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625B1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625B1 KR102273625B1 KR1020200006759A KR20200006759A KR102273625B1 KR 102273625 B1 KR102273625 B1 KR 102273625B1 KR 1020200006759 A KR1020200006759 A KR 1020200006759A KR 20200006759 A KR20200006759 A KR 20200006759A KR 102273625 B1 KR102273625 B1 KR 1022736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per
- error
- unit
-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조팬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 제연팬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 및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댐퍼는, 각각,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의해 본체부와 연결되며 회전축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 본체부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연결되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위해 블레이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본체부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고,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복수 개의 댐퍼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조절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연 댐퍼를 최적화하고, 제연 시 댐퍼와 제연팬 간의 거리에 관계 없이 제연 풍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백화점, 학교 등의 건물에는 화재 발생 시 각 층마다 제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제연설비는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 배출하고, 유입된 매연을 희석시키는 등의 제어 방식을 통해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켜 피난상의 안전을 도모하는 소방시설을 말하며, 이러한 제연설비는 제연팬, 제연 덕트, 제연 댐퍼, 볼륨 댐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연(smoke control)은 화재 상황에서 연기를 배출하거나 유동을 제어하여 피난 혹은 소화 활동 공간 범위에서 연기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것으로, 가연성 휘발 물질을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부수적으로 플래시오버(flash over)나 백드래프트(backdraft)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플래시오버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연소물로부터의 가연성 가스가 천장 부근에 모이고 그것이 일시에 인화해서 폭발적으로 방 전체가 불꽃이 도는 현상을 말하며, 백드래프트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하여 훈소상태에 있는 실내에 산소가 갑자기 다량 공급될 때 연소가스가 순간적으로 발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화재 발생 시, 초기 소화에 실패하여 화재가 극성기에 도달한 경우에는 일부 피난 경로에 연기의 침입을 막는 밀폐성 방어대책 외에는 연기를 제어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안전한 피난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제연설비에서의 제연 풍량을 확보하고 제연 풍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수많은 화재 사건들에 대응하여, 국내 화재안전 기준에서는 면적 기준에 따른 제연 풍량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화재안전 기준에서 요구하는 제연 풍량이 확보되지 못해 소방 준공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공조 시 요구되는 풍량과 제연 시 요구되는 풍량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실제 작업 현장에서는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를 각각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여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를 겸용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종래의 댐퍼는 수동으로만 조작이 가능하여, 한 번 설정하면 그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밖에 없다. 즉,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는, 댐퍼의 개구율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조 운전에서 제연 운전으로 전환할 경우, 댐퍼는 공조 시의 설정으로 고정되어 있는 바, 제연 시의 제연 풍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003995호에서는, 건물의 공조덕트(5)에서 분기된 복수 개의 급기구(6)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7)를 포함하고, 공조 시에는 기설정된 개도율 범위를 따라 댐퍼의 개도율이 서로 다르게 가변되며, 화재 발생 시 제연 모드로 작동할 때 댐퍼(7)의 개도율이 100% 또는 0%가 되도록 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10-2018-0003995호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제연 모드로 작동할 때, 댐퍼(7)의 개도율을 100% 또는 0%로 운전하는 경우, 제연팬(4a)과의 거리에 따라 공기 저항이 달라져서 요구되는 풍량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해당 공간에 원하는 풍량을 보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를 겸용으로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제연 시 제연팬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제연 풍량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류 발생 시, 오류와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가 표시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및 그의 에러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댐퍼의 상태, 오류 발생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팬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 제연팬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 상기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 및 상기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댐퍼는, 각각,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고,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댐퍼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공조 모드 및 제연 모드 시 블레이드부의 각도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며, 상기 블레이드부는, 공조 모드에서 제연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컨트롤러부에 의해 설정된 제연 모드 시의 각도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각도를 약 1°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표시부;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연결부; 및 중계기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의 표시부에는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가 표시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는 공조 모드 및 제연 모드에서의 각도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부 연결부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댐퍼의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댐퍼 시스템은,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팬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 제연팬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 상기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 및 상기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댐퍼는, 