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64Y1 -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64Y1
KR200483464Y1 KR2020140008378U KR20140008378U KR200483464Y1 KR 200483464 Y1 KR200483464 Y1 KR 200483464Y1 KR 2020140008378 U KR2020140008378 U KR 2020140008378U KR 20140008378 U KR20140008378 U KR 20140008378U KR 200483464 Y1 KR200483464 Y1 KR 200483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lar panel
float
rain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764U (ko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이앤씨
Priority to KR2020140008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6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기 우수집수조가 구비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며 우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정화 분해되는 부유정화부와 상기 부유정화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을 가지는 생태습지부와, 상기 생태습지부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생태습지부에서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되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역세 여과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여과부에서 유입된 우수가 태양전지판으로 공급되어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나머지 우수가 방류되도록 하는 처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Faciliti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using solar power generating}
본 고안은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외부 동력을 이용하지 않으며, 상기 태양전지판의 회전 및 각도 조절이 원활하고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발전 효율을 높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상대적 개념으로서, 공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배수로를 통해 수집하여 처리된 공장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의 폐수처리시설은 점오염원이며, 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배출하는 야적장 등의 공장 부지는 비점오염원이다.
이와 같이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천으로 곧바로 유입되어 하천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점오염물질에 비해 환경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매우 높다.
종래의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은 초기 우수 집수로로부터 넘친 우수는 이격되어 구비된 다른 우수 집수로로 흘러 처리되었다.
도로로부터 흘러온 우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의 우수 처리조로 유입된다. 상기 우수 처리조의 내부에는 여과재가 적층된다. 상기 여과재는 큰 자갈층, 작은 자갈층, 모래층 순으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상기 여과재 상부에는 모래층이 구비된다. 상기 모래층은 우수에 포함된 미세 오염 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모래층에 의해 여과된 우수는 상기 작은 자갈층을 통과하고, 상기 큰 자갈층에 도달한다.
상기 큰 자갈층 내에는 유공관이 구비된다. 상기 큰 자갈층에 도달한 우수는 유공관으로 유입된다. 상기 우수 처리조에서 정화 처린된 우수는 상기 유공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은 생태습지가 활용되지 않아 처리가 제한적이며, 동력이 필요한 경우 외부 전원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7535호(2006.04.29.)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유입부의 초기 우수집수조와 여과조 사이에 생태습지부를 구비하는 한편, 부유체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외부 동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으며, 태양전지 주변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발전 효율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초기 우수집수조가 구비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며 우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정화 분해되는 부유정화부와 상기 부유정화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을 가지는 생태습지부와, 상기 생태습지부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생태습지부에서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되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역세 여과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여과부에서 유입된 우수가 태양전지판으로 공급되어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나머지 우수가 방류되도록 하는 처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부유정화부는 정화 식물을 물 위에 부유 시키는 부유체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생물막여재가 구비되며; 상기 부유체 상부에는 지지대에 의하여 상향 이격되어 판상의 태양전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은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부유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외부 동력 공급없이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작동되며, 우수 위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은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발전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태습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미관상으로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배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생태습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부유정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부유정화부의 부유체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생물막여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부유정화부의 태양광 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배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생태습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부유정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부유정화부의 부유체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생물막여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부유정화부의 태양광 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100)은 유입부(110)와, 생태유지부(120)와, 여과부(130)와, 처리부(140)와, 부유정화부(150)로 이루어진다.
