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63B1 -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63B1
KR101644963B1 KR1020140027796A KR20140027796A KR101644963B1 KR 101644963 B1 KR101644963 B1 KR 101644963B1 KR 1020140027796 A KR1020140027796 A KR 1020140027796A KR 20140027796 A KR20140027796 A KR 20140027796A KR 101644963 B1 KR101644963 B1 KR 10164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flow
unit
section
rai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801A (ko
Inventor
김봉균
박준석
장준영
고재웅
이명훈
이준헌
Original Assignee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주식회사 준수이앤텍,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filed Critical 동산콘크리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2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6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30Devices providing a sequential discharge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Abstract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를 유입 받을 수 있는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하천수 유입부(B)를 포함하고,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 또는 상기 하천수 유입부(B)로부터 유출되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 또는 하천수를 유입 받아 처리하기 위해서, 전처리부(C, D, E), 저류부(F), 및 수질 정화부(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강우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를 유입받아 저류 및 정화처리 하고,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를 유입받지 않도록 폐쇄되며, 비강우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폐쇄되고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오염된 하천수를 유입받아 정화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Systems and methods of versatile ecological water storage and linked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또는 현재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저류기술의 대부분은 강우시 강우유출수나 CSOs의 일정량을 저류시설에 일시 저장 후, 비강우시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하천의 경우 비 강우시 유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상류로 펌핑하여 유지용수를 확보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한편, 기존 저류시설은 초기우수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계획된 설정 저류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그 이상의 발생량에 대한 대응이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우유출수나 CSOs를 발생원에서 저류후 적정처리후, 직접 수계에 방류함으로써, 하천 본래 기능인 이,치수 기능 및 생태계를 보호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하수처리장에 가중되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류조 및 저류조에 포함된 정화시설은 비강우시 오염된 하천수를 직접 정화하여 방류수역에 방류함으로써, 강우시 뿐만 아니라 청천시에도 시설의 유휴없이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설의 설치효과와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를 유입 받을 수 있는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하천수 유입부(B)를 포함하고,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 또는 상기 하천수 유입부(B)로부터 유출되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 또는 하천수-이하, '원수'라고 함-를 유입 받아 처리하기 위해서, 전처리부(C, D, E), 저류부(F), 및 수질 정화부(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강우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를 유입받고,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를 유입받지 않도록 폐쇄되며,
비강우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폐쇄되고 상기 하천수 유입부는 하천수를 유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C, D, E)는, 침사부(C), 스크린부(D), 및 분배부(E)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E)는, 침사부 및 스크린부(D)에 의해 처리된 원수를 유입받아 저류부(F) 또는 수질 정화부(G)로 분배하며,
상기 분배부(E)는, 강우시에는 전처리부(C, D, E)에서 유출되는 원수를 저류부(F)로 분배하고, 비강우시에는 전처리부(C, D, E)에서 유출되는 원수를 수질 정화부(G)로 분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배부(E)는, 침사부 및 스크린부(D)에 의해 처리된 원수를 유입받아 분배하는 분배조, 분배조에 설치되어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측정부, 수질 정화부(G)로의 원수 유입을 제어하는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및 저류부(F)로의 원수 유입을 제어하는 저류부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원수의 수질이 하천으로 방류가 가능한 수질인 경우, 상기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와 상기 저류부 유입조절장치는 각각 폐쇄되며, 상기 분배조에 유입된 원수는 상기 수질 정화부나 상기 저류부가 아닌 우회배관을 통해서 방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원수의 수량이 상기 수질 정화부(G)나 상기 저류부(F)의 처리 용량을 넘는 경우, 초과되는 수량은 우회배관을 통해서 방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류부(F)는 저류조, 이송펌프, 슬러지 호퍼, 슬러지 이송펌프, 세척장치, 수위계를 포함하며, 분배부(E)의 저류부 유입조절장치를 통해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저류조내에서 고형물이 침전되어 천천히 이동하다가, 수질 정화부(G)로 자연유하로 월류된다. 저류부(F)를 통해서 이동하는 강우유출수로부터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호퍼에 일시 저장될 수 있으며, 슬러지 이송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질 정화부(G)는 제1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제1 수질 정화부는 저류부(F)로부터 고형물이 1차 침전된 강우 유출수를 유입받거나, 또는 분배부(E)로부터 하천수 또는 소정 범위이하 농도의 강우 유출수를 유입받아서 정화하며, 제2 수질 정화부 역시 하천수 또는 강우 유출수를 고도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수질 정화부로부터 유입받아서 정화하는 것일 수 있다.
