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633B1 -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633B1
KR100937633B1 KR1020090078500A KR20090078500A KR100937633B1 KR 100937633 B1 KR100937633 B1 KR 100937633B1 KR 1020090078500 A KR1020090078500 A KR 1020090078500A KR 20090078500 A KR20090078500 A KR 20090078500A KR 100937633 B1 KR100937633 B1 KR 100937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washing unit
rail
horizontal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Priority to KR102009007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전철, 특히 무인 운행되는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전철의 전후면 및 상부 세척을 위한 상부세척유닛과, 경전철의 양측면 세척을 위한 측면세척유닛의 각 세척수단이 별도의 동력 없이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동력에 의해 세척수단이 동작하고 있다가 비상시(전원 차단 등)에 클러치수단을 통해 각 모터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각 세척수단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은 각각 승강레일이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 상기 각 승강레일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에 의해서 상기 두 수직빔 사이에 배치되는 세척수단,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상부세척유닛; 및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고 좌우이동레일이 설치된 수평빔, 상기 좌우이동레일과 결합된 두 좌우이동롤러에 의해서 상기 수평빔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단,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좌우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측면세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구동수단과 상기 각 세척수단의 연결라인에는 구동수단의 동력을 연 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각각의 클러치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경전철, 모노레일, 바이레일, 세차, 세척, 무인운행, 갠트리, GANTRY, 터널, 클러치, 무게추, 웨이트

Description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WASHING SYSTEM FOR AUTOMATED GUIDED TRAIN}
본 발명은 경전철, 특히 무인 운행되는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전철의 전후면 및 상부 세척을 위한 상부세척유닛과, 경전철의 양측면 세척을 위한 측면세척유닛의 각 세척수단이 별도의 동력 없이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동력에 의해 세척수단이 동작하고 있다가 비상시(전원 차단 등)에 클러치수단을 통해 각 모터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각 세척수단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차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기술 중 특히 차량의 상부를 세척하게 되는 세척수단과 차량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1999-0081444호(1999.11.15.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자동 세차기의 탑브러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탑브러시(본 발명의 상부세척유닛의 세척수단에서 승강세척 부에 해당) 구동원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와,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여 탑브러시를 승강시켜 주는 승강 구동원을 구동하는 전원 제어부와, 전류 센서에서 감지한 탑브러시 구동원에 공급되는 전류량으로부터 탑브러시 구동원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여 전원 제어부를 제어함으로써 승강 모터를 승강시켜 주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차 중인 차량의 전 구간에 걸쳐서 일정한 접촉력과 동작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탑브러시에 의한 차량 스크래치 발생량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세차시스템 중 모노레일이나 바이레일을 이용하고 무인으로 운행되는 경전철에 대한 세차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기 선행기술은 전류량을 통해 탑브러시의 상하 승강거리를 조절하여 차량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전원이 차단되는 등의 비상시에 하강된 탑브러시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행하거나 탑브러시가 장착된 몸체의 전후진 진행에 따라 차량과의 접촉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도 상기 선행기술의 전류량을 통한 탑브러시 상하 승강거리 조절 대신, 포토센서 등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세척수단의 상하 승강거리를 조절하는 기술이 도입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와 같은 비상시에 세척수단이 자동으로 초기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보다 안전한 세차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 발되었다.
