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871B1 -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871B1
KR100941871B1 KR1020090059055A KR20090059055A KR100941871B1 KR 100941871 B1 KR100941871 B1 KR 100941871B1 KR 1020090059055 A KR1020090059055 A KR 1020090059055A KR 20090059055 A KR20090059055 A KR 20090059055A KR 100941871 B1 KR100941871 B1 KR 10094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pipe
tank
collection tank
valv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민
Original Assignee
차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민 filed Critical 차동민
Priority to KR102009005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35Anti-slos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8Measur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level, volum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오물 수거과정에서 오물이나 거품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오물수거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순환배관, 보조탱크, 수위체크센서, 콘트롤러 및 자동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사용하면, 오물수거탱크 상부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유입된 오물이나 거품에 의해 진공펌프 및 오물수거차량의 다른 여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 및 오물수거차량의 다른 여러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 부품 손상에 따른 부품의 보수 및 교체시기를 연장시키고, 이로 인한 작업공백을 해소시킴으로써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와 수거작업의 원활화로 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OVERFLOW PREVENTING SYSTEM OF SEWAGE OF COLLECTION TANK}
본 발명은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물 수거시 발생되는 오수나 거품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물수거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뇨의 통상적인 처리방법에 따르면, 변기에서 분뇨는 오수와 혼합되어 배수관 등의 통로를 통하여 정화조로 유입된다. 이후, 정화조에 유입된 분뇨와 오수의 혼합물은 정화조 내에서 일정기간동안 저장되면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어 오수와 함께 정화조에 설치된 드레인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며,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 분해된 분뇨와 오수는 정화과정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분뇨처리 방법의 경우 분뇨를 일정기간 동안 저장토록 하여 분뇨의 분해과정을 수행하는 정화조 내에서 슬러지(분뇨찌꺼기; sludge)가 다량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슬러지는 즉시 처리해야 하는데, 이를 적기에 실시하지 못해 슬러지가 계속해서 쌓이게 됨에 따라 슬러지의 적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적체현상이 지속될 경우 정화조의 정상적인 기능 수행이 불가능해진다. 정화조의 정상적인 기능 수행이 불가능해진다는 것은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분뇨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게 되고 이로 인해 하수처리장 역시 슬러지의 정화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불완전하게 정화된 분뇨와 오수가 외부로 방류되어 자연환경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러지에 의해 정화조가 더 이상 분뇨와 오수의 저장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정화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정화조 내부에 발생되는 슬러지를 오물수거차량을 통해 수거함으로써 슬러지의 적체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정화조의 정상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오물수거차량은 정화조 내의 슬러지 뿐만 아니라 각종 오폐수 등을 높은 진공압을 이용해 오물수거탱크로 수거하는 차량으로써, 오물수거탱크 내부에 오물 수위를 체크하는 부표가 형성되어 있고, 오물을 오물수거탱크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한 배관, 공기 세퍼레이터(air separator), 및 진공펌프 등 여러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오물수거차량의 오물 수거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해 오물수거탱크 내부로 오폐수나 분뇨 등의 오물이 흡입되고, 지속적인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해 오물수거탱크 내부가 오물로 채워지게 되면 오물의 수위에 의해 부표가 상부로 상승하고, 상승된 부표는 플로트 밸브(float valve)를 위로 밀어 플로트 밸브가 배관의 입구를 폐쇄하여 진공펌프의 흡입에 의한 오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오물이 고압에 의해 오물수거탱크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오물 거품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오물 거품은 오물 수위를 체크하는 부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부표의 상승작용에 의해 플로트 밸브가 배관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배관을 타고 진공펌프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상기 부표 및 플로트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하고, 오물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오물이나 거품으로 인해 진공펌프의 내구성이 떨어져 주기적으로 진공펌프를 수리하거나 심할 경우 진공펌프의 교체 및 오물수거를 위해 구성된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물수거차량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정비기간에는 