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707B1 -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707B1
KR102157707B1 KR1020170036957A KR20170036957A KR102157707B1 KR 102157707 B1 KR102157707 B1 KR 102157707B1 KR 1020170036957 A KR1020170036957 A KR 1020170036957A KR 20170036957 A KR20170036957 A KR 20170036957A KR 102157707 B1 KR102157707 B1 KR 10215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ight vehicle
support
weighbridge
installation frame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961A (ko
Inventor
심상돈
Original Assignee
심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돈 filed Critical 심상돈
Priority to KR102017003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7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계량대를 분리제거할 필요가 없어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량대 상을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 하중이 계량대 하부의 로드셀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대의 휨변형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는, 노면에 설치되어 주행 중인 화물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물차량의 과적 여부를 측정하여 단속을 유도하는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있어서,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타설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사람이 진입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는 계량대와, 하단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계량대를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하중을 측정하되 상기 계량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면 중 상기 계량대를 제외한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중센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OVERLOADED VEHICLE ENFORCEMENT APPARATUS}
본 개시내용은 노면에 설치되어 주행 중인 화물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물차량의 과적 여부를 측정하여 단속을 유도하는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의 적재와 관련된 안전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물차량 운전자는 연료비 및 소요시간의 절약을 이유로 가능한 많은 화물을 싣고 가기 위해 적재중량을 초과한 채 운행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국적으로 15만 6천대의 과적차량이 가 적발된 바 있으며, 화물차량 운전자 1명이 3년간 56차례나 적발된 사례가 있을 정도로 화물차량의 과적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과적 화물차량의 경우에는 도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도 있지만, 과도한 중량으로 인해 제동거리가 길어져 돌발상황 발생 시에 추돌사고가 일어나기 쉽고 차량의 무게중심이 상승되어 차량의 방향전환 시에 차량이 전복되기 쉬위 대형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술한 이유로 과적차량의 지속적인 단속 및 계도를 위한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수요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물차량의 도로 통행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주행 중인 화물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물차량의 차축중량 및 총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42601호(2010.02.16. 공고)에는 도로의 지중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지지대의 일부분이 절단되는 곳에 위치하는 로드셀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수평면과 경사면이 일정간격 배열되는 계량대와, 상기 개량대에 배열되는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면에서 다수개의 철근고정대가 일정간격 배열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다수개의 계량대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계량대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연결판,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차량의 축무게를 측정하는 축중기가 구성된 무게측정부; 상기 무게측정부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판체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볼트홈이 형성된 보조판이 연결판에 의해 판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프링; 및 상기 무게측정부와 스프링판에 연결되며 무게측정부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도로와 무게측정부, 스프링판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부와 결합덮개로 구성된 보호캡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경우에는 계량대의 파손시에 해당 개량대만 교체할 수 있어 편리하기는 하지만 계량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 로드셀 등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로드셀이 설치된 계량대 자체를 필수적으로 분리제거해야만 하므로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경우에는 노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대 상에 콘크리트가 상부면에 타설된 계량대가 안착되는 구조로만 형성됨에 따라, 계량대의 휨변형 방지를 위해 계량대의 형상을 수평면과 경사면의 조합으로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체 하중이 로드셀로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계량대를 분리제거할 필요가 없어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계량대 상을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 하중이 계량대 하부의 로드셀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대의 휨변형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로, 노면에 설치되어 주행 중인 화물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물차량의 과적 여부를 측정하여 단속을 유도하는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있어서,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타설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프레임 내로 사람이 진입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계량대와, 하단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계량대를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하중을 측정하되 상기 계량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로드셀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면 중 상기 계량대를 제외한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중센서판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H빔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내측 대면측에는 내측 판형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 판형리브에 걸쳐 브릿지채널이 상기 