각각,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으며,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댐퍼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부 연결부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블레이드부의 각도 또는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연 풍량 조절 댐퍼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구동부 연결부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는 표시부,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연결부 및 중계기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의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구동부 연결부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는 단계; 및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상기 컨트롤러부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의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 표시 방법에서,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제연 시 제연팬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댐퍼의 개도율을 0% 내지 100%로 조절하여 제연 풍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류 발생 시,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가 댐퍼 상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등이 오류를 쉽게 식별하고, 상기 오류에 대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한 바, 사용자 등이 댐퍼의 동작 상태, 오류 발생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댐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블레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댐퍼의 개도율 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댐퍼의 개도율 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컨트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트롤러부의 표시부 상에서의 블레이드부 각도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오류 발생 시 컨트롤러부의 표시부 상에서의 에러코드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확인부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댐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블레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댐퍼의 개도율 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댐퍼의 개도율 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컨트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트롤러부의 표시부 상에서의 블레이드부 각도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오류 발생 시 컨트롤러부의 표시부 상에서의 에러코드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확인부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3(a)는 종래기술에서 제연 모드 시 댐퍼의 개도율이 모두 100%(열림 운전)인 경우를 도시하며; 도 3(b)는 본 발명에서 제연 모드 시 적정 개도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를 도시하며; 도 4는 댐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팬(11a)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11), 제연팬(12a)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12), 상기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13) 및 상기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13)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14)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제연 풍량 조절 댐퍼)(10)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덕트(11)에는 공조용 댐퍼(110)가 설치되고, 제연 덕트(12)에는 제연용 댐퍼(1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b)에서는, 복수개의 댐퍼(10)가 다섯 개의 댐퍼(10a, 10b, 10c, 10d, 10e)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치되는 장소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수의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은 공조 덕트(11)와 제연 덕트(12)를 겸용으로 적용하는 경우의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댐퍼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Smoke Volume motorized Damper)일 수 있으며, 제연 풍량 조절 댐퍼는 볼륨댐퍼(Volume Damper)의 기능을 포함한 제연 댐퍼(Smoke Moterized Damper)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 풍량과 제연 풍량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경우, 별도의 덕트 라인을 구분하지 않고 겸용 덕트(13)를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공조 시와 제연 시에 대한 운전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 및 효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은 평상 시 공조 모드로 작동하며, 화재 발생 시 제연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 발생 시, 공조 덕트(11)의 공조용 댐퍼(110)를 차단함과 동시에, 제연 덕트(12)의 제연용 댐퍼(120)를 개방함으로써, 제연팬(12a)을 통해 공급되는 가압 공기가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13)를 통해 각각의 급기구(14)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에는 연기 감지 등을 통해 방재실의 수신기(도시되지 않음)에 화재 신호가 전달되며, 수신기는 해당 댐퍼(10)(또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 제연 모드 실행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댐퍼는 제연 모드 시의 설정된 개도율로 조절되며 제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서의 복수 개의 댐퍼(10) 각각은 동작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10)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연기감지기(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연기 발생에 따른 화재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 풍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댐퍼(7a, 7b, 7c, 7d, 7e)의 개도율이 100%가 되도록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댐퍼(7)와 제연팬(4a) 간의 거리에 따라 공기 저항이 달라져서 요구되는 풍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해당 공간에 원하는 풍량을 보낼 수 없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도 3(a)에서 제연팬(4a)과 가장 멀리 위치하는 댐퍼(7e)의 경우, 제연 풍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한여, 길이에 따른 덕트의 압력 손실(Pt)에 대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λ : 덕트의 마찰계수 l : 길이 [m]
d : 직경 [m] v : 풍속 [m/s]
ρ: 공기의 밀도 = 1.2 [kg/m3] Pv : 동압 [pa]
