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167B1 -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 Google Patents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167B1
KR100939167B1 KR1020080023616A KR20080023616A KR100939167B1 KR 100939167 B1 KR100939167 B1 KR 100939167B1 KR 1020080023616 A KR1020080023616 A KR 1020080023616A KR 20080023616 A KR20080023616 A KR 20080023616A KR 100939167 B1 KR100939167 B1 KR 10093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roll
polishing
heald
roll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322A (ko
Inventor
정혜천
정승현
전두환
서석태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filed Critical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2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1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의 연마 작업시, 상기 연마롤의 닳는 정도를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자동으로 연마롤의 위치를 조정하여 항상 종광의 소재인 박판 또는 펀칭 처리된 종광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연마롤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해야 할 시기에는 신속하게 외부의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연마작용을 하는 연마롤; 상기 연마롤 양측에 형성되어 종광의 소재인 박판이 장착되고, 상기 박판이 연마롤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롤러; 상기 박판의 하측을 지지되게 형성하여 연마롤에 의해 박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연마롤의 하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연마롤과의 이격된 위치정보를 각각 감지하는 근접센서부; 상기 근접센서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값을 통해 구동모터부를 제어하여 연마롤이 승강 작동되게 하고, 상기 연마롤의 교체시기 및 연마 정도에 따른 경보등, 경보음이 출력되게 제어하는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연마롤과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연마롤이 상·하로 승강 작동시키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구동모터부;로 이루어진 종광 연마장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의 마지막 근접센서로부터 OFF 신호값 입력시, 연마롤의 수명을 예측하여 경보음이 출력되게 설정하되,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의 외부에 형성된 조작키를 이용하여 연마롤에 따라 수명 예측단계를 별도로 설정하는 수명 예측설정부를 포함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광, 연마롤, 수명 예측, 근접센서, 경보음

Description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System for predicting life time of grinding roller of heddles polishing device}
본 발명은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의 연마 작업시, 상기 연마롤의 닳는 정도를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후, 자동으로 연마롤의 위치를 조정하여 항상 종광의 소재인 박판 또는 펀칭 처리된 종광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연마롤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해야 할 시기에는 신속하게 외부의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광은 직기의 3대 주운동인 개구운동을 위한 도구로, 일명 '잉아'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수백, 수천 가닥에 달하는 경사 사이에 위사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제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기의 구성부품 중에 하나인데, 일반적인 종광의 형태는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박판을 길다랗게 사출 성형하여 그 형상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가장 자리에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폭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광의 양측 가장 자리에는 종광 프레임과의 체결에 요구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의 내측에 몸체를 형성하여 구성되게 하되, 상기 고정부에는 직기의 종광 프레임과 체결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에는 경사를 통과시켜 수용하는 종광눈을 형성한다.
