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22B1 -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22B1
KR101837522B1 KR1020170042246A KR20170042246A KR101837522B1 KR 101837522 B1 KR101837522 B1 KR 101837522B1 KR 1020170042246 A KR1020170042246 A KR 1020170042246A KR 20170042246 A KR20170042246 A KR 20170042246A KR 101837522 B1 KR101837522 B1 KR 101837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unit
waste water
screen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규
홍성원
이성경
홍은정
문영명
안치현
이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나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나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나엔텍
Priority to KR102017004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는, 접근이 허용된 시설 관리자만의 출입을 위해 출입 보안장치가 구비된 시설물 안치실에 배치된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는, 내부에 극세사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된 스크린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1차 필터링하는 1차 침전지; 상기 1차 침전조를 통해 1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를 통해 분해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2차 필터링하는 2차 침전지; 및 상기 2차 침전지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유입한 후 물리적 처리 공정, 화학적 처리 공정 또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오폐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3차 오폐수 처리시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1차 침전지를 통과한 후 상기 3차 처리시설로 우회시키는 수단을 통해 초과된 유입수를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흘려보내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WASTEWATER TREATMENT DEVICE WITH INTEGRATED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은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극세사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된 스크린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1차 필터링하는 1차 침전지; 상기 1차 침전조를 통해 1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를 통해 분해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2차 필터링하는 2차 침전지; 및 상기 2차 침전지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유입한 후 물리적 처리 공정, 화학적 처리 공정 또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오폐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3차 오폐수 처리시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1차 침전지를 통과한 후 상기 3차 처리시설로 우회시키는 수단을 통해 초과된 유입수를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흘려보내도록 제어하는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의 정수는 수질이 좋은 지하수나 용출수는 염소소독만을 하고 급수하는 경우가 많으나, 하천이나 호소를 수원으로 하는 수도에서는 탁도와 세균류 등의 유해불순물을 정성껏 제거하지 않고서는 음료수로서 공급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물을 정화하는 것을 정수라고 하며, 정수를 하는 장소를 정수 처리장이라 한다.
한편 종래의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우천시와 같이 용량을 초과하여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 등은 처리시설의 주 공정인 생물 반응조로 유입시키지 않고 스크린/침사지 또는 1차 침전지를 거쳐 바로 방류하여 하천 등의 주요 오염 요인이 되어 왔다.
특히, 우천 시에 기존의 처리 장치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초기 우수가 처리 시설을 모두 거치지 않고 중간에 방류되는 경우에는, 초기 우수가 갖는 각종의 고농도 오염물질, 특히 유해한 중금속 또는 잔류 농약 등과 같은 유해한 유기물 등이 하천 등으로 바로 방류됨으로써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 등을 폐사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은 하수 및 오폐수 처리 장치에서 우천 시와 같이 기존의 처리 장치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 등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 및 방법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410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극세사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된 스크린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1차 필터링하는 1차 침전지; 상기 1차 침전조를 통해 1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를 통해 분해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2차 필터링하는 2차 침전지; 및 상기 2차 침전지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유입한 후 물리적 처리 공정, 화학적 처리 공정 또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오폐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3차 오폐수 처리시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1차 침전지를 통과한 후 상기 3차 처리시설로 우회시키는 수단을 통해 초과된 유입수를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흘려보내도록 제어하는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는, 접근이 허용된 시설 관리자만의 출입을 위해 출입 보안장치가 구비된 시설물 안치실에 배치된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는, 내부에 극세사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된 스크린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1차 필터링하는 1차 침전지; 상기 1차 침전조를 통해 1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를 통해 분해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2차 필터링하는 2차 침전지; 및 상기 2차 침전지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유입한 후 물리적 처리 공정, 화학적 처리 공정 또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오폐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3차 오폐수 처리시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1차 침전지를 통과한 후 상기 3차 처리시설로 우회시키는 수단을 통해 초과된 유입수를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흘려보내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장치의 기준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유입수를 처리하되, 특히 기존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청천 시에는 3차 처리 기능을 하면서 우천 시에는 시설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 및 오폐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에 대한 출입보안, 상태감시 및 관리를 구현하기 위한 주변 시설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에 대한 출입보안을 구현하는 리더박스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3a의 구성 중 1차 침전지 또는 2차 침전지에 적용된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3a의 구성 중 스컴 제거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2의 구성 중 3차 처리시설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2의 구성 중 슬러지 처리조에 적용된 슬러지 저장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에 대한 출입보안, 상태감시 및 관리를 구현하기 위한 주변 시설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210)는 시설물 안치실(200)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시설물 안치실(200)의 출입구에 리더박스(100)를 설치하여 접근이 허용된 시설 관리자만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을 도 1b에서 후술한다.