상기의 수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덕트의 압력 손실은 덕트 길이에 비례한다. 즉, 공기 저항은 덕트 길이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에 의해, 댐퍼의 개도율이 모두 100%로 작동하더라도 원하는 제연 풍량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서,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12a)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복수 개의 댐퍼(10)의 개도율이 점차 커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연팬(12a)과 가장 근접한 댐퍼(10a), 즉 첫번째 존(z10)에 설치된 댐퍼(10a)의 개도율을 약 60%, 두번째 존(z20)에 설치된 댐퍼(10b)의 개도율을 약 70%, 세번째 존(z30)에 설치된 댐퍼(10c)의 개도율을 약 80%, 네번째 존(z40)에 설치된 댐퍼(10d)의 개도율을 약 90%, 제연팬(12a)과 가장 먼 댐퍼, 즉 다섯번째 존(z50)에 설치된 댐퍼(10e)의 개도율을 약 100%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존(zone)은 건물의 하나의 방, 여러 방, 소정의 영역 등을 임의로 나누는 기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댐퍼의 개도율을 제연팬(12a)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적정 개도로 조절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가 설치된 모든 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제연 풍량이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서, 상기 복수 개의 댐퍼(제연 풍량 조절 댐퍼)(10)는, 각각, 본체부(100), 블레이드부(200), 구동부(300) 및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블레이드부(200), 구동부(300), 컨트롤러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 내부에 블레이드부(200)가 설치되며, 일 측면부에 구동부(300) 및 컨트롤러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댐퍼(10)의 하우징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2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폭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0a, 200b, 200c, 200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다양한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회전축(2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은 구동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부(200)는 작업자 등이 설정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하면, 회전축(210)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된 복수 개의 링크(221, 222, 223, 224, 225, 226, 227)가 회전 및/또는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링크(221, 222, 223, 224, 225, 226, 227)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0a, 200b, 200c, 200d)는 설정된 댐퍼의 개도율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300)는 후술할 컨트롤러부(400)로부터 신호를 받아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회전축(210) 일단부에 형성되는 치합부(230)와 맞물림 결합되어, 치합부(230)를 정회전 및/또는 역회전 구동시킴을 통해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0)는 일반적인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부(4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댐퍼(10)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부(400)에서 공조 모드 시 및/또는 제연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부(400)에 의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 설정에 따라 구동부(300)는 블레이드부(200)를 회전 및/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공조 모드 시 및/또는 제연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댐퍼(10)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90°로 설정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의 개도율은 완전 열림 상태(댐퍼의 개도율이 100%인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0°로 설정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의 개도율은 완전 닫힘 상태(댐퍼의 개도율이 0%인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부(200)는, 공조 모드에서 제연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컨트롤러부(400)에 의해 설정된 제연 모드 시의 각도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40°로 설정하고 제연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60°로 설정한 경우, 평상 시 댐퍼(10)는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40°인 공조 모드로 작동하고, 화재 발생 시 제연 모드로 전환되면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60°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연 모드에서 공조 모드로 전환 시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댐퍼의 개도율은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연 모드에서 공조 모드로 전환 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60°인 상태에서 40°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의 컨트롤러부(400)는 표시부(410),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420), 구동부 연결부(430) 및 중계기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컨트롤러부(400)의 전원 규격은 DC 24V 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410)는, 예를 들어, FND 표시기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410)에는 블레이드부(200)의 공조 모드 시 또는 제연 모드 시의 설정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410)에는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정부(420)는, 버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올림부(421) 및 내림부(4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올림부(421) 및 내림부(422)를 통해 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설정부(420)에 의해 공조 모드 시 및 제연 모드 시의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설정하는 동안, 표시부(410)를 통해 블레이드부(200)의 각도(설정값)를 확인할 수 있다. 설정이 완료되면, 표시부(410) 상에 표시되는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설정 각도로 유지되며, 블레이드부(200)는 구동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컨트롤러부(400)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부(400)는, 예를 들어 설정부(420)를 통해,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약 1°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동으로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기 때문에, 세밀하고 정확한 제어가 매우 어려웠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약 1° 단위로 조절함으로써 댐퍼의 개도율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연결부(430)는 구동부(300)와 연결되며, 구동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1) 및 구동부(3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31)는 중계기 연결부(440)로부터 연결되어 구동부(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신호부(432)는 댐퍼의 개도율(블레이드부(200)의 설치 각도)에 대한 동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는, 컨트롤러부(400)에서 설정된 값(댐퍼의 개도율, 블레이드부의 각도)에 대한 신호를 신호부(432)로부터 전달 받아, 설정된 값에 따라 블레이드부(200)가 동작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연결부(440)는 중계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댐퍼(10)와 수신기 사이에서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 연결부(440)는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받는 입력부(441) 및 중계기로 신호를 보내는 출력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10)의 컨트롤러부(400)는 입력부(441)를 통해 중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441)는 상기 구동부 연결부(430)의 