지지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릿지채널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설치되어 상기 계량대를 폭방향으로 지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외측 판형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판형리브에는 상기 계량대의 양측 하부를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양측지지채널이 설치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설치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는 계량대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람이 설치프레임 내로 진입가능하게 이격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로드셀이 계량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계량대를 분리제거할 필요가 없어 로드셀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대가 브릿지채널에 연결된 상태에서 계량대가 콘트리트 타설에 의해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됨에 따라 계량대 상을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 하중이 계량대 하부의 로드셀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대의 휨변형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이격배열되는 계량대 사이에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하는 축중센서판이 설치됨에 따라 화물차량의 전체하중 뿐만 아니라 각 바퀴축의 축하중까지 측정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있어서, 지지대와 브릿지채널의 결합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노면에 화물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주행 중인 화물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물차량의 과적 여부를 측정하여 단속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화물차량의 과적단속을 위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의 상부면에는 화물차량의 전체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대(30)와, 계량대(30) 사이에 개재되어 화물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중센서판(50)이 설치된다. 또한 계량대(30)와 축중센서판(50)은 노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일종의 노면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타설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는 설치프레임(10)과, 설치프레임(10) 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지지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설치프레임(10)의 상부면 상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며 설치프레임(10) 내로 사람이 진입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계량대(30)와, 하단은 설치프레임(10)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고 상단은 지지대(20)의 하단에 결합되어 계량대(30)를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하중을 측정하되 계량대(30)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로드셀(40)과, 설치프레임(10)의 상부면 중 계량대(30)를 제외한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중센서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프레임(10)은 지중에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의 설치를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부재이다.
설치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함체 형상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물로 형성된다. 이 때 설치프레임(10)의 내부 바닥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설치프레임의 내측벽은 내부 바닥면에 수직하는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설치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예를 들어 길이 20.7m, 폭 3.6m 및 깊이 0.8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프레임(10)의 내측 상단 둘레에는 이물질유입방지대(11)가 설치된다. 이물질유입방지대(11)는 설치프레임(10)의 내측 상단과 차후에 설명될 계량대와의 사이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명될 축중센서판(50)의 양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치프레임(10)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앵글형 마감구(13)에 용접고정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평철로 형성가능하다.
전술한 설치프레임(10) 내에는 지지대(20)가 설치된다. 지지대(20)는 차후에 설명될 계량대(4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차후에 설명될 로드셀(40)에 의해 하단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프레임(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지지대(20)는 상,하측 수평지지부가 수직지지부에 의해 이격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H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2.1m의 폭간격으로 두고 2개가 나란히 배열되되, 길이방향으로는 예를 들어 10m 길이로 2개가 연속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릿지채널(21)과 양측지지채널(27)은 계량대(30)의 하중을 폭방향으로 지지함은 물론 계량대(30)의 채널프레임(33)과 함께 계량대(30)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프레임을 형성한다.
전술한 지지대(20)의 상부에는 계량대(30)가 설치된다. 계량대(30)는 주행중인 화물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판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지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설치프레임(10)의 상부면 상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며 설치프레임(10) 내로 사람이 진입가능하도록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계량대(30)는 예를 들어 4.245m의 길이와 3.5m의 폭의 콘크리트타설물로 형성가능하며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계량대(30) 사이와 양단부에서 예를 들어 약 0.5m와 같이 사람이 진입가능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고 계량대(30) 사이 중에서도 정중앙의 계량대(30) 사이에서는 약 1.0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량대(30)는 내부에 보강을 위한 철근(31)이 배열되는 콘크리트타설물로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철근 배열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금속재 거푸집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채널프레임(33)이 구비된다.
또한 계량대(30)의 상부 양단에는 가드레일(35)이 설치된다. 가드레일(35)은 화물차량의 바퀴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계량대(30)의 상부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볼트 등에 의해 계량대(30)에 일체로 체결된다.
전술한 설치프레임(10)과 지지대(20) 사이에는 로드셀(40)이 개재된다. 로드셀(40)은 화물차량이 계량대(30) 상을 주행할 때 계량대(30)와 지지대(20)를 거쳐 인가되는 차량하중에 의한 압력을 내부 압전소자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량대(30)를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하중을 측정한다.