한편 시설물 안치실(200)의 사방에 제1 감시 카메라(220a) ~ 제4 감시 카메라(220d)를 설치하며,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210) 또는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AVB(Audio Video Bridge) 기반으로 운영자 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IEEE1394 또는 기가비트 이더넷의 Law 데이터 고속 영상 전송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촬영 영상을 영상 저장 장치로 전송하고, 영상 저장 장치 소프트웨어는 설정에 의한 영상의 디스크 등의 저장 형식에 따라 영상을 저장한다.
이 경우 각각의 디스크는 저장매체로, 이를테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k Drive, ODD),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에 사용된 블록단위 병렬 직접 저장 방식은, 보드의 고유의 MAC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전송량과 프레임을 축소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채, 병렬적으로 각각의 디스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저장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파일 단위 저장방식의 경우, 파일 시스템에서 패킷(packet) 전송 시 패킷의 불필요한 헤더(Header) 정보, 연속된 입출력(I/O) 신호의 발생, 전송량과 프레임이 축소된 채, 각 디스크에 병렬방식이 아닌 순차방식으로 저장함으로써, 저장 속도가 느린 것과 대비된다.
운영자 관리시스템(300)은 상기 제1 감시 카메라(220a) ~ 제4 감시 카메라(220d)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블록단위 병렬 직접 저장 방식으로 저장하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210) 또는 시설물 안치실(200)에 이상 상태(외부 침입, 시설물의 상태 훼손 등)가 발생한 경우, 경보 등을 발생시켜 신속한 복구가 가능케 해준다.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에 대한 출입보안을 구현하는 리더박스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용 정수시설물에 대한 출입보안을 구현하는 리더박스(1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특정인에 대한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일종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확인 장치로, 전원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마그네틱 소자부(130), 저장부(140), 보안 판단부(150), 보안설정 및 해지부(160), 경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리더박스(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 기기에 필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배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외부의 이동단말(미도시) 또는 인증서버(미도시)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를테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RF), UWB(Ultra-wideband)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네틱 소자부(130)는 낮은 자기성을 띠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함으로, 특정인의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부연설명하면, 사용되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의 종류,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인해 식별 가능한 고유한 특성 값(이를테면, 히스테리 루프, 보자력 등)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 제공된 특성 값과 미리 측정되고 저장된 특성 값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인에 대한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마그네틱(magnetic) 재료들은 이를테면, 니켈, 철, 코발트, 니켈-철 합금, 코발트-철 합금, 철-규소 합금 또는 코발트-규소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magnetic) 재료들을 이용한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은 이를테면, 마그네틱 와이어, 평탄화된 와이어, 바(bars), 도트(dots), 랜덤 스팟(random spots), 랜덤 블럽(random blobs) 등의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보안과 관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밀키 및 제어부(190)를 통해 처리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 경우 저장매체로 이를테면,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안 판단부(150)는 제1 보안 판단부(151) 및 제2 보안 판단부(152)를 포함한다.
제1 보안 판단부(151)는 특정인이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을 소지한 경우, 특정인의 보안설정 해지를 위한 보안 판단 과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 이동단말은 블루투스 신호에 포함된, 마그네틱 소자부(130)에서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 결과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보안 판단부(152)는 특정인이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경우, 특정인의 생체정보 등을 이용하여 보안설정 해지를 위한 보안 판단 과정을 실행한다.
여기서, 특정인의 보안정보는 리더박스(100)에서 제공하는 키패드(미도시)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전에 부여받은 임시 비밀번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또한 리더박스(100)에서 제공하는 생체정보 인지수단(미도시) 등을 통해 특정인의 생체정보 이를테면, 홍채, 지문, 얼굴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서버(미도시)는 특정인의 보안정보가 사전에 등록된 보안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인터넷 등을 통해 블루투스 AP(Access Point)로 특정인의 비밀키를 전송하면, 블루투스 AP(Access Point)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받은 비밀키를 다시 리더박스(100)로 전송하여 특정인의 비밀키와 특정인이 입력한 비밀번호 등의 보안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1b를 참조하면, 보안설정 및 해지부(160)는 제1 보안 판단부(151) 또는 제2 보안 판단부(152)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한다.
