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591B1 -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591B1
KR101779591B1 KR1020170076771A KR20170076771A KR101779591B1 KR 101779591 B1 KR101779591 B1 KR 101779591B1 KR 1020170076771 A KR1020170076771 A KR 1020170076771A KR 20170076771 A KR20170076771 A KR 20170076771A KR 101779591 B1 KR101779591 B1 KR 10177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reatment unit
ground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곤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선일이씨티 주식회사
김희곤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이씨티 주식회사, 김희곤, 김대현 filed Critical 선일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자원을 연계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를 우수저장조(22)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우수처리부(20); 생활하수를 막분리조(32)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오수처리부(30); 지하수를 침수조(41)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지하수처리부(40);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의 하류측으로 여과수조(51)와 살균조(52)를 연결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중수공급부(50); 및 상기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량 변동에 대응하여 과부족을 보완하도록 중수공급부(50)의 공급수량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는 고정조(11)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상기 중수공급부(50)는 고정조(1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동조(12)를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생활하수, 우수, 지하수 등의 수자원을 연계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각 수자원의 수량 변동에 의한 과부족을 완화하여 충분한 수량의 중수를 최적의 상태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Recycle system based on multiple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활하수, 우수, 지하수 등을 연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 인구 증가, 도시화 진전, 생활수준 향상 등에 따라 물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망중동, 아프리카 등의 상시 물부족 국가 뿐아니라 중국과 같은 신흥공업화 국가에서는 물 부족의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도 물 부족 국가에 속하기 때문에 물 관련 산업을 육성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물 자원의 복합적 운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708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5586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하수 처리 과정을 거쳐서 배출된 처리수를 관 내에서 응집제와 혼합시키는 응집 단계; 상기 응집 단계를 거친 처리수를 별도의 침전지를 거치지 않고 여과하는 직접 여과 단계; 및 상기 여과를 통해 회수된 여과액을 활성탄에 통과시켜 냄새 및 색도 물질을 제거하는 흡착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처리 비용이 낮으면서 냄새와 색도에서 우수한 수질의 중수를 얻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에서의 우수를 집수하는 우수 배수부; 건물이나 가정집에서 발생되는 오수 중에서 잡배수를 배출하는 잡배수 배수부; 우수와 잡배수를 중수로 수처리하는 오수처리부; 및, 오수처리부를 원격 감시 및 제어하는 집중원격감시 제어시스템; 을 포함한다. 이에, 중수도 처리를 통해 나오는 하수재 이용 순환수를 유용한 용도로 사용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 1은 중수의 수질 개선을 요지로 하여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미흡하고, 선행문헌 2는 활용 가능한 다양한 수자원들의 수량 변동에 대비하는 유기적인 처리의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크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7089호 "하수 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중수 생산 방법 … 중수 생산 장치" (공개일자 : 2002.04.13.)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55866호 "우수와 잡배수를 이용한 스마트 중수도 처리시스템" (공개일자 : 2014.01.28.)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하수, 우수, 지하수 등의 수자원을 연계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각 수자원의 수량 변동에 의한 과부족을 완화하여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자원을 연계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를 우수저장조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우수처리부; 생활하수를 막분리조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오수처리부; 지하수를 침수조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지하수처리부; 상기 우수처리부, 오수처리부, 지하수처리부의 하류측으로 여과수조와 살균조를 연결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중수공급부; 및 상기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량 변동에 대응하여 과부족을 보완하도록 중수공급부의 공급수량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처리부, 오수처리부, 지하수처리부는 고정조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상기 중수공급부는 고정조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동조를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조는 가동조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안내레일에는 배관연결을 위한 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조는 초기배출조의 벽면에서 순수 우수를 투과시키는 우수투수층, 초기배출조의 상부에서 협잡물의 월류를 차단하는 협잡물제거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우수처리부의 수위가 설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승강조절기를 이용하여 가동조의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우수저장조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동처리기, 신재생 에너지로 생성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활하수, 우수, 지하수 등의 수자원을 연계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각 수자원의 수량 변동에 의한 과부족을 완화하여 충분한 수량의 중수를 최적의 상태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본체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의한 본체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1의 시스템 중에서 상류측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시스템 중에서 하류측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수자원을 연계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제안한다. 다수의 수자원은 우수, 생활하수를 비롯한 오수, 지하수 등의 재활용 가능한 물(폐수)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련의 처리를 거친 중수는 건물 청소수, 조경수 외에 수질을 높여 생활용수로 사용된다. 도 1, 도 4, 도 5의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4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처리부(20)가 우수를 우수저장조(22)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구조를 지닌다. 우수처리부(20)는 일반적인 우수관로나 별도의 우수탱크에서 시브스크린(25)을 거쳐 우수저장조(22)로 우수의 액상물을 집수한다. 우수저장조(22)의 상류측으로 초기배출조(21)를 설치하여 고형물(이물질)이 다량 함유된 초기유수를 부분적으로 우수저장조(22)로 보낸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초기유수의 잉여분은 맨홀과 우수관을 통하여 배출(방류)한다.
