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315A -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315A
KR20140028315A KR1020120094274A KR20120094274A KR20140028315A KR 20140028315 A KR20140028315 A KR 20140028315A KR 1020120094274 A KR1020120094274 A KR 1020120094274A KR 20120094274 A KR20120094274 A KR 20120094274A KR 20140028315 A KR20140028315 A KR 2014002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water
low concentrat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882B1 (ko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9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수처리조는 전처리조, 침사조, 하수유도조, 고농도저류조, 저농도침전조 및 여과조가 일정 높이의 칸막이벽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수처리조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는 일측에 초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입부가 형성되는 전처리조 내부에는 이물질포집망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침사피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는 전처리조의 하수가 하부로 관통되어 유도되어지도록 바닥면과 이격되어진 배플벽에 의하여 전처리조와 구획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는 침사조와 하수유도조 사이의 칸막이벽 상부에 제1도류수로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농도저류조와 저농도침전조는 하수유도조의 하수가 유도되어지도록 하수유도조에 맞대어져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수유도조와 고농도저류조 사이의 칸막이벽 하부 일측에는 제2관통수로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와 저농도침전조 사이의 칸막이벽 상부 일측에 제2도류수로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여과조는 저농도침전조와 맞대어져 구비되어지고, 상기 여과조의 타측에는 상등수배출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Water processing plant and water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처리조가 일정 높이를 갖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전처리조, 침사조, 하수유도조, 고농도저류조, 저농도침전조 및 여과조로 구획되어 합류식 하수관 또는 분류식 우수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 또는 초기 우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수처리조에 하수관이 연결되어 하수량에 따라 하수가 하수처리장, 우수처리조 및 직접 하천으로 실시간으로 배출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는 합류식 하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처리되어지고 있고, 오수처리는 분류식 우수관을 통해 자연하천이나 인근해역 등으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중에 특히, 초기 우수의 경우에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과 상업, 공업, 주택단지 및 도로면의 오물, 먼지,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 타이어분진, 중금속, 흙, 모래, 합류식관로의 관거 퇴적물, 기타오염물 등이 포함된 상태임으로써,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하여 하천 등의 수질이 오염되고 있음이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초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여 정화 처리한 후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 우수 처리장치들은 초기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분리 처리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우수관에 인접하는 일측으로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설치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필터, 스크린 및 와류형태의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초기 우수장치 시설 내 자유 수면에 의한 우수 이동로를 갖도록 우수관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혼합된 비점오염물(협잡물포함)을 처리 하였다.
한편, 등록특허 1053674(2011.08.02)호의 초기 우수 처리장치가 제안되었고,제안된 처리장치는 초기 우수를 처리할 수 있는 수처리 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처리공간부의 양측에는 일부위가 상부로 돌출되는 유입공간부와 유출공간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유입공간부에는 유입구를, 그리고 상기 유출공간부에는 유출구를 구비하여 우수관에 연락되게 설치한 처리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처리조 본체를 우수관에 연락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수관의 측부에 지하매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상기 우수관의 하부로 상기 수처리공간부가 위치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유출구의 위치를 상기 유입구의 위치보다는 낮은 위치로 구비되게 하여 역사이폰 원리에 의한 우수이동로를 갖게 함으로써,우수관의 측부로 지하매설물을 설치할 수 있게 상기 우수관의 하부로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역사이폰 원리에 의한 수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서 초기 우수에 혼합된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하천호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우수관의 측부로 지하매설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을 배출하는 과정이 준설용 구멍을 통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수속에 포함된 협잡물이 포집망에 의하여 제거되어진 후 부유성오염물이 포함된 오수가 처리조본체로 유입되어 침전되어지고, 부유성오염물질과 침전물이 제거된 오수가 여재부로 넘어가 이물질에 제거되어진 후 유출구를 통해 다시 우수관으로 배출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처리조본체의 내부에 고농도 및 저농도 침전물이 동시에 침전되어 침전량이 증가됨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여재부를 경유한 오수가 소독처리 없이 직접 배출됨에 따라 하천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하수는 오염된 물인 오수와 빗물인 