경보부(170)는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보안정보와 다른 루트를 통해 보안설정이 해지된 경우(이를테면, 무단 침입자 발생 등), 경보(alarm)를 발생시키는데, 이 경우 경보수단은, 이를테면 청각수단(부저, 음성경고 등), 시각(문자 메시지 등), 촉각(진동 등)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특정인이 입력한 보안정보 결과 및 제어부(190)를 통해 처리된 각종 결과를 화면으로 표시하는데, 이 경우 표시장치로 이를테면, 엘시디(LCD), 엘이디(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원부(110), 근거리 통신부(120), 마그네틱 소자부(130), 저장부(140), 보안 판단부(150), 보안설정 및 해지부(160), 경보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210)는 스크린(211), 1차 침전지(212), 미생물 반응조(213), 2차 침전지(214),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 슬러지 처리조(216), 초과 유입수(221), 제어기(231), 응집제 투여장치(232), 제1 센서(241), 제2 센서(242) 및 제3 센서(243)를 포함한다.
스크린(211)은 이를테면 내부에 극세사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된 스크린망을 설치함으로, 유입되는 오염수를 여과 시킬 수 있다.
1차 침전조(212) 및 2차 침전조는 상기 스크린(211)을 통해 여과된 오염수를 침전 이동시켜 필터링 시키는 곳으로, 이를테면 상부에는 여과스크린(미도시)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되고, 하부에는 입상활성탄(미도시)이 채워진 다수개의 활성탄망체(미도시)가 조밀하게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미생물 반응조(213)는 상기 1차 침전조(212)를 통해 필터링 된 오폐수 등의 오염물질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 효율적인 오폐수 분해 등을 위해 이를테면, 오폐수처리장 특성에 적합한 탈취 미생물 종균을 재접종 실시, 바이오필터의 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영양분이 최적 pH로 조절되어 있는 순환수로 탈취 미생물이 고정화 되어 있는 담체층 상부에 균일하게 충분한 양이 공급되도록 하는 등의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슬러지 처리조(216)는 2차 침전조(214)의 일 측에 설치되어 2차 침전조(214)에 의해 생성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부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스크래퍼와, 스크래퍼에 의해 제거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농축조와, 농축조에 저장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슬러지건조기를 구성할 수 있다.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은 최종적인 오폐수 등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물리적 처리 공정, 화학적 처리 공정, 생물학적 처리 공정, 또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처리 기능을 종합한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231)는 보다 정밀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이를테면, 오폐수의 유량제어 및 센서들(241, 242, 243)이 감지한 신호제어 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퍼지(fuzzy) 추론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퍼지(fuzzy) 추론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이를테면, 시스템의 입출력을 정의하는 Fuzzication, 추론방식을 결정하는 Rule Evaluation, 모든 퍼지출력을 하나의 제어 출력으로 결합하는 Defuzzication을 포함하며, 퍼지추론 기법으로 Mamdani's metho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의 기준 용량(1Q)을 초과하여 스크린(211)으로 하수 등이 유입되더라도, 기준용량을 초과하는 하수 등을 일정 공정을 거쳐 하천 등으로 바로 방류하지 않고,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시켜 초과 유량에 포함된 각종의 오염물질을 처리한 후 하천 등으로 방류하는 것이다.
여기서,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유입수를 스크린(211) 또는 1차 침전지(212)로부터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시키는 수단은 각종의 밸브 및 유관을 통해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부연하면,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210)의 유입부에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210)로 유입되는 유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241)를 장착하여, 하수 및 오폐수 장치로 유입되는 유량이 처리 용량(1Q)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센서(241)로부터 그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기(231)가 제어 라인(L1, L2)을 통해 스크린(211) 또는 1차 침전지(212)로부터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는 밸브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고, 처리 용량이 1Q 이하로 감소하였다는 신호를 제1 센서(241)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다시 상기 밸브를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자동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크린(211)으로 유입되는 처리 용량(1Q)은 일반적인 처리 방식을 거쳐 처리되며(1차 침전지(212) --> 미생물 반응조(213) --> 2차 침전지(214) -->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 순), 처리 용량(1Q)을 초과하는 유입수 만이 우회되어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에서 처리된다.
