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274B1 -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274B1
KR100942274B1 KR1020090045504A KR20090045504A KR100942274B1 KR 100942274 B1 KR100942274 B1 KR 100942274B1 KR 1020090045504 A KR1020090045504 A KR 1020090045504A KR 20090045504 A KR20090045504 A KR 20090045504A KR 100942274 B1 KR100942274 B1 KR 10094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opening degree
opening
control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써니콘트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니콘트롤스 filed Critical (주)써니콘트롤스
Priority to KR102009004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개도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댐퍼의 개도를 수동 또는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댐퍼의 사용에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댐퍼조절 시스템, 기어

Description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DAMPER CONTROLLER OF AUTO CONTROL PANNEL WITH OPENING RATE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개도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조절 시스템은 가변 풍량(VAV)제어 시스템 및 여타의 기체 흐름 검출 시스템 등에서 기체가 출력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출력측을 개폐하는 댐퍼와 결합하여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댐퍼는 회전축 상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로 출구측의 기체의 흐름을 개폐하게 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에서 조절된 회전각도(이하 "개도" 라칭함)에 의해 댐퍼의 날개를 회전시켜 개도를 조절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댐퍼조절 시스템은 댐퍼의 회전축과 직접 결합 고정하여 수동으로 댐퍼의 개도를 조작 또는 조절하는 것이어서, 상기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댐퍼조절 시스템을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은 댐퍼의 개도 표시 역시 아날로그 방식에 의하여 표시되거나 혹은 댐퍼조절 시스템이 커버에 덮여 가려져 있어 상기 댐퍼의 개도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의 개도를 정확하게 조작하고 표시할 수 있는 댐퍼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댐퍼의 개도 범위를 설정하는 개도설정부; 상기 개도설정부에서 설정된 댐퍼의 개도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의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댐퍼구동부; 및 상기 댐퍼 구동부에서 감지된 상기 댐퍼의 개도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개도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댐퍼의 개도를 수동 또는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댐퍼의 사용에 편리함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축기어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제어 불록도이다.
상기 댐퍼(10)는 덕트에 장착되어 상기 덕트로 배기되는 기체의 흐름을 개폐하게 되며, 상기 댐퍼(10)는 덕트에 다수개의 날개(11)가 각각 직교하게 연결되는 링크(12), 상기 링크(12)를 회동시켜 상기 날개(11)를 일체로 회전개폐하는 회전봉(13)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전봉(13)은 6각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100)은 입력된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동작하게 되며,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100)은 개도설정부(110), 댐퍼구동부(120),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개도설정부(110)는 수동 또는 원격으로 개도설정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개도설정부는 댐퍼의 개도설정신호를 입력 설정받는 입력부 및 입력부에서 입력 설정된 개도설정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입력부는 버튼 등을 통해 직접 개도설정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무선통신기가 구비된 경우에는 원격에서 무선으로 전달되는 개도설정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댐퍼구동부(120)는 개도설정부(110)와 연결되어 개도설정부(110)에서 설정된 신호에 따라 댐퍼(10)의 회전봉(13)을 회전시켜 댐퍼(10)의 날개(11)를 개폐 구동하게 된다. 상기 댐퍼구동부(120)는 상기 개도설정부(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121), 상기 모터(121)에 축착되어 회전하는 기어(122), 상기 기어(122)와 맞물려 정역회전하는 기어군(123) 및 상기 기어군(123)과 맞물려 회전하며 중앙에는 상기 댐퍼(10)의 회전봉(13)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축기어(125)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덕트에 설치된 댐퍼(10)에 댐퍼조절 시스템(100)을 장착하게 되는데, 댐퍼구동부(120)의 축기어(125)의 중앙에 형성된 홀로 댐퍼(10)의 회전봉(13)을 삽입하며, 홀을 관통한 회전봉을 U 클램프(140)와 U클램프 고정기(142)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축기어(125)와 회전봉(13)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U클램프 고정기(142)는 용접을 통해 축기어(125)의 홀 주변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기(141)에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기(141)가 축기어(125)에 결합됨에 따라 축기어의 홀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기(141)는 용접에 의해 축기어(125)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및 볼트(143)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121)는 스텝핑모터로 구성한다. 상기 댐퍼구동부(120)는 모터, 기어풀리, 타이밍벨트, 축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개도설정부(110)로 입력된 댐퍼(10)의 개도 설정신호 및 댐퍼 구동부(120)의 개도감지부(150)에서 감지된 댐퍼(10)의 개도정도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개도감지부(150)는 엔코더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조절 시스템(100)의 작동방법이 설명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덕트에 설치된 댐퍼(10)에 댐퍼조절 시스템(100)을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댐퍼조절 시스템(100)은 댐퍼(10)의 회전봉(13)을 댐퍼구동부(120)의 축기어(125)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한 후, 홀을 관통한 회전봉을 U 클램프(140)와 U클램프 고정기()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100)은 개도설정부(110)를 통해서 수동으로 직접, 또는 중앙감시 또는 로컬감시장비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댐퍼(10)의 개도를 설정 입력하게 되고,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100)에서는 입력된 개도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로 댐퍼구동부(12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댐퍼구동부(120)는 상기 댐퍼조절 시스템(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121)를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121)의 회전은 기어(122)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기어(122)의 회전은 이와 맞물려 있는 기어군(123) 및 축기어(125)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축기어(125)의 회전은 삽입 결합된 댐퍼(10)의 회전봉(13)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봉(13)은 상기 댐퍼(10)의 링크(12)를 회전시켜 상기 링크(12)과 연동하는 댐퍼(10)의 날개(11)를 회전하면서 설정된 개도로 기기의 덕트 댐퍼를 열어 공기를 순환, 흡입,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댐퍼(10)의 날개(11)의 개도상태는 상기 축기어(125)측에 구비된 개도감지기(150)의 엔코더로 회전에 따른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댐퍼(10)에 구비된 날개(11)의 개도정도를 표시부(130)로 표시하게 되어, 댐퍼(10)의 개도동작을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댐퍼(10)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축기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댐퍼조절 시스템의 제어 불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댐퍼 11; 날개
12; 링크 100; 댐퍼조절 시스템
110; 개도설정부 111; 입력부
112; 제어부 120; 댐퍼구동부
121; 모터 122; 기어
123; 기어군 125; 축기어
130; 표시부 150; 개도감지기