우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고농도와 저농도로 구분되어져 침전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침전물의 배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수량부하를 낮추어 수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물질이 제거되어진 상등수가 여과처리되어 실시간으로 배출되어짐으로써, 하천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처리조(10), 침사조(20), 하수유도조(30),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침전조(50) 및 여과조(60)가 일정 높이(h)의 칸막이벽(PW)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수처리조(A)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10)는 일측에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입부(110)가 형성되는 전처리조(10) 내부에는 이물질포집망(120)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침사피트(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20)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가 하부로 관통되어 유도되어지도록 바닥면과 이격되어진 배플벽(210)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조(10)와 구획되어지되, 상기 배플벽(210)의 하부에는 제1관통수로(2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30)는 상기 침사조(20)의 하수가 유입되어지도록 상기 침사조(20)와 하수유도조(3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에 제1도류수로(30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도류수로(301)의 높이(h1)는 상기 칸막이벽(PW)의 높이(h)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고농도저류조(40)와 저농도침전조(50)는 상기 하수유도조(30)의 하수가 유도되어지도록 상기 하수유도조(30)에 맞대어져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수유도조(30)와 고농도저류조(40) 사이의 칸막이벽(PW) 하부 일측에는 제2관통수로(4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30)와 저농도침전조(5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2도류수로(50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2도류수로(501)의 높이(h2)는 상기 제1도류수로(301)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60)는 상기 저농도침전조(50)의 상등수가 유입되어지도록 상기 저농도침전조(50)와 맞대어져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조(10)의 침사피트(130)에는 배출펌프(DP)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침전조(50), 여과조(60) 및 소독조(620)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슬러지피트(SP : sludge pit)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슬러지피트(SP) 중 어느 하나의 슬러지피트(SP)에는 배출펌프(DP :discharge pump)가 구비되어지고, 나머지 슬러지피트(SP)에는 분기파이프(BP : branch pipe)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분기파이프(BP)는 상기 배출펌프(DP)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여과조(60)의 타측에는 상등수배출부(6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조(60) 내부에는 필터부(61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저농도침전조(50)와 여과조(6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에서 상등수연결관(612)이 상기 여과조(6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611)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필터부(611)는 망체(613)의 내부에 여과제ㅐ를 갖는 커튼월(6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조(60)의 일측에는 소독조(620)가 맞대어져 구비되어지되, 상기 여과조(60)와 소독조(62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3도류수로(6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3도류수로(621)의 높이(h3)는 상기 제2도류수로(501)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소독조(620) 내부 일측에는 소독부(62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소독조(620) 바닥면에는 도류벽(623)이 지그재그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소독조(620)의 외측벽 상부에 상등수배출부(601)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농도저류조(40)와 저농도침전조(50) 사이에는 저농도저류조(55)가 구비되고, 상기 저농도저류조(55)와 하수유도조(3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4도류수도(55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4도류수도(551) 의 높이(h4)는 상기 제2도류수도(501)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저농도저류조(40)의 바닥면 일측에도 슬러지피트(SP)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농도저류조(40)의 슬러지피트(SP)에 분기파이프(BP)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PW)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소독조(620)의 도류벽(62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수처리조(A)에 하수관(B)이 연결되어지는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조(A)는 상기 하수관(B)에 연결되어지는 전처리조(10), 상기 전처리조(10)와 배플벽(210)에 의하여 구획되어진 침사조(20), 상기 침사조(20)의 하수가 유입되어지는 하수유도조(30), 상기 하수유도조(30)와 맞대어진 고농도저류조(40) 및 저농도침전조(50), 상기 저농도침전조(50)의 상등수가 유입되어지는 여과조(60)가 칸막이벽(PW)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수관(B)은 일정 높이(bh)와 너비(bw)를 갖는 관몸체(7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관몸체(70) 내부에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유입부(110)와 연결되어지는 위치에 초기우수유출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의 후방에는 초기 우수가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로 유도되기 위한 