또한, 스크린(211) 또는 1차 침전지(212)로부터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시키는 수단의 특정 부분에 응집제를 투여할 수 있는 응집제 투여장치(232)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응집제 투여장치(232)는 응집제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및 상기 용기와 상기 우회 수단을 구성하는 유관을 연결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응집제를 상기 우회 수단을 구성하는 유관에 투입하기 위한 밸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응집제는 고분자 응집제 또는 PAC(polyalumium chloride), FeCl3, 알럼(alumn), 라임(lime), 카본 응집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회 수단에 의해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되는 수질의 오염 농도를 검출하는 제2 센서(242)를 상기 우회 수단을 구성하는 배관에 설치하여 상기 제2 센서(242)에서 검출된 수질의 오염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231)가 제어 라인(L3)을 통해 상기 응집제 투여장치(232)를 구성하는 밸브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고, 만일 제2 센서(242)에서 검출된 수질의 오염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기(231)의 제어 라인(L3)을 통해 상기 밸브를 폐쇄시키도록 하여,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되는 수질을 오염 농도에 따라 응집제를 자동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응집제 투여장치(232)에 의해 최대 처리 용량인 1Q를 초과하여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하는 유입수에 응집제를 투입하면 그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초기 우수에는 SS, BOD, COD, N, P는 물론 중금속 및 잔류 농약과 같은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1차 침전지(212) 등을 거쳐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우회하는 유입수에 응집제를 투여하면, 그와 같은 유해한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과 유입수(221)와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 사이에, 상기 초과 유입수(221)의 유량, 압력, 농도 등을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제3 센서(243)를 설치하여, 상기 제3 센서(243)의 감지 데이터를 토대로 제어기(231)의 제어에 따라 일정 기준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215)로 흘려보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종래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 장치의 기준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유입수를 처리하되, 특히 기존의 하수 및 오폐수 처리 장치에 의해 청천 시에는 3차 처리 기능을 하면서 우천 시에는 시설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 및 오폐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3a의 구성 중 1차 침전지 또는 2차 침전지에 적용된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3a의 구성 중 스컴 제거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400)는 스컴 제거수단(410), 선형 모터(420), 제어부(430), 지연시간 설정부(440), 경고 발생부(450), 통신부(460), 상하강 임계치설정부(470), 수집기 상하강 조정부(480) 및 동작모드 설정부(490)를 포함한다.
스컴 제거수단(410)은 제1 수위 감지센서(411), 제2 수위 감지센서(412), 수집기(413), 밸브 구동부(414) 및 밸브(415)를 포함하며, 수면을 감지하고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스컴(scum) 또는 부유물을 제거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수위 감지센서(411)는 수집기(413)의 수면으로부터 약 1 ~ 2mm 정도의 아래에 위치할 때의 수위(이하, '이동수위'라 함)를 감지하고, 제2 수위 감지센서(412)는 동수위보다 높은 수위(이를테면, 수집기(413)가 수면으로부터 일정 정도(2mm) 초과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수위로서, 이하'밸브 잠금수위'라 함)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감지센서는 스컴 제거수단(410)에 각각 설치된다.
선형 모터(420)는 상기 스컴 제거수단(410)에 상승 또는 하강 동력을 제공한다.
제어부(430)는 제1 수위 감지센서(411) 및 제2 수위 감지센서(412)의 센싱 값을 감지하여 수집기(413)가 수면으로부터 약 1 ~ 2mm 구간에 위치하도록 선형 모터(420)를 구동하며, 수집기(413)가 수면으로부터 약 1 ~ 2mm 정도의 아래에 위치하면 수표면에 떠있는 부유물이 수집기(413)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수위감지센서(411, 412)는 현재 수위가 밸브잠금 수위보다 높은 지를 감지하는데, 이 경우 수집기(413)로 부유물이 아니라 침전조의 물(약품 포함)이 관로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제어부(430)는 수위감지센서(411, 412)의 센싱값을 감지하여 밸브 잠금수위를 초과할 경우, 관로에 설치된 밸브(415)를 폐쇄하여 침전조의 물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제어부(430)는 수위감지센서(411, 412)로부터 밸브감지 수위 초과 신호가 수신되면 밸브 구동부(414)를 제어하여 밸브(415)가 관로를 폐쇄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수위감지센서(411, 412)로부터 현재 수위가 밸브감지수위보다 낮아졌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밸브 구동부(414)를 제어하여 밸브(415)가 관로를 개방하도록 한다.