상기 종광은 복수개를 형성하여 고정공에 고정바를 끼운 상태에서 종광 프레밍에 고정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종광 프레임을 직기의 소정 위치에 나란히 설치한 후, 각 종광의 종광눈에 경사를 각 통과시켜 상하 운동에 따른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경사 개구를 통하여 공급된 위사에 의해 직물의 제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 종광의 표면이 거칠거나 모서리 부분이 날카로운 경우 실의 끊어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직물의 제직시, 이러한 실의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광 표면을 다단의 공정에 의한 연마과정을 거쳐 종광의 표면미려도 및 모서리 부분의 날카로움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종광 연마장치를 살펴보면, 종광의 소재인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길다랗게 사출 성형된 박판을 양측에 형성된 회전롤에 장착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고, 회전되는 종광의 소재인 박판의 표면 상측에는 연마롤이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형성하고, 상기 박판의 표면 하측에는 지지 스프링을 형성하여 박판과 연마롤이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마롤에 의해 연마과정시 박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은 표면 거칠기 정도에 따른 다단의 연마롤으로 형성하여 상기 종광의 소재인 박판이 다단의 연마롤을 통해 표면미려도의 향상 및 모서리 부분의 날카로움이 단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단의 연마롤에는 각각 승강 손잡이를 형성하여 연마롤을 상하로 승강 작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종광의 경우 펀칭작업에 의해 제조되므로 절단된 부위와 종광눈, 고정공 등의 구멍들의 연부에 예리한 거스러미가 형성되는데, 상기 종광의 펀칭작업에 의해 발생된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다단의 연마롤이 형성된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연마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연마장치는 표면 거칠기 정도에 따른 다단의 연마롤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연마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표면미려도의 향상 및 모서리 부분의 날카로움 또는 펀칭작업에 따른 거스러미를 단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연마롤이 닳게 되어 연마롤과 종광의 소재인 박판 또는 펀칭작업에 의해 제조된 종광의 표면 사이가 이격되고, 이 때마다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연마롤을 하강시켜 연마롤과 박판 또는 종광의 표면이 접촉되게 하여 연마작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작업자는 연마롤이 닳는 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항상 주의를 기울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작업에 집중하기 힘들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연마롤을 하강시킴으로 인해 연마롤과 박판 또는 종광의 표면이 적절하게 접촉되지 않게 되어 상기 박판 또는 종광이 휘어지게 되어 표면미려도가 저하되고, 수작업으로 인해 균일성이 없어 그에 따른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연마롤의 수명이 다해 연마작업에 적당하지 않게 되어도 정확한 교체시기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고, 연마롤 또는 종광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연마롤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닳게 되는 정도를 감지한 후, 자동으로 연마롤이 닳은 정도 만큼 하강 작동되게 제어하여 항상 연마롤이 종광의 소재인 박판 또는 펀칭 처리된 종광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연마 작업이 이루어져 불량률이 감소되고, 연마롤의 수명이 다해 연마작업에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교체시기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외부의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연마작용을 하는 연마롤; 상기 연마롤 양측에 형성되어 종광의 소재인 박판이 장착되고, 상기 박판이 연마롤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롤러; 상기 박판의 하측을 지지되게 형성하여 연마롤에 의해 박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연마롤의 하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연마롤과의 이격된 위치정보를 각각 감지하는 근접센서부; 상기 근접센서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값을 통해 구동모터부를 제어하여 연마롤이 승강 작동되게 하고, 상기 연마롤의 교체시기 및 연마 정도에 따른 경보등, 경보음이 출력되게 제어하는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연마롤과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연마롤이 상·하로 승강 작동시키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구동모터부;로 이루어진 종광 연마장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의 마지막 근접센서로부터 OFF 신호값 입력시, 연마롤의 수명을 예측하여 경보음이 출력되게 설정하되,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의 