이때, 우수, 오수, 지하수 등의 고형물과 액상물은 엄격한 기준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며 전반적인 수처리 과정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현장의 조건에 맞게 결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오수처리부(30)가 생활하수를 막분리조(32)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구조를 지닌다. 오수처리부(30)는 오수의 고형물을 오수관로(31)로 배출하고 시브스크린(25)을 거쳐 막분리조(32)로 오수의 액상물을 집수한다. 막분리조(32)는 분리막(33)을 기반으로 유기물, 질소, 인 등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BOD 22mg/ℓ이하의 수질을 유지한다. 막분리조(32)는 분리막(33)의 폐색을 방지 또는 완화하도록 세정(예컨대 역세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오수처리부(30)는 막분리조(32)의 분리막(33)에 블로워(36)와 흡인펌프(35)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로워(36)는 막분리조(32)의 상류측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막분리를 활성도를 높인다. 흡인펌프(35)는 막분리조(32)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차압을 형성하여 여과수조(51) 측으로 유동을 유발한다. 이외에 분리막(33)의 역세정을 구비하는 경우 블로워(36)를 별도의 관로로 연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수처리부(40)가 지하수를 침수조(41)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구조를 지닌다. 지하수처리부(40)는 시브스크린(25)을 거친 지하수를 침수조(41)에 유입시켜 잔여 고형물이 침전된 액상물을 집수한다. 집수된 지하수의 적어도 일부는 공급기(48)를 통하여 건물 외벽이나 지붕을 청소하거나 조경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공급기(48)는 공급펌프(45), 압력탱크(46) 외에 방류를 위한 배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지하수처리부(40)는 침수조(41)의 하류측에 마이크로필터(42)와 경수연화기(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필터(42)는 미세다공질 여과재를 카트리지 방식으로 탑재한 구조를 택한다. 전체 시스템의 용량이 커질수록 마이크로필터(42)도 세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경수연화기(43)는 자력, 여과, 이온교환 등을 혼용한 방식으로 경수를 연화시키는 구조를 택한다. 경수연화기(43)에는 경도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필터(42)와 경수연화기(43)를 거친 지하수는 후술하는 중수공급부(50)로 공급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중수공급부(50)가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의 하류측으로 여과수조(51)와 살균조(52)를 연결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구조를 지닌다. 중수공급부(50)는 유입되는 수자원의 물성에 따라 여과수조(51)와 살균조(52)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과수조(51)는 상류측에 살균조(52)는 하류측에 인접하도록 연결된다. 살균조(52)는 수자원의 세균 종류에 따라 자외선, 가열 등을 선택적으로 부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우수저장조(22)와 막분리조(32)는 상류의 여과수조(51) 측으로 연결하고, 침수조(41)는 하류의 살균조(52) 측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저장조(22)의 1차 처리된 우수와 막분리조(32)의 1차 처리된 오수는 여과수조(51)와 살균조(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중수로 생성된다. 침수조(41)의 1차 처리된 지하수는 여과수조(51)를 경유하지 않고 살균조(52)를 거쳐 중수로 생성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지하수의 색도와 BOD가 만족한 수준에 미달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침수조(41)에서 여과수조(51)를 거치는 별도의 관로 등 배관부재를 더 부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중수공급부(50)는 여과수조(51)와 살균조(52) 사이에 색도 제거와 BOD 제거를 위한 멀티필터(5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필터(53)는 중력여과방식과 달리 펌핑에 의한 여과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침지형 막여과(SMF) 방식을 기반으로 하지만 가압형 막여과(MF) 등을 배제함은 아니다. 여재로는 정밀여과막 외에 카본, 오존을 등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수조(51)의 1차 처리된 우수와 오수는 멀티필터(53)를 거쳐 색도 제거 및 BOD 제거된 상태로 살균조(52)에 집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는 방류기를 구비하고, 중수공급부(50)는 시수유입기(5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처리부(20)는 우수저장조(22) 상에 방류기(28)를 구비하고, 오수처리부(30)는 막분리조(32) 상에 방류기(38)를 구비하고, 지하수처리부(40)는 공급기(48) 상에 방류기를 구비한다. 어느 경우에나 방류기는 관로 상에 펌프와 밸브를 포함한다. 