지연시간 설정부(440)는 물의 파동에 의해 수위가 출렁이는 동안에 제어부(430)가 선형 모터(420)를 구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연시간을 설정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를테면, 수위가 변동되어 수위감지센서(411, 412)에 의해 밸브잠금 수위가 초과된 것이 감지되면, 밸브(415)를 구동하여 관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지연시간까지 대기한 후 선형 모터(420)를 구동하여 수집기(413)가 정위치(수면으로부터 약 1 ~ 2mm 정도의 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써, 수면의 파동이 안정화 되는 지연 시간동안 약품이 투입된 다량의 물이 수집기(413)와 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경고 발생부(450)는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가 고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외부에 경고 신호(알람, 사이렌, 경광등, 진동 등)를 발생 시킨다.
통신부(460)는 외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하강 임계치 설정부(470)는 상기 스컴 제거수단(410)의 상승 한계치 정보 및 하강 한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들을 상기 제어부(430)로 보내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스컴 제거수단(410)이 상기 상승한계치 또는 하강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선형 모터(420)의 구동을 정지 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430)는 선형 모터(420)를 구동시킨 후 상하강 임계치 설정부(470)에서 설정된 임계 시간이 지나도 수위감지센서(411, 412)에서 감지되는 수위 센싱값이 변하지 않으면,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고 발생부(450)를 구동 제어하여 경고음 등을 발생하고, 상기 통신부(460)를 통해 외부의 중앙관제시스템으로 고장 사실을 통지한다.
수집기 상하강 조정부(480)는 수동 모드에서 상기 수집기(413)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동작모드 설정부(490)는 상기 스컴 제거수단(410)의 상승/하강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테면, 만일 동작모드 설정부(490)가 수동모드로 설정되면, 제어부(430)는 상기 수집기 상하강 조정부(480)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값에 따라 선형 모터(420)를 구동하여 상기 스컴 제거수단(4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반면 만일 동작모드 설정부(490)가 자동모드로 설정되면, 제어부(430) 수위감지센서(411, 412)를 통해 수위 센싱값을 입력받아 수위의 변동을 감지하면서 선형 모터(420)를 구동하여 수집기(413)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일정한 깊이의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침전조의 수면 위로 부상하는 부유물의 제거를 간단한 구조와 적은 소비전력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부유물 처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에 파동이 발생하거나 수위가 수집기의 변동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는 상황에 의해 수위가 지나치게 상승되면 밸브를 차단하여 관로를 폐쇄하기 때문에 정수장에 저장된 약품을 투여한 다량의 물이 수집기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2의 구성 중 3차 처리시설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215A)는, 오폐수 처리조(10), 센서(20), 펌프(30) 및 제어유닛(40)을 포함한다.
오폐수 처리조(10)는 내부에 오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일측 및 타측에 오폐수 유입관 및 오폐수 유출관을 구비하고, 수용된 오폐수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20), 오폐수 유출관에 연동되며 오폐수의 배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30) 등의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센서(20)는 오폐수 처리조(10)에 수용된 오폐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센싱 방식을 이중화시키기 위하여 센서(20)를 두개의 독립된 제1, 2단위센서(22, 24)로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펌프(30)는 오폐수 처리조(10) 내에 설치되며 제어유닛(40)의 제어에 의해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둘 이상의 펌프(30)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펌프(30)를 제1펌프(32)와 제2펌프(34)로 나누어서 설명함을 밝혀둔다.
제어유닛(40)은 센서(20)의 검출값에 따라 펌프(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외 오폐수 처리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센서(20)를 독립된 제1, 2단위센서(22, 24)로 구성하고 각 단위센서마다 복수의 센서노드를 가짐으로써 오폐수의 수위 레벨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단위센서의 센서노드들이 각각 동일한 레벨에서 수위를 측정하도록 마련하여 하나의 단위센서에서의 오작동이 발생하여도 수위검출을 통한 오폐수 배출이 구현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센서(20)는 독립된 제1, 2단위센서(22, 24) 구성되며, 제어유닛(40)은 제1, 2단위센서(22, 24)의 검출값 중 수위가 높게 검출된 단위센서의 검출값을 기반으로 펌프(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단위센서(22)는 오폐수 처리조(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2, 3, 4센서노드(P1, P2, P3, P4)를 포함하며, 제2 단위센서(24)는 제1, 2, 3, 4센서노드(P1, P2, P3, P4)와 각각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5, 6, 7, 8센서노드(P5, P6, P7, P8)를 포함한다.