정화조 등의 오물 수거가 불가능하여 적기에 정화조의 슬러지 제거를 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진공압을 이용한 흡입과정에서 오물이나 거품이 배관을 타고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여 오물수거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물의 수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물이나 거품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오물수거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구성 향상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거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수거탱크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1 순환배관; 상기 수거탱크 상부를 통해 넘쳐 상기 제1 순환배관으로 흐르는 오물이나 거품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1 순환배관의 타측과 연결되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이나 거품의 수위를 체크하는 수위체크센서; 및 상기 수위체크센서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콘트롤러에서 상기 제1 순환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사용하면, 오물수거탱크 상부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유입된 오물이나 거품에 의해 진공펌프 및 오물수거차량의 다른 여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 및 오물수거차량의 다른 여러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하여 부품 손상에 따른 부품의 보수 및 교체시기를 연장시킴으로써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진공펌프 및 오물수거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부품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오물수거차량의 입고 수리 횟수가 줄어들어 정화조 내의 슬러지를 적기에 수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오물수거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물수거차량은 정화조나 축산 농가의 분뇨, 오폐수, 또는 오폐유를 높은 진공압을 이용하여 수거하는 차량으로서, 버큠로리(vacuum lorry) 차량이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본 발명의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이 적용되는 상기 오물수거차량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오물수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물수거차량은 수거탱크(10), 흡입/배출밸브(20), 순환배관(30), 사방밸브(40), 에어 세퍼레이터(air separator)(50), 체크밸브(60), 진공펌프(70), 서브 세퍼레이터(80), 메인 세퍼레이터(85), 및 드레인탱크(90)를 포함한다.
상기 오물수거차량의 각 구성별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거탱크(10)는 수거되는 오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흡입/배출밸브(20)는 상기 수거탱크(10)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거나 또는 수거탱크(10) 내부로부터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거탱크(10) 내부로 더 이상의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오물의 수위를 체크하는 부표(17)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표(17)는 수거탱크에 유입된 오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거탱크(10) 상부에 형성된 플로트 밸브(16)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부표(17)에 의하여 플로트 밸브(16)가 닫혀있지 않은 경우, 즉 플로트 밸브가 개방된 경우, 수거탱크(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수거탱크(10)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진공압에 의하여 오물이 오물수거탱크로 유입되거나 또는 고압에 의하여 오물이 오물수거탱크에서 배출된다. 한편, 오물 수거차량으로 유입되는 오물에 의하여 오물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부표(17)가 상기 플로트 밸브를 폐쇄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어 추가적으로 오물이 수거차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이를 위해 상기 순환배관(30)의 일단은 수거탱크(10) 상부에 형성된 상기 플로트 밸브(16)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연결되어있다.
상기 사방밸브(40)는 상기 순환배관(30)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방밸브(40)의 동작은 후술하는 공기의 흐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 세퍼레이터(50)는 상기 사방밸브(4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의 필터링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방밸브(4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예를 들면 수분 또는 고체 덩어리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크밸브(60)는 순환배관(30) 내부에 흐르는 공기와 펌프오일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진공펌프(70)는 구동을 통해 공기가 상기 순환배관(30) 내부를 순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펌프(70)는 공기가 상기 순환배관(30) 내부를 순환하도록 구동을 하되, 오물을 흡입하는 경우와 오물을 배출하는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진공펌프(70)의 각기 다른 구동은 종래의 오물수거차량에 진공펌프(70)가 적용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바, 상기 진공펌프(70)의 종류 및 구동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 세퍼레이터(80) 및 메인 세퍼레이터(85)는 상기 진공펌프(70)의 구동에 의해 순환배관(30) 내부에 흐르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세퍼레이터(80) 및 메인 세퍼레이터(85)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 이외에도 상기 진공펌프(70)의 구동에 사용되는 윤활유가 진공펌프(70), 보조 세퍼레이터(80), 및 메인 세퍼레이터(85)를 순환할 수 있도록 진공펌프(70)를 거친 윤활유가 순환배관(30) 내부에 흐르는 공기와 섞이지 않고 공기와 섞여 있는 윤활유만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세퍼레이터(80), 및 메인 세퍼레이터(85)를 통해 걸러진 윤활유는 재차 진공펌프(70)로 유입되어 진공펌프(70)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탱크(90)는 외부로부터 수거탱크(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물수거차량의 오물 수거를 위한 구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물 수거를 위해 수거탱크(10)의 내부 기압을 낮추는 동작이 선행된다. 