본 발명은 무인 운행되는 경전철의 전후상부 및 측면 세척을 위한 각 세척유닛에서 세척수단으로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수단을 구비한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클러치수단에 의해서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각 세척수단보다 중량이 큰 웨이트부재를 각 세척수단에 연결하여 웨이트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각 세척수단이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세척이 완료된 경전철의 건조를 위한 드라이유닛을 포함하고, 각 세척유닛 및 드라이유닛이 한 세트인, 즉 한 갠트리를 이루고, 경전철의 진출입 방향으로 바닥 설치레일을 설치하여 갠트리의 전후 이동을 가능한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세차시 경전철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각각 갠트리를 배치하여 세차 시간이나 세차 방법 등을 고려하여 이에 맞게 다양한 세차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은,
각각 승강레일이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
상기 각 승강레일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에 의해서 상기 두 수직빔 사이에 배치되는 세척수단,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상부세척유닛; 및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고 좌우이동레일이 설치된 수평빔,
상기 좌우이동레일과 결합된 두 좌우이동롤러에 의해서 상기 수평빔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단,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좌우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측면세척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구동수단과 상기 각 세척수단의 연결라인에는 구동수단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각각의 클러치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체인 일단에 상기 각 세척수단이 연결되고 각각의 체인 타단에 상기 각 세척수단 보다 중량이 큰 웨이트부재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클러치수단을 통해 상기 세척수단으로의 동력이 차단되면 상기 웨이트부재에 의해서 자동으로 각 세척수단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세척 완료된 경전철의 건조를 위한 드라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세척유닛, 측면세척유닛 및 드라이유닛은 한 세트를 이루며,
상기 한 세트는 바닥 설치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세차시 상기 한 세트는 경전철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은,
무인 운행되는 경전철의 전후상부 및 측면 각각의 세척을 위한 세척유닛에서 세척수단으로의 동력 연결 및 차단을 위한 클러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수단에 의해서 동력 연결이 차단된 경우 각 세척수단이 웨이트부 재의 자중에 따른 하강에 의해서 초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여 비상시에 세척수단과 경전철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각 세척유닛과 드라이유닛으로 이루어진 한 갠트리의 적정 배치에 따라 세차 시간이나 세차 방법 등에 맞게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상부세척유닛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측면세척유닛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이 구현된 실시예 1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이 구현된 실시예 2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운전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구동수단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바닥 설치 레일 측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정한다. 또한 도 3을 기준으로 상부세척유닛의 승강세척부 측을 전방이라 정하고, 그 반대 측을 후방이라 정하기는 하나, 실시예 2에서와 같이 갠트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경전철의 진입 머리부 측이 후방이 되고, 꼬리부 측이 전방이 되듯이 전후방에 개념은 도면에 따라 유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은,
크게 상부세척유닛(10), 측면세척유닛(20) 및 드라이유닛(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세척유닛(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각 승강레일(111)이 설치되고 좌우에 상호 이격 배치된 두 수직빔(11),
상기 두 수직빔(11)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12),
상기 각 승강레일(111)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131)에 의해서 상기 두 수직빔(11) 사이에 배치되는 세척수단(13),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13)이 상기 승강레일(11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구동수단(1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두 수직빔(11)은
각각의 내측벽에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된 승강레일(111),
각각의 내측벽에 구비된 웨이트 수용부(112), 그리고
각각의 하부에 장착된 제1전후이동롤러(113)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빔(12)은
상기 두 수직빔(11) 상부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수단(1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13)은
상기 두 수직빔(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각 승강레일(111)과 결합되고 각각 롤러브라켓(131a)에 장착된 두 승강롤러(131),
상기 두 승강롤러(131)를 연결하는 승강선회축(132),
상기 승강선회축(132)에 고정 결합되는 승강세척부(133), 그리고
상기 승강선회축(132)의 선회를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측 모터(134)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강세척부(133)는 브러시인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세척수 고압 분사노즐일 수 있고, 또는 브러시와 고압 분사노즐이 공용(共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측 모터(134)는 상기 승강선회축(132)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4)은
상기 세척수단(13)이 상기 승강레일(111)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빔(12)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141),
상기 모터(141)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빔(12)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에 각각 구동기어(142a)를 갖는 구동축(142),
상기 수평빔(12)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142)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143), 그리고
일단은 각각의 롤러브라켓(13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142)의 각 구동기어(142a)를 지나 웨이트부재(W)에 연결되는 두 체인(144)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142)은 두 분체(142A, 142B)로 나누어져 있되,
상기 하나의 분체(142A)는 상기 모터(141)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분체(142B) 양단에 상기 두 구동기어(142a)가 축결합된다.
