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030B1 -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030B1
KR100942030B1 KR1020090098150A KR20090098150A KR100942030B1 KR 100942030 B1 KR100942030 B1 KR 100942030B1 KR 1020090098150 A KR1020090098150 A KR 1020090098150A KR 20090098150 A KR20090098150 A KR 20090098150A KR 100942030 B1 KR100942030 B1 KR 10094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ball
golf ball
guid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주)조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정밀 filed Critical (주)조은정밀
Priority to KR102009009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프공 티업장치의 보조티에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구름운동 방식으로 골프공을 전용으로 공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조티와 연동하여 승하강 작동하는 볼 리프트에 올려진 골프공이 상기 보조티의 승강시 리어 경사가이더로 자연구름 이동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보조티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리어 경사가이더에서 대기하던 골프공이 자연 구름 이동하면서 보조티에 자동으로 올려짐으로써 볼 공급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 볼 공급에 따른 싸이클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은 물론 상기 보조티에 볼을 한 개씩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공, 티업, 보조티, 경사로, 볼 리프트, 경사가이더, 스토퍼

Description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Automatic supply apparatus of golf ball for tee up}
본 발명은 티업을 위한 골프공을 자연구름 운동방식으로 정확하게 한 개씩 티업장치의 보조티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업장치는 골프연습장의 각각의 타석마다 개별적으로 노출 설치되어 골프공을 자동으로 티업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 타석에 구비되어 있는 풋페달을 골퍼가 발로 밟으면 볼 저장공급기에 저장되어 있는 볼이 하나씩 배출되면서 골퍼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골프공 티업장치는 골퍼가 계속적으로 풋페달을 밟음으로써 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의 조작에 많은 신경을 집중하여야 함은 물론 타석에 설치된 티에 인접하여 티업장치가 배치됨에 따라 골퍼의 심리적인 불안감을 야기하여 볼을 정확히 타격하는데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실수로 인해 티업장치를 타격하여 파손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근자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골프공 티업장치를 타석의 지면 하부에 매설함으로써 외부노출을 차단하여 골퍼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 는 매설형 티업장치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상기 매설형 티업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등록이 허여된 「특허등록 제908744호 명칭 콤팩트형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등록 발명은 골프공이 놓인 보조티가 승강함과 동시에 메인티가 상기 보조티의 하측으로 수평이동한 후 메인티가 단독으로 승강하면서 골프공을 오작동 없이 정확한 위치로 티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티업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더욱 낮추면서 콤팩트한 구조를 구현하여 제작성, 경제성의 향상 및 매립설치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물론 여타 모든 티업장치는 티업을 위한 골프공을 보조티에 자동으로 올려놓기 위한 별도의 볼 공급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볼 공급장치는 보조티에 골프공을 공급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종래의 볼 공급장치는 보조티의 하강작동 및 볼 공급장치의 구동부(모터)가 각각 따로 작동함으로써 보조티가 하강함과 동시에 볼 공급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상기 보조티의 하강상태를 감지한 신호가 입력되어야만 비로소 별도의 볼 공급용 모터가 작동하면서 볼을 공급함에 따라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이로 인해 볼 공급 싸이클이 길어져 골프 연습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보조티에 인접하여 티업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볼 감지센서가 고장 나 는 경우 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볼 트러블이 발생하여 볼이 퉁겨 나가는 안전사고를 유발하며, 상기 볼 감지센서가 티업장치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타격시 진동 및 충격이 전달·누적되어 손상을 입거나 오작동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티와 연동하여 동시 승강하는 볼 리프트의 경사로가 리어 경사가이더의 경사로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순간 상기 볼 리프티에 있던 골프공이 리어 경사가이더로 자연구름 이동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티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리어 경사가이더에 대기하던 골프공은 자연구름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보조티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장커버의 일측에 설치된 측판에 내부로 연통하는 볼 공급관을 부착하고, 상기 볼 공급관의 선단에 인접하여 보조티에 일체로 장착된 볼 리프트를 설치하며, 상기 볼 리프트의 경사로와 보조티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더 수용부에는 외장커버의 상부 내면에 부착된 리어 가이드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 공급관의 선단 및 볼 리프트의 사이에 골프공의 자연구름 이동을 볼 리프트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프런트 경사가이더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 리프트에 대기중이던 골프공이 보조티가 승강하는 과 정에서 리어 경사가이더로 자연구름 이동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보조티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리어 경사로에 대기중이던 골프공이 자연 구름 이동하여 