강우종료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모두 패쇄되고, 상기 저류부(F)에 설치된 이송펌프는 상기 저류부(F)가 저장하던 원수를 상기 수질 정화부(G)로 이송 시키며, 상기 저류부(F)에 설치된 슬러지 이송펌프는 상기 저류부(F)에 축적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류부(F)가 세척이 완료되면, 저류부(F)는 비워진 상태로 후속 강우유출수 또는 CSOs의 발생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질 정화부(G)는 제1 수질 정화부와 제2 수질 정화부를 포함하며,
비강우시에, 상기 분배부(E)로부터 상기 수질 정화부(G)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 수질 정화부와 상기 제2 수질 정화부를 모두 거치는 것일 수 있다.
강우시에, 상기 분배부(E)로부터 상기 저류부(F)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 수질 정화부는 거치고 상기 제2 수질 정화부는 거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유출수를 유입 받을 수 있고 강우유출수 유입조 내의 토사퇴적 및/또는 후속공정으로 원수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 및/또는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를 유입받을 수 있고 토사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 및/또는 후속공정으로 원수의 유입을 막을수 있는 하천수 유입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침사부와 스크린부의 하부에는 배수용 드레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사부로 유입된 원수의 상등수-상층부에 존재하는 원수-는 스크린부로 유입되고, 상기 침사부에 유입된 원수중 스크린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원수는 상기 배수용 드레인으로 유입되며, 상기 스크린부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스크린부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용 드레인으로 유입되며, 상기 배수용 드레인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분배부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침사부(C)는 침사조, 침사받이, 및 배수용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용 드레인은 메쉬, 메쉬 상부에 적층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를 상기 배수용 드레인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수용 드레인에는, 상기 스크린부를 통해서 원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질 정화부는, 제1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며, 강우시에, 상기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는 폐쇄되고, 상기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는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비강우시에, 상기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는 개방되고, 상기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는 패쇄된 것일 수 있다.
수변지역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치하면, 저류조 내에 일정 유량이상 저류시, 곧바로 저류시설에 포함된 정화시설을 통하여 정화 후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운영하므로,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성 호우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도심지 침수예방에 따른 우수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저류용량 이상의 저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저류조에 포함된 정화시설은 비강우시 오염된 하천수를 직접 정화하여 방류수역에 방류함으로써, 강우시 뿐만 아니라 청천시에도 시설의 유휴없이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설의 설치효과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 유출수 유입부와 하천수 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류부와 수질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 종료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비강우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방류가능한 수질이 유입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소정 농도 이하의 저농도의 수질이 유입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위(또는 아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하부(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용어의 정의
본원 명세서에서, '강우 유출수'나 'CSOs(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ombined Sewer Overflows))'를 '강우 유출수'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원수'는 '강우 유출수'와 '하천수'를 통칭한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은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 유입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은 전처리부(C, D, E), 저류부(F), 및 수질 정화부(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은,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11) 및/또는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 유출수 유입조(10)와 수위계(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21) 및/또는 하천수 유입조절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 유입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부(C, D, E)는 침사부(C), 스크린부(D), 및 분배부(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침사부(C)와 스크린부(D)의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스크린부(D)가 침사부(C) 보다 먼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사부(C)와 스크린부(D)의 하부에는 배수용 드레인(32)이 설치되어 있고, 침사부(C)로 유입된 원수의 상등수-상층부에 존재하는 원수-는 스크린부(D)로 유입되고, 침사부(C)에 유입된 원수 중 스크린부(D)로 유입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원수는 배수용 드레인(32)으로 유입되며, 스크린부(D)로 유입된 원수는 스크린부에 설치된 스크린(42)을 통과하여 배수용 드레인(32)으로 유입되며, 배수용 드레인(32)으로 유입된 원수는 분배부(E)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사부(C)는 침사조(30), 침사받이(31), 및 배수용 드레인(32)을 