이러한 동작은 수거탱크(10) 내부로 오물을 수거시 보다 효과적으로 오물을 수거하기 위해 선행되는 동작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오물수거차량의 오물 흡입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선행동작을 위해 수거탱크(10)의 흡입/배출밸브(20)를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거탱크(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진공펌프(70)의 구동이 시작된다. 상기 진공펌프(70)의 구동에 의해 수거탱크(10) 내부에 있는 공기가 순환배관(30)을 통해 사방밸브(40)로 이동하게 되 고, 상기 사방밸브(40)로 이동된 공기는 사방밸브(40)의 제어하에 에어 세퍼레이터(5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 세퍼레이터(50)로 이동된 공기는 1차로 공기 중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상기 에어 세퍼레이터(50)를 통과한 공기는 체크밸브(60)를 지나 진공펌프(70)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70)를 통과하는 공기는 진공펌프(7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윤활유와 혼합되어 진공펌프(7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70)를 통과하는 윤활유와 혼합된 공기는 서브 세퍼레이터(80) 및 메인 세퍼레이터(85)를 거치면서 공기와 윤활유가 분리되게 된다. 상기 서브 세퍼레이터(80) 및 메인 세퍼레이터(85)를 통해 분리된 윤활유는 별도의 윤활유 순환라인을 통해 상기 진공펌프(70)로 재유입되게 되고, 상기 윤활유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사방밸브(40)로 흐르게 된다.
상기 사방밸브(40)로 유입된 공기는 사방밸브(40)의 제어에 의해 드레인 탱크(90)로 이동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을 통해 수거탱크(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수거탱크(10) 내부 기압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수거탱크(1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진 상태에서 수거탱크(10) 일측에 형성된 흡입/배출밸브(20)를 개방시켜 오물 수거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70)의 구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흡입/배출밸브(2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정화조 등으로부터 오물이 수거탱크(10) 내 부로 유입되게 되고, 지속적인 오물의 유입으로 인해 수거탱크(10) 상부에 형성된 플로트 밸브(16)의 하부의 부표(17)가 상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플로트 밸브(16)를 작동시켜 플로트 밸브의 입구를 막아 오물이 순환배관(30)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오물의 경우 고압의 흡입에 의해 수거탱크(1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되는 거품은 상기 부표(17)가 플로트 밸브(16)를 작동시키기 전에 부표(17)를 타고 밸브 입구를 통해 순환배관(30)으로 흘러넘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부표(17) 또는 플로트 밸브(16)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오물이 순환배관(30)으로 흘러넘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 플로트 밸브(16)를 통해 순환배관(30)으로 흘러넘친 오물이나 거품은 사방밸브(40)를 통과하여 진공펌프(70)로 유입되어 진공펌프(70)의 정상적인 구동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진공펌프(70)로 일정량 이상의 오물이 유입될 경우 진공펌프(70)가 손상되어 진공펌프(70)를 교체해야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물을 수거시 수거탱크(10) 내부에 발생되는 오물이나 거품에 의해 진공펌프(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표(17)의 상 방향 이동 동작을 통해 플로트 밸브(16)의 작동이 이루어져 밸브 입구를 차단하기 전에 오물 및 거품이 상기 플로트 밸브(16)를 통해 순환배관(30)으로 흘러넘치는 양을 체크하여 설정된 양을 초과해서 오물 및 거품이 흘러넘칠 경우 자동으로 상기 순환배관(30)을 차단하여 오물 및 거품이 진공펌프(7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이 적용된 오물수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은 제1 순환배관(100) 및 보조탱크(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순환배관(100)은 수거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수거탱크(10)의 상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수거탱크(10) 상부(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형성된 플로트 밸브(16))를 통해 넘쳐흐르는 오물이나 거품이 내부로 흐르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순환배관(100)의 일측은 상기 플로트 밸브(16)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탱크(2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탱크(200)는 제1 순환배관(1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수거탱크(10) 상부를 통해 넘쳐 상기 제1 순환배관(100) 내부로 흐르는 오물 거품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탱크(200)의 일측은 제1 순환배관(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보조탱크(200)와 