전원부(431)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431)는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구동부(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441)는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442)는 댐퍼(1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신호, 예를 들어 댐퍼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신호를 중계기로 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를 받은 중계기는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수신기로 보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계기 연결부(440)의 출력부(442)를 통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부(400)의 표시부(410)에는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는 공조 모드 및 제연 모드에서의 각도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9의 (a)는 공조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가 45°인 경우를 도시하며, 도 9의 (b)는 제연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가 45°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표시부(410)는 세자리 수의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조 모드 시에는 블레이드부(200)의 공조 모드 시 설정 각도의 숫자만을 표시하며, 제연 모드 시에는 블레이드부(200)의 제연 모드 시 설정 각도의 숫자 및 상기 숫자 앞에 일정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내지 작업자 등은 댐퍼(10)의 모드 및 해당 모드 시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조 모드 시 및 제연 모드 시의 각도 표시 방법이 반대일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류 발생 시, 상기 컨트롤러부(400)의 표시부(410)에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구동부 연결부(430)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예를 들어, 신호부(432)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신호부(432)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전원부(431)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의 오류의 경우(예를 들어, 전원 DC 24V 규격을 기준으로 약 24V 이하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댐퍼의 설정 개도율과 실제 개도율 사이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상기와 같은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4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류 발생시 이와 대응되는 에러코드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오류 내용 | 에러코드 내용 | 에러코드 |
신호부(432)에서 단락 발생 | Error of Short | E_S |
신호부(432)에서 단선 발생 | Error of Disconnect | E_d |
저전압 상태 | Error of Power | E_P |
전원부(431)에서 단선 또는 단락 발생 |
Error of U | E_U |
개도율 0% 설정 시, 닫힘 확인이 안되는 경우 |
Error of Close | E_C |
개도율 100% 설정 시, 열림 확인이 안되는 경우 |
Error of Open | E_O |
블레이드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오차가 발생한 경우 | Error of Angle | E_A |
구체적으로, 구동부 연결부(430)의 신호부(432)에서 단락이 발생한 경우, 즉, 신호부(432)에서 합선이 된 경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10)에 Error of Short를 의미하는 "E_S"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구동부 연결부(430)의 신호부(432)에서 단선이 발생한 경우, 즉, 신호부(432)에서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ror of Disconnect를 의미하는 "E_d"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저전압 상태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중계기 연결부(440)의 입력부(441)에서 약 24V 이하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ror of Power를 의미하는 "E_P"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구동부 연결부(430)의 전원부(431)에서 연결선이 합선되거나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U선 단선 또는 단락이 발생한 경우,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ror of U를 의미하는 "E_U"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 즉 댐퍼가 완전 닫힘 상태(예컨대,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경우,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ror of Close를 의미하는 "E_C"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 즉 댐퍼가 완전 열림 상태(예컨대,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90°로 설정된 상태)에서,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는 경우, 예를 들어,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 간 약 ±8° 이상 오차가 발생한 경우, 도 10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ror of Open을 의미하는 "E_O"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댐퍼 작동 시,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사이 오차가 발생한 경우, 예를 들어,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 간 약 ±8° 이상 오차가 발생한 경우, 도 10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ror of Angle을 의미하는 "E_A"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에러코드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용자는 다양한 오류에 대하여 다양한 표현의 에러코드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오류의 내용에서, 오류 판단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 기준과 관련하여, 만일 약 15초보다 더 짧은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댐퍼 상태의 신호를 전달받는 시간이 너무 짧아 실제 오류가 아닌 경우에도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으며, 만일 약 15초보다 더 긴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에러코드가 신속하게 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200)의 각도와 관련하여, 만일 약 ±8°보다 더 작은 각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부(200)의 블레이드가 움직이는 동안 실제 오류가 아닌 경우에도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으며, 만일 약 ±8°보다 더 큰 각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실제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댐퍼 시스템 상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등이 직접 오류 발생의 원인을 찾느라 시간이 지연되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결과로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의 오류의 내용에 따라 고유의 에러코드가 지정되어 표시되며, 오류 발생 시, 사용자 등은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식별하여 그에 맞는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확인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480)는 댐퍼(10)의 닫힘 상태(예를 들어, 댐퍼의 개도율이 0%인 상태)를 나타내는 닫힘 확인부(481) 및/또는 댐퍼(10)의 열림 상태(예를 들어, 댐퍼의 개도율이 100%인 상태)를 나타내는 열림 확인부(48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닫힘 확인부(481) 및 열림 확인부(482)에 광원이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댐퍼가 닫힌 경우에는 닫힘 확인부(481)의 광원이 점등되며, 댐퍼가 열린 경우에는 열림 확인부(482)의 광원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닫힘 확인부(481) 및 열림 확인부(482)에는 서로 다른 색의 광원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가 닫힌 경우 붉은빛의 광원이 점등될 수 있으며, 댐퍼가 열린 경우 푸른빛의 광원이 점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댐퍼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면 충분하다. 