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100B1 - 하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100B1
KR101221100B1 KR1020110142459A KR20110142459A KR101221100B1 KR 101221100 B1 KR101221100 B1 KR 101221100B1 KR 1020110142459 A KR1020110142459 A KR 1020110142459A KR 20110142459 A KR20110142459 A KR 20110142459A KR 101221100 B1 KR101221100 B1 KR 10122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wage
storage tank
water level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전인재
Original Assignee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펌프의 가동시간을 제어하여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초기우수를 포함한 하수가 유입되면 개방되었다가 하수의 유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폐쇄되는 우수토실과,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하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되, 저장탱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저장탱크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와, 상기 제1센서부 또는 제2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송출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1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치{apparatus for sewage treatmen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통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펌프의 가동시간을 제어하여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 하수 및 산업 폐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하수 및 폐수에는 부유물이나 토사 등의 슬러지가 포함된다. 상기 슬러지는 집수정 또는 하수관 내부에서 장기적으로 적재 및 부패 되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사람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가 많은 지역이나 집중호우가 있는 경우에는 다량의 빗물로 인해 하수관 내부를 흐르는 생활하수와 상기 하수에 실린 부유물이나 토사 등의 슬러지가 함께 집수정을 통해 역류하기 쉽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려면 하수관 및 각 가정 또는 상가 등의 집수정 시설에 대한 역류 방지 설비의 설치 및 유수 관리 철저 등의 예방 점검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비가 오게 되면 우수가 도로나 지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지표면에 노출된 각종 비점오염물질(Non-Point Soure Pollutant)과 섞이게 되고,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우수는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비가 내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우수에 비해 초기우수는 많은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사안이 된다.
종래의 하수처리장치는 오염도가 높은 하수 및 초기우수는 구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하고, 지속 강우시 우수량이 많을 경우 비교적 오염도가 낮은 하수는 곧 바로 하천으로 배출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하수처리장치는 지속 강우시 맑은 우수가 유입되어도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처리가 필요없는 하수도 지속적으로 정화처리하는데 따른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입된 하수를 곧 바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리한 양의 하수가 유입될 경우에는 하수종말처리장의 정화성능이 확보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펌프의 가동시간을 제어하여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센서의 감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그 신호를 인정하는 안전수단이 구축되어 장치의 오작동 및 그에 따른 장치의 지속적인 가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되기 전 정화처리가 필요한 하수를 보관하여 하수종말처리장에 무리한 양의 하수가 유입되지 않고 균일한 양의 하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하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기우수를 포함한 하수가 유입되면 개방되었다가 하수의 유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폐쇄되는 우수토실과,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하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되, 저장탱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저장탱크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와, 상기 제1센서부 또는 제2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송출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1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우수토실의 폐쇄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펌프는 상기 근접센서 또는 제3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에 우수토실의 폐쇄가 감지되면, 상기 제2센서부를 오프 제어하고, 제3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3센서가 수위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송출하는 예비펌프를 더 포함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의 폐쇄감지 신호가 적어도 1초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센서부 및 제3센서부의 온/오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우수토실은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일측 하단에 상기 이송관과 연결된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초기우수 또는 하수가 공급되면 하측으로 회동하여 개방되었다가 유입되는 우수량이 많으면 그 하단에 결합된 부력체가 상승하면서 상측으로 회동하여 폐쇄되는 회전형 단속도어를 장착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는 일측에 상기 이송관과 연결된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는 공급된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이 배치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필터유닛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2롤러와, 상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에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끼워지며, 상승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간별로 걸림턱이 형성된 필터를 포함하고, 상부에 배치된 제2롤러의 하부에는, 상기 제2롤러를 선회하면서 자유낙하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용기가 배치되는 하수처리시설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통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펌프의 가동시간을 제어하여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의 감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그 신호를 인정하는 안전수단이 구축되어 장치의 오작동 및 그에 따른 장치의 지속적인 가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우천시 정화가 필요 없는 맑은 우수가 유입되는 시간 동안에는 장치의 운영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되기 전 정화처리가 필요한 하수를 보관하여 하수종말처리장에 무리한 양의 하수가 유입되지 않고 균일한 양의 하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수처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 하수처리장치는 초기우수를 포함한 하수가 유입되면 개방되었다가 하수의 유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폐쇄되는 우수토실(100)과, 상기 우수토실(100)로 유입된 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200)과, 상기 이송관(200)을 통해 배출된 하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0)를 포함하되, 저장탱크(3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410)와, 상기 저장탱크(300)의 중심부(300)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420)와, 상기 제1센서부(410) 또는 제2센서부(420)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저장탱크(300)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송출하는 제1펌프(510)와, 상기 제1센서부(410)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부(420)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우수토실(100)은 초기우수를 포함한 하수가 유입되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경우에 따라 하수로(30)를 통해 이송되면서 1차 스크링망(10) 또는 2차 스크린망(20)으로 걸러진 하수를 공급받아 정화처리를 위해 배출하고, 하수의 유입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하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집중 강우 등의 이유로 하수의 유입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는 폐쇄되어 상기 우수토실(100)로 하수가 유입되지 않고 정화처리 없이 곧바로 하천 등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상기 우수토실(100)에는 개폐어셈블리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개폐어셈블리는 부력을 이용한 방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가 공지된 바 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우수토실(100)로 유입된 하수를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송관(200)은 파이프 형태를 취하며, 상기 우수토실(100)의 배수구(120)와, 저장탱크(300)의 유입구(310)를 연결해준다.