상기 두 분체(142A, 142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수단(145)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클러치 수단은 공지의 기계식 클러치 기술을 적용하여 일정 한계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록킹상태가 풀리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러치수단(145)에 의한 상기 상부세척유닛(10)의 작동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초기 세팅시(세차준비상태)에는
상기 클러치수단(145)에 의해서 상기 구동축(142)을 이루는 두 분체(142A, 142B)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나의 분체(142A)는 헛돌게 되는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웨이트부재(W)가 상기 세척수단(13)보다 중량이 더 크므로
상기 세척수단(13)은 상기 수직빔의 최상단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단(13)이 승하강을 하면서 경전철을 세차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모터(141)로의 전원 차단시 또는 에러 발생시에는
상기 클러치수단(145)에 의해서 상기 구동축(142)을 이루는 두 분체(142A, 142B)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상기 웨이트부재(W)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며,
상기 웨이트부재(W) 보다 가벼운 상기 세척수단(13)은 상기 수직빔(11)의 승강레일(111)을 따라 최초 위치인 최상단으로 상승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수단(145)을 구비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비상시에 하강된 상기 세척수단(13)이 경전철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포토센서나 거리감지센서, 위치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S)을 더 구비하여 상기 모터(141)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13)의 승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세척유닛(10)의 전후방 이동을 위하여
상기 두 수직빔(11) 하부에 구비된 제1전후이동롤러(113)가 안착되도록 바닥 설치레일(1)이 경전철 진출입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세척유닛(10)은 상기 바닥 설치레일(1)을 따라 전후방 이동하면서 경전철의 전면, 상부, 후면 등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측면세척유닛(20)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21),
상기 두 수직빔(21) 상부측을 연결하고 좌우이동레일(221)이 설치된 수평빔(22),
상기 좌우이동레일(221)과 결합된 두 좌우이동롤러(231)에 의해서 상기 수평빔(22)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단(23),
상기 세척수단(23)이 상기 좌우이동레일(22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수단(2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두 수직빔(21)은
좌우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 길이방향으로 일측벽에 구비된 웨이트 수용부(211), 그리고
각각 하부에 구비된 제2전후이동롤러(212)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빔(22)은
상기 두 수직빔(21) 상부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좌우이동레일(2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23)은
상기 수평빔(22)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좌우이동레일(221)과 결합되고 롤러브라켓(231a)에 장착된 두 좌우이동롤러(231),
상기 롤러브라켓(231a)에 연결되는 선회모터(232),
상기 선회 모터(232)와 연결되는 선회축(233), 그리고
상기 선회축(233)에 결합된 좌우이동세척부(234)
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모터(2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선회축(233)이 선회하고, 아울러 좌우이동세척부(234)가 선회하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세척부(234)는 브러시인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세척수 고압 분사노즐일 수 있고, 또는 브러시와 고압 분사노즐이 공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4)은
상기 세척수단(23)의 롤러브라켓(231a)에 장착되는 좌우이동측 모터(241),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와 연결되는 선회기어(242), 그리고
상기 수평빔(22)에 설치된 기어레일(2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경전철의 양측면에 대한 동시 세척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척수단(23)이 상기 수평빔(22) 좌우에 각각 1개씩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24)은 일단이 각각의 롤러브라켓(231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빔(22) 양단부에 설치된 아이들기어(213)를 지나 웨이트부재(W)에 연결되는 두 체인(24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선회기어(242)가 선회하고, 맞물린 상기 기어레일(24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세척수단(23)이 상기 수평빔(22)의 좌우이동레일(22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24)에는 클러치수단(245)이 더 구비되는데,
도 7의 확대된 원 내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수단(24)에 구비된 클러치수단(245)에 의해서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와 상기 선회기어(242)의 동력 전달이 연결되거나 차단되는데,
클러치 수단은 공지의 기계식 클러치 기술을 적용하여 일정 한계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록킹상태가 풀리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러치수단(245)에 의한 상기 측면세척유닛(20)의 작동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초기 세팅시(세차준비상태)에는