유입부(110)는 초기 우수 집수로(111)와, 유입관(112)과, 제1 스크린(113)과, 제2 스크린(115)과, 침전물 제거수단(1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기 우수 집수로(111)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외부로부터 흘러온 우수는 상기 초기 우수 집수로(111)로 유입된다. 상기 초기 우수 집수로(111)의 하부에는 유입펌프(111a)가 구비된다. 상기 초기 우수 집수로(111)로 유입된 우수는 상기 유입펌부(111a)에 의하여 유입관(112)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관(112)은 중공관으로 구비된다. 상기 유입관(112)의 일단은 상기 초기 우수 집수로(111)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 스크린(113)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관(112)은 상기 초기 우수 집수로(111)로부터 제1 스크린(113)으로 우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제1 스크린(113)은 상기 유입관(112)과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은 우수가 1차로 여과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스크린(113)은 세목 스크린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은 체 형태로 큰 홀이 형성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에 의해 큰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후술 할 침전물 제거수단(116)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을 통과한 우수는 제2 스크린(115)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은 상기 제2 스크린(113)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은 우수가 2차로 여과되는 장치이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은 미세목 스크린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은 체 형태로 작은 홀이 형성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의 홀은 상기 제1 스크린(113)의 홀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크린(113)에 의해 걸러진 우수가 상기 제2 스크린에 의해 작은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침전물 제거수단(116)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제2 스크린(115)을 통과한 우수는 후술 할 생태습지부(120)로 유입된다.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116)은 상기 제1 스크린(113)과 제2 스크린(115)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116)은 상기 제1 스크린(113)과 제2 스크린(115)에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한다.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116)은 컨베이어로 구비된다. 상기 침전물 제거수단(116)을 통해 제거된 협잡물은 협잡물 저장설비로 배출된다.
상기 유입부(110)를 통과한 우수는 상기 생태습지부(120)로 유입된다. 상기 생태습지부(120)는 습지저수조(121)와, 산책로(123)와, 산책공간(125)과, 폭기부(127)와, 슬러지 배출수단펌프(129)와, 유량조절펌브(122)와, 부유정화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습지저수조(121)는 상향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습지저수조(121)에는 상기 제2 스크린(115)을 통과한 우수가 모인다. 상기 습지저수조(121)에 모인 우수 상부에는 후술 할 산책로(123)와 산책공간(125)과 부유정화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부유정화부(150)가 위치한 습지저수조(121) 하부에는 후술 할 제1 모터(152)가 구비된다. 상기 습지저수조(121)의 하부에는 후술한 폭기부(127)가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의 일측에는 후술 할 슬러지 배출수단펌프(129)와 유량조절펌프(12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산책로(123)와 산책공간(125)은 상기 습지저수조(121)에 유입된 우수 상부에 부유하여 구비된다. 상기 산책로(123)와 산책공간(125)은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산책로(123)는 땅으로부터 연장되어 길이 형성된다. 상기 산책공간(125)은 상기 산책로(123)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산책공간(125)은 원, 타원 등과 같은 모양으로 상기 산책로(123)의 폭보다 넓게 구비된다.
상기 폭기부(127)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 복수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폭기부(127)는 후술 할 부유정화부(150) 하부에 주로 구비된다. 상기 폭기부(127)는 수중에 공기를 발생시켜 후술할 부유정화부(150)의 생물막여재(155)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펌프(129)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펌프(129)는 하나 이상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펌프(129)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 적층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유량조절펌프(122)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유량조절펌프(122)는 상기 슬러지 배출수단펌프(129)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유량조절펌프(122)는 하나 이상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유량조절펌프(122)는 상기 습지저수조(121)에 우수가 일정 수위이상 높아지면 후술 할 여과부(130)로 우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부유정화부(150)는 상기 산책로(123)와 산책공간(125), 산책로(123)와 산책로(123), 산책공간(125)과 산책공간(125) 사이에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정화부(150)는 부유체(151)와, 연장부재(153)와, 생물막여재(155)와, 지지대(159)와, 태양전지판(15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유체(15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151)는 목재 등의 물보다 밀도가 작은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151)는 4개가 모여 군집을 이룬다. 상기 각 부유체(151)는 두 변이 이웃하는 부유체(151)와 이격되어 구비된다. 군집을 이룬 상기 부유체(151)의 중심은 제2 브라켓(1513)으로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브라켓(1513)을 구비하지 않는다면, 이웃하는 상기 부유체(151)의 사이를 연결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부유체(151) 상부에는 후술 할 태양전지판(158)이 구비된다.