저장탱크(300)는 상기 이송관(200)을 통해 배출된 하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탱크(300)로 공급된 하수는 저장탱크(300)에 수용되었다가 소정의 수위만큼 채워지면, 펌프와 같은 수단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이송되어 정화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하천 등으로 배출된다.
상기 저장탱크(300)의 내부에 채워지는 하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위감지용 센서를 높이 구간별로 장착한다. 상기 수위감지용 센서는 저장탱크(3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410)와, 상기 저장탱크(300)의 중심부(300)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420)를 포함한다. 먼저, 제1센서부(410)는 저장탱크(3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저장탱크(300)에 채워진 하수의 양이 적은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제2센서부(420)는 저장탱크(300)의 중심부에 장착되며, 저장탱크(300)에 채워진 하수의 양이 중간이상으로 채워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제1센서부(410) 및 제2센서부(420)는 압력센서, 광센서를 비롯하여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제1펌프(510)는 상기 제1센서부(410) 또는 제2센서부(420)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저장탱크(300)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펌프(510)는 상기 센서부(410,420)의 신호를 받는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센서부(410)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센서부(410)가 장착된 높이에 수위가 도달되지 않아 하수의 양이 많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부(420)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2센서부(420)가 장착된 높이에 수위가 도달되어 처리해야할 하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어 저장탱크(300)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제1펌프(510)의 가동상황을 비롯하여, 상기 각 센서부(410,420)를 통해 입력된 수위 정보 등을 관제실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토실(100)의 폐쇄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440)와, 상기 저장탱크(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펌프(510)는 상기 근접센서(440) 또는 제3센서부(430)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근접센서(440)에 우수토실(100)의 폐쇄가 감지되면, 상기 제2센서부(420)를 오프 제어하고, 제3센서부(430)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근접센서(440)는 상기 우수토실(100)을 개폐하는 개폐어셈블리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우수토실(100)이 폐쇄되면 켜지고, 우수토실(100)이 개방되면 꺼지도록 설정된다. 제3센서부(430)는 상기 저장탱크(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저장탱크(300)의 수위를 감지하며, 상기 제1,2센서부(410,420)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근접센서(440) 및 제3센서부(430)는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근접센서(440) 및 제3센서부(4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펌프(510)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근접센서(440)를 통해서 우수토실(100)이 폐쇄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2센서부(420)를 오프시켜 상기 제2센서부(420)가 제1펌프(510)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1펌프(510)는 제1센서부(410)와 제3센서부(430)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해서만 구동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센서부(410)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센서부(410)가 장착된 높이에 수위가 도달되지 않아 하수의 양이 많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센서부(430)에 수위가 감지되면, 제3센서부(430)가 장착된 높이에 수위가 도달되어 처리해야할 하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1펌프(510)를 구동시켜 저장탱크(300)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송출하도록 한다. 