상기 클러치수단(245)에 의해서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와 상기 선회기어(242)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선회기어(242)는 헛돌게 되는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웨이트부재(W)가 상기 세척수단(23)보다 중량이 더 크므로
상기 세척수단(23)은 상기 수평빔(22)의 양끝단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세척수단(23)이 상기 수평빔(22) 안쪽으로 모인 상태에서 경전철을 세차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로의 전원 차딘시 또는 에러 발생시에는
상기 클러치수단(245)에 의해서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와 상기 선회기어(242)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상기 웨이트부재(W)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며,
상기 웨이트부재(W) 보다 가벼운 상기 세척수단(23)은 상기 수평빔(22)의 좌우이동레일(221)을 따라 최초 위치인 양끝단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수단(245)을 구비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비상시에 상기 수평빔(22)의 중단으로 이동된 상기 세척수단(13)이 경전철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포토센서나 거리감지센서, 위치감지센서 등의 감지수단(S)을 더 구비하여 상기 모터(141)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13)의 승하강 거리를 조절하거나,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241)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23)의 좌우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세척유닛(10) 및 상기 측면세척유닛(20)의 전후방 이동을 위하여
상기 두 수직빔(11) 하부에 구비된 제1전후이동롤러(113)와 상기 수직빔(21) 하부에 구비된 제2전후이동롤러(212)가 안착되도록 바닥 설치레일(1)이 경전철 진출입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후이동롤러(113, 212)의 선회를 위한 전후이동용 구동수단(3)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용 구동수단(3)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후이동롤러(113, 212)가 선회하므로
상기 상부세척유닛(10)과 상기 측면세척유닛(20)은 상기 바닥 설치레일(1)을 따라 전후방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세척유닛(10)의 경전철 전후면과 상부를 세척하고, 상기 측면세척유닛(20)의 경전철 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세차 방식에는 크게 세척대상이 움직이고 세척유닛이 고정되는 터널 방식과, 반대로 세척대상이 고정되고 세척유닛이 이동되는 갠트리(gantry)방식이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갠트리 방식에 적합한 구조인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세척유닛(20)에서 두 세척수단(23)이 안쪽으로 모이게 될 때 상호 접촉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미도시)가 상기 수평빔(22)에 구비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두 세척수단(23)이 초기 위치인 양끝단으로 이동하게 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미도시)가 상기 수평빔(2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세척수단(23)의 좌우 이동 거리를 체크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가 상기 수평빔(22)의 좌우이동레일(2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웨이트부재(W)는 각 세척유닛의 웨이트 수용부(112, 211)에 수용되어 있고, 웨이트부재(W) 하강시 충격 완화를 위하여 탄성스프링(SS)이 하부에 개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상기 상부세척유닛(10)과 상기 측면세척유닛(20)을 통하여 세척 완료된 경전철의 건조를 위한 드라이유닛(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라이유닛(30)은
상기 상부세척유닛(10)과 상기 측면세척(20)의 진행 방향에 대해 후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블로워(미도시)와, 상기 블로워를 위한 컴프레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상기 상부세척유닛(10), 상기 측면세척유닛(20) 및 상기 드라이유닛(30)이 한 세트, 즉 한 갠트리(G)를 이룬다.
한편, 한 갠트리(G)는 경전철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한 갠트리(G)는 경전철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에만 배치되거나(실시예 1),
전방과 후방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실시예 2)
따라서 전후방 모두에 배치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 중 한 곳에만 배치되는 구조보다 세차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을 통한 세차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무인 운행 경전철이 진입하면,
갠트리(G)가 대기 상태인지 유무를 판단하고,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 갠트리(G) 자체에 구비된 컨트롤러에 의해서 갠트리(G)에 “STOP"을 출력하고,
또 사령실에서 CCTV로 확인 후 ”RESET"명령을 컨트롤러로 전송하게 되어, 갠트리(G)를 초기 상태로 설정한다.
대기 상태인 경우, 세척을 할 것인지 판단하고,
세척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갠트리(G)에 “READY"를 출력하고,
경전철의 진행 신호인 “GO"출력하여 경전철을 진행시키고,
갠트리(G)의 조작 명령을 무효화한다.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갠트리(G)에 “READY"를 출력하고,
경전철을 정지 명령을 하달하고, 경전철이 완전히 정지되면,
갠트리(G)의 각 세척유닛(10, 20)을 작동시켜 세척이 진행되며,
세척 진행시 각 세척유닛(10, 20)이 정상 작동 하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정상 작동이 아닌 경우는
바로 각 세척유닛(10, 20) 및 갠트리(G)를 정지시키고,
갠트리(G)를 초기 상태로 리셋한다.
정상 작동인 경우는 계속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고,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드라이유닛(30)을 통해 경전철을 건조시키게 된다.
건조가 완료되면 갠트리(G)를 초기화하고 각 세척유닛(10, 20) 또한 초기 준비 상태로 설정한다.