로드셀(40)은 설치프레임(10)의 바닥면에 하단은 지지고정되고 지지대(20)의 하단에 상단이 결합된다. 로드셀(40)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41)를 포함함에 따라 앵커(43)에 의해 설치프레임(10) 상에 고정설치되고, 로드셀(40)의 상단은 H빔으로 형성되는 지지대(20)의 하측에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또한 로드셀(40)은 지지대(20)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된 계량대(30) 사이와 같이 계량대(30)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고중량의 계량대(30)를 분리제거할 필요없이 차후에 설명될 축중센서판(50)만 제거하면 로드셀(40)에 접근 가능함에 따라 로드셀(40)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셀(40)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카스코리아 사에서 시판 중인 WBK-EXP와 같은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방폭형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물차량의 적재중량을 감안하여 30톤의 용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설치프레임(10)의 상부면 중 계량대(30)를 제외한 부분에 축중센서판(5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축중센서판(50)은 설치프레임(10)의 상부면 중 계량대(30)를 제외한 부분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부분을 형성함에 따라 화물차량의 축하중, 특히 동적 축하중을 측정하는 것으로, 다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전술한 축중센서판(50)의 구성 및 작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축중센서판(50)이 화물차량의 축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축중센서판(50)의 하부에는 지지대(20)에 안착가능한 지지박스(51)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는, 지지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설치프레임(10)의 상부면 상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는 계량대(30)가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람이 설치프레임(10) 내로 진입가능하게 이격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로드셀(40)이 계량대(30)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는, 로드셀(40)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고중량의 계량대(30)를 분리제거할 필요가 없어 로드셀(40)의 상부를 덮는 저중량의 축중센서판(50)만 분리하기만 하면 작업자가 로드셀(40)로 접근가능함에 따라 로드셀(40)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는, 서로 이격배열되는 계량대(30) 사이 또는 전후방에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하는 축중센서판(50)이 설치됨에 따라 화물차량의 전체하중 뿐만 아니라 각 바퀴축의 축하중까지 측정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지지대(20) 만으로 계량대(40)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화물차량의 고하중에 의해 계량대(40)에 휨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는 계량대(40)의 휨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20)에 계량대(40)를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브릿지채널(21)이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설치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있어서, 지지대와 브릿지채널의 결합상세도룰 도시한다.
브릿지채널(21)의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설치를 위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20)는 상,하측 수평지지부가 수직지지부에 의해 이격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H빔으로 형성된다. 또한 H빔으로 형성된 지지대(20)의 내측 대면측에는 3개의 변이 상,하측 수평지지부와 수직지지부에 용접고정되는 내측 판형리브(23)가 설치된다.
브릿지채널(21)은 내측 판형리브(23)에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어 지지대(20)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계량대(4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가로지지빔을 형성한다.
브릿지채널(21)은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단이 90도 각도로 절곡된 채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설치된다.
또한 계량대(30)의 양측 하부를 폭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외측에는 외측 판형리브(25)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 외측 판형리브(25)에 계량대(30)의 양측 하부를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양측지지채널(27)이 계량대(30)의 양단에 이르는 길이까지 설치된다.
