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835B1 -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835B1
KR101095835B1 KR1020110059435A KR20110059435A KR101095835B1 KR 101095835 B1 KR101095835 B1 KR 101095835B1 KR 1020110059435 A KR1020110059435 A KR 1020110059435A KR 20110059435 A KR20110059435 A KR 20110059435A KR 101095835 B1 KR101095835 B1 KR 10109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torage
rainwater
csos
treatmen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이봉희
남기영
박세영
박규홍
오재일
김문호
임윤대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와 함께 지표면 오염물질, 관거내 퇴적물, 미처리된 하수 등이 포함된 오염물을 처리하기 위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수 발생원으로부터 우수토실을 통해서 하수를 받는 침사지; 상기 침사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수를 받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저류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 연결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연결된 연계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 연결되어 하천으로 연결되는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하수를 제1 및 제2 저류조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시켜서 하수 처리후에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 부하 및 유입수 중의 전기전도도 농도값 등을 고려하여 유입수를 다양하게 3가지 운전모드, 즉 일시저류, 연속처리, 선택유입 등으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저류조의 내부에 낙수소음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침사지에는 그 유입측에 스크린이 설치되며, 침사지 위에는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를 위한 탈취설비가 설치되고, 퇴적물제거용 세척설비가 설치되어 쾌적한 하수처리시설을 구축할 수도 있게 된다.

Description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CSOs STORAGE AND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및 초기우수를 저류/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입수를 다양하게 3가지 운전모드, 즉 일시저류, 연속처리 및 선택유입 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의 경우, 건기시에는 보통 발생하수 전량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지만, 강우시에는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하수(우수+오수)는 우수토실 등을 통하여 별도의 처리 없이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소 진보된 종래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은 도 1과 같다.
이와 같은 종래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은 생활하수, 오수 및 우수를 포함하는 하수 발생원(10)으로부터 우수토실(20)을 통해 하수를 받고, 이를 하수처리장(30)의 처리용량 1Q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하수처리장(30)으로 모두 이송하여 하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처리하고, 하천(50)으로 방류한다.
그러나 하수처리장(30)의 처리용량 1Q을 초과하는 용량, 통상적으로는 2Q에 해당하는 초과 하수는 하수처리장(30)과는 별개로 지하에 설치된 저류조(40)를 통하여 일시 저장하였다가 하천(50)으로 방류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에서 처리하는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 Combined Sewer Overflows)(이하, 간단히 하수라 함)에는 우수와 함께 지표면 오염물질, 관거내 퇴적물, 미처리된 하수 등이 함께 유출되며, 인접 수역으로 직접 배출되므로 하천(50)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강우시 발생하는 하수를 처리하는 기술로서 일부지역에서 저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하수처리장(30)의 처리용량 1Q을 초과하는 2Q 용량의 하수를 저류조(40)를 통하여 일시 저장하였다가 하천(50)으로 단순 방류하는 것이어서, 이와 같은 종래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은 저류조(40)에서 아무런 불순물 처리를 하지 못하게 되어 하천(50) 오염이 심각하고, 그에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또한 기존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은 하수를 일정기간 동안, 일시 저류하기 위한 용도로 저류조(40)를 구비한 것이어서, 하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보통 지하에 설치되고, 하수가 높은 낙차를 통하여 유입되어 저류조(40) 주위에서는 상당한 낙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류조(40)에서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저감시켜서 보다 쾌적한 하수처리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필요성도 당 업계에서는 필요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 부하 등을 고려하여 하수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하수처리장으로 연계시켜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류조의 내부에 하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높은 낙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크게 줄여서 쾌적한 하수처리시설을 구축할 수 있고,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가 가능하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개선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와 함께 지표면 오염물질, 관거내 퇴적물, 미처리된 하수 등이 포함된 우수를 함유한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수 발생원으로부터 우수토실을 통해서 하수를 받는 침사지;
상기 침사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수를 받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저류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 연결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연결된 연계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 연결되어 하천으로 연결되는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하수를 제1 및 제2 저류조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시켜 하수 처리후에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 부하 등을 고려하여 하수를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시켜 하수 처리 후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소량의 고농도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하수 및 초기우수에 대해 일시저류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일시저류모드는 제1 및 제2 저류조내에 하수 및 초기우수를 일시저류 후, 연계 배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처리함으로써 고농도의 유입수가 그대로 하천에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다량의 CSOs 하수 및 우수발생시 연속처리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연속처리모드는 상기 하수와 우수를 제1 저류조에 먼저 유입시켜서 일부는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월류되어 제2 저류조로 이동되며, 제2 저류조에서 일부는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고, 그리고 일부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함으로써 제1 및 제2 저류조에서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은 침전되어 오염부하를 줄이도록 구성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갈수기 이후 집중호우시 초기 고농도의 CSOs 하수 및 우수는 선택유입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선택유입모드는 제1 저류조에서 초기 고농도의 하수 및 우수를 일시 저류하여 오염물질 유출을 방지하며, 저농도 고유량은 제2 저류조로 보내 침전 후, 상등수는 배출 배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은 연계 배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각각 그 내부에 낙수소음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낙수소음 방지수단은 측벽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 형성된 계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으로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및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낙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낙수 소음을 줄이고, 상기 계단은 작업자 보수 유지 통로로 사용가능한 합류식 저류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사지는 그 