외부에 형성된 조작키를 이용하여 연마롤에 따라 수명 예측단계를 별도로 설정하는 수명 예측설정부를 포함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종광의 소재인 박판 또는 펀칭 가공된 종광을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을 통해 연마 작업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연마롤의 연마되는 부위를 감지하여 항상 연마롤이 접촉된 상태에서 연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마롤의 표면 거칠기 또는 크기에 따라 수명 예측단계를 사용자가 설정되게 하고, 연마롤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알려주어 제품의 효용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 시스템의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5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광의 소재인 스테일레스강 재질의 길다랗게 사출 성형된 박판(21)은 양측에 형성된 회전롤러(20)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 성하고, 상기 박판(21)의 상부에는 구동모터부(60)에 의해 상·하로 승강 작동되는 연마롤(10)이 형성되고, 상기 박판(21)의 하측에는 지지 스프링(30)이 형성되며, 상기 연마롤(10) 하부에 일정 위치 이격되게 형성하여 근접 위치신호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부(40)를 구성하고, 상기 근접센서부(40)를 통해 전송된 근접 위치정보를 통해 구동모터부(60)를 제어하여 연마롤(10)이 승강 작동되게 하고, 상기 연마롤(10)의 교체시기 및 연마 정도에 따른 경보등, 경보음이 출력되게 제어하는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마롤(10)은 표면 거칠기 정도에 따라 다수 개의 연마롤이 설치되어 회전모터(미도시됨)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형성하되, 회전롤러(2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종광의 소재인 박판(21)과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연마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연마롤(10)은 구동모터부(60)의 볼스크류(62)와 결합되어 구동모터(6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 작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회전롤러(20)는 연마롤(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종광의 소재인 스테인레스 재질의 길다랗게 사출 성형된 박판(21)이 장착되어 연마롤(10)과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연마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지지 스프링(30)은 회전롤러(20)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박판(21)의 하측부위를 지지하여 박판(21)과 연마롤(10)이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작업시 회전 작동되는 박판(2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근접센서부(40)는 위치신호 입력부(41), 신호증폭부(42) 및 A/D 컨버터 부(43)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근접센서가 연마롤(10)의 하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연마롤(10)과의 이격된 위치정보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위치신호 입력부(41)는 연마롤(10)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일정 두께 이상으로 닳게 되는 경우 근접센서(40)와 연마롤(10)의 이격된 위치를 감지하여 ON/OFF 신호값을 입력하고, 상기 신호증폭부(42)는 위치신호 입력부(41)에 의해 입력된 전류로 환산된 ON/OFF 신호값을 전압 변환하고, 미약한 전압을 증폭하여 전압레벨을 A/D 컨버터부(43)에서 가용한 입력폭의 레벨로 전압을 증폭하고, 상기 A/D 컨버터부(43)는 신호증폭부(42)에서 전송된 아날로그 ON/OFF 신호값을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50)의 제어부(51)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인 디지털 ON/OFF 신호값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상기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50)은 제어부(51), 수명 예측설정부(52), 메모리부(53), 구동모터 작동부(54), 경보등 출력부(55) 및 경보음 출력부(5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부(51)는 A/D 컨버터부(43)에서 변환되어 전송된 디지털 ON/OFF 신호값을 수신하는데, ON 신호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연마롤(10)의 승강 작용없이 연마작업이 그대로 이루어지게 하고, OFF 신호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53)에 저장된 각 근접신호의 OFF 신호값에 따른 연마롤(10)의 하강값을 추출한 후, 구동모터부(60)를 작동하여 연마롤(10)이 메모리부(53)에 저장된 하강값 만큼 하강 작동되게 제어하고, 각 연마롤(10) 마다 수명 예측단계를 사용자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게 제어하고, OFF 신호값이 입력된 근접센서에 해당하는 경보등 출력부(55)의 해당 LED가 OFF되게 제어하며, 마지막 근접센서의 OFF 신호 입력시, 경보 등 출력부(55)의 해당 LED가 OFF 되는 동시에 경보음 출력부(56)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수명 예측 설정부(52)는 기본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40)의 마지막 