전술한 브릿지채널(21)과 양측지지채널(27)은 계량대(30)의 하중을 폭방향으로 지지함은 물론 계량대(30)의 채널프레임(33)과 함께 계량대(30)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프레임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1)는, 노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대(20)가 브릿지채널(21)에 연결된 상태에서 계량대(30)가 콘트리트 타설에 의해 지지대(20)의 상부에 설치됨에 따라, 계량대(30) 상을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 하중이 계량대(30)의 하부에 배열된 로드셀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대(30)의 휨변형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10 : 설치프레임
11 : 이물질유입방지대
13 : 앵글형 마감구
20 : 지지대
21 : 브릿지채널
23 : 내측 판형리브
25 : 외측 판형리브
27 : 양측지지채널
30 : 계량대
31 : 철근
33 : 채널프레임
35 : 가드레일
40 : 로드셀
41 : 베이스플레이트
43 : 앵커
50 : 축중센서판
51 : 지지박스

Claims (7)

  1. 노면에 설치되어 주행 중인 화물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화물차량의 과적 여부를 측정하여 단속을 유도하는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에 있어서,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타설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 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지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화물차량이 주행가능한 노면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프레임 내로 사람이 진입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계량대:
    하단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계량대를 주행하는 화물차량의 전체하중을 측정하되 상기 계량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로드셀; 및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면 중 상기 계량대를 제외한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차량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중센서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H빔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내측 대면측에는 내측 판형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 판형리브에 걸쳐 브릿지채널이 상기 지지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릿지채널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설치되어 상기 계량대를 폭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외측 판형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판형리브에는 상기 계량대의 양측 하부를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양측지지채널이 설치되며,
    상기 계량대의 상부 양단에는 화물차량의 바퀴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계량대와의 사이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유입방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계량대는 철근 배열을 포함한 콘크리트타설물로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철근 배열을 위한 채널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의 하단은 앵커에 의해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36957A 2017-03-23 2017-03-23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KR10215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57A KR102157707B1 (ko) 2017-03-23 2017-03-23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57A KR102157707B1 (ko) 2017-03-23 2017-03-23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61A KR20180107961A (ko) 2018-10-04
KR102157707B1 true KR102157707B1 (ko) 2020-09-18

Family

ID=6386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57A KR102157707B1 (ko) 2017-03-23 2017-03-23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212B1 (ko) * 2021-03-09 2022-06-28 김학선 트럭스케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중량계측 감시 시스템
CN114295186B (zh) * 2021-12-29 2023-09-22 广东泓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操控的地磅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61B1 (ko) * 2006-05-30 2006-09-20 유영석 차량용 축중기
KR100942601B1 (ko) * 2009-08-07 2010-02-16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KR101169949B1 (ko) * 2012-03-29 2012-08-06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
KR101237824B1 (ko) * 2012-11-02 2013-02-27 김두봉 동하중 트럭스케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140A (en) * 1976-03-15 1978-01-03 Gardner-Denver Company Heavy duty industrial scale
FR2792407B1 (fr) * 1999-04-15 2001-06-22 Master K Procede d'installation sur un ouvrage d'un pont bascu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861B1 (ko) * 2006-05-30 2006-09-20 유영석 차량용 축중기
KR100942601B1 (ko) * 2009-08-07 2010-02-16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KR101169949B1 (ko) * 2012-03-29 2012-08-06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고정식 축중량 감지에 따른 과적차량 적발장치
KR101237824B1 (ko) * 2012-11-02 2013-02-27 김두봉 동하중 트럭스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61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6111A (en) Short scale for weighing railway vehicles
KR102157707B1 (ko) 화물차량용 과적단속장치
KR100942601B1 (ko)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CN102837709A (zh) 用于重载铁路空车车辆脱轨预警系统上的检测装置
US2962275A (en) Platform weighting apparatus
FI72602B (fi) Vaegningsanordning.
US3272269A (en) Vehicle-weighing scale with deck unit which may be dismantled for transportation
KR101237824B1 (ko) 동하중 트럭스케일
EP0423440B1 (en) Weigh-in-motion scale for vehicles
US3164218A (en) Portable field scale
KR101581513B1 (ko) 수강대차
RU174420U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е весы для статического и динамического поосного взвешивания
GB2315559A (en) Portable apparatus for indicating load imposed by rail vehicle
KR100992936B1 (ko) 과적 및 과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적 및 과속단속시스템
CN112393789A (zh) 用于多模块称重应用的模块
CN220490201U (zh) 一种地磅用防侧翻保护组件
JP2022053824A (ja) 車載型積載重量計測装置
KR101865076B1 (ko) 운행 중인 차량의 중량측정을 위한 트럭스케일
JP3179444U (ja) 車載型コンテナの計量装置とこれを用いたコンテナ積載型車両
KR101035367B1 (ko) 콘크리트 지지부와 철제 프레임을 이용한 지면 고정형 저울
US3167141A (en) Transportable scale with extendible width
KR101095843B1 (ko)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KR100343401B1 (ko) 차량적재 하중측정장치
KR102487443B1 (ko) 미끄럼 방지 패턴을 구비한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과, 이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215064851U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用轴重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