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819B1 -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819B1
KR100941819B1 KR1020040105002A KR20040105002A KR100941819B1 KR 100941819 B1 KR100941819 B1 KR 100941819B1 KR 1020040105002 A KR1020040105002 A KR 1020040105002A KR 20040105002 A KR20040105002 A KR 20040105002A KR 100941819 B1 KR100941819 B1 KR 10094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oor
guide rail
roller
bracket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412A (ko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8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shape
    • E05Y2800/33Form, shape having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 고정되는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와, 상기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가 상부로 절곡되는 회전브라켓트(3)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 내부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가이드 레일(1)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는 제 1, 2 롤러(4, 5)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상기 제 1, 2 롤러(4, 5)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지지수단(1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보조롤러(6)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의 스텝 위를 구르면서 이동하는 하중롤러(7)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보조롤러(6)와 제 1, 2 롤러(4, 5)가 밀착되어 이동하므로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 폭과 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간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드 도어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크기를 가이드 레일(1)의 폭보다 충분히 작도록 설계하여 각 롤러가 구를 때 가이드 레일(1)의 반대측 면에 접촉하여 생기는 불필요한 마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가 개폐될 경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히 작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도어를 장기간 반복하여 개폐하여도 그 작동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Lower Roller Structure of Slide-Door for Automobile}
도 1 은 종래의 로어 롤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브라켓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회전브라켓트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 단부를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가이드 레일 2 -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
3 - 회전브라켓트 4 - 제 1 롤러
5 - 제 2 롤러 6 - 보조롤러
7 - 하중롤러 10 - 탄성지지수단
11 -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 12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워 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라이등 도어의 로워 롤러를 3중으로 구비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슬라이드 도어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승강구에는 도어가 설치되는데, 이는 승객의 승하차시 승강구를 개폐하고, 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외부의 이물질, 즉 빗물이나 먼지 등이 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형승합차 또는 RV(Recreational Vehicle)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의 경우 개구부가 넓어 여러 사람이 타고 내리기가 편리하고, 자동차 측면의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서도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도어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도어는 도어의 상부 및 하부, 그리고 중앙부 각각에 장착되는 어퍼 롤러(upper roller), 로어 롤러(lower roller), 및 센터롤러(center roller)가 상기 각 롤러에 대응하여 차체의 측면에 취부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일정한 궤적을 이동함으로서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로어 롤러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 고정되는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와;
상기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가 상측으로 두번 절곡되는 회전브라켓트(3)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의 절곡된 상부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의 내부로 결합되어 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2 롤러(4, 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는 하중롤러(7)가 설치되며, 이 하중롤러(6)는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의 스텝 위를 구르면서 이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로어 롤러 구조는 제 1, 2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통상의 가이드 레일은 정밀도가 낮아 이 제 1, 2 롤러와 가이드 레일 간의 틈새가 클 경우 이 틈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가 개폐 중 유동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도어와 차체 간에 간격 관리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반면에 제 1, 2 롤러와 가이드 레일 간의 틈새가 너무 작으면 제 1, 2 롤러가 회전할 경우 구름면이 아닌 반대면에 의한 불필요한 마모가 생길 수 있어 도어의 장기간 사용 시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스프링으로 가압력을 가지는 보조롤러를 추가로 설치하여 가이드 레일의 폭과 제 1, 2 롤러 사이의 공차와는 무관하게 슬라이드 도어가 개폐 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 고정되는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와;
상기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가 상부로 절곡되는 회전브라켓트(3)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 내부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가이드 레일(1)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는 제 1, 2 롤러(4, 5)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상기 제 1, 2 롤러(4, 5)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지지수단(1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보조롤러(6)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의 스텝 위를 구르면서 이동하는 하중롤러(7)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슬라이드 도어를 개폐하면 제 1, 2 롤러(4, 5)가 가이드 레일(1)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는 데 이 경우 제 1, 2 롤러(4, 5)와 가이드 레일(1) 사이의 간격 변화에도 보조롤러(6)가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탄성지지수단(10)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항상 밀착되므로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제 1, 2 롤러(4, 5)와 가이드 레일(1)의 사이의 틈으로 인해 발생되는 슬라이드 도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브라켓트의 단부 양측에 제 1, 2 롤러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 2 롤러의 회전축에 보조롤러가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브라켓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로서, 제 2 롤러의 회전축에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브라켓트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에 걸려 지지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제 1, 2 롤러와 보조롤러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회전브라켓트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로서,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의 하부에는 스토퍼돌기가 돌출되고, 회전브라켓트에 는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토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 단부를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보조롤러의 위치를 단속하는 단속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개방된 도어 장착부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1)은 양 측면이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절곡되어 ㄷ자 형으로 형성되며, 내부로 후술될 제 1, 2 롤러(4, 5)와 보조롤러(6)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이 제 1, 2 롤러(4, 5)와 보조롤러(6)의 구름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면에 장착 고정되는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의 일 측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게 회전브라켓트(3)가 장착된다.