반대로, 근접센서(440)를 통해서 우수토실(100)이 개방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되면, 차단되었던 제2센서부(420)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3센서부(430)의 전원이 오프되어 상기 제3센서부(430)가 제1펌프(510)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제1펌프(510)는 제1센서부(410)와 제2센서부(420)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해서만 구동여부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근접센서(440) 및 제3센서부(430)의 작용으로 집중 강우시 정화가 필요 없는 맑은 우수가 개폐어셈블리와 우수토실(100) 사이로 조금씩 유입되는 시간 동안에는 장치의 운영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센서(430)가 수위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펌프(510)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탱크(300)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송출하는 예비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펌프는 상기 제1펌프(510)가 고장 등의 이유로 이상이 있어 정상으로 가동하지 않을 경우 역류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상 시 제1펌프(510)를 대신하여 가동되는 안전장치인 셈이다. 상기 제어부(600)에서 상기 제2센서부(420) 또는 제3센서부(430)의 수위감지 신호에 따라 제1펌프(510)가 구동되게 전원을 인가했지만, 제1펌프(510)가 구동되지 않으면, 제어부(600)는 예비펌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저장탱크(300)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900)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근접센서(440)의 폐쇄감지 신호가 적어도 1초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센서부(420) 및 제3센서부(430)의 온/오프 제어하는 타이머(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440)는 특히 강우 종료시 물의 흐름 과정에서 너울, 와류 등의 이유로 인하여 우수토실(100)을 개폐하는 개폐어셈블리가 개방과 폐쇄를 수차례 반복하는 상황이 발생되므로, 타이머(610)가 일정시간, 대략 1초 ~ 10초 정도 근접센서(440)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유지될 경우에만 상기 근접센서(440)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근접센서(440)의 신호에 따라 제2센서부(420) 및 제3센서부(430)를 온/오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타이머(610)의 작용으로 근접센서(440)의 감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그 신호를 인정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센서부(420,430)들 및 제1펌프(510)의 오작동 및 불필요한 지속적인 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토실(100)은 상측에 개구부(110)를 형성하고, 일측 하단에 상기 이송관(200)과 연결된 배수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0)에는 초기우수 또는 하수가 공급되면 하측으로 회동하여 개방되었다가 유입되는 우수량이 많으면 그 하단에 결합된 부력체(130)가 상승하면서 상측으로 회동하여 폐쇄되는 회전형 단속도어(140)를 장착하여 개방 또는 폐쇄된다.
상기 단속도어(140)는 중심의 힌지부(15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단속도어(140)는 도 4와 같이 수평상태일 경우 상기 개구부(110)를 폐쇄하여 단속도어(140)의 상부로 하수가 지나가도록 작용하고, 도 2와 같이 일측으로 회전하여 경사질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10)를 개방하여 하수가 우수토실(100)로 유입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단속도어(140)의 일측 하단에는 부력체(130)가 장착되어, 상기 부력체(130)의 작용으로 평소에는 부력체(130)의 무게 때문에 단속도어(140)가 경사지게 되어 개구부(110)가 개방된 상태이다. 하지만, 상기 우수토실(100) 내부에 하수가 가득 차면 상기 부력체(130)가 상승하면서 상기 단속도어(140)가 수평이 되도록 회동하면서 결국 개구부(110)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수토실(100) 내부에 하수가 가득 차는 경우는 배수구(120)로 빠져나가는 하수의 양보다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많을 경우이며, 보통 집중 강우가 유입될 경우이기 때문에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제외하고 오염도가 낮은 중기 이후의 우수는 정화 처리 없이 곧바로 하천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속도어(140)가 회전하는 타입의 개폐어셈블리의 경우 개구부(110)의 일측 및 상기 개구부(110)의 일측과 근접한 단속도어(140)의 일측에 각각 근접센서(440)가 장착되어 단속도어(140)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300)는 일측에 상기 이송관(200)과 연결된 유입구(310)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310)에는 공급된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유닛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2롤러(710,720)와, 상기 제1롤러(710) 또는 제2롤러(72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제1롤러(710)와 제2롤러(720)에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끼워지며, 상승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간별로 걸림턱(750)이 형성된 필터(740)를 포함하고, 상부에 배치된 제2롤러(72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롤러(720)를 선회하면서 자유낙하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용기(800)가 배치된다.