근접센서로부터 OFF 신호 입력시, 연마롤(10)의 수명을 예측하여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메모리부(53)에 저장되게 하고, 상기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50)의 외부에 형성된 조작키(미도시됨)를 이용하여 각 연마롤에 따라 수명 예측단계를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5개의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40)에서 3번째 근접센서으로부터 OFF 신호 입력시, 구동모터부(60)의 위치를 초기화 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상기 초기화 과정이 5번이 되면, 연마롤(10)의 수명을 예측하여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설정한 후, 메모리부(53)에 저장시키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53)는 연마롤(10) 하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각각의 근접센서부(40)의 OFF 신호값에 따른 연마롤의 하강되는 위치값을 저장하고, 상기 수명 예측설정부(52)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연마롤(10)의 수명 예측정보를 저장하여 제어부(51)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51)를 운용할 수 있는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구동모터 작동부(54)는 제어부(51)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모터부(6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각각의 근접센서의 OFF 신호값에 따른 연마롤(10)의 하강값만큼 구동모터부(6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등 출력부(55)는 각각의 근접센서의 OFF 신호 입력시, 제어부(51) 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보등이 OFF 상태가 되도록 경보등 릴레이스위치(55a) 및 경보등 LED(55b)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근접센서의 OFF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등 릴레이스위치(55a)를 OFF 시켜 경보등 LED(55b)가 OFF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56)는 마지막 근접센서의 OFF 신호 입력시, 제어부(51)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경보음 타이머(56a), 경보음 릴레이스위치(56b) 및 스피커(56c)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경보음 타이머(56a)는 마지막 근접센서의 OFF 신호를 수신하면, 일정시간 동안 작동하여 경보음 릴레이스위치(56b)가 ON 상태로 연결되게 해 스피커(56c)를 통해 경보음을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경보음 릴레이스위치(56b)를 OFF 시켜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부(60)는 제어부(51)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연마롤(10)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61) 및 볼스크류(6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동모터(61)는 구동모터 작동부(54)의 작동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볼스크류(62)는 연마롤(10)과 결합되어 구동모터(61)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연마롤(10)이 상·하로 승강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광 연마장치는 다수 개의 표면 거칠기가 상이한 연마롤(10)이 형성되어 회전모터(미도시됨)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하고, 상기 연마롤(10)은 구동모 터부(60)의 볼스크류(62)와 결합되어 구동모터(6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 작용되게 형성하고, 상기 연마롤(10)의 양측에는 회전롤러(20)를 설치하되, 종광의 소재인 스테인레스 재질의 길다랗게 사출 성형된 박판(21)이 장착되어 연마롤(10)과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연마작업이 이루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박판(21)의 하측부위에는 연마작업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스프링(30)을 형성한다.
상기 연마롤(10)의 수명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근접센서부(40)는 5개의 근접센서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1mm 간격으로 변위가 바뀌면, 5개의 근접센서가 하나씩 검출되도록 제어부(51)를 통해 설정한 후, 지정된 1mm 간격으로 5개의 근접센서를 계단형태의 다단으로 각각의 근접센서를 배열한다.
상기와 같이 근접센서부(40)가 1mm 간격의 다단으로 연마롤(10) 하부에 설치되면, 상기 구동모터부(60)를 작동하여 연마롤(10)을 1mm 간격으로 상승시켜 상기 근접센서부(40)의 오차 여부를 검증한 후, 오차가 발생하면, 다시 근접센서부(40)를 미세 조정하여 정확하게 다단으로 배열되게 한다.
상기 연마롤(10) 하부에 근접센서부(40)가 다단으로 설치되면, 수명 예측설정부(52)를 통해 상기 연마롤(10)에 대한 수명 예측단계를 설정하도록 하는데, 기본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40)의 각 근접센서의 OFF 신호 입력시, 해당 경보등 LED가 OFF 되다가 5개의 근접센서 중 마지막 5번째 근접센서의 OFF 신호 입력시, 경보등 출력부(55)의 해당 LED가 OFF 되는 동시에 경보음 출력부(56)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게 설정되어 있다.