종래에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 등이 댐퍼의 동작 상태(예컨대, 열림 상태 및/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설치 구역으로 들어가야만 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등이 직접 설치 구역으로 가지 않아도 확인부(480)를 통해 댐퍼(10)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에서 소방 전반을 관리하는 전체 시스템으로서, 소방용 댐퍼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작동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13은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제연 모드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14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공조 모드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15는 오류 처리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작동 방법은,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공조 모드 및 제연 모드 시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의 개도율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S20); 및 상기 설정된 개도율에 따라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이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오류 발생 시 고유의 에러코드가 표시되고 경보가 울리며,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시 정상 작동하며 그 다음 단계(예컨대, S20)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공조 모드 및 제연 모드 시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의 개도율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S20)에서는, 제연 모드의 개도율 설정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와 제연팬 간의 거리에 따른 공기 저항으로 인해 원하는 제연 풍량을 얻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개도율에 따라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이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S30)에서는, 예를 들어, 구동부(300)가 컨트롤러부(400)로부터 신호를 받아, 블레이드부(2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부(200)는 설정 각도로 조절되며, 결국 댐퍼의 개도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의 작동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의 설정 개도율과 실제 개도율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부(200)의 공조 시 설정 각도를 60°로 입력한 경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가 약 15초 이상 약 70°를 유지하는 경우, 표시부(410)에 에러표시 "E_A"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경보가 함께 울릴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서, 댐퍼(10)의 컨트롤러부(400)는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폰에는 컨트롤러부(400)와 연동 시, 전기 신호로 이루어진 정보를 주고받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본 발명 전용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블레이드부(200)의 각도(공조 모드 시 또는 제연 모드 시의 각도) 및/또는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예컨대, [표 1]의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댐퍼(10)의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등은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과 먼 곳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시스템(1000)의 작동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오류 발생 시 오류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스마트폰은 컨트롤러부(4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상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댐퍼의 개도율, 즉 블레이드부(200)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이 보다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10)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구동부 연결부(430)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컨트롤러부(400)의 표시부(410)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400)의 표시부(410)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블레이드부(200)의 공조 모드 시 또는 제연 모드 시 설정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10)의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연 풍량 조절 댐퍼(10)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표시부(410),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420), 구동부 연결부(430) 및 중계기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연 풍량 조절 댐퍼(10)의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 표시 방법은, 오류에 대하여 각각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는 단계(S100); 및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상기 컨트롤러부(400)의 표시부(410)에 표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표 1]의 내용과 같은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10, 10a, 10b, 10c, 10d, 10e : 댐퍼
100 : 본체부
200 : 블레이드부
300 : 구동부
400 : 컨트롤러부
410 : 표시부
420 : 설정부
430 : 구동부 연결부
440 : 중계기 연결부
10, 10a, 10b, 10c, 10d, 10e : 댐퍼
100 : 본체부
200 : 블레이드부
300 : 구동부
400 : 컨트롤러부
410 : 표시부
420 : 설정부
430 : 구동부 연결부
440 : 중계기 연결부
Claims (13)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공조팬(11a)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11), 제연팬(12a)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12), 상기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13) 및 상기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14)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10)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는, 각각,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하고,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12a)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a, 110b, 10c, 10d, 10e)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조절되며,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표시부(410);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420);
구동부(300)와 연결되는 구동부 연결부(430); 및
중계기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구동부 연결부(430)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41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제6항에 따른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방용 댐퍼 시스템.