상기 각 부유체(151)는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부유체홀(151a)이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홀(151a)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홀(151a)은 이격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홀(151a)과 부유체홀(151a) 사이에는 상기 부유체홀(151a)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부재홀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재홀에는 후술 할 연장부재(153)가 삽입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홀(151a)에는 부유체틀(157)이 삽입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틀(157)은 상기 부유체홀(151a)의 모양에 맞게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틀(157)은 상부가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틀(157)은 상기 부유체(151)의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틀(157) 내측에는 수질정화용 식물이 식생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틀(157)의 측벽 및 바닥에는 부유체공(157a)이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공(157a)은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부유체틀(157)의 측벽 상부에는 부유체판(157b)이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판(157b)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판(157b)은 상기 부유체틀(157)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판(157a)은 상기 부유체틀(157) 측벽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부유체판(157a)의 일측은 상기 부유체틀(157)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판(157b)은 상기 부유체틀(157)의 측벽 외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부유체판(157b)은 상기 부유체홀(151a) 상부에 걸리어 상기 부유체틀(157)이 고정된다. 상기 부유체판(157b) 상부에는 손잡이(157c)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53)는 판상으로 상기 연장부재홀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53)는 상기 부유체(151)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53)는 목재 등의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재(153)의 상부에는 외향하는 턱부가 구비된다. 상기 턱부가 상기 연장부재홀 상부에 걸리어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재(153)에는 여재홀(153a)이 형성된다. 상기 여재홀(153a)은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여재홀(153a)에는 생물막여재(155)가 구비된다. 상기 생물막여재(155)는 여재관(155a)과, 접촉여재(155b)와, 핀(1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재관(155a)은 중공관으로 상기 여재홀(153a)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여재관(155a)의 측면에는 핀홀(156a)이 형성된다. 상기 핀홀(156a)은 상기 여재관(155a)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핀홀(156a)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핀홀(156a)은 상기 여재관(155a)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장부재(153)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핀홀(156a)은 후술 할 접촉여재(155b)의 폭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여재관(155a) 길이 방향 중심은 상기 연장부재(153)의 두께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여재관(155a) 내측에는 접촉여재(155b)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여재(155b)는 상기 여재관(155a)의 길이 방향 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접촉여재(155b)는 여재공(155c)이 형성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접촉여재(155b)는 판상의 접촉여재를 상기 여재공(155c)이 형성되도록 감아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여재공(155c)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촉어재(155b)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접촉여재(155b)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생존한다.
상기 핀(156)은 상기 핀홀(156a)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핀(156)은 상기 여재관(155a)이 상기 연장부재(153)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핀(156)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촉여재(155b)가 상기 여재관(155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부유정화부(150)가 위치하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는 폭기부(127)가 구비된다. 상기 폭기부(127)가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접촉여재(155b)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군집을 이룬 상기 부유체(151) 각각의 상부에는 하나의 지지대(159)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59)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군집을 이룬 부유체(151) 일측에 구비된 두개의 지지대(159)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지지대(159) 하부 측면에는 제2 모터(15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모터(154)가 구동되면 상기 제2 모터(154) 하부에 구비된 구동수단(154a)에 의해 상기 지지대(159)의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대(159)는 상하 방향(A)으로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대(159)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후술 할 태양전지판(158)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대(159) 상부에는 제1 힌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힌지와 후술 할 제2 힌지가 결합되어 태양전지판(158)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대(159) 상부에는 태양전지판(158)이 구비된다. 상기 태양전지판(158)은 상기 지지대(159) 상부에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태양전지판(158)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159)의 제1 힌지와 결합되도록 제2 힌지가 구비된다.