만일, 상기 수명 예측설정부(52)를 통해 연마롤(10)에 대한 수명 예측단계를 별도로 설정하는 경우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수명 예측설정부(52)를 통해 5개의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40)에서 각 스텝의 진행이 3스텝일 때, 즉 3번째 근접센서의 OFF 신호 입력시 구동모터부(60)의 위치 제어를 초기화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3스텝까지 진행된 초기화 과정이 5번이 경과하게 되면, 연마롤(10)의 수명을 예측하여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마롤(10) 하부에 다단으로 근접센서부(40)가 형성되고, 연마롤(10)에 대한 수명 예측단계의 설정이 되면,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10)에 의해 종광의 소재인 박판(21)의 연마작업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종광의 소재인 박판(21)은 양측에 형성된 회전롤러(20)에 장착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연마롤(10)은 박판(21)과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마작업이 개시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연마롤(10)이 1mm 이상 닳게 되면, 근접센서부(40)의 첫번째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50)의 제어부(51)에 OFF 신호값을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1)가 근접센서부(40)로부터 전송된 OFF 신호값을 수신하면, 상기 근접센서의 OFF 신호값에 해당하는 연마롤(10)의 하강값 정보를 메모리부(53)로부터 추출한 후, 구동모터 작동부(54)를 통해 구동모터부(6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근접센서의 OFF 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경보등 출력부(55)에 인가하여 해당 경보등 릴레이스위치(55a)를 OFF 시켜 경보등 LED(55b)가 OFF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부(60)의 구동모터(61)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 작동되고, 이에 따라 볼스크류(62)가 회전하면서 연마롤(10)은 인가된 제어신호값에 따른 하강 작동을 하여 종광의 소재인 박판(21)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는데, 상기 연마롤(10)이 연마작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닳게 되면, 근접센서부(40)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연마롤(10)이 하강 작동되게 제어되고, 상기 연마롤(10)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에는 교체시기를 외부의 작업자에게 경보등과 경보음을 출력하여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기본적으로 설정된 수명 예측단계 또는 수명 예측설정부(52)를 통해 사용자 임의로 설정된 수명 예측단계에 따라 근접센서부(40)의 마지막 근접센서의 OFF 신호가 입력되거나 진행된 스텝의 설정된 초기화과정이 경과할 경우 제어부(51)는 경보등 출력부(5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OFF 신호가 입력된 근접센서에 해당하는 경보등 릴레이스위치(55a)를 OFF 시켜 경보등 LED(55b)가 OFF 되게 하고, 경보음 출력부(56)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경보음 타이머(56a)를 작동시켜 경보음 릴레이스위치(56b)를 ON 상태로 연결한 후, 스피커(56c)를 통해 설정된 시간동안 경보음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마롤(10)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닳게 되는 것을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40)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자동으로 연마롤(10)이 하강 작동되고, 또한 연마롤(10)이 수명이 다해 교체해야 할 때에는 교체시기를 외부에 알려주도록 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 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종래의 종광 연마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 시스템의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의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연마롤 20. 회전롤러
21. 박판 30. 지지 스프링
40. 근접센서부 41. 위치신호 입력부
42. 신호증폭부 43.A/D 컨버터부
50.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 51. 제어부
52. 수명 예측설정부 53. 메모리부
54. 구동모터 작동부 55. 경보등 출력부
55a. 경보등 릴레이스위치 55b. 경보등 LED
56. 경보음 출력부 56a. 경보음 타이머
56b. 경보음 릴레이스위치 56c. 스피커
60. 구동모터부 61. 구동모터
62. 볼스크류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연마작용을 하는 연마롤; 상기 연마롤 양측에 형성되어 종광의 소재인 박판이 장착되고, 상기 박판이 연마롤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롤러; 상기 박판의 하측을 지지되게 형성하여 연마롤에 의해 박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연마롤의 하부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연마롤과의 이격된 위치정보를 각각 감지하는 근접센서부; 상기 근접센서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값을 통해 구동모터부를 제어하여 연마롤이 승강 작동되게 하고, 상기 연마롤의 교체시기 및 연마 정도에 따른 경보등, 경보음이 출력되게 제어하는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연마롤과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연마롤이 상·하로 승강 작동시키는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구동모터부;로 이루어진 종광 