포함하며, 배수용 드레인(32)은 메쉬(33), 부직포(34), 및 고정용 브라켓(3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부(D)는 스크린조(40)와 스크린(4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부(F)는 분배조(50),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 측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부(E)는 우회 배관(54)과, 추가적으로(additionally) 연통되어 있을 수 있고, 우회 배관(54)에는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55)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침사부(C)에 설치되는 배수용 드레인(32)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침사받이(31)의 하부에는 배수용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용 드레인(32)은, 침사 받이(31)의 하부에 위치되며, 특히 배수용 구멍(36)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용 드레인(32)은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배수용 드레인(32)의 상부에는 메쉬(33), 부직포(34)가 적층되며, 부직포(34)는 고정용 브라켓(35)에 의해 배수용 드레인(32)에 고정된다. 배수용 드레인(32)에는, 또한, 스크린부(D)와 연통되는 스크린 취부(41)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부(D)의 스크린(42)을 통과한 강우 유출수 또는 하천수는 스크린 취부(41)를 통해서 배수용 드레인(32)으로 유입되고, 이후 분배부(E)로 이동된다. 또한, 침사부(C)에서 부직포(34)에 의해 필터링된 강우 유출수 또는 하천수는, 배수용 드레인(32)을 통해서 분배부(E)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부(E)는, 분배조(50),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 및 측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조(50)에는 수위, 유량,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53)가 설치될 수 있다. 측정부(53)의 측정결과는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으로 전송되며, 그러한 측정결과, 원수의 종류, 및 저류조(50)의 저장 수위 등에 기초하여 분배조(50)에 유입된 원수는 저류부(F) 또는 수질 정화부(G) 또는 우회배관(54)으로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측정부(53)의 측정결과가 유량이 너무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분배조(50)에 유입되는 원수의 초과량을 우회배관(54)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류부(F)는 저류조(60), 이송펌프(61), 슬러지 호퍼(62), 슬러지 이송펌프(63), 세척장치(64), 수위계(65)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부(E)의 저류부유입조절장치(51)를 통해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저류조(60)내에서 고형물이 침전되며 천천히 이동하다가, 수질 정화부(G)로 자연유하로 월류된다. 저류조(60)를 통해서 이동하는 강우유출수로부터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호퍼(62)에 일시 저장될 수 있으며, 슬러지 이송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 정화부(G)는 제1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질 정화부는 저류부(F)로부터 고형물이 1차 침전된 강우 유출수를 유입받거나, 또는 분배부(E)로부터 하천수 또는 소정 범위이하 농도의 강우 유출수를 유입받아서 정화하며, 이를 위해서 에어리프트 펌프(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질 정화부 역시 하천수 또는 강우 유출수를 고도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수질 정화부로부터 유입받아서 정화하며, 이를 위해서 에어리프트 펌프(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는 제1 수질 정화부로부터 유출되는 하천수 또는 강우 유출수가 제2 수질 정화부로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는 장치이고,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72)는 제1 수질 정화부로부터 유출되는 하천수 또는 강우 유출수가 처리수 피트(73)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운전 제어 시스템(80)은, 수위계들(13, 65)과 같이 각종 센서들로부터 측정결과를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여, 강우 유출수 유입부(A), 하천수 유입부(B), 분배부(E), 수질 정화부(G)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자동운전 제어 시스템(80)은, 강우시에는 강우 유출수가 침사부(C)로 유입되도록 하고, 비강우시에는 하천수가 침사부(C)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 시스템(80)은, 분배부(E)(구체적으로는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와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를 제어하여, 강우 유출수는 저류부(F)로 유입되도록 하고 하천수는 수질정화부(G)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 시스템(80)은,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와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72)를 제어하여, 제1 수질 정화부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제2 수질 정화부 또는 처리수 피트로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같이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구로부터 강우 유출수 또는 하천에 흐르는 하천수를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 유입부(B)로 유입되도록 배치하였다. 이들 유입부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배치되거나, 다르게는 현장조건에 따라서 한 개의 유입부로 통합하여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우시, 비강우시 또는 토구 오염수 발생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강우 유출수 유입부(A) 전단에 설치된 수위계(13)에 의해 측정결과가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으로 제공되면,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이 강우 유출수 유입부(A)의 개폐여부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은 비강우시에는, 강우 유출수 유입부(A)를 폐쇄하고 하천수 유입부(B)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유입부들(A, B)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선택하여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유입수의 처리 및 내부 청소 등의 관리 업무 수행시 유입수의 유입을 통제하여, 용이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게 한다.