또한, 제1, 5센서노드(P1, P5)는 저수위(DL) 구간에서의 오폐수 수위 검출을 수행하며, 제2, 6센서노드(P2, P6)는 중수위(ML) 구간에서의 오폐수 수위 검출을 수행하며, 제3, 7센서노드(P3, P7)는 고수위(HL) 구간에서의 오폐수 수위 검출을 수행하며, 제4, 8센서노드(P4, P8)는 위험수위(OL) 구간에서의 오폐수 수위 검출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센서노드(P1~P8)는 해당 수위 구간에서 수면 부력에 따라 이동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감지 센서로 마련된다.
즉, 제1, 2단위센서(22, 24)에서 독립적으로 오폐수 처리조(10) 내의 오폐수 수위를 검출하고 이를 제어유닛(40)으로 송출하면, 제어유닛(40)은 각 단위센서로부터 전송된 검출값을 파악하고 이 중 높은 수위에 대한 검출값을 기반으로 펌프(30)를 구동시킴으로써 오폐수 처리조(10) 내의 오폐수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 장치는, 오폐수 처리조(10) 내에 설치된 복수의 펌프(30)를 오폐수 수위에 따라 순차적,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펌프(30) 구동 전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펌프(3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40)은 센서(20)의 검출값에 따라 제1, 2펌프(32, 34)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펌프구동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펌프구동 제어부는 저수위(DL) 구간에서 오폐수 수위를 검출할 경우, 모든 펌프(30)의 구동을 차단시키며, 중수위(ML) 구간에서 오폐수 수위를 검출할 경우, 제1, 2펌프(32, 34) 중 어느 하나의 펌프(예를 들면 제1펌프)를 선택하여 구동시키며, 고수위(HL) 구간에서 오폐수 수위를 검출할 경우, 제1, 2펌프(32, 34)를 정속으로 구동시키며, 위험수위(OL) 구간에서 오폐수 수위를 검출할 경우, 제1, 2펌프(32, 34)를 최대 즉, 센서(20)의 검출값에 의해 판단된 오폐수의 수위에 따라 제1, 2펌프(32, 34)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소모전력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오폐수 수위 및 유량 변동에 대응하는 오폐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펌프구동 제어부는 둘 이상의 펌프(30) 중 어느 하나의 펌프를 구동시키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구동 중인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차순의 펌프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오폐수 수위 검출이 중수위(ML)에 있어 제1펌프(32)를 통해 오폐수 배출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이를테면, 유입되는 오폐수와 배출되는 오폐수의 양이 대략 동일하여 오폐수 수위 변화가 없는 경우), 제1펌프(32)를 구동시킨 지 일정 시간 이상이 초과하면 펌프구동 제어부는 제1펌프(32)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펌프(34)를 구동시켜 각 펌프(32)의 구동 시간을 어느 정도 대응시킴으로써 펌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펌프구동 제어부는 둘 이상의 펌프 중 어느 하나의 펌프를 선택하여 구동시킬 경우, 직전에 동작된 펌프를 선택에서 제외시키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즉, 펌프구동제어부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펌프의 구동을 선택해야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구동되었던 펌프를 선택하지 않고 이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구동된지 오래된 순서부터 펌프를 선택하여 해당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펌프의 수명 증대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최초 중수위(ML)에 수위가 검출되어 제1펌프(32)가 구동되고, 이후 유입량이 증가하여 고수위(HL)로 수위가 검출되면, 제1, 2펌프(32, 34)가 동시에 구동되며, 배출량이 증가하여 다시 중수위(ML)로 수위가 검출되면 펌프구동제어부는 제1펌프(32)를 선택에서 제외시키고 제2펌프(34)를 선택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펌프에 대해 각 펌프가 대략적으로 균일한 구동 시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펌프의 수명 증대가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유닛(40)은 위험수위(OL) 구간에서의 오폐수 수위가 검출될 경우, 알람 신호를 관리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적극적인 대응으로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알람 신호는 스피커에 의한 경고음, 램프 점멸에 의한 경고신호, 관리자와 연동된 모바일 기기 등으로의 메세지 송신 등의 상황을 알리는 다양한 신호 송신 및 출력으로 알람 신호의 출력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센싱 방식을 구비한 오폐수 처리 장치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센서로부터 처리조 내의 수위를 검출함으로써 신뢰적인 수위 검출이 구현되므로 센서의 오작동에 의한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센싱 방식을 구비한 오폐수 처리 장치는, 센서에 의한 수위 검출에 따른 펌프 구동 제어를 순차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펌프 구동 전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펌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센싱 방식을 구비한 오폐수 처리 장치는, 오폐수 수위에 따라 펌프의 구동 제어를 실시간, 선택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오폐수 유량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도 2의 구성 중 슬러지 처리조에 적용된 슬러지 저장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슬러지 처리조(216)에 적용된 슬러지 저장조(216A)는, 일정량의 오수(오폐수 등)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안으로 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 부양케 된 부체(2)와, 상기 부체(2)를 따라 동시 승강하되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잠수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필터(3)로 구성된다.