Claims (7)

  1. 댐퍼의 개도 범위를 설정하는 개도설정부;
    상기 개도설정부에서 설정된 댐퍼의 개도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의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댐퍼구동부; 및
    상기 댐퍼 구동부에서 감지된 상기 댐퍼의 개도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구동부는, 상기 개도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댐퍼의 개도설정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축착되어 회전하는 기어군과, 상기 기어군과 맞물려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축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축기어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을 관통한 상기 회전봉은, 상기 축기어에 형성된 U클램프 고정기와, 상기 U클램프 고정기와 체결되는 U클램프에 의해 상기 축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축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설정부는,
    상기 댐퍼의 개도설정신호를 입력 설정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 설정된 개도설정신호를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설정부는,
    수동 또는 원격으로 상기 개도설정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클램프 고정기는,
    상기 축기어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축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부는,
    상기 축기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개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KR1020090045504A 2009-05-25 2009-05-25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KR10094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04A KR100942274B1 (ko) 2009-05-25 2009-05-25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04A KR100942274B1 (ko) 2009-05-25 2009-05-25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274B1 true KR100942274B1 (ko) 2010-02-16

Family

ID=4208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504A KR100942274B1 (ko) 2009-05-25 2009-05-25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2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09B1 (ko) 2010-05-27 2012-12-04 은산건업주식회사 시스템 루버
KR20130038560A (ko) * 2011-10-10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0508B1 (ko) * 2012-07-24 2013-12-11 박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
KR101568124B1 (ko) 2010-09-21 2015-11-11 알스톰 르네와블 테크놀로지즈 공랭식 전동 발전기 및 이러한 전동 발전기를 작동하는 방법
KR20200052489A (ko) * 2018-11-06 2020-05-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102273625B1 (ko) * 2020-01-17 2021-07-06 임태섭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KR102474450B1 (ko) * 2022-03-08 2022-12-05 박문수 환기덕트용 전동 댐퍼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932B1 (ko) 1997-06-25 2000-05-01 윤종용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207195A (ja) * 2002-01-11 2003-07-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00587192B1 (ko) * 2000-01-17 2006-06-08 리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모터댐퍼의 제어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어기판 및 모터댐퍼
KR100865130B1 (ko) 2008-06-16 2008-10-24 (주)효진엔지니어링 댐퍼 개폐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932B1 (ko) 1997-06-25 2000-05-01 윤종용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87192B1 (ko) * 2000-01-17 2006-06-08 리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모터댐퍼의 제어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어기판 및 모터댐퍼
JP2003207195A (ja) * 2002-01-11 2003-07-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00865130B1 (ko) 2008-06-16 2008-10-24 (주)효진엔지니어링 댐퍼 개폐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09B1 (ko) 2010-05-27 2012-12-04 은산건업주식회사 시스템 루버
KR101568124B1 (ko) 2010-09-21 2015-11-11 알스톰 르네와블 테크놀로지즈 공랭식 전동 발전기 및 이러한 전동 발전기를 작동하는 방법
KR20130038560A (ko) * 2011-10-10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0508B1 (ko) * 2012-07-24 2013-12-11 박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환기장치 댐퍼의 비례식 개도 제어장치
KR20200052489A (ko) * 2018-11-06 2020-05-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102184304B1 (ko) * 2018-11-06 2020-12-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102273625B1 (ko) * 2020-01-17 2021-07-06 임태섭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KR102474450B1 (ko) * 2022-03-08 2022-12-05 박문수 환기덕트용 전동 댐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274B1 (ko)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KR101257681B1 (ko) 전동식 호흡보호구의 정보표시 및 제어장치
JP4757432B2 (ja) 呼吸器システム内の空気流量を検量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463595A3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46056B1 (ko)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온실 환경 제어 방법
KR101128090B1 (ko) 통합센서모듈을 통한 실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78637A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EP42389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otation speed of a turntable and aerial work platform
KR102141976B1 (ko) 미세먼지 측정 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계측기
CN108412790A (zh) 多功能智能管道风机
EP2400227A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radiator valve
KR100868077B1 (ko) 동력개폐시스템
KR20190085287A (ko) 커튼 레일 부재를 구비한 햇빛 차단 장치 및 상기 햇빛 차단 장치를 포함한 원격조종시스템
CN205403963U (zh) 一种非手持式红外温度监控仪
JP484863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の調整装置
CN207609852U (zh) 自动调节阀
CN202057353U (zh) 汽车仪表模拟检测器
CN209354670U (zh) 一种具有电子自检装置的防火阀
KR200469867Y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매뉴얼 밸브의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
CN216077188U (zh) 一种便于使用且可调节风量的矿井通风设备
CN110160232B (zh) 检测装置、空调器及导风门控制方法
CN205026897U (zh) 空气调节装置及其扫风机构
JP6685449B2 (ja) 表示機能付き自動ドア装置
KR20110020962A (ko) 전동 조작 밸브 제어 시스템
US20230358245A1 (en) Smart fan for building diagnostic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