우수웨어(72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우수웨어(720)의 높이(bh1)는 상기 관몸체(70)의 높이(bh)보다 낮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하수관(B)의 관몸체(70) 내부 초기우수유출부(710) 전방에는 하수가 하수처리장(C)으로 유출되어지는 하수유출부(73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출부(730)의 후방에 하수가 상기 하수유출부(730)로 유도되기 위한 하수웨어(7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수웨어(740)의 높이(bh2)는 상기 우수웨어(720)의 높이(bh1)보다 낮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웨어(720) 및 하수웨어(740)는 상기 하수관(B)의 관몸체(70)의 양측벽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우수웨어(720) 및 하수웨어(740)는 초기우수유출부(710) 및 하수유출부(730)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유입부(110)와 연결관(80)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며, 상기 하수처리장(C)의 입구에는 맨홀(M)이 구비되어 상기 수처리조(A)의 슬러지가 상기 맨홀(M)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처리조가 일정 높이를 갖는 칸막이벽에 의하여 전처리조, 침사조, 하수유도조, 고농도저류조, 저농도침전조 및 여과조로 구획되어 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침전물이 고농도와 저농도로 구분되어져 침전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침전물의 배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침전되어 제거되어진 상등수가 소독처리되어 하천으로 배출되어짐으로써, 하천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처리조에 하수관이 연결되어 우수량에 따라 우수가 수처리조, 하수처리장 및 직접 하천으로 실시간 배출되어지도록 하여 초기 우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배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다른 실시예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또다른 실시예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A)는 초기 우수속에 포함된 오염물이 분리 및 정화되어진 후 하천으로 방류되어지도록 하여 하천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h)의 칸막이벽(PW)에 의하여 전처리조(10), 침사조(20), 하수유도조(30),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침전조(50) 및 여과조(60)가 구획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처리조(10)는 일측에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입부(110)가 형성되는 전처리조(10) 내부에는 이물질포집망(120)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침사피트(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처리조(10)의 침사피트(130)에는 배출펌프(DP)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칸막이벽(PW)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사조(20)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가 하부로 관통되어 유도되어지도록 바닥면과 이격되어진 배플벽(210)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조(10)와 구획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플벽(210)의 하부에는 제1관통수로(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수유도조(30)는 상기 침사조(20)의 하수가 유입되어지도록 상기 침사조(20)와 하수유도조(3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에 제1도류수로(3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류수로(301)의 높이(h1)는 상기 칸막이벽(PW)의 높이(h)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농도저류조(40)와 저농도침전조(50)는 상기 하수유도조(30)의 하수가 유도되어지도록 상기 하수유도조(30)에 맞대어져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30)와 고농도저류조(40) 사이의 칸막이벽(PW) 하부 일측에는 제2관통수로(4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30)와 저농도침전조(5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2도류수로(5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도류수로(501)의 높이(h2)는 상기 제1도류수로(301)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조(60)는 상기 저농도침전조(50)의 상등수가 유입되어지도록 상기 저농도침전조(50)와 맞대어져 구비되어지고, 상기 여과조(60)의 타측에는 상등수배출부(60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여과조(60)는 내부에 필터부(611)이 구비되어진 여과조(60)와 내부 일측에 소독부(622)를 갖는 소독조(620)가 칸막이벽(PW)에 의하여 구획되어지고, 상기 여과조(60)와 소독조(62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3도류수로(6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등수방류수(60)의 여과조(60) 내부에는 필터부(6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농도침전조(50)와 여과조(6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에서 상등수연결관(612)이 상기 여과조(6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611)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필터부(611)는 망체(613)의 내부에 여과제를 갖는 커튼월(6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도류수로(621)의 높이(h3)는 상기 제2도류수로(501)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독조(620) 바닥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도류벽(623)이 지그재그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소독조(620)의 외측벽 상부에 상등수배출부(601)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침전조(50), 여과조(60) 및 소독조(620)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슬러지피트(SP : sludge pit)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슬러지피트(SP) 중 어느 하나의 슬러지피트(SP)에는 배출펌프(DP :discharge pump)가 구비되어지고, 나머지 슬러지피트(SP)에는 분기파이프(BP : branch pipe)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분기파이프(BP)는 