강우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 유입부(B)의 개폐 수단은 예를 들면 수문이나 밸브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강우유출수 유입부(A)의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11)나 하천수 유입부(B)의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21)은 하천 수질 정화 장치의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장치(20-0223380)에 개시된 스크린겸용 토사 방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강우유출수 유입부(A)의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12)나 하천수 유입부(B)의 하천수 유입조절장치(22)로는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시설의 저류조 유입수로 및 배수로 개폐 시스템(10-0299334)에 개시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사부(C)에서는 침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침사 받이(31)를 침사지(30) 저부에 설치하고, 침사받이(31) 하부에는 저장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용구멍(36)을 뚫고, 그 하부에 배수용 드레인(32)을 설치하여, 유지관리 및 청소등 침사제거시, 수분중량으로 인한 청소의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하여, 포집된 침사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때 침사받이(31) 하부에는 고정용브라켓(35), 부직포(34), 메쉬(33)의 순서로 설치하여, 침사받이(31)에 포집된 침사들이 배수용 드레인(32)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D)에서는 스크린조(40)의 내부도 조 바닥에 별도의 드레인이 가능하도록 배수용 드레인(32)을 연장하여 설치하거나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 조건에 따라 두가지 조를 하나의 조로 병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강우시 전 처리공정(예를 들면, 침사부 및 스크린부에 의한 전처리 공정)이 완료된 강우 유출수를, 강우유출수 유입부(A)의 개폐와 같이 연동되어 개폐되는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를 통하여 저류조(60)로 유입시키고, 강우가 지속되어 강우 유출수가 소정 농도 이하로 저감되는 경우 수질 정화부(G)로 직접유입 될 수 있도록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를 폐쇄하고,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를 개방한다(도 12를 참조).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유입부들(A, B)로 과량의 유입수가 유입시, 분배조(50)에 설치된 우회배관(54)을 통하여 정화용량이 초과된 유입수가 배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분배조(50)내에 설치된 측정부(53)에 의해 직접 방류 가능한 수질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와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를 모두 패쇄하고, 우회배관(54)을 통해서 바로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할 수 있다(도 11을 참조).
일 실시예에서, 저류조(60)로 이송된 원수는 저류조(60)내에서 일시 저류 및 침전되며, 저류조(60)에 존재하는 상등수-상층부에 존재하는 원수-는 수질 정화부(G)로 이송된 후 정화되어 방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류조(60)내에 설정된 일정수위를 초과하여 원수가 유입되면 자연유하로 수질 정화부(G)로 이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강우 종료시에는 일정시간 경과 후 저류조(60)에 잔류하고 있는 저류수를 이송펌프(61)를 이용하여 수질 정화부(G)로 유입시켜 처리한다. 이때 자동운전제어시스템(80)은 토사방지스크린들(11,21) 및/또는 유입조절장치들(12,22)을 폐쇄하여 원수의 유입을 제한할 수 있으며, 슬러지호퍼(62)에 축적된 침전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슬러지 이송펌프(63)를 제어하여 간헐적으로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류조(60)에 존재하는 상등수가 수질 정화부(G)로 이송이 완료되고 슬러지호퍼에 축적된 침전슬러지의 이송이 완료되면, 자동운전제어시스템(80)은 저류조(60) 바닥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장치(64)를 동작시켜 저류조(60)를 세척함으로써, 저류조(60) 내부가 청결한 상태로 비워질 수 있도록 하여, 후속 강우에 대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세척장치(64)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설비의 적용도 가능하며, 소정의 청소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면 족하다.