사방밸브(40)를 연결하는 제2 순환배관(15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200)는 내부 상부에 제1 경사면(210) 및 제2 경사면(220)을 가지는 고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경사면(210)은 보조탱크(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순환배관(10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경사면(220)은 보조탱크(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순환배관(150)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순환배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및 오물이나 거품은 상기 제1 경사면(210)을 타고 보조탱크(200) 하부로 흘러내려오게 되고, 공기 중에 섞여 있을 수 있는 오물 수분은 상기 제2 경사면(220)을 통해 2차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공기만이 상기 제2 순환배관(150)을 통해 흐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순환배관(100)을 통해 보조탱크(200)로 유입되는 것은 수거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함께 수거탱크(10) 상부의 플로트 밸브(16)를 통해 흘러넘친 오물이나 거품이 포함된다. 상기 오물이나 거품은 제1 순환배관(100)을 타고 흘러내려오면서 거품상태를 유지하거나, 액체로 변화된 상태로 제1 순환배관(100)을 흘러내려갈 것이다. 나아가 오물 액체가 혼합된 공기가 흘러내려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탱크(200)로는 공기, 오물 거품, 및 오물 액체가 혼합된 공기가 유입될 것이며, 상기 제1 경사면(210) 및 제2 경사면(220)은 보조탱크(200)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 거품 및 오물 액체가 혼합된 공기의 1차 및 2차 차단막 역할을 하여 제2 순환배관(150)으로 흐르는 공기 중에 오물이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은 수위 체크센서(300) 및 밸브(4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위체크센서(300)는 상기 보조탱크(200)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 거품의 수위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위체크센서(300)는 보조탱크(200)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의 수위를 체크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위체크센서를 채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일예로 두 전극을 이용하여 액체의 높이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을 체크하는 레벨센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의 설치위치는 채택되는 센서 종류에 따라 보조탱크(20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보조탱크(200) 외벽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의 오물 수위 체크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달리 설정될 것이다.
상기 밸브(400)는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순환배관(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400)는 상기 제1 순환배관(100)에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거탱크(10)의 상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400)로는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제1 순환배관(1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에어)밸브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수위체크센서(300) 측정 결과에 따라 연동되어 자동으로 상기 제1 순환배관(1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400)는 상기 전자(에어)밸브 이외에도 버터플라이 밸브를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밸브(400)를 버터플라이 밸브로 채택할 경우 버터플라이 밸브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모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모터(500)를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수위체크센서(300)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연동되어 자동으로 상기 모터(500)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5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가 동작하여 제1 순환배관(100)의 개폐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밸브(400)의 경우 상기와 같이 버터플라이 밸브를 채택할 수도 있고, 모터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자동버터플라이 밸브를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밸브(400)는 상기 수위체크센서(300)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제1 순환배관(100)의 개폐를 제어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밸브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은 컨트롤러(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위체크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 따라 회로적으로 연결된 상기 밸브(400) 또는 모터(500)를 구동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컨트롤러(600)를 이용하여 모터(500)에 의한 상기 밸브(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의 동 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흡입/배출밸브(20)를 제어하여 수거탱크(10)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오물과 함께 수거탱크(10) 내부에 오물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오물 거품은 수거탱크(10) 내부의 오물 수위가 높아짐과 동시에 오물 수위가 수거탱크(10) 상부에 형성된 플로트 밸브(16)의 높이까지 근접하게 되면, 오물 거품이 상기 플로트 밸브(16)를 통해 제1 순환배관(100)으로 넘쳐흐르게 된다.