상기 배출펌프(DP)에 연결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펌프(DP)에는 호스 또는 파이프로 되어진 배출기구(DT : discharge tools)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파이프(BP)에는 밸브(V)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분기파이프(BP)의 흡입측은 상기 슬러지피트(SP)에 연결되고, 배출측은 상기 배출펌프(DP)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처리조(A)는 먼저, 오염물이 포함된 초기 우수가 하수유입부(110)를 통해 전처리조(10)로 유입되어지는 과정에서 이물질제거포집망(120)에 의하여 부유물질이 제거되어진 후 전처리조(10)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다음, 계속 전저리조(10)로 오수가 실시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전처리조(10)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침사조(20)에 칸막이벽(PW)에 형성된 제1도류수로(301)를 통해 하수유도조(30)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천저리조(10)에 있던 오수가 침사조(20)로 이동되어지는 과정중에 배플벽(2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관통수로(211)를 통과한 후 상부로 흐름이 바뀌게 됨에 따라 유속과 원심력에 의하여 우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인 슬러지가 바닥으로 침전되어지게 되고, 바닥으로 침전된 슬러지는 전조리조(10)의 바닥에 형성된 침사피트(130)로 모인 후 배출펌프(DP)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하수유도조(30)로 유입된 오수 중 농도가 짙은 고농도 오수는 고동도칸막이벽(PW)의 하부에 형성된 제2관통수로(411)를 통해 고농도저류조(40)로 유입되어지고, 농도가 낮은 저농도 오수는 칸막이벽(PW)의 상부에 형성된 제2도류수로(501)를 통해 저농도 침전조(50)로 유입되어지고, 여과조(60)가 구비된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과정중에 저농도의 슬러지가 바닥에 침전되어지게 된다.
다음, 저농도침전조(50)의 바닥으로 침전된 저농도의 슬러지는 슬러지피트(SP)에 모인 후 밸브(V)를 갖는 분기파이프(BP) 및 배출펌프(DP)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저농도침전조(50)의 상부측으로 있는 저농도 슬러지가 분리된 상등수는 칸막이벽(PW)에 형성된 상등수연결관(612)를 통해 필더부(611)로 유입되어지게 되고, 필터부(611)로 유입된 상등수는 망체(613)와 커튼월(614)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되어진 후 여과조(6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여과조(60)로 배출되어진 이물질이 제거된 상등수는 이어 칸막이벽(PW)에 형성된 제3도류수로(621)을 통해 소독조(620)로 이동되어지게 되고, 소독조(620)로 이동되어진 상등수는 도류벽(623)을 따라 지그재그로 흐르는 과정에서 소독부(622)에 의하여 소독되어진 후 상등수배출부(601)를 통해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등수가 여과조(60)의 필터부(611)와 소독부(622)를 경유하는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는 각각 바닥에 형성된 슬러지피트(SP)로 모이게 되고, 슬러지피트(SP)로 모인 슬러지는 밸브(V)를 갖는 분기파이프(BP) 및 배출펌프(DP)를 통해 배출되어지게 된다. 즉, 오염물이 포함된 초기 우수가 하수유입부(110)를 통해 전처리조(10)로 계속해서 유입되어진 후 침사조(20), 하수유도조(30),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 침전조(50), 여과조(60) 및 소독조(62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여과되어 소독되어진 상등수가 배출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동도저류조(40)에 저농도침전조(50)가 칸막이벽(PW)에 의하여 맞대어지게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농도저류조(40)와 저농도침전조(50) 사이에 별도의 저농도저류조(55)가 구비되고, 상기 저농도저류조(55)와 하수유도조(3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4도류수도(551)가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도류수도(551) 의 높이(h4)는 상기 제2도류수도(501)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저농도저류조(40)의 바닥면 일측에도 슬러지피트(SP)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농도침전조(50)의 바닥에 침전되어지는 슬러지의 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저농도저류조(55)의 슬러지피트(SP)에도 분기파이프(BP)가 구비되어, 상기 저농도저류조(55)의 슬러지피트(SP)는 배출펌프(DP)가 구비된 다른 슬러지피트(SP)와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조(A)에 하수관(B)이 연결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처리조(A)는 상기 하수관(B)에 연결되어지는 전처리조(10), 상기 전처리조(10)와 배플벽(210)에 의하여 구획되어진 침사조(20), 상기 침사조(20)의 하수가 유입되어지는 하수유도조(30), 상기 하수유도조(30)와 맞대어진 고농도저류조(40) 및 저농도침전조(50), 상기 저농도침전조(50)의 상등수가 유입되어지는 여과조(60)가 칸막이벽(PW)으로 구획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수관(B)은 일정 높이(bh)와 너비(bw)를 갖는 관몸체(7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진 것으로 상기 관몸체(70) 내부에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유입부(110)와 연결되어지는 위치에 초기우수유출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의 후방에는 초기 우수가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로 유도되기 위한 우수웨어(7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우수웨어(720)의 높이(bh1)는 상기 관몸체(70)의 높이(bh)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수관(B)의 관몸체(70) 내부 초기우수유출부(710) 전방에는 하수가 하수처리장(C)으로 유출되어지는 하수유출부(73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출부(730)의 후방에 하수가 상기 하수유출부(730)로 유도되기 위한 하수웨어(7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수웨어(740)의 높이(bh2)는 상기 우수웨어(720)의 높이(bh1)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수웨어(720) 및 하수웨어(740)는 상기 하수관(B)의 관몸체(70)의 양측벽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진 것으로 상기 우수웨어(720) 및 하수웨어(740)는 초기우수유출부(710) 및 하수유출부(730)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유입부(110)와 연결관(80)에 의하여 연결되어있다.