보조티에 자동으로 올려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볼 공급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구름 운동방식으로 자동 구현됨으로써 운용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불필요한 부품사용을 줄여 구조를 간소화하고, 볼 공급에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 볼 공급에 따른 싸이클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골프연습의 효율성을 제고하며, 상기 보조티에 볼을 한 개씩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티업장치(1)의 상부 및 전후를 감싸게 설치되는 외장커버(10)와; 상기 외장커버(10)의 일측에 막음 설치된 측판(15)에 티업장치(1)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볼 공급관(20)과; 상기 티업장치(1)의 보조티(2)에 일체로 부착되고, 일측에 형성된 제1 경사로(32)가 볼 공급관(20)의 선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볼 리프트(30)와; 상기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되고, 볼 리프트(30)에 형성된 가이더 수용부(34)를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부면에 제2 경사로(42)가 형성된 리어 경사가이더(4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티업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티(2)에 골프공(B)이 놓이면 보조티 업 모터(3)가 작동하면서 양방향 나사축(4)이 회전작동함에 따라 제1, 제2 이동테이블(5)(5a)이 내향으로 동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리프트링크대(6)가 상부로 선회하면서 보조티(2)가 1차 승강함과 동시에 메인티(7)가 보조티(2)의 내부 중앙으로 위치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메인티 업 모터(8)의 작동에 따라 메인티 승하강판(8a)이 승강하면서 메인티(7)가 2차 승강하여 보조티(2)에 놓인 골프공(B)을 티업시키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티업장치(1)의 보조티(2)에 전용으로 골프공(B)을 한 개씩 정확하게 놓이도록 공급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를 유기적으로 접목함을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상기한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티업장치(1)의 상부 및 전후를 동시에 감싸는 외장커버(10)가 베이스판(9)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 외장커버(10)는 티업장치(1)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리어 경사가이더(40)를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외장커버(10)의 양측에는 각각 측판(15)이 막음 설치되되 일측 측판(15)에는 티업장치(1)의 내부로 골프공(B)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볼 공급관(20)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티업장치(1)의 보조티(2)에는 보조티(2)와 연동하면서 동시에 승, 하강 작동하는 볼 리프트(30)가 일체로 부착되되 이 볼 리프트(3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경사로(32)는 볼 공급관(20)의 선단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볼 공급관(20)을 통해 공급되는 골프공(B)이 상기 볼 리프트(3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볼 리프트(3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벽(31)이 양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벽(31)의 사이에는 제1 경사로(32)가 보조티(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전후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벽(31)의 선단에 각각 보조티(2)에 일체로 부착되는 장착대(33)가 연장하여 형성됨으로써 보조티(2)의 후면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할 수 있고, 상기 장착대(33)의 사이에는 리어 경사가이더(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즉 가이더 수용부(3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경사로(32)의 전단 하측에는 볼 리프트(30)가 승강할 때 도 8과 같이 볼 공급관(2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이 볼 리프트(30)의 하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35)가 연장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돌기(35)는 볼 리프트(30)의 승강시 어떠한 경우에도 골프공(B)이 빠짐을 방지함은 물론 볼 리프트(30)가 완전하게 하강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볼 리프트(30)가 완전하게 하강하면 비로소 볼 리프트(30)의 제1 경사로(32)로 자연구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는 볼 리프트(3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을 건네 받은 후 보조티(2)가 하강할 때까지 일시 보관하다가 상기 보조티(2)가 완전 하게 하강하기 직전에 골프공(B)을 보조티(2)로 자연구름 이동시켜 올려지도록 하는 리어 경사가이더(40)가 부착되고, 상기 리어 경사가이더(40)는 볼 리프트(30)에 형성된 가이더 수용부(34)를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부면에는 제2 경사로(42)가 형성된다.
이러한 리어 경사가이더(40)는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연결대(43)가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연결대(43)의 사이에는 보조티(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로(42)가 전후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제2 경사로(42)의 전단 하측에는 볼 리프트(3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이 제2 경사로(42)의 하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 벽(45)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벽(45)은 볼 리프트(3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이 빠짐을 방지함은 물론 볼 리프트(30)가 완전하게 승강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볼 리프트(30)가 완전하게 승강하면 비로소 리어 경사가이더(40)의 제2 경사로(42)로 자연구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볼 공급관(20)의 선단 및 볼 리프트(30)의 사이에 골프공(B)의 자연구름 이동을 볼 리프트(30)로 더욱 원활하게 안내하는 프런트 경사가이더(50)가 추가로 설치된다.