유입측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협잡물등을 제거하고, 상기 침사지 위에는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를 위한 탈취설비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 저류조 내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퇴적물제거용 세척설비가 설치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은 하수 발생원으로부터 우수토실을 통해서 하수를 받는 침사지를 구비하고, 이러한 침사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저류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는 연계 배관이 연결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연결되거나, 배출 배관을 통하여 인근 하천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CSOs 하수 및 우수를 일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 부하 및 우수토실에 설치된 전기전도도 농도 값 등을 고려하여 하수 및 우수를 3가지 동작모드, 즉 일시저류모드, 연속처리모드 또는 선택유입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저류조는 각각 그 내부에 낙수소음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낙수소음 방지수단은 측벽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 형성된 계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으로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및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낙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저류 조의 내부로 하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높은 낙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크게 줄여서 쾌적한 하수처리시설을 구축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침사지는 그 유입측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협잡물등을 제거하고, 상기 침사지 위에는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를 위한 탈취설비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 저류조 내에는 퇴적물제거용 진공세척설비가 설치되어 그 내부를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저류조의 블럭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저류조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에 구비된 낙수소음 방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이 일시저류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블럭 계통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이 일시저류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제1 및 제2 저류조 동작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이 연속처리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블럭 계통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이 연속처리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제1 및 제2 저류조 동작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이 선택유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블럭 계통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하수도 시스템이 선택유입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제1 및 제2 저류조 동작을 설명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00)은 우수와 함께 지표면 오염물질, 관거내 퇴적물, 미처리된 하수 등이 포함된 초기우수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 Combined Sewer Overflows)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00)은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발생원(110)으로부터 우수토실(120)을 통해서 하수를 받는 침사지(130)를 구비하고, 상기 침사지(130)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수를 받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00)은 우수토실(120)로부터 침사지(130) 측으로 연결되는 배관(122)과 나란하게 하수처리장(160)으로 직접 배관(124)을 통해서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저류 시스템(1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의 블록도와 그 전체적인 구조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저류 시스템(1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는 침사지(130)에 일체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그 상부측으로 각각의 공동구(142)가 마련되고, 지하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는 그 사이에 격벽(152)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격벽(152)은 월류벽으로서 사용되어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간에 하수 및 우수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그 각각의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의 출측에는 하수처리장(160)으로 연결된 연계 배관(170)을 구비하고, 하천(180)으로 연결되는 배출 배관(172)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는 각각 그 내부에 낙수소음 방지수단(19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기 낙수소음 방지수단(19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바람직하게는 월류벽을 이루는 격벽(152)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 형성된 계단(19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192)으로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및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낙수소음 방지수단(190)은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낙차(L)를 크게 줄임으로써 낙수 소음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상기 계단(192)은 작업자 보수 유지 통로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침사지(130)는 그 유입측에 스크린(미 도시)이 설치되어 협잡물등을 제거하고, 상기 침사지(130) 위에는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를 위한 탈취설비(132)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내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퇴적물제거용 세척설비가 설치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를 유지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저류 시스템(100)의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는 하수처리장(160)의 처리용량 부하, 유입수 중의 전기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하수를 배출 배관(172)을 통하여 하천(180)으로 방류하거나, 또는 연계 배관(170)을 통하여 하수처리장(160)으로 유입시켜서 하수 처리 후에 하천(180)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현재의 하수처리장(160)의 처리용량 부하를 고려하고, 우수토실(120)에 설치된 전기 전도도계(미 도시)를 통하여 검출된 하수 및 우수 중의 데이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로부터 연계 배관(170)을 통하여 하수처리장(160)으로 하수 및 우수를 유입시켜서 하수 처리 후에 하천(180)으로 방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측으로 소량의 고농도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하수 및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이를 일시저류모드(S1)로 동작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시저류모드(S1)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내에 소량의 고농도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하수 및 초기우수가 유입되면 이를 일시 저류시킨 후, 연계 배관(170)과 펌프(176)를 통하여 하수처리장(160)으로 연계하여 처리하고, 배출 배관(172) 측으로는 유출되지 않도록 밸브(V)들을 조절함으로써 고농도의 하수가 그대로 하천(180)에 방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저류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측으로 저농도 고유량의 CSOs 하수 및 우수가 유입되면 이를 연속처리모드(S2)로 동작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속처리모드(S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의 내부에 다량의 CSOs 하수 및 우수가 유입되면, 이를 제1 저류조(140)에 먼저 유입시켜서 일부는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제1 저류조(140)와 제2 저류조(150)를 구획하는 격벽(152)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월류(overflow)시켜서 제2 저류조(150)로 이동시킨다.