상기 하수처리장(C)의 입구에는 맨홀(M)이 구비되어 상기 수처리조(A)의 슬러지가 상기 맨홀(M)로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처리조(A)가 초기 우수속에 포함된 오염물이 분리 및 정화되어진 후 하천으로 방류되어지도록 하여 하천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기능 이외에 합류식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하수가 수처리조(A)로 유입되어질 경우, 하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PW:칸막이벽 A:수처리조
10:전처리조 20:침사조
30:하수유도조 40:고농도저류조
50:저농도침전조 60:여과조
110:하수유입부 120:이물질포집망
130:침사피트 210:배플벽
211:제1관통수로 301:제1도류수로
411:제2관통수로 501:제2도류수로
601:상등수배출부 620:소독조

Claims (9)

  1. 전처리조(10), 침사조(20), 하수유도조(30),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침전조(50) 및 여과조(60)가 일정 높이(h)의 칸막이벽(PW)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수처리조(A)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10)는 일측에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입부(110)가 형성되는 전처리조(10) 내부에는 이물질포집망(120)이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침사피트(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침사조(20)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가 하부로 관통되어 유도되어지도록 바닥면과 이격되어진 배플벽(210)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조(10)와 구획되어지되, 상기 배플벽(210)의 하부에는 제1관통수로(2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30)는 상기 침사조(20)의 하수가 유입되어지도록 상기 침사조(20)와 하수유도조(3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에 제1도류수로(30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도류수로(301)의 높이(h1)는 상기 칸막이벽(PW)의 높이(h)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고농도저류조(40)와 저농도침전조(50)는 상기 하수유도조(30)의 하수가 유도되어지도록 상기 하수유도조(30)에 맞대어져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수유도조(30)와 고농도저류조(40) 사이의 칸막이벽(PW) 하부 일측에는 제2관통수로(4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수유도조(30)와 저농도침전조(5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2도류수로(50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2도류수로(501)의 높이(h2)는 상기 제1도류수로(301)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60)는 상기 저농도침전조(50)의 상등수가 유입되어지도록 상기 저농도침전조(50)와 맞대어져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10)의 침사피트(130)에는 배출펌프(DP)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농도저류조(40), 저농도침전조(50), 여과조(60)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슬러지피트(SP : sludge pit)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슬러지피트(SP) 중 어느 하나의 슬러지피트(SP)에는 배출펌프(DP :discharge pump)가 구비되어지고, 나머지 슬러지피트(SP)에는 분기파이프(BP : branch pipe)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분기파이프(BP)는 상기 배출펌프(DP)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여과조(60)의 타측에는 상등수배출부(601)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60) 내부에는 필터부(61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저농도침전조(50)와 여과조(6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에서 상등수연결관(612)이 상기 여과조(6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611)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60)의 일측에는 소독조(620)가 맞대어져 구비되어지되, 상기 여과조(60)와 소독조(62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3도류수로(6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3도류수로(621)의 높이(h3)는 상기 제2도류수로(501)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소독조(620) 내부 일측에는 소독부(62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소독조(620) 바닥면에는 도류벽(623)이 지그재그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소독조(620)의 외측벽 상부에 상등수배출부(601)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저류조(40)와 저농도침전조(50) 사이에는 저농도저류조(55)가 구비되고, 상기 저농도저류조(55)와 하수유도조(30) 사이의 칸막이벽(PW) 상부 일측에 제4도류수도(55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4도류수도(551) 의 높이(h4)는 상기 제2도류수도(501)의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저농도저류조(40)의 바닥면 일측에도 슬러지피트(SP)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농도저류조(40)의 슬러지피트(SP)에는 분기파이프(BP)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PW)은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소독조(620)의 도류벽(623)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조.