시수유입기(57)는 일반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의 수량 부족에 대비하는 예비용이다. 시수유입기(57)의 관로는 살균조(52) 상으로 직접 연결하여 전술한 제반 처리 과정을 생략한다. 공급기(58)는 공급펌프(55), 압력탱크(56) 외에 방류를 위한 배관부재를 포함하며, 살균조(52)를 거쳐 생성되는 중수를 외부에 생활용수로 공급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60)가 상기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량 변동에 대응하여 중수공급부(50)의 공급수량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는 구조를 지닌다. 제어부(60)는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량 입력이 공급기(58)를 통한 수량 출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수행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 간의 부분적인 과부족을 상호 보완하면서 전체적 수량 부족시 상수를 투입하여 중수공급부(50)의 수량 부족을 설정 범위로 유지함을 요체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부(60)는 각 탱크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수위센서(61), 우수저장조(22)의 잉여 수량을 침수조(41)로 보내도록 설치되는 3방밸브(63), 수질과 수량 제어를 위한 설정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제어기(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위센서(61)는 우수저장조(22), 막분리조(32), 침수조(41), 여과수조(51), 살균조(52) 등에 설치된다. 3방밸브(63)는 우수저장조(22)와 여과수조(51) 사이의 관로에서 분기하여 침수조(41)로 바이패스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3방밸브(63)의 유로전환을 유발하는 동력원으로 전자식 엑츄에이터가 선호된다. 제어기(6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로 구성된다. 메모리는 전술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갱신한다. 입출력인터페이스는 외부의 PC,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외에, 살균조(52)에서 공급기(58)에 이르는 관로 등에 유량계, 주요부의 수질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수질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의 일예로서, 우수, 오수, 지하수가 적정 수량으로 공급되는 동안 여과수조(51), 살균조(52)를 거쳐 생성된 중수가 공급기(58)로 공급하고, 침수조(41)의 수위가 설정 하한치에 도달하면 3방밸브(63)가 작동하여 우수저장조(22)의 우수로 충진하고, 공급기(58)의 출력 수량이 급증하여 살균조(52)의 수위가 설정 하한치에 도달하면 시수유입기(57)의 밸브를 개방하여 상수를 충전한다. 이 경우 전술한 공급기(48)를 차단하여 침수조(41)의 수위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는 고정조(11)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상기 중수공급부(50)는 고정조(1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동조(12)를 이용하여 배치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장방형으로 형성된 고정조(11)의 중앙에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된 가동조(12)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를 원수로 하는 중수공급부(50)만 가동조(12)에 배치하면 배관연결의 간소화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조(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동조(12)는 상하운동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부분적으로 강화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에서 고정조(11) 및 가동조(12) 내의 배치는 현장 조건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경되며,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는 지상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조(11)는 가동조(1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안내레일(14)을 구비하고, 안내레일(14)에는 배관연결을 위한 도관(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레일(14)은 고정조(11)의 벽면을 이용하여 적어도 4개소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안내레일(14)과 가동조(12)는 마치 LM가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가동조(12)의 원활한 상하운동을 허용한다. 도관(18)은 중수공급부(50)를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 등과 연결하기 위한 주요 배관이다. 도관(18)을 안내레일(14)의 내부에 배치하면 배관연결의 간편성과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관(18)의 상단부는 역U자형으로 개방되거나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가동조(12)의 내부로 연결된다. 