일 실시예에서, 저류조(60)에서 이송된 저류수 또는 비강우시 유입시키는 오염된 하천수는 수질 정화부(G)로 유입되며, 수질 정화부(G)는 다양한 여재를 충전하여 여과에 의한 SS 저감 효과와 미생물에 의한 BOD 저감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질 정화부(G)의 일례를 설명하면, 수질 정화부(G)는 예를 들면 2단계의 시설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단계 시설(제1수질정화부)은 고농도의 강우유출수의 처리시 소정의 정화효율(간이처리)을 기대하기 위하여 운전하며, 2단계 시설(제2수질정화부)은 저농도의 오염하천수등을 보다 고효율로 처리하고자 할 때 운전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2단계시설(제2수질정화부)로의 유입제어는 각종 밸브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특허 역간 접촉산화법에 의한 하천 수질 정화 시설의 저류조 유입수로 및 배수로 개폐 시스템(10-0299334)에 개시된 기술은 2단계시설(제2수질정화부)로의 유입제어 밸브로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 정화부(G)의 1단계 정화시설(제1수질정화부)은 비교적 큰 입경의 여재(직경 30mm이상)를 충진하여, 고농도의 유입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고, 여재의 폐색 및 역세의 주기를 연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적용 가능한 여재는 충분한 하중에 견딜 수 있고, 30%정도 이상의 공극율을 갖을 수 있는 재료이면 가능하며, 자갈, 쇄석 또는 황토, 플라스틱계통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가능 하다. 또한 1단계 정화시설(제1수질정화부)은 조를 2개 이상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여, 각각 다른 종류의 여재를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며, 입경의 분포를 다르게 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단의 조에 보다 큰 입경의 여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 정화부(G)의 2단계 정화시설(제2수질정화부)은 비교적 작은 입경의 여재(직경 30mm이하)를 충진하여, 오염된 하천수 또는 저농도의 강우유출수에 대하여 고효율의 처리효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입수는 1단계시설(제1수질정화부)을 통과하여 2단계시설(제1수질정화부)로 유입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적용가능한 여재는 상기 여재의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부상성 여재를 이용하여 상향류로 시설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 정화부(G)의 1단계 정화시설(제1수질정화부)을 경과한 고농도 강우유출수는 처리수피트 유입조절장치(72)를 통하여 처리수피트(73)로 자연유하로 이송되며, 2단계시설(제2수질정화부)을 경과한 오염된 하천수 또는 저농도의 강우유출수등은 처리수 피트(73)로 자연유하로 이송되어, 하천으로 방류되거나, 재이용수로서 공급 또는 후속되는 연계처리시설이 있는 경우, 그 시설로 이송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장치들에 대한 동작은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링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수위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유입부(A, B)와 유량과 수질에 대응하여 분배조(50)에 설치된 수문, 밸브등(예,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강우유출수와 하천수를 선택적으로 저류조(60) 또는 수질 정화부(G)로 선택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분배조(50)에 설치된 수질 측정부(53)에서 측정되는 실시간의 수질 정보를 수신 받아 분석한 후, 소정 범위 이하의 저농도 경우에는 수질 정화부(G)로 직접 유입시키고, 방류가능 수질이 되면 하천으로 방류하는 것과 같이 실시간 제어 동작을 함으로써,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저류조(60)내에 설치된 수위계(65)등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그 측정 결과에 따라서 저류조(60)내의 슬러지이송펌프(63) 및 수질 정화부(G)로 원수를 이송하는 이송펌프(6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수질 정화부(G)에 설치된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측정부(74)의 측정결과를 수신하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서 수질 정화부(G)의 폭기 시간을 조정하며, 상향류식으로 정화하는 경우, 차압계(75)에 의해 설정차압에 도달시 역세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타이머 설정에 의해 소정시간 운전 후 역세 동작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를 폐쇄하여 역세수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 정화부(G)를 1단계시설(제1수질정화부) 및 2단계시설(제2수질정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운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2단계 시설(제2수질정화부)의 역세를 수행하는 경우, 1단계 시설(제1수질정화부)은 정상운전이 되도록 하고, 제2 수질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를 차단한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각 장치들(예를 들면 조절장치들이나 펌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 정화부(G)를 1단계시설(제1수질정화부) 및 2단계시설(제1수질정화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운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1단계시설(제1수질정화부) 및 2단계 시설(제1수질정화부) 모두 하부에 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하여, 유입수를 정화하는 경우(정상운전),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수질 정화부(G)에 구비된 용존산소 측정부(74)의 측정결과-용존산소의 농도-를 수신하고, 그 측정결과 용존산소의 농도가 설정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송풍기(미도시)를 작동시켜 폭기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폭기 강도는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이 탈리되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이 지속적인 운전을 통하여, 소정의 시간 또는 구비된 