상기 제1 순환배관(100)으로 넘쳐흐른 오물 거품은 제1 순환배관(100)을 타고 보조탱크(200)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저장된 오물 거품의 수위를 보조탱크(200)에 설치된 수위체크센서(300)에서 체크하여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오물 수위가 높아질 경우 자동으로 제1 순환배관(100)에 형성된 밸브(400)를 제어하여 더 이상의 오물이나 거품이 보조탱크(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물이나 거품이 진공펌프(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써, 오물이나 거품에 의한 진공펌프(70)의 손상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오물수거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오물수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오물수거차량의 오물 흡입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이 적용 된 오물수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수거탱크 100 : 제1 순환배관
150 : 제2 순환배관 200 : 보조탱크
300 : 수위체크센서 400 : 밸브
500 : 모터

Claims (6)

  1. 수거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수거탱크 상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순환배관;
    상기 수거탱크 상부를 통해 넘쳐 상기 제1 순환배관으로 흐르는 오물 거품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1 순환배관의 타측과 연결되는 보조탱크;
    상기 보조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오물이나 거품의 수위를 체크하는 수위체크센서;
    상기 수위체크센서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순환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거탱크의 상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밸브; 및
    일측이 상기 보조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사방밸브와 연결되는 제2 순환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공기 중에 오물이 혼합되어 상기 제2 순환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탱크의 내부 상부에 상기 제1 순환배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순환배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고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전자(에어)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체크센서의 수위 측정 결과와 연동되어 상기 전자(에어)밸브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버터플라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체크센서의 수위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가 제1 순환배관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버터플라이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KR1020090059055A 2009-06-30 2009-06-30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KR10094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055A KR100941871B1 (ko) 2009-06-30 2009-06-30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055A KR100941871B1 (ko) 2009-06-30 2009-06-30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871B1 true KR100941871B1 (ko) 2010-02-11

Family

ID=4208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055A KR100941871B1 (ko) 2009-06-30 2009-06-30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8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29B1 (ko) * 2011-07-13 2014-03-03 주식회사 포스코 포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집 방법
RU213035U1 (ru) * 2021-12-16 2022-08-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втомобильная цистерна для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двумя нижними и одним верхним оптическими датчиками
JP7467015B2 (ja) 2021-03-30 2024-04-1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吸引車および吸引車の吸引装置を制御す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575A (ja) 1996-09-27 1998-04-21 Suikan Giken:Kk 糞尿汲取車
JPH10332888A (ja) 1997-05-29 1998-12-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貯槽の浮上物分離装置
US6505470B1 (en) 2002-02-28 2003-01-14 Chart Inc. System for detecting overflow of a tank
KR100504584B1 (ko) 2000-12-14 2005-08-0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폐수의 부유물질 자동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575A (ja) 1996-09-27 1998-04-21 Suikan Giken:Kk 糞尿汲取車
JPH10332888A (ja) 1997-05-29 1998-12-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貯槽の浮上物分離装置
KR100504584B1 (ko) 2000-12-14 2005-08-0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폐수의 부유물질 자동 제거 장치
US6505470B1 (en) 2002-02-28 2003-01-14 Chart Inc. System for detecting overflow of a ta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29B1 (ko) * 2011-07-13 2014-03-03 주식회사 포스코 포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집 방법
JP7467015B2 (ja) 2021-03-30 2024-04-1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吸引車および吸引車の吸引装置を制御する方法
RU213035U1 (ru) * 2021-12-16 2022-08-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втомобильная цистерна для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двумя нижними и одним верхним оптическими датчикам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2365033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22110798A1 (zh) 一种含有高效冲洗门的雨水调蓄池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941871B1 (ko) 오물 수거탱크의 오물 넘침 방지시스템
CN106186443A (zh) 含油废水一体化处理装置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JP2013144278A (ja) 移床式砂ろ過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05636892U (zh) 基于混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KR101397569B1 (ko) 분뇨 및 오물수거용 버큠로리 탱크의 진공펌프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한 오물 수거 시스템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JP3983712B2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CN205637027U (zh) 基于合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CN107606376A (zh) 一种曝气管路冷凝水或泄漏水自动排水装置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CN105649142A (zh) 基于混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CN105714912A (zh) 一种分流制的雨水分流、调蓄及处理系统
KR101106551B1 (ko) 바닥 부분 오니 세척 지원 우수 처리 시스템
JP6451925B2 (ja) 災害用循環式水洗トイレシステム
KR20140065986A (ko) 펌프 게이트 장치
JP3234208B2 (ja) 雨水溜槽
KR101644963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CN219430423U (zh) 一种市政道路下水结构
CN210369277U (zh) 污水提升箱双泵复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