1 true KR100942601B1 (ko) 2010-02-16

Family

ID=4208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927A KR100942601B1 (ko) 2009-08-07 2009-08-07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6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813A (zh) * 2012-01-17 2013-04-10 赵伟安 路桥保护器及路桥保护系统
CN104535160A (zh) * 2015-01-23 2015-04-22 重庆大唐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衡防尘结构
CN105823539A (zh) * 2016-03-11 2016-08-03 重庆大唐科技股份有限公司 多秤台组合型多量程汽车衡及其工作方法
WO2016186351A1 (ko) * 2015-05-19 2016-11-24 삼인데이타시스템(주) 축중기 센서 혼합형 트럭스케일
KR101812847B1 (ko) * 2015-09-24 2017-12-27 이순길 트럭 스케일
KR20180107961A (ko) * 2017-03-23 2018-10-04 심상돈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CN112393789A (zh) * 2019-08-14 2021-02-23 梅特勒-托莱多有限责任公司 用于多模块称重应用的模块
KR102414212B1 (ko) 2021-03-09 2022-06-28 김학선 트럭스케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중량계측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2221A (ja) * 1987-12-24 1989-09-18 Jean-Luc Largenton 車両重量測定装置
KR19990017928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JP2003121247A (ja) 2001-10-11 2003-04-23 Nishimatsu Constr Co Ltd 車両用重量計測装置
KR100883609B1 (ko) 2008-11-07 2009-02-12 김학선 동적계측, 정적계측 트럭스케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2221A (ja) * 1987-12-24 1989-09-18 Jean-Luc Largenton 車両重量測定装置
KR19990017928A (ko) * 1997-08-26 1999-03-15 양재신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JP2003121247A (ja) 2001-10-11 2003-04-23 Nishimatsu Constr Co Ltd 車両用重量計測装置
KR100883609B1 (ko) 2008-11-07 2009-02-12 김학선 동적계측, 정적계측 트럭스케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813A (zh) * 2012-01-17 2013-04-10 赵伟安 路桥保护器及路桥保护系统
CN104535160A (zh) * 2015-01-23 2015-04-22 重庆大唐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衡防尘结构
WO2016186351A1 (ko) * 2015-05-19 2016-11-24 삼인데이타시스템(주) 축중기 센서 혼합형 트럭스케일
CN107636429A (zh) * 2015-05-19 2018-01-26 三仁数据系统(株) 轴重秤传感器混合型地秤
CN107636429B (zh) * 2015-05-19 2020-01-07 三仁数据系统(株) 轴重秤传感器混合型地秤
KR101812847B1 (ko) * 2015-09-24 2017-12-27 이순길 트럭 스케일
CN105823539A (zh) * 2016-03-11 2016-08-03 重庆大唐科技股份有限公司 多秤台组合型多量程汽车衡及其工作方法
KR20180107961A (ko) * 2017-03-23 2018-10-04 심상돈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KR102157707B1 (ko) * 2017-03-23 2020-09-18 심상돈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CN112393789A (zh) * 2019-08-14 2021-02-23 梅特勒-托莱多有限责任公司 用于多模块称重应用的模块
KR102414212B1 (ko) 2021-03-09 2022-06-28 김학선 트럭스케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중량계측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601B1 (ko)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CN107636429B (zh) 轴重秤传感器混合型地秤
CN201187026Y (zh) 路面碾轧机械
US10203241B2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with flexure
US9470574B2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KR101160191B1 (ko) 축 외장형 트럭스케일 및 과적근원지에서의 과적단속방법
KR100883609B1 (ko) 동적계측, 정적계측 트럭스케일
CN104195941B (zh) 桥面损伤检测车
CN210293411U (zh) 一种高速动态轴重秤
CN108431560B (zh) 地秤
KR101625488B1 (ko) 일체형 거더식 확장 인도교 및 이의 진동저감구조
KR101237824B1 (ko) 동하중 트럭스케일
JP2003270029A (ja) 車両重量測定方法、車両軸重計測システム、及び過積載車両警告システム
KR101865076B1 (ko) 운행 중인 차량의 중량측정을 위한 트럭스케일
KR102157707B1 (ko)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RU174420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е весы для статического и динамического поосного взвешивания
KR100992936B1 (ko) 과적 및 과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적 및 과속단속시스템
CN207019769U (zh) 一种车辆称重装置
KR101860325B1 (ko) 축중기와 계중기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장치
KR101077292B1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중량측정 어셈블리
KR101562182B1 (ko)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KR101718139B1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101950344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
CN209102199U (zh) 一种桥梁用的防超载装置
KR101306851B1 (ko) 차량 중량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