도관(18)의 중간부는 높이 방향으로 신축하기 위한 주름 구조를 지니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조(11)는 초기배출조(21)의 벽면에서 순수 우수를 투과시키는 우수투수층(23), 초기배출조(21)의 상부에서 협잡물의 월류를 차단하는 협잡물제거기(6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투수층(23)은 초기배출조(21)와 우수저장조(22)가 접하는 부분의 벽면에 설치되어 별도의 동력을 부가하지 않아도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통과시킨다. 협잡물제거기(66)는 우수투수층(23)이 설치된 벽면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초기배출조(21)의 협잡물이 우수저장조(22)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협잡물제거기(66)는 풀리와 벨트를 기반으로 하고 벨트에 브러시를 장착하는 구조로 가동된다. 물론 초기배출조(21)에 우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우수투수층(23)와 협잡물제거기(66)의 기능은 약화되거나 중단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우수처리부(20)의 수위가 설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승강조절기(65)를 이용하여 가동조(12)의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가동조(12)와 안내레일(14)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기(16)는 래크-피니언 기구를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승강조절기(65)는 구동기(16)의 피니언을 가동하는 웜기어와 모터로 구성된다. 웜기어 적용은 가동조(12)가 자중과 부력에 의하여 임의로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기(62)는 우수저장조(22)에 설치되는 수위센서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가동조(12)의 승하강 높이 변동으로 기상변동에 따른 우수저장 용량을 증감하는 동시에 우수저장조(22)의 수위를 대략 일정한 범위로 유지한다. 도 2 및 도 4는 제어수단(60)에 의한 가동조(12)의 높이 변동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조(12)가 항시 우수저장조(22)에 일정 부분 잠긴 상태를 유지하므로 여과수조(51)에 의한 펌핑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우수저장조(22)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동처리기(67), 신재생 에너지로 생성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6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처리기(67)는 우수저장조(22)의 바닥에서 수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수집한다. 이동처리기(67)에는 주행을 위한 기구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치 로봇 청소기와 같이 자율적으로 주행하며 작업한다. 수집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하거나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발전기(68)는 태양광.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하여 생성한 전기를 제어수단(60)을 비롯한 시스템 전반에 공급한다. 이외에 가동조(12)의 구동기(16)에 압전소자를 설치하여 상하 요동에 의한 에너지로 전기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 고정조 12: 가동조 14: 안내레일
16: 구동기 18: 도관 20: 우수처리부
21: 초기배출조 22: 우수저장조 23: 우수투수층
25: 시브스크린 28, 38: 방류기 30: 오수처리부
31: 오수관로 32: 막분리조 33: 분리막
35: 흡인펌프 36: 블로워 40: 지하수처리부
41: 침수조 42: 마이크로필터 43: 경수연화기
45, 55: 공급펌프 46, 56: 압력탱크 48: 공급기
50: 중수공급부 51: 여과수조 52: 살균조
53: 멀티필터 57: 시수유입기 58: 공급기
60: 제어수단 61: 수위센서 62: 제어기
63: 3방밸브 65: 승강조절기 66: 협잡물제거기
67: 이동처리기 68: 발전기

Claims (5)

  1.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자원을 연계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를 우수저장조(22)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우수처리부(20);
    생활하수를 막분리조(32)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오수처리부(30);
    지하수를 침수조(41)로 집수하여 처리하는 지하수처리부(40);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의 하류측으로 여과수조(51)와 살균조(52)를 연결하여 중수를 생성하는 중수공급부(50); 및