  7. 수처리조(A)에 하수관(B)이 연결되어지는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조(A)는 상기 하수관(B)에 연결되어지는 전처리조(10), 상기 전처리조(10)와 배플벽(210)에 의하여 구획되어진 침사조(20), 상기 침사조(20)의 하수가 유입되어지는 하수유도조(30), 상기 하수유도조(30)와 맞대어진 고농도저류조(40) 및 저농도침전조(50), 상기 저농도침전조(50)의 상등수가 유입되어지는 여과조(60)가 칸막이벽(PW)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수관(B)은 일정 높이(bh)와 너비(bw)를 갖는 관몸체(7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관몸체(70) 내부에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유입부(110)와 연결되어지는 위치에 초기우수유출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의 후방에는 초기 우수가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로 유도되기 위한 우수웨어(72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우수웨어(720)의 높이(bh1)는 상기 관몸체(70)의 높이(bh)보다 낮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B)의 관몸체(70) 내부 초기우수유출부(710) 전방에는 하수가 하수처리장(C)으로 유출되어지는 하수유출부(730)가 형성되고, 상기 하수유출부(730)의 후방에 하수가 상기 하수유출부(730)로 유도되기 위한 하수웨어(7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하수웨어(740)의 높이(bh2)는 상기 우수웨어(720)의 높이(bh1)보다 낮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웨어(720) 및 하수웨어(740)는 상기 하수관(B)의 관몸체(70)의 양측벽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우수웨어(720) 및 하수웨어(740)는 초기우수유출부(710) 및 하수유출부(730)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초기우수유출부(710)는 상기 전처리조(10)의 하수유입부(110)와 연결관(80)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며, 상기 하수처리장(C)의 입구에는 맨홀(M)이 구비되어 상기 수처리조(A)의 슬러지가 상기 맨홀(M)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스템.
KR1020120094274A 2012-08-28 2012-08-28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10140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74A KR101403882B1 (ko) 2012-08-28 2012-08-28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74A KR101403882B1 (ko) 2012-08-28 2012-08-28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15A true KR20140028315A (ko) 2014-03-10
KR101403882B1 KR101403882B1 (ko) 2014-06-27

Family

ID=5064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274A KR101403882B1 (ko) 2012-08-28 2012-08-28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0071A (zh) * 2014-09-29 2014-12-24 滁州友林科技发展有限公司 集成式多层污水处理槽
CN105817073A (zh) * 2016-04-14 2016-08-03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矿井沉淀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811Y1 (ko) 2002-04-10 2002-06-26 한남건 오폐수 정화장치
KR101003477B1 (ko) 2010-05-03 2010-12-30 주식회사 가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33859B1 (ko) 2010-12-23 2011-05-16 (주)로커스솔루션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1181324B1 (ko) * 2011-09-28 2012-09-1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수처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0071A (zh) * 2014-09-29 2014-12-24 滁州友林科技发展有限公司 集成式多层污水处理槽
CN104230071B (zh) * 2014-09-29 2016-08-24 滁州友林科技发展有限公司 集成式多层污水处理槽
CN105817073A (zh) * 2016-04-14 2016-08-03 中煤科工集团武汉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矿井沉淀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882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6486A1 (en) Hydrodynamic separator for stormwater treatment
US11260321B2 (en) Partitioned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vertical filtration units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96653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US20150258472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105367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86279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181324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US20210404169A1 (en) Volume controlled hydrodynamic separator for stormwater treatment
KR101173780B1 (ko)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127152B1 (ko) 선회류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KR20160095811A (ko) 친환경 다목적 댐
KR101311288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의 정체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