이 회전브라켓트(3)는 단부 양측에 이중으로 절곡되어 롤러장착부(3a)가 형성되고, 이 롤러장착부(3a)에는 제 1 롤러(4)와 제 2 롤러(5)가 각각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제 1, 2 롤러(4, 5)는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내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시 가이드 레일(1)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여 슬라이드 도어를 원활하게 개폐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회전브라켓트(3)의 측면에는 차량의 스텝 위에 놓여져 이 스텝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고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롤러(7)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탄성지지수단(1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보조롤러(6)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 탄성지지수단(10)은 상기 제 2 롤러(5)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보조롤러(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와;
상기 제 2 롤러(5)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걸려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에 걸려 지지되는 리턴스프링(1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롤러(6)는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에 의해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내측면에 맞붙게 되고, 이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를 리턴스프링(12)이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제 1, 2 롤러(4, 5)와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변하더라도 그 변화에 맞게 보조롤러(6)의 위치가 탄성적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가 개폐되면서 제 1, 2 롤러(4, 5)와 보조롤러(6)가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할 경우 이 보조롤러(6)가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 한 측에 밀착되고, 내측면 타 측에는 제 1, 2 롤러(4, 5)가 밀착된 상태로 구르면서 이동하게 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시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가이드 레일(1)의 내측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이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유동을 방지하고 원활히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면 에 스토퍼돌기(11a)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는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돌기(11a)가 걸리는 걸림턱(3b)을 형성한다.
즉, 상기 보조롤러(6)가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구르면서 이동할 경우 그 마찰에 의해 과도한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가 회동하면 리턴스프링(12)이 파손되거나,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가 회전브라켓트(3)와 가이드 레일(1) 사이에서 압축되어 변형될 위험이 있으는 것이다.
상기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가 리턴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각도 만큼 회동하면 상기 스토퍼돌기(11a)가 걸림턱(3b)에 걸려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어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단부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상기 보조롤러(6)가 걸려 그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1a)를 간격을 두고 다 수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드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경우 상기 보조롤러(6)가 상기 단속돌기(1a)에 걸려 별도의 도어 체커 없이 경사진 도로에서 주, 정차 시 슬라이드 도어가 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슬라이드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장착되는 스토퍼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가이드 레일의 내 측면 양측에 각각 보조롤러와 제 1, 2 롤러가 밀착되어 이동하므로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 폭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간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드 도어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레일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크기를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충분히 작도록 설계하여 각 롤러가 구를 때 가이드 레일의 반대측 면에 접촉하여 생기는 불필요한 마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가 개폐될 경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히 작동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도어를 장기간 반복하여 개폐하여도 그 작동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에 장착 고정되는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와;
    상기 로어롤러 고정브라켓트(2)의 일 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단부가 상부로 절곡되는 회전브라켓트(3)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 내부로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 개폐 시 가이드 레일(1)을 따라 구르면서 이동하는 제 1, 2 롤러(4, 5)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상기 제 1, 2 롤러(4, 5)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지지수단(1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보조롤러(6)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의 스텝 위를 구르면서 이동하는 하중롤러(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가이드 레일(1)의 단부에는 내측면에 상기 보조롤러(6)가 걸려 그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1a)를 간격을 두고 다 수개 돌출시 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10)은 상기 제 2 롤러(5)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보조롤러(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와;
    상기 제 2 롤러(5)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 걸려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에 걸려 지지되는 리턴스프링(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는 하부면에 스토퍼돌기(11a)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브라켓트(3)에는 보조롤러 장착브라켓트(11)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돌기(11a)가 걸리는 걸림턱(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KR1020040105002A 2004-12-13 2004-12-13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KR10094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002A KR100941819B1 (ko) 2004-12-13 2004-12-13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002A KR100941819B1 (ko) 2004-12-13 2004-12-13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412A KR20060066412A (ko) 2006-06-16
KR100941819B1 true KR100941819B1 (ko) 2010-02-10

Family

ID=3716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002A KR100941819B1 (ko) 2004-12-13 2004-12-13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45B1 (ko) 2012-10-19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2413978B1 (ko) * 2020-02-13 2022-06-27 김성만 창호용 개폐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357A (ja) * 1995-01-20 1996-08-06 Koyo Seiko Co Ltd スライドドア用ローラ装置
JPH11351249A (ja) 1998-06-12 1999-12-24 Ntn Corp スライドドア案内装置およびそのローラ装置
JP2008223400A (ja) * 2007-03-15 2008-09-25 Jtekt Corp スライドドア用ガイドロー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357A (ja) * 1995-01-20 1996-08-06 Koyo Seiko Co Ltd スライドドア用ローラ装置
JPH11351249A (ja) 1998-06-12 1999-12-24 Ntn Corp スライドドア案内装置およびそのローラ装置
JP2008223400A (ja) * 2007-03-15 2008-09-25 Jtekt Corp スライドドア用ガイド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412A (ko)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438B1 (en) Simultaneous single rail movement system for a vehicle door
CN101191339A (zh) 重型设备的驾驶室
US5718472A (en) Automotive slide roof system
JP4722262B2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KR100941819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구조
JPH11270211A (ja) 自動車用ドアオープンストッパ装置
JP521736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JPH0789379A (ja)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100739219B1 (ko) 복합형 도어 체커
KR100527142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JP3405455B2 (ja) 車両用スロープ装置
US20020059691A1 (en) Disengageable doorstop for vehicles
JPH07257186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ク機構
JP3659199B2 (ja) 扉開閉構造
KR100412515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도어체커
JPS625931Y2 (ko)
JP3699583B2 (ja) 開閉体案内装置
JPH09254662A (ja) スライドドアの全開保持装置
JP2003214016A (ja) 車両用スライド扉装置
JPH06293220A (ja) 自動車用サンルーフにおけるサンシェードの案内装置
JP2001150953A (ja) スライド扉のチェッカー装置
KR100424885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328987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JP2003003721A (ja) 吊り戸のストッパ構造
JP441941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