이때, 월류벽의 일측에 마련된 낙수소음 방지수단(190)의 계단(19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낙차(L)를 크게 줄이고, 계단(192)의 경사를 따라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저류조(150)로 이동된 다량의 CSOs 하수 및 우수는 오염 농도가 낮은 그 일부는 배출 배관(172)을 통하여 하천(180)으로 방류하고, 그리고 오염 농도가 높은 그 일부는 연계 배관(170)과 펌프(176)를 통하여 하수처리장(160)으로 연계시켜 처리하며,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에서는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을 침전시켜서 하수처리장(160)의 오염부하를 크게 줄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류식 저류 시스템(100)은 여름철 집중호우시,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측으로 초기 고농도의 CSOs 하수 및 우수가 유입되면 선택유입모드(S3)로 동작하여 이를 처리한다.
이와 같은 선택유입모드(S3)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류조(140)와 제2 저류조(150)를 각각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서, 초기 고농도의 하수 및 우수는 제1 저류조(140)로 유입시켜서 일시 저류하여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저농도 고유량은 제2 저류조(150)로 보내 침전시킨 후, 제1 저류조(140)와 제2 저류조(150)의 상등수는 배출 배관(172)을 통해 하천(180)으로 방류시키고, 오염 농도가 높은 그 일부는 연계 배관(170)과 펌프(176)를 통하여 하수처리장(160)으로 연계시켜 처리하며, 제1 저류조(140)와 제2 저류조(150)를 각각 개별적으로 운영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100)은 하수 발생원(110)으로부터 우수토실(120)을 통해서 하수를 받는 침사지(130)를 구비하고, 이러한 침사지(130)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를 구비하여 하수 및 우수를 일시 저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의 출측에는 연계 배관(170)이 연결되어 하수처리장(160)으로 이송하거나, 배출 배관(172)을 통하여 인근 하천(180)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CSOs 하수 및 우수를 일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 저장 후에는 하수처리장(160)으로 이송시켜 하수 처리할 수도 있으며, 하수처리장(160)의 처리용량 부하, 우수토실의 전기전도도 농도값 등을 고려하여 하수 및 우수를 3가지 동작 모드, 즉 일시저류모드(S1), 연속처리모드(S2) 또는 선택유입모드(S3)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는 각각 그 내부에 낙수소음 방지수단(190)을 구비하고, 상기 낙수소음 방지수단(190)은 측벽, 바람직하게는 월류벽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형성된 계단(19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192)으로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및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계단(192) 경사를 따라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낙차(L)를 크게 감소시키고, 저류조의 내부로 하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높은 낙차(L)에 의해서 발생하는 낙수 소음을 크게 줄여서 쾌적한 하수처리시설을 구축할 수도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침사지(130)는 그 유입측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협잡물등을 제거하고, 상기 침사지(130) 위에는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를 위한 탈취설비(132)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 내에는 퇴적물제거용 세척설비가 설치되어 그 내부를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저류조(140,150)의 수를 3개 이상의 병렬배치로 늘려서 더욱 다양한 작동 모드로 하수 및 우수를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종래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10: 하수 발생원
20: 우수토실 30: 하수처리장
40: 저류조 50: 하천
100: 본 발명의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110: 하수 발생원
120: 우수토실 122,124: 배관
130: 침사지 132: 탈취설비
140: 제1 저류조 142: 공동구
150: 제2 저류조 152: 격벽
160: 하수처리장 170: 연계 배관
172: 배출 배관 176: 펌프
180: 하천 190: 낙수소음 방지수단
192: 계단 L: 낙차
S1: 일시저류모드 S2: 연속처리모드
S3: 선택유입모드 V: 밸브

Claims (7)

  1. 우수와 함께 지표면 오염물질, 관거내 퇴적물, 미처리된 하수 등이 포함된 하수 및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수 발생원으로부터 우수토실을 통해서 하수를 받는 침사지;
    상기 침사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수를 받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저류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 연결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연결된 연계 배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의 출측에 연결되어 하천으로 연결되는 배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은 하수를 제1 및 제2 저류조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시켜 하수 처리후에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 부하, 및 유입수 중의 전기전도도 농도값을 고려하여 하수를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시켜 하수 처리후에 하천으로 방류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소량의 고농도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하수 및 초기우수에 대해 일시저류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일시저류모드는 제1 및 제2 저류조내에 하수 및 초기우수를 일시저류 후, 연계 배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처리함으로써 고농도의 유입수가 그대로 하천에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저농도 고유량의 CSOs 하수 및 우수발생시 연속처리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연속처리모드는 상기 하수와 우수를 제1 저류조에 먼저 유입시켜서 일부는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월류되어 제2 저류조로 이동되며, 제2 저류조에서 일부는 배출 배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방류하고, 그리고 일부는 연계 배관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함으로써 제1 및 제2 저류조에서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은 침전되어 오염부하를 줄이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여름철 집중호우시 초기 고농도의 CSOs 하수 및 우수는 선택유입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선택유입모드는 제1 저류조에서 초기 고농도의 하수 및 우수를 일시 저류하여 오염물질 유출을 방지하며, 저농도 고유량은 제2 저류조로 보내 침전 후, 상등수는 배출 