군집을 이룬 상기 부유체(151) 하부에는 회전축(1521)이 고정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521)의 상부는 상기 부유체(151)의 제2 브라켓(1513)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521)의 하부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 구비된 제1 모터(1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모터(152)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 구비된 제1 브라켓(1511)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1 모터(152)의 축에는 커플링(152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521)은 상기 커플링(1523)을 관통하여 일단은 제2 브라켓(1513)과 타단은 제1 모터(152)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태양전지판(158)에 의해 발생된 출력 전력은 온도가 낮을수록 출력 전력이 높아진다. 상기 태양전지판(158)은 상기 생태습지부(120)에 구비됨으로써 주위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판(158)의 출력 전력은 태양 빛의 입사각에 대해 COSθ값에 비례하여 발생된다. 태양 빛이 이루는 각도가 0°일 때, 출력 전력이 가장 많이 발생된다. 출력 전력을 높이기 위해 계절, 시간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판(158)은 회전과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모터(152)와 제2 모터(154)는 제어부와 연결되어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GPS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계절과 시간에 따라 제1 모터(152)와 제2 모터(154)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1 모터(152)는 제어부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B)으로 구동된다. 상기 부유체(151)는 상기 제1 모터에(15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 모터(154)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지지대(159)의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지지대(159)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판(158)으로의 태양 입사각이 0°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태양전지판(158)에 의해 발생된 출력 전력은 펌프와, 모터를 구동하고, 폭기부(127)가 작동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생성된 전력은 상기 제1 스크린(113)과 제2 스크린(115)의 침전물 제거수단(116)을 구동 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생태습지부(120)에 우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우수는 상기 습지저수조(121) 하부에 구비된 유량조절펌프(122)에 의해 여과부(130)로 배출된다. 상기 여과부(130)는 상기 생태습지부(120)와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여과부(130)는 여과조(131)와, 여과격벽(133)과, 유동로(135)와, 역세필터(137)와, 밸브(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조(131)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여과조(131) 내부에는 여과격벽(133)이 구비된다. 상기 여과격벽(133)이 구비되어 상기 여과조(131)는 2개의 구역으로 나뉘게 된다. 상기 여과조(131)의 일측 공간은 상기 생태습지부(120)로부터 우수가 유입되고, 타측 공간에는 역세필터(137)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조(131) 타측 공간의 측벽 상부에는 여과배출부(131a)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조(131) 타측 공간의 측벽 하부에는 역세배출부(131b)가 형성된다. 상기 역세배출부(131b)에는 밸브(139)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격벽(133) 하부에는 유동로(135)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로(135) 일측에는 밸브(139)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조(131)의 일측 공간에는 상기 생태습지부(120)로부터 우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우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유동로(135)를 열어 타측 공간으로 우수를 배출한다.
상기 여과조(131)의 타측 공간에는 역세필터(137)가 구비된다. 상기 역세필터(137)는 상기 여과조(131)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역세필터(137)는 망체 등에 구비되어 상기 여과격벽(139)과 여과조(131) 측벽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여과조(131)의 일측 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는 수위가 상승하면서 상기 역세필터(137)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역세필터(137)를 통과함으로써 우수는 여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역세필터(137)를 통과한 우수는 상기 여과배출부(131a)를 통해 후술 할 처리부(140)로 배출된다.
우수의 수위가 상기 여과배출부(131a)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여과조(131)에 남아있는 우수는 다시 생태습지부(120)로 배출된다. 우수가 배출된 여과조(131)의 역세필터(137)는 처리부(140)에 모인 깨끗한 우수가 필터세척관(147)을 통해 여과부(130)로 공급된다. 상기 필터세척관(147)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이용하여 상기 역세필터(137)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세척한다. 상기 역세필터(137)를 세척하며 발생된 슬러지는 상기 역세배출부(131b)로 배출된다. 상기 역세배출부(131b)의 입구에는 밸브(139)가 구비된다. 상기 역세필터(137)가 구비된 측으로 우수가 유입될 때에는 밸브(139)가 닫히고, 상기 밸브(139)가 열림으로써 슬러지가 배출된다.