연마장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근접센서부의 마지막 근접센서로부터 OFF 신호값 입력시, 연마롤의 수명을 예측하여 경보음이 출력되게 설정하되, 연마롤 수명 예측수단의 외부에 형성된 조작키를 이용하여 연마롤에 따라 수명 예측단계를 별도로 설정하는 수명 예측설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KR1020080023616A 2008-03-14 2008-03-14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KR10093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616A KR100939167B1 (ko) 2008-03-14 2008-03-14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616A KR100939167B1 (ko) 2008-03-14 2008-03-14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322A KR20090098322A (ko) 2009-09-17
KR100939167B1 true KR100939167B1 (ko) 2010-01-28

Family

ID=4135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616A KR100939167B1 (ko) 2008-03-14 2008-03-14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51B1 (ko) 2011-02-14 2012-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웨이퍼 세정장치의 브러쉬 교환시기 감시장치와 그것이 설치된 웨이퍼 세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9134A (zh) * 2012-05-24 2013-12-04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采用接近开关的平台调节器
KR101879359B1 (ko) * 2018-01-05 2018-07-17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양면 비구면 렌즈
CN114536199B (zh) * 2022-02-11 2023-05-30 合肥市塑盾渔具有限公司 一种渔具加工用综丝抛光清洗装置及其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653A (ja) * 1994-08-08 1996-02-27 Sumitomo Metal Ind Ltd 外面研磨装置の被研削円柱物削り込み量制御方法
JPH08112756A (ja) * 1994-10-18 1996-05-07 Nomizu Kikai Seisakusho:Kk 研摩機における摩耗補正機構
KR19980032800U (ko) * 1996-12-05 1998-09-05 정진남 직기용 판상 종광살의 내측면 연마장치
EP1422024A1 (en) 2002-11-20 2004-05-26 BIESSE S.p.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position of a grinding wheel used in a machine for machining edges of plates of glass, marble and similar stony materials,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653A (ja) * 1994-08-08 1996-02-27 Sumitomo Metal Ind Ltd 外面研磨装置の被研削円柱物削り込み量制御方法
JPH08112756A (ja) * 1994-10-18 1996-05-07 Nomizu Kikai Seisakusho:Kk 研摩機における摩耗補正機構
KR19980032800U (ko) * 1996-12-05 1998-09-05 정진남 직기용 판상 종광살의 내측면 연마장치
EP1422024A1 (en) 2002-11-20 2004-05-26 BIESSE S.p.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position of a grinding wheel used in a machine for machining edges of plates of glass, marble and similar stony materials,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51B1 (ko) 2011-02-14 2012-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웨이퍼 세정장치의 브러쉬 교환시기 감시장치와 그것이 설치된 웨이퍼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322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167B1 (ko) 종광 연마장치의 연마롤 수명 예측시스템
KR102014274B1 (ko) 연마 장치 및 마모 검지 방법
JP6077152B2 (ja) 研磨装置
JP2006231471A (ja) 両面ポリッシュ加工機とその定寸制御方法
CN106044322A (zh) 一种纺织用收卷装置
KR102227956B1 (ko) 강판 연마용 브러쉬 장치
EP0993906A1 (en) Sharpening device for the cutting knife of a face-to-face weaving machine
EP3356072A1 (en) Multi-wire frame and method for cutting blocks of stone material into slabs
JP2019073844A (ja) リング精紡機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または装置
JP4653973B2 (ja) ドラム溝形状修正装置
JP6593260B2 (ja) 織機の開口装置におけるベアリング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JP2013188839A (ja) 鋼帯研磨機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JP2011218468A (ja) ワイヤソーのガイドプーリ磨耗検出装置及び磨耗検出方法
JP4493286B2 (ja) ワークの研磨方法及び装置
KR20120061902A (ko) 권상기용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082896A (ja) 経糸巻取装置における巻取ビームのロットコード付与方法
KR100778741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연마밸트 에지부 연삭장치
JPH10156717A (ja) 研削装置
JP3897005B2 (ja) 玉揚送機における揚送ベルトの張力調節装置
CN213325807U (zh) 一种布料上料装置及口罩生产设备
JP2006181697A (ja) 平面研磨装置及び平面研磨方法
KR102083607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
JP2004285556A (ja) 織機の布巻取り装置
KR20090065658A (ko) 미세철분 제거용 와이핑 장치
JP3694387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