    상기 우수, 생활하수, 지하수의 수량 변동에 대응하여 과부족을 보완하도록 중수공급부(50)의 공급수량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처리부(20), 오수처리부(30), 지하수처리부(40)는 고정조(11)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상기 중수공급부(50)는 고정조(1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동조(12)를 이용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11)는 가동조(12)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안내레일(14)을 구비하고, 안내레일(14)에는 배관연결을 위한 도관(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11)는 초기배출조(21)의 벽면에서 순수 우수를 투과시키는 우수투수층(23), 초기배출조(21)의 상부에서 협잡물의 월류를 차단하는 협잡물제거기(6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우수처리부(20)의 수위가 설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승강조절기(65)를 이용하여 가동조(12)의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우수저장조(22)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동처리기(67), 신재생 에너지로 생성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6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KR1020170076771A 2017-06-16 2017-06-16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KR10177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771A KR101779591B1 (ko) 2017-06-16 2017-06-16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771A KR101779591B1 (ko) 2017-06-16 2017-06-16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591B1 true KR101779591B1 (ko) 2017-10-10

Family

ID=6018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771A KR101779591B1 (ko) 2017-06-16 2017-06-16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08B1 (ko) * 2018-04-13 2019-08-01 주식회사 성지테크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냉각탑 및 이를 활용한 냉동기 시스템 또는 일체형 냉동기
WO2021208445A1 (zh) * 2020-04-16 2021-10-21 苏州大学 城市雨水智能处理装置及分析系统
CN114031244A (zh) * 2021-11-19 2022-02-11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一种新型雨污分流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67B1 (ko) 2016-04-14 2016-09-05 주식회사 부강테크 스컴 및 상징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67B1 (ko) 2016-04-14 2016-09-05 주식회사 부강테크 스컴 및 상징수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08B1 (ko) * 2018-04-13 2019-08-01 주식회사 성지테크 지하유출수를 이용한 냉각탑 및 이를 활용한 냉동기 시스템 또는 일체형 냉동기
WO2021208445A1 (zh) * 2020-04-16 2021-10-21 苏州大学 城市雨水智能处理装置及分析系统
CN114031244A (zh) * 2021-11-19 2022-02-11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一种新型雨污分流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546B1 (ko)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
KR100951135B1 (ko) 합류식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와, 그에 사용되는부상여재의 제조방법 및 부상여재
KR101779591B1 (ko)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KR20130112150A (ko) 건축물용 우수 포집 및 재활용 시스템
US9669330B1 (en) WWTP sensor cartridge
KR101175305B1 (ko) 비점오염물질처리를 위한 친환경 인공습지시스템
KR200483464Y1 (ko)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05225B1 (ko)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가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608197B1 (ko) 건축 지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20150071302A (ko) 동력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217165B1 (ko) 무동력 초기빗물배제장치를 이용한 자연유하식 빗물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3540B1 (ko) 우수처리 재활용 시스템
KR100749400B1 (ko) 우수의 중수 재활용 시스템
KR101682756B1 (ko) 초기우수 처리수단을 갖는 우수재활용장치
JP4027884B2 (ja) 自然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浄水製造システム及び浄水の製造方法
KR101693100B1 (ko) 스마트 막여과 수처리 시스템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20080090650A (ko) 우수처리장치
JP2011140857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20120050775A (ko) 부력식 밀도 변환 여과 장치
KR100414688B1 (ko) 침전 및 생물막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764721B1 (ko)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자동 역세척 시스템
KR102144059B1 (ko) 사이펀 구동수위 조절 방식의 침지형 수처리 및 저류 일체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