즉 상기 프런트 경사가이더(50)는 '∪'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판(51) 사이에 보조티(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3 경사로(52)가 전후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판(51)은 측판(15)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볼 공급관(20)에 대기중이던 골프공(B)은 프런트 가이더(50)를 경유 하면서 자연구름 이동하여 볼 리프트(30)에 더욱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 리어 경사가이더(40)에서 자연구름 이동하면서 보조티(2)에 올려지는 골프공(B)이 과도한 구름운동으로 보조티(2)를 이탈하여 전방으로 퉁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대(60)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이탈방지대(60)는 골프공(B)의 전면을 감싸듯 이동을 저지하도록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포크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보조티(2) 및 볼 리프트(30)가 하강 완료된 초기상태에 리어 경사가이더(40)를 제외한 보조티(2) 및 볼 리프트(30)에 골프공(B)이 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티(2) 및 볼 리프트(30)가 도 7 및 도 8과 같이 연동하여 동시 승강 완료되면 상기 볼 리프트(30)의 제1 경사로(32)가 리어 경사가이더(40)의 제2 경사로(42)와 동일선상으로 위치함으로써 대기하던 골프공(B)은 제2 경사로(42)로 자연구름 이동하며, 상기 보조티(2)는 외장커버(10)에 형성된 볼 인출구멍(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로(32)에 대기하던 골프공(B)은 외장커버(10)에 부딪치면서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외장커버(10)에 형성된 간섭방지홀(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원활한 작동을 보장한다.
상기 보조티(2)가 완전하게 승강된 상태에서 골프공(B)을 타격한 이후에는 상기 보조티(2) 및 볼 리프트(30)가 도 9 및 도 10과 같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보조티(2)의 상단이 제2 경사로(42)의 후단부에 근접하는 높이에 위치하면 제2 경사 로(42)에 위치하던 골프공(B)이 자연구름 이동하면서 보조티(2)에 올려지며, 하강이 완료되면 볼 공급관(2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이 제3 경사로(52)를 경유하여 볼 리프트(30)에 공급됨으로써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티(2)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골프공(B)이 자연구름 운동방식으로 한 개씩 정확하게 공급되며, 상기 보조티(2)에 볼 공급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보조티(2)가 하강할 때까지는 볼 공급을 자동으로 중단하며, 별도의 볼감지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볼 공급에 따른 싸이클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유기적으로 접목되는 티업장치(1)는 도 2와 같이 양방향 나사축(4)이 이격된 가이드봉(4a)의 사이, 즉 중앙에 최대한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제2 이동테이블(5)(5a)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저항을 덜 받아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티업장치에 적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티업장치에 적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장커버에 리어 경사가이더 및 이탈방지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볼 리프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판에 프런트 경사가이더가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티 및 볼 리프트에 골프공이 올려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보조티 및 볼 리프트의 승강상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볼 리프트에서 골프공이 리어 경사가이더로 자연구름 이동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9는 볼 발명의 보조티 및 볼 리프트의 하강상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티에 골프공이 놓임과 동시에 볼 공급관의 골프공이 볼 리프트로 자연구름 이동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티업장치 2: 보조티
10: 외장커버 15: 측판
20: 볼 공급관 30: 볼 리프트
32: 제1 경사로 33: 장착대
34: 가이더 수용부 35: 스토퍼돌기
40: 리어 경사가이더 42: 제2 경사로
45: 스토퍼 벽 50: 프런트 경사가이더
52: 제3 경사로 60: 이탈방지대

Claims (5)

  1. 티업장치(1)의 상부 및 전후를 감싸게 설치되는 외장커버(10)와;
    상기 외장커버(10)의 일측에 막음 설치된 측판(15)에 티업장치(1)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볼 공급관(20)과;
    상기 티업장치(1)의 보조티(2)에 일체로 부착되고, 일측에 형성된 제1 경사로(32)가 볼 공급관(20)의 선단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볼 리프트(30)와;