배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또은 연계 배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저류조는 각각 그 내부에 낙수소음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낙수소음 방지수단은 측벽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형성된 계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단으로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및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수 및 우수의 유입 낙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낙수 소음을 줄이고, 상기 계단은 작업자 보수 유지 통로로 사용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지는 그 유입측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협잡물등을 제거하고, 상기 침사지 위에는 악취제거 및 부식방지를 위한 탈취설비가 설치되며, 제1 및 제2 저류조 내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퇴적물제거용 세척설비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SOs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KR1020110059435A 2011-06-20 2011-06-20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KR10109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435A KR101095835B1 (ko) 2011-06-20 2011-06-20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435A KR101095835B1 (ko) 2011-06-20 2011-06-20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835B1 true KR101095835B1 (ko) 2011-12-16

Family

ID=4550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435A KR101095835B1 (ko) 2011-06-20 2011-06-20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100B1 (ko) * 2011-12-26 2013-02-06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하수처리장치
KR101253062B1 (ko) 2012-11-02 2013-04-10 장민수 펌프 효율 제고를 위한 우수 저류실을 갖는 우수 배출 펌프장
KR20150105801A (ko) * 2014-03-10 2015-09-18 동산콘크리트산업(주)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6B1 (ko) * 2015-02-10 2016-08-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5B1 (ko) * 2015-02-10 2016-08-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유동상 및 고정상 여재를 이용한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048220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열가수분해 혐기소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90B1 (ko) * 2006-07-06 2009-07-13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저류 시스템
KR101033859B1 (ko) * 2010-12-23 2011-05-16 (주)로커스솔루션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90B1 (ko) * 2006-07-06 2009-07-13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저류 시스템
KR101033859B1 (ko) * 2010-12-23 2011-05-16 (주)로커스솔루션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100B1 (ko) * 2011-12-26 2013-02-06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하수처리장치
KR101253062B1 (ko) 2012-11-02 2013-04-10 장민수 펌프 효율 제고를 위한 우수 저류실을 갖는 우수 배출 펌프장
KR20150105801A (ko) * 2014-03-10 2015-09-18 동산콘크리트산업(주)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3B1 (ko) * 2014-03-10 2016-08-03 동산콘크리트산업(주)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6B1 (ko) * 2015-02-10 2016-08-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44965B1 (ko) * 2015-02-10 2016-08-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유동상 및 고정상 여재를 이용한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048220A (ko) * 2018-10-29 2020-05-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열가수분해 혐기소화 시스템
KR102222858B1 (ko) * 2018-10-29 2021-03-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열가수분해 혐기소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35B1 (ko)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KR100907290B1 (ko) 저류 시스템
KR102203152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Fan et al. Sewer and tank flushing for sediment, corrosion, and pollution control
JP2010133190A (ja) 下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並びに改善方法
KR100548990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KR100810691B1 (ko) 저장탱크용 지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처리 방법
KR20210013817A (ko) 우수 부유물 제거장치
JP2014214543A (ja) 下水・雨水切換型貯留施設
KR101080805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US20200115890A1 (en) In-ground stormwater collection and pretreatment filtration systems
JP2005350867A (ja) 雨水の利用システム
KR101279418B1 (ko) 2단계 인 제거 공정을 적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59664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CN219527853U (zh) 一种初期雨水的处理系统
KR102519316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44963B1 (ko) 다기능 생태저류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Chang The Process of Water Flowing through Control Structures and Treatment Facilities in a Developed Area
KR20140028315A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20020078270A (ko) 우수토실 유출조
KR102653647B1 (ko)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JPH0468137A (ja)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水質浄化方法
KR101756708B1 (ko) 악취 방지와 유지류 및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사이펀식 유입관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