차압계(75)에서 소정의 압력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역세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은 역세시(청소운전)는 폭기강도를 충분히 강하게 하여 여재에 부착된 슬러지가 충분히 탈리 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각 조별로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중 일부 구역에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폭기강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역세의 기본 조작은 운전기간동안 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에어리프트 펌프(76)나, 펌프등을 통하여 외부로 반출 한 후, 역세용 공기를 약 5분정도 공급한 후 10~30분 정도 침전을 시킨 후, 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반출하는 동작을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소정의 정화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은 자동운전 제어시스템(80)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역세의 주기가 장기간이 되는 경우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유지관리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안을 통하여 종래의 저류시설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개선하고, 각각의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운영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의 부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강우시, 강우종료시, 또는 비강우시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강우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강우시 토구를 통하여 강우유출수가 발생되는 경우 유입부(A) 전단에 설치된 수위계(13)에 의하여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이 이를 인식하여 강우 유출수 유입부(A)에 설치된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11)와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12)를 개방하고 하천수 유입부(B)는 폐쇄시킨다(즉,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21)와 하천수 유입조절장치(22)를 폐쇄). 이로써, 토구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저류부(F) 및 수질정화부(G)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동작 중 강우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어 관련규정 등에서 정하고 있는 방류가능 농도가 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분배부(E)에 설치된 측정부(74)에서 수질이 계측되게 되어 자동제어 시스템(80)에서 이를 인식하며, 강우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어 토구에서 본 발명의 시설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이 관련규정 등에서 정하고 있는 방류가능 농도가 되는 경우,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 및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를 모두 폐쇄하여 전처리를 거친 후 우회배관(54)을 통화여 하천으로 바로 방류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시 동작 중 강우시간이 일정 시간 지속되어 소정범위 이하의 농도가 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분배부(E)에 설치된 측정부(74)에서 수질이 계측되게 되어 자동제어 시스템(80)에서 이를 인식하며, 강우가 일정시간 지속되어 토구에서 본 발명의 시설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이 소정범위 이하의 농도가 되는 경우, 저류에 의한 침전효과가 미미하게 되며, 이 경우 분배부(E)의 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을 폐쇄하고,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를 개방하여, 오염수를 바로 수질정화부(G)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강우 종료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강우 종료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서는, 강우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저류조(60)에 저장된 저류수를 정화하는 동작을 하는데, 이 경우는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 유입부(B)를 모두 차단(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이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11),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12),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21)와 하천수 유입조절장치(22)를 폐쇄함)하여 강우 유출수나 하천수가 저류조(60)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은 펌프(61)를 동작시켜 저류조(60)에 저장된 저류수가 소정수위로 비워질 때까지 수질 정화부(G)로 이송시킨다. 이후 슬러지호퍼(62)에 설치된 슬러지 이송펌프(63)를 가동하여 호퍼내의 슬러지를 외부로 반출한다. 수질 정화부(G)로 이송된 저류수는 수질 정화부(G)에 의해 정화된다. 또한, 자동운전제어시스템(80)은 저류조(60) 바닥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장치(64)를 동작시켜 저류조(60)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제1 수질 정화부를 통과한 저류수는 제2 수질 정화부로 가지 않고, 처리수 피트(73)로 유출시키도록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제2 수질 정화부를 통과하도록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은, 제2 수질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는 폐쇄시키고 처리수피트 유입조절장치(72)는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수질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는 개방시키고 처리수피트 유입조절장치(72)를 폐쇄시키는 방식으로도 동작이 가능하다.