    상기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되고, 볼 리프트(30)에 형성된 가이더 수용부(34)를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부면에 제2 경사로(42)가 형성된 리어 경사가이더(4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볼 리프트(30)는 양측의 가이드벽(31) 사이에 보조티(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로(32)가 전후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벽(31)의 선단에 보조티(2)에 일체로 부착되는 장착대(3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착대(33)의 사이에는 가이더 수용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로(32)의 전단 하측에는 볼 리프트(30)의 승강시 볼 공급관(2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이 볼 리프트(30)의 하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3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리어 경사가이더(40)는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대(43)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43)의 사이에 보조티(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로(42)가 전후로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제2 경사로(42)의 전단 하측에는 볼 리프트(30)에 대기하던 골프공(B)이 제2 경사로(42)의 하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 벽(45)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볼 공급관(20)의 선단 및 볼 리프트(30)의 사이에는 골프공(B)의 자연구름 이동을 볼 리프트(30)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프런트 경사가이더(50)가 측판(15)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추가 설치되고, 상기 프런트 경사가이더(50)는 양측의 가이드판(51) 사이에 보조티(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3 경사로(52)가 전후로 개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외장커버(10)의 상부 내면에는 리어 경사가이더(40)에서 자연구름 이동하여 보조티(2)에 올려지는 골프공(B)이 과도한 구름운동으로 보조티(2)를 이탈하여 퉁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60)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20090098150A 2009-10-15 2009-10-15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094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150A KR100942030B1 (ko) 2009-10-15 2009-10-15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150A KR100942030B1 (ko) 2009-10-15 2009-10-15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030B1 true KR100942030B1 (ko) 2010-02-18

Family

ID=4208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150A KR100942030B1 (ko) 2009-10-15 2009-10-15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4417B1 (en) * 2019-10-01 2020-12-15 Joen Precision Co., Ltd. Ball supply integrated type auto tee-up machine with simple structure
CZ309371B6 (cs) * 2021-05-21 2022-10-12 CSc. Pavlů Miloš Ing. Zakladač golfových míčk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20A (ja) * 1993-08-06 1995-02-28 Nakanishi Sakuzo ティーアップ装置
JPH1033739A (ja) * 1996-07-29 1998-02-10 Kiwa Sangyo Kk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KR100912455B1 (ko) 2007-12-26 2009-08-14 김영득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20A (ja) * 1993-08-06 1995-02-28 Nakanishi Sakuzo ティーアップ装置
JPH1033739A (ja) * 1996-07-29 1998-02-10 Kiwa Sangyo Kk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KR100912455B1 (ko) 2007-12-26 2009-08-14 김영득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4417B1 (en) * 2019-10-01 2020-12-15 Joen Precision Co., Ltd. Ball supply integrated type auto tee-up machine with simple structure
CZ309371B6 (cs) * 2021-05-21 2022-10-12 CSc. Pavlů Miloš Ing. Zakladač golfových míčk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67651U (zh) 载具自动回流上料机
JP5303797B2 (ja) 地下水連続採水器及びこれを利用した採水方法{sequentialgroundwatersamplerandsamplingmethodthereof}
CN106512361A (zh) 一种自动化足球训练装置
KR100942030B1 (ko) 티업용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WO2009154364A2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CN109019209A (zh) 电梯装置和方法
KR200442369Y1 (ko) 골프공 공급장치
JP2014018515A (ja)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KR102014720B1 (ko) 골프티 승강장치
KR101504542B1 (ko)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0388366Y1 (ko) 골프 티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105450A (ko) 골프공 리프팅 기능을 갖는 골프깃대
CN205838510U (zh) 一种用于钢卷转运的翻转装置
KR20200105105A (ko) 골프공 리프팅 기능을 갖는 골프깃대
US8348778B2 (en) Golf ball feeding apparatus
JP3786478B2 (ja)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CN108273227B (zh) 一种撑杆跳高支架
JP2013153905A (ja) ティーアップ装置
JP3173718U (ja) ゴルフボール供給ティーアップ装置
KR102284534B1 (ko) 볼 공급장치
CN212317071U (zh) 一种卫浴设备排污阀脚踏控制机构
KR101275349B1 (ko) 골프공 공급장치
JP4029962B2 (ja) 昇降装置
JP2665645B2 (ja) ゴルフ練習機におけるティーアップ装置
CN105118147B (zh) 具有通道打开和两拆装装置的纸币清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