따라서 컨트롤러와 사령실과의 통신 모듈에 의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경전철, 특히 무인 운행되는 경전철과, 세차시스템의 통합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경전철 운전시스템이나 클러치수단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상부세척유닛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요부확대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측면세척유닛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요부확대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평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이 구현된 실시예 1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이 구현된 실시예 2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운전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닥 설치레일
3 : 전후이동용 구동수단
S : 감지수단
G : 갠트리
10 : 상부세척유닛
11 : 수직빔
111 : 승강레일 112 : 웨이트 수용부
113 : 제1전후이동롤러
12 : 수평빔
13 : 세척수단
131 : 승강롤러 131a : 롤러브라켓
132 : 승강선회축 133 : 승강세척부
134 : 승강측 모터
14 : 구동수단
141 : 모터 142 : 구동축
142A. 142B : 분체 142a : 구동기어
143 : 서포트 144 : 체인
145 : 클러치수단
20 : 측면세척유닛
21 : 수직빔
211 : 웨이트 수용부 212 : 제2전후이동롤러
213 : 아이들기어
22 : 수평빔
221 : 좌우이동레일
23 : 세척수단
231 : 좌우이동롤러 231a : 롤러브라켓
232 : 선회모터 233 : 선회축
234 : 좌우이동세척부
24 : 구동수단
241 : 좌우이동측 모터 242 : 선회기어
243 : 기어레일 244 : 체인
245 : 클러치수단
30 : 드라이유닛

Claims (4)

  1. 좌우 상호 이격 배치된 것으로 각각의 내측벽에 길이방향으로의 승강레일이 설치되고, 웨이트 수용부가 구비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
    상기 각 승강레일과 결합되고 각각 롤러브라켓에 장착된 두 승강롤러와, 상기 두 승강롤러를 연결하는 승강선회축과, 상기 승강선회축에 고정 결합되는 승강세척부와, 상기 승강선회축의 선회를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측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두 수직빔 사이에 배치되는 세척수단, 그리고
    상기 수평빔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수평빔 상부에 배치되며 양단에 각각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축과, 상기 수평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와, 일단은 각각의 상기 롤러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축의 각 구동기어를 지나 상기 웨이트 수용부에 수용된 웨이트부재에 연결되는 두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세척수단이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상부세척유닛; 및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웨이트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고 좌우이동레일이 설치된 수평빔,
    상기 좌우이동레일과 결합되고 각각 롤러브라켓에 장착된 두 좌우이동롤러와, 상기 롤러브라켓에 연결되는 선회모터와, 상기 선회모터와 연결되는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에 결합된 좌우이동세척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수평빔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수단,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의 롤러브라켓에 장착되는 좌우이동측 모터와, 상기 좌우이동측 모터와 연결되는 선회기어와, 상기 수평빔에 설치된 기어레일과, 일단은 각각의 상기 롤러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빔 양단부에 설치된 아이들기어를 지나 상기 웨이트 수용부에 수용된 웨이트부재에 연결되는 두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좌우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측면세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구동수단과 상기 각 세척수단의 연결라인에는 구동수단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각각의 클러치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체인 일단에 구비된 웨이트부재는 상기 각 세척수단보다 중량이 큰 것으로 상기 클러치수단을 통해 상기 세척수단으로의 동력이 차단되면 상기 웨이트부재에 의해서 자동으로 각 세척수단이 초기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각 웨이트 수용부 하부에는 상기 웨이트부재 하강시 충격 완화를 위하여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 완료된 경전철의 건조를 위한 드라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세척유닛, 측면세척유닛 및 드라이유닛은 한 세트를 이루며,
    상기 한 세트는 바닥 설치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세차시 상기 한 세트는 경전철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KR1020090078500A 2009-08-25 2009-08-25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KR10093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500A KR100937633B1 (ko) 2009-08-25 2009-08-25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500A KR100937633B1 (ko) 2009-08-25 2009-08-25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633B1 true KR100937633B1 (ko) 2010-01-20

Family

ID=4181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500A KR100937633B1 (ko) 2009-08-25 2009-08-25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63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890A (zh) * 2011-07-21 2012-02-08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动车车辆车底设备清扫方法
CN104027044A (zh) * 2014-05-09 2014-09-10 李佛妹 智能楼道洒水机
CN104027043A (zh) * 2014-05-09 2014-09-10 李佛妹 可智能爬楼的楼道吸尘器
CN105835838A (zh) * 2016-05-16 2016-08-10 沃尔新(北京)自动设备有限公司 刷组缓冲定位装置
CN106274825A (zh) * 2016-08-31 2017-01-04 青岛四机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轻轨和地铁车端部仿型洗车系统