상기 여과부(130)를 통과한 우수는 처리부(140)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부(140)는 상기 여과부(130)와 이웃하거나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처리부(140)는 처리로(141)와, 처리수펌프(143)와, 역세수펌프(1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로(141)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처리로(141) 하부 일측에는 역세수펌프(145)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처리수펌프(143)가 구비된다. 상기 처리로(141)로 유입된 일부 우수는 역세수펌프(145)에 의하여 상기 필터세척관(147)을 통해 여과부(130)로 공급된다. 나머지 우수는 상기 처리수펌프(143)에 의하여 방류관(149)을 통해 방류되거나 상기 태양전지판(158) 패널을 세척하는데 이용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110 : 유입부 111 : 초기 우수 집수로
112 : 유입관 113 : 제1 스크린
116 : 침전물 제거수단 120 : 생태습지부
121 : 습지저수조 123 : 산책로
125 : 산책공간 127 : 폭기부
130 : 여과부 131 : 여과조
133 : 여과격벽 135 : 유동로
137 : 역세필터 140 : 처리부
141 : 처리조 150 : 부유정화부
151 : 부유체 153 : 연장부재
155 : 생물막 여재 157 : 부유체틀
158 : 태양전지판 159 : 지지대

Claims (2)

  1. 초기 우수집수조(111)가 구비된 유입부(110)와,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며 우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정화 분해되는 부유정화부(150)와, 상기 부유정화부(15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158)을 가지는 생태습지부(120)와, 상기 생태습지부(12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생태습지부(120)에서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되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역세 여과되는 여과부(130)와, 상기 여과부(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여과부(130)에서 유입된 우수가 태양전지판(158)으로 공급되어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나머지 우수가 방류되도록 하는 처리조(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유정화부(150)는 정화 식물을 물 위에 부유시키는 부유체(151)와, 상기 부유체(151)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 판상의 연장부재(153)와, 상기 연장부재(153)를 관통하며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생물막여재(15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51) 상부에는 지지대(159)에 의하여 상향 이격되어 판상의 태양전지판(158)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158)은 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부유체(151)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100).
KR2020140008378U 2014-11-14 2014-11-14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0483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78U KR200483464Y1 (ko) 2014-11-14 2014-11-14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78U KR200483464Y1 (ko) 2014-11-14 2014-11-14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64U KR20160001764U (ko) 2016-05-25
KR200483464Y1 true KR200483464Y1 (ko) 2017-05-26

Family

ID=560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378U KR200483464Y1 (ko) 2014-11-14 2014-11-14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5924B (zh) * 2016-08-15 2023-04-14 四川省环境保护科学研究院 垂直流人工湿地分散式污水处理设备
CN107117712A (zh) * 2017-06-21 2017-09-01 东南大学 一种净化含洗衣废水的屋顶雨水的人工湿地系统
CN107162200A (zh) * 2017-06-21 2017-09-15 东南大学 一种净化含洗衣废水的屋顶雨水的人工湿地系统
CN111217453A (zh) * 2019-12-10 2020-06-02 邵智勇 一种水环境生态修复装置
CN115067105B (zh) * 2021-03-15 2024-05-24 华东师范大学 一种兼备控污减排效果的生态陂塘系统及其构建方法
CN114108741B (zh) * 2021-11-01 2023-10-31 福建省华远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式房屋
CN114180725A (zh) * 2021-12-14 2022-03-15 中国科学院亚热带农业生态研究所 一种利用光伏湿地净化农业面源污染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94Y1 (ko) * 2004-05-14 2004-08-21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모듈형 습지기반설비와 모듈형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하천수, 호소수, 또는 유출수 정화장치
KR101034132B1 (ko) * 2010-11-01 2011-05-13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물순환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생태정화 식물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535B1 (ko) 2005-12-06 2006-05-10 (주)에코에이엔씨 초기우수분리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94Y1 (ko) * 2004-05-14 2004-08-21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모듈형 습지기반설비와 모듈형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하천수, 호소수, 또는 유출수 정화장치
KR101034132B1 (ko) * 2010-11-01 2011-05-13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물순환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생태정화 식물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64U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464Y1 (ko)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18344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101815246B1 (ko)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KR101175305B1 (ko) 비점오염물질처리를 위한 친환경 인공습지시스템
KR101614687B1 (ko)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308064B1 (ko)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CN105129969A (zh)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KR102253591B1 (ko)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85575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7194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845864B1 (ko) 강우유출수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KR101137443B1 (ko)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085199B1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1713397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JP4844825B2 (ja)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KR10121786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709908B1 (ko) 친환경 다목적 댐
KR20050080009A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선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처리하는하수처리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