상기 제1롤러(710)는 상기 저장탱크(300)의 유입구(31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720)는 상기 제1롤러(710)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롤러(710)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롤러(710)와 제2롤러(72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1롤러(710) 또는 제2롤러(720)에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수단이 연결되어 일측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롤러(710) 또는 제2롤러(720)에 끼워져 컨베이어방식으로 순환하는 필터(470)에 의해 상기 유입구(310)로 유입되는 하수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필터(470)는 여과망, 스크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고 물은 통과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여과수단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740)에는 필터(47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필터(740) 표면에 걸러진 이물질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간별로 걸림턱(75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50)은 상기 필터(740)와 수직되게 고정되고, 이동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740)가 제2롤러(720)에서 선회하면, 상기 필터(740)의 표면에 걸러진 이물질은 자유 낙하하므로, 상기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용기(800)를 상기 제2롤러(720)의 하부에 배치한다. 상기 저장탱크(300)에는 상기 수거용기(800)를 배치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중간벽(320)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벽(320)의 상부 공간을 분리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획벽(3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우수토실 110 : 개구부
120 : 배수구 130 : 부력체
140 : 단속도어 200 : 이송관
300 : 저장탱크 310 : 유입구
410 : 제1센서부 420 : 제2센서부
430 : 제3센서부 440 : 근접센서
510 : 제1펌프 600 : 제어부
610 : 타이머 710 : 제1롤러
720 : 제2롤러 740 : 필터
750 : 걸림턱 800 : 수거용기
900 : 하수종말처리장

Claims (6)

  1. 초기우수를 포함한 하수가 유입되면 개방되었다가 하수의 유입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폐쇄되는 우수토실과,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을 통해 배출된 하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저장탱크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
    상기 우수토실의 폐쇄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 또는 제2센서부 및 상기 근접센서 또는 제3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구동되며,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송출하는 제1펌프;
    상기 제1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근접센서에 상기 우수토실의 폐쇄가 감지되면, 상기 제2센서부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제3센서부에 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센서가 수위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펌프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송출하는 예비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의 폐쇄감지 신호가 적어도 1초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센서부 및 제3센서부의 온/오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일측에 상기 이송관과 연결된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는 공급된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2롤러와, 상기 제1롤러 또는 제2롤러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에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끼워지며, 상승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이물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간별로 걸림턱이 형성된 필터를 포함하고, 상부에 배치된 제2롤러의 하부에는, 상기 제2롤러를 선회하면서 자유낙하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용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설.
KR1020110142459A 2011-12-26 2011-12-26 하수처리장치 KR10122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59A KR101221100B1 (ko) 2011-12-26 2011-12-26 하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459A KR101221100B1 (ko) 2011-12-26 2011-12-26 하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100B1 true KR101221100B1 (ko) 2013-02-06

Family

ID=4789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459A KR101221100B1 (ko) 2011-12-26 2011-12-26 하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2947A (zh) * 2015-01-04 2015-04-22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地下敞开式调蓄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136A (ja) * 1993-12-07 1995-06-20 Kajima Corp 建物排水システム
KR200195178Y1 (ko) * 2000-01-17 2000-09-01 주식회사범한엔지니어링 합류식 하수도의 침사지
KR20080090650A (ko) * 2007-04-05 2008-10-09 이노엔비텍(주) 우수처리장치
KR101095835B1 (ko) * 2011-06-20 2011-12-16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136A (ja) * 1993-12-07 1995-06-20 Kajima Corp 建物排水システム
KR200195178Y1 (ko) * 2000-01-17 2000-09-01 주식회사범한엔지니어링 합류식 하수도의 침사지
KR20080090650A (ko) * 2007-04-05 2008-10-09 이노엔비텍(주) 우수처리장치
KR101095835B1 (ko) * 2011-06-20 2011-12-16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월류수 및 초기우수 저류/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2947A (zh) * 2015-01-04 2015-04-22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地下敞开式调蓄池
CN104532947B (zh) * 2015-01-04 2016-03-30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地下敞开式调蓄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5401B (zh) 初级均衡沉降槽
KR101170663B1 (ko) 감지기를 이용한 전동식 유입유량 조절장치
US7341670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20150041403A1 (en) Pressurized Gas Lifting and Gas Rejuvenation
CN108301498A (zh) 浮渣自动收集系统
KR101294338B1 (ko) 초기우수처리 장치 및 초기우수처리 관리시스템
JP2014025235A (ja) 浄化槽排水処理システム
KR20150109085A (ko) 빗물 여과장치
US9422181B1 (en) Vehicle wash water reclaim system
KR100982833B1 (ko) 하수처리수 고도처리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장치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101221100B1 (ko) 하수처리장치
CN107217723A (zh) 一种基于光感技术的径流雨水分质截流装置和方法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437109B1 (ko)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US20070170106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wage sludge, and membrane unit
CN206538207U (zh) 一种老城区雨污水处理系统
KR101675781B1 (ko) 초기 우수 분리장치
KR101591340B1 (ko) 복합여재를 이용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고속처리장치
KR1017608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672275B1 (ko)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37522B1 (ko)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1553566B1 (ko) 폐수의 슬러지 자동처리장치
KR100670107B1 (ko) 유속 증대를 통해 퇴적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수관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