KR200482938Y1 (ko) * 2015-11-13 2017-03-27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CN107139890A (zh) * 2017-05-05 2017-09-08 沃尔新(北京)自动设备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机车车辆的车顶清洗系统及方法
CN108556802A (zh) * 2018-04-03 2018-09-21 芜湖超科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用的车辆清洗装置
CN109278713A (zh) * 2018-09-18 2019-01-29 孙江花 一种高铁自动清洗设备
CN109552262A (zh) * 2019-01-09 2019-04-02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股份有限公司 一种补洗方法、系统、上位机及存储介质
KR20190067509A (ko) * 2017-12-07 2019-06-17 디와이 주식회사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CN113682264A (zh) * 2021-08-11 2021-11-23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多场段的自动洗车方法及系统
CN113911079A (zh) * 2021-11-25 2022-01-11 河南艾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洗车机横刷垂直升降的气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861A (ja) * 1989-07-08 1991-02-22 Sharp Corp 通信料金を管理可能なisdn通信装置
JPH0510137U (ja) * 1991-02-06 1993-02-09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洗車機
KR20080007704A (ko) * 2006-07-18 2008-01-23 오병길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JP2008189014A (ja) * 2007-01-31 2008-08-21 Takeuchi Techno Co Ltd 洗車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861A (ja) * 1989-07-08 1991-02-22 Sharp Corp 通信料金を管理可能なisdn通信装置
JPH0510137U (ja) * 1991-02-06 1993-02-09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洗車機
KR20080007704A (ko) * 2006-07-18 2008-01-23 오병길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JP2008189014A (ja) * 2007-01-31 2008-08-21 Takeuchi Techno Co Ltd 洗車機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890A (zh) * 2011-07-21 2012-02-08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动车车辆车底设备清扫方法
CN104027044A (zh) * 2014-05-09 2014-09-10 李佛妹 智能楼道洒水机
CN104027043A (zh) * 2014-05-09 2014-09-10 李佛妹 可智能爬楼的楼道吸尘器
KR200482938Y1 (ko) * 2015-11-13 2017-03-27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CN105835838A (zh) * 2016-05-16 2016-08-10 沃尔新(北京)自动设备有限公司 刷组缓冲定位装置
CN106274825A (zh) * 2016-08-31 2017-01-04 青岛四机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轻轨和地铁车端部仿型洗车系统
CN107139890A (zh) * 2017-05-05 2017-09-08 沃尔新(北京)自动设备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机车车辆的车顶清洗系统及方法
KR20190067509A (ko) * 2017-12-07 2019-06-17 디와이 주식회사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KR102042130B1 (ko) * 2017-12-07 2019-11-27 디와이 주식회사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CN108556802A (zh) * 2018-04-03 2018-09-21 芜湖超科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用的车辆清洗装置
CN109278713A (zh) * 2018-09-18 2019-01-29 孙江花 一种高铁自动清洗设备
CN109552262A (zh) * 2019-01-09 2019-04-02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股份有限公司 一种补洗方法、系统、上位机及存储介质
CN109552262B (zh) * 2019-01-09 2020-11-17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股份有限公司 一种补洗方法、系统、上位机及存储介质
CN113682264A (zh) * 2021-08-11 2021-11-23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多场段的自动洗车方法及系统
CN113682264B (zh) * 2021-08-11 2023-05-23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多场段的自动洗车方法及系统
CN113911079A (zh) * 2021-11-25 2022-01-11 河南艾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洗车机横刷垂直升降的气动装置
CN113911079B (zh) * 2021-11-25 2024-04-30 河南艾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洗车机横刷垂直升降的气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633B1 (ko)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JP2007253935A (ja) ケーブルウェイシステムの操作方法並びにケーブルウェイシステム
KR100348981B1 (ko) 세차기
US20130092044A1 (en) Rail-guided cart system and branching control method for a rail-guided cart system
CN104712162A (zh) 一种多层无避让立体车库及其存取车方法
CN104695746A (zh) 一种取车器及其使用方法
US3208088A (en) Automatic washing plant for vehicles, especially private cars
US6134735A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CN203794252U (zh) 平车器
EP3946661B1 (en) Gap blocking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attractions
JP4301198B2 (ja) 洗車機
JP4432830B2 (ja) 洗車機
JP6772043B2 (ja) 洗車機
JP2009101791A (ja) 洗車機の下面洗浄装置
KR102031492B1 (ko) 자동세차기의 송풍노즐 승강장치
JP2010155538A (ja) 洗車機における安全装置
KR20210001402A (ko) 건물 외벽 이동을 위한 와이어 시스템
KR200365508Y1 (ko) 대형 자동세차기
JP4029836B2 (ja) 洗車機
JP3933043B2 (ja) 車両洗浄装置
JP2006130984A (ja) 洗車機
US3065714A (en) Conveyor systems
CN218640825U (zh) 一种洗车机顶刷刷洗缓冲装置
JP2008290466A (ja) 洗車機
JP4835555B2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