본체(1)는, 하수구 또는 맨홀의 준설작업시 오수의 최초 흡입 및 우선 여과를 위한 것으로, 오수 저장을 위한 내부공간(1a)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1a) 바닥면에 침전된 각종 이물질 및 슬러지의 배출목적으로 개구된 일측 단부 개폐를 위한 해치도어(11)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해치도어(11)의 하측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a)으로의 오수 강제흡입을 이룰 수 있게 된 별도의 흡입관(12)이 추가로 더 관통삽입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흡입관(12)은, 상기 본체(1) 안으로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 및 슬러지가 상기한 내부공간(1a) 바닥면으로 신속히 침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도어(11)의 하측부로부터 상향 수직형 구조로 관통삽입 됨과 더불어 그 선단부가 하향 곡선형 굴곡을 형성함에 따라 오수가 낙하 저장되도록 한다.
부체(2)는, 상기 여과필터(3)가 상기 본체(1) 안으로 흡입 저장되는 오수의 수면에 근접한 잠수상태를 항시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부력을 받아서 액체 가운데나 표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공기 또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질소 또는 헬륨)가 주입된 부레(Air bladder)인 것이 바람직하나, 부양능력이 우수한 스티로폼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여과필터(3)는, 상기 내부공간(1a)에 임시저장되는 오수로부터 각종 이물질과 슬러지를 우선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내기에 용이한 메시(Mesh) 또는 망(Net)이 형성된 평행육면체 또는 원통형 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3)의 일측 단부에는, 여과된 오수를 상기한 본체(1) 외부로의 배수목적을 갖는 배출관(31)이 더 연결되되, 대향 타측 선단이 상기 본체(1)의 일 선단 하측부를 관통하도록 구비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배출관(31)은, 상기 여과필터(3)의 승강 작용시 그 궤도에 따라 길이의 신장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플렉시블 관(Flexible pip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슬러지탱크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와 근접한 하층의 오수 여과를 배제하고 오로지 슬러지의 농도가 낮은 상층의 오수만을 여과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슬러지탱크 내에 구비되는 여과필터만으로도 대부분의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이후의 추가 여과 과정시 완전히 정제된 청정수로써 하수구 및 맨홀 청소를 위한 최적의 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술한 여과효과의 증대에 따라, 세척수로 재활용을 위해 방수되는 과정에서의 오수 함유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체에 의해 슬러지의 농도가 낮은 상층의 오수만 여과함에 따른 여과능력 극대화로, 종래의 1차 여과필터 및 2차 여과필터와 같은 다중의 필터구조 생략이 가능함과 더불어, 장치구성의 간략화 달성을 통한 장비제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 오폐수 통합 처리장치
211 : 스크린
212 : 1차 침전지
213 : 미생물 반응조
214 : 2차 침전지
215 : 3차 처리시설
216 : 슬러지 처리조
221 : 초과 유입수
231 : 제어기
232 : 응집제 투여장치
241 : 제1 센서
242 : 제2 센서
243 : 제3 센서

Claims (3)

  1. 접근이 허용된 시설 관리자만의 출입을 위해 출입 보안장치가 구비된 시설물 안치실에 배치된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오폐수 통합처리 장치는,
    내부에 극세사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된 스크린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1차 필터링하는 1차 침전지;
    상기 1차 침전지를 통해 1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미생물 반응조;
    상기 미생물 반응조를 통해 분해된 오폐수를 침전 이동시켜 2차 필터링하는 2차 침전지; 및
    상기 2차 침전지를 통해 2차 필터링 된 오폐수를 유입한 후 물리적 처리 공정, 화학적 처리 공정 또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오폐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3차 오폐수 처리시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1차 침전지를 통과한 후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우회시키는 수단을 통해 초과된 유입수를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흘려보내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입 보안장치는,
    특정인의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낮은 자기성을 띠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고,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마그네틱 소자부;
    상기 마그네틱 소자부에서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 결과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함으로써, 특정인의 보안설정 해지를 위한 보안 판단 과정을 실행하는 보안 판단부;
    상기 보안 판단부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하는 보안설정 및 해지부; 및
    미리 저장된 보안정보와 다른 루트를 통해 보안설정이 해지된 경우 경보(alarm)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침전지에는 수면을 감지하고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스컴(scum) 또는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 제거수단 및 상기 스컴 제거수단을 제어하는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침전지 스컴 제거장치는,