- 삭제
- 공조팬(11a)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11), 제연팬(12a)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12), 상기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13) 및 상기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14)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10)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는, 각각,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으며,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12a)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조절되며,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구동부 연결부(430)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41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공조팬(11a)과 연결되는 공조 덕트(11), 제연팬(12a)과 연결되는 제연 덕트(12), 상기 공조 덕트와 제연 덕트가 하나로 합쳐지는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13) 및 상기 공조ㆍ제연 겸용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복수 개의 급기구(14)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10)를 구비하며, 공조 모드 또는 제연 모드로 작동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100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는, 각각,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으며,
제연 모드 시, 제연 풍량 확보를 위해, 제연팬(12a)과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댐퍼(10)의 개도율이 커지도록 조절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블레이드부(200)의 각도 또는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제연 풍량 조절 댐퍼에 있어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부(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구동부 연결부(430)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를 감지하고,
각각의 오류에 대하여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여 표시부(410)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
-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부(400)는 표시부(410), 댐퍼의 개도율을 설정하는 설정부(420), 구동부(300)와 연결되는 구동부 연결부(430) 및 중계기와 연결되는 중계기 연결부(440)를 포함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10)의 오류 발생 시 에러코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구동부 연결부(430)에서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저전압 상태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닫힘 확인이 안되는 오류의 경우,
댐퍼의 개도율이 100%로 설정된 상태에서, 약 15초 이상 댐퍼의 열림 확인이 안되거나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 또는
댐퍼 작동 시 약 15초 이상 블레이드부(200)의 설정 각도와 실제 각도 간 약 ±8도 이상 오차가 발생하는 오류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고유의 에러코드를 지정하는 단계(S100); 및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상기 컨트롤러부(400)의 표시부(410)에 표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의 에러코드 표시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에 대응하는 고유의 에러코드를 상기 제연 풍량 조절 댐퍼(10)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제연 풍량 조절 댐퍼의 에러코드 표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759A KR102273625B1 (ko) | 2020-01-17 | 2020-01-17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KR1020210049208A KR20210093189A (ko) | 2020-01-17 | 2021-04-15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759A KR102273625B1 (ko) | 2020-01-17 | 2020-01-17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9208A Division KR20210093189A (ko) | 2020-01-17 | 2021-04-15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625B1 true KR102273625B1 (ko) | 2021-07-06 |
Family
ID=76860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6759A KR102273625B1 (ko) | 2020-01-17 | 2020-01-17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KR1020210049208A KR20210093189A (ko) | 2020-01-17 | 2021-04-15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9208A KR20210093189A (ko) | 2020-01-17 | 2021-04-15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7362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8031B1 (ko) * | 2021-09-23 | 2022-05-12 | 윤성환 | 건물의 제연 설비 및 그 시공 방법 |
KR102506825B1 (ko) | 2021-09-30 | 2023-03-08 | 임태섭 | 댐퍼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2274B1 (ko) * | 2009-05-25 | 2010-02-16 | (주)써니콘트롤스 |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
KR20150141065A (ko) * | 2014-06-09 | 2015-12-17 | 한국전력공사 | 소방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KR20190085751A (ko) * | 2018-01-11 | 2019-07-19 | 벨리모서울 주식회사 |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
2020
- 2020-01-17 KR KR1020200006759A patent/KR1022736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4-15 KR KR1020210049208A patent/KR202100931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2274B1 (ko) * | 2009-05-25 | 2010-02-16 | (주)써니콘트롤스 | 개도량 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제어반의 댐퍼조절 시스템 |
KR20150141065A (ko) * | 2014-06-09 | 2015-12-17 | 한국전력공사 | 소방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KR20190085751A (ko) * | 2018-01-11 | 2019-07-19 | 벨리모서울 주식회사 |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8031B1 (ko) * | 2021-09-23 | 2022-05-12 | 윤성환 | 건물의 제연 설비 및 그 시공 방법 |
US11644205B2 (en) | 2021-09-23 | 2023-05-09 | Sung Hwan Yoon | Smoke control system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KR102506825B1 (ko) | 2021-09-30 | 2023-03-08 | 임태섭 | 댐퍼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189A (ko) | 202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0281B1 (ko) |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 |
KR102273625B1 (ko) | 제연 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 |
US5788571A (en) | Method of venting smoke from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
KR101516232B1 (ko) | 제연시스템 | |
KR101409791B1 (ko) |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
KR20160012795A (ko) | 공기조화시스템 | |
EP2418337A1 (en) | Negative-pressure smoke-guiding fireproof building structure | |
KR101690199B1 (ko) | 제연설비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53485B1 (ko) |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 |
CN211290114U (zh) | 防排烟系统 | |
KR101402304B1 (ko) | 제연구역 급기댐퍼의 비례제어시스템 | |
KR101638406B1 (ko) |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 |
CN211953176U (zh) | 暖通消防系统 | |
CN109186033A (zh) | 一种地下库房事故通风与平时通风合用系统 | |
JP2698902B2 (ja) | 排煙ダクトシステム | |
KR101657559B1 (ko) | 공기조화기 시스템 | |
KR20130098790A (ko) |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213458693U (zh) | 一种建筑防排烟系统教学模型 | |
KR102117090B1 (ko) |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 |
RU2632447C2 (ru)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кислорода в целевом помещении | |
KR20220151336A (ko) |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 |
KR200469784Y1 (ko) |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 |
KR102452102B1 (ko) | 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 |
JP2935958B2 (ja) | 屋内設置型の燃焼装置 | |
KR102602705B1 (ko) | 복합모터의 복합댐퍼 제어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