비강우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비강우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서, 비강우가 지속되는 경우,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은 하천수 유입부(B)를 개방(즉,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21)와 하천수 유입조절장치(22)를 개방)한다.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은, 또한 분배부(E)에서 정화부 유입장치(52)를 개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저류조(60)를 거치지 않고 수질 정화부(G)로 바로 유입시켜 하천수를 정화한 후 수계로 방류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하천수 유입부(B)를 통해서 유입된 하천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서 분배부(E)에 의해 수질정화부(G)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에서 전처리는 일반적인 하수처리공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스크린 및 침사의 기능을 갖춘 초기우수 처리시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침사부(C)와 스크린부(D)로 구현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은, 침사부(C)와 스크린부(D)에 의해 전 처리된 하천수를 분배조(50)에서 정화부 유입조절장치(52)를 개방하여(저류부 유입조절장치(51)는 폐쇄한다), 수질정화부(G)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2수질정화부 유입조절장치(71)를 개방(처리수피트 유입조절장치(72)는 폐쇄한다) 하여 하천수가 제2수질 정화시설을 경과하도록 하여 2단계의 고효율 처리가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방법은,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이, 강우시에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를 강우 유출수 유입부가 유입 받도록 하는 단계, 비강우시에는 하천수 유입부가 하천수를 유입받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방법은, 또한, 강우종료시, 자동운전제어 시스템(80)이, 강우 유출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 하천수 어떤 것도 유입받지 않도록 하는 단계; 저류조를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 강우유출수 유입부 B: 하천수 유입부
C: 침사부 D: 스크린부
E: 분배부 F: 저류부
G: 수질정화부 10 : 강우 유출수 유입조
60 : 저류조 11 :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
61 : 이송펌프 12 :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
62 : 슬러지호퍼 13 : 수위계
63 : 슬러지 이송펌프 64 : 세척장치
20 : 하천수 유입부 65 : 수위계
21 :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 22 : 하천수 유입조절장치
30 : 침사지 72 : 처리수피트 유입조절장치
31 : 침사받이 73 : 처리수피트
32 : 배수용 드레인 74 : 측정부
33 : 메쉬 75 : 차압계
34 : 부직포 76 : 에어리프트 펌프
35 : 고정용 브라켓 36 : 배수용 구멍
80 : 자동운전 제어시스템 40 : 스크린조
41 : 스크린 취부 42 : 스크린
50 : 분배조 51 : 저류부 유입조절장치
52 :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53 : 측정부
54 : 우회배관 55 : 역지밸브
70 : 수질정화시설 71 : 제2 수질정화부 유입조절장치

Claims (15)

  1.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를 유입 받을 수 있는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하천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하천수 유입부(B)를 포함하고,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 또는 상기 하천수 유입부(B)로부터 유출되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CSOs) 또는 하천수-이하, '원수'라고 함-를 유입 받아 처리하기 위해서, 전처리부(C, D, E), 저류부(F), 및 수질 정화부(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강우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 유출수 또는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를 유입받고,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를 유입받지 않도록 폐쇄되며,
    비강우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폐쇄되고 상기 하천수 유입부는 하천수를 유입받으며,
    상기 전처리부(C, D, E)는, 침사부(C), 스크린부(D), 및 분배부(E)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E)는 침사부(C) 및 스크린부(D)에 의해 처리된 원수를 유입받아 저류부(F) 또는 수질 정화부(G)로 분배하며, 상기 분배부(E)는 강우시에는 전처리부(C, D, E)에서 유출되는 원수를 저류부(F)로 분배하고, 비강우시에는 전처리부(C, D, E)에서 유출되는 원수를 수질 정화부(G)로 분배하며,
    상기 분배부(E)는, 침사부(C) 및 스크린부(D)에 의해 처리된 원수를 유입받아 저장하는 분배조, 분배조에 설치되어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측정부, 수질 정화부(G)로의 원수 유입을 조절하는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및 저류부(F)로의 원수 유입을 조절하는 저류부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원수의 수질이 하천으로 방류가 가능한 수질인 경우, 상기 정화부 유입조절장치와 상기 저류부 유입조절장치는 각각 폐쇄되며, 상기 분배조에 유입된 원수는 상기 수질 정화부나 상기 저류부가 아닌 우회배관을 통해서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F)는 저류조, 이송펌프, 슬러지 호퍼, 슬러지 이송펌프, 세척장치, 수위계를 포함하며, 분배부(E)의 저류부 유입조절장치를 통해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저류조내에서 고형물이 침전되도록 천천히 이동하다가, 상기 수질 정화부(G)로 자연유하로 월류되고, 상기 저류부(F)를 통해서 이동하는 강우 유출수로부터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호퍼에 일시 저장될 수 있고, 일시 저장된 슬러지는 슬러지 이송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강우종료시에,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와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모두 패쇄되고, 상기 저류부(F)에 설치된 이송펌프는 상기 저류부(F)가 저장하던 원수를 상기 수질 정화부(G)로 이송 시키며, 상기 저류부(F)에 설치된 슬러지 이송펌프는 상기 저류부(F)에 축적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부(G)는 제1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제1 수질 정화부는 저류부(F)로부터 고형물이 1차 침전된 강우 유출수를 유입받거나, 또는 분배부(E)로부터 하천수 또는 소정 범위이하 농도의 강우 유출수를 유입받아서 정화하며,