    상기 스컴 제거수단의 상승 한계치 및 하강 한계치를 설정하는 상하강 임계치 설정부;
    상기 스컴 제거수단의 상승 또는 하강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
    상기 스컴 제거수단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수신된 경고 명령에 따라 경고 신호를 외부로 발생 시키는 경고 발생부; 및
    상기 상하강 임계치 설정부에서 설정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스컴 제거수단이 상기 상승 한계치 또는 상기 하강 한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스컴 제거수단에 부착된 선형 모터의 구동을 정지 시키고,
    상기 선형 모터를 구동시킨 후 상기 상하강 임계치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상승한계치 또는 상기 하강한계치가 임계 시간이 지나도 상기 스컴 제거수단에 부착된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센싱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컴 제거수단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경고 발생부로 경고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1차 침전지로부터 상기 3차 오폐수 처리시설로 우회시키는 수단의 특정 부분에 응집제를 투여할 수 있는 응집제 투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20170042246A 2017-03-31 2017-03-31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1837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46A KR101837522B1 (ko) 2017-03-31 2017-03-31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46A KR101837522B1 (ko) 2017-03-31 2017-03-31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522B1 true KR101837522B1 (ko) 2018-03-14

Family

ID=6166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46A KR101837522B1 (ko) 2017-03-31 2017-03-31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1370A (zh) * 2019-11-12 2020-02-28 苏州仕净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CN116239261A (zh) * 2023-03-10 2023-06-09 内蒙古华凯环保科技有限公司 Cod监测系统、方法及高分子废水降解去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2Y1 (ko) * 2004-09-21 2004-12-14 (주)담덕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오폐수처리 장치
KR101576019B1 (ko) * 2014-07-22 2015-12-09 주식회사 조은펌프 이중화 센싱 방식을 구비한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608959B1 (ko) * 2015-08-28 2016-04-21 한삼코라 주식회사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2Y1 (ko) * 2004-09-21 2004-12-14 (주)담덕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오폐수처리 장치
KR101576019B1 (ko) * 2014-07-22 2015-12-09 주식회사 조은펌프 이중화 센싱 방식을 구비한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608959B1 (ko) * 2015-08-28 2016-04-21 한삼코라 주식회사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1370A (zh) * 2019-11-12 2020-02-28 苏州仕净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CN110841370B (zh) * 2019-11-12 2023-09-26 苏州仕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废水处理装置
CN116239261A (zh) * 2023-03-10 2023-06-09 内蒙古华凯环保科技有限公司 Cod监测系统、方法及高分子废水降解去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4031B (zh) 具有多孔过滤介质的高速过滤装置及其反冲洗方法
KR101741957B1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NZ3325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torm water runoff
KR100956387B1 (ko) 무동력으로 초기 우수 분리가 가능한 우수 집수 장치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615356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KR101127474B1 (ko)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US20120138524A1 (en) Upward-type filt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laminating method of filtering material
KR101837522B1 (ko)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2199644B1 (ko)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702B1 (ko) 상하수도용 압력식 정수시설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79591B1 (ko)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JPH0999203A (ja) 雨水および/または排水の処理方法
KR100834898B1 (ko) 중공사막을 이용한 우수처리장치
KR101764721B1 (ko)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자동 역세척 시스템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06838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635485B1 (ko)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2144059B1 (ko) 사이펀 구동수위 조절 방식의 침지형 수처리 및 저류 일체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