    제2 수질 정화부는 하천수 또는 강우 유출수를 고도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수질 정화부로부터 유입받아서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부는 제1 수질 정화부와 제2 수질 정화부를 포함하며,
    비강우시에, 상기 분배부(E)로부터 상기 수질 정화부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 수질 정화부와 상기 제2 수질 정화부를 모두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강우시에, 상기 분배부(E)로부터 상기 저류부(F)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 수질 정화부는 거치고 상기 제2 수질 정화부는 거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 유출수 유입부(A)는 강우 유출수 토사방지스크린(11)과 강우 유출수 유입조절장치(12) 중 적어도 하나와, 강우 유출수 유입조(10)와 수위계(13)를 포함하며,
    상기 하천수 유입부(B)는, 하천수 토사방지스크린과 하천수 유입조절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하천수 유입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부와 스크린부의 하부에는 배수용 드레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사부로 유입된 원수의 상등수-상층부에 존재하는 원수-는 스크린부로 유입되고, 상기 침사부에 유입된 원수중 스크린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잔류하는 원수는 상기 배수용 드레인으로 유입되며,
    상기 스크린부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스크린부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용 드레인으로 유입되며,
    상기 배수용 드레인으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분배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부(C)는 침사조, 침사받이, 및 배수용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용 드레인은 메쉬, 메쉬 상부에 적층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부를 상기 배수용 드레인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드레인에는, 상기 스크린부를 통해서 원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정화부는, 제1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를 포함하며,
    강우시에, 상기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는 폐쇄되고, 상기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는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비강우시에, 상기 제2 수질 정화부 유입조절장치는 개방되고, 상기 처리수 피트 유입조절장치는 패쇄된 것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
KR1020140027796A 2014-03-10 2014-03-10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796A KR101644963B1 (ko) 2014-03-10 2014-03-10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796A KR101644963B1 (ko) 2014-03-10 2014-03-10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801A KR20150105801A (ko) 2015-09-18
KR101644963B1 true KR101644963B1 (ko) 2016-08-03

Family

ID=5424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796A KR101644963B1 (ko) 2014-03-10 2014-03-10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507B1 (ko) 2015-09-18 2018-01-18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자동세척 스크린과 식물정화장치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생활하수나 공정폐수가 유입되는 오염하천정화를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835B1 (ko) * 2011-06-20 2011-12-16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KR101300070B1 (ko) *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90B1 (ko) * 2006-07-06 2009-07-13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저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835B1 (ko) * 2011-06-20 2011-12-16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KR101300070B1 (ko) * 2013-01-29 2013-08-30 녹스 코리아(주) 비점오염저감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507B1 (ko) 2015-09-18 2018-01-18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자동세척 스크린과 식물정화장치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생활하수나 공정폐수가 유입되는 오염하천정화를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801A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158B1 (ko) 여과 시스템에서의 고형물 컨디셔닝 시스템 및 방법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741957B1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946554B1 (ko) 용수공급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하수 처리 시설물 및 그 방법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US7238286B2 (en) Combination trickling filter and overflow tank for secondary treatment of wastewater, and associated method of managing wastewater overflow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KR101644963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KR102078387B1 (ko) 섬유상 여과형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608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644965B1 (ko) 유동상 및 고정상 여재를 이용한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6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530970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CA3077317A1 (en) Membrane wastewater treatment of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sanitary sewer overflows
KR10159664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JP2003027533A (ja) 雨水及び浴槽水再利用装置
KR102095891B1 (ko)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