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130B1 -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130B1
KR102042130B1 KR1020170167524A KR20170167524A KR102042130B1 KR 102042130 B1 KR102042130 B1 KR 102042130B1 KR 1020170167524 A KR1020170167524 A KR 1020170167524A KR 20170167524 A KR20170167524 A KR 20170167524A KR 102042130 B1 KR102042130 B1 KR 10204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ries
short circuit
continuous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509A (ko
Inventor
윤영찬
김강원
Original Assignee
디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1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G01R31/02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차량갇힘현상 개선방법은 상시전원용 누전차단기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상시전원의 누전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누설전류가 검출되면 상시전원 누전차단기에서 상기 상시전원을 차단하고, 전원절환용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절환용타이머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자개폐기를 이용하여 비상전원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전원에 연결된 안전장비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Tunnel Type Auto washing machine and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safety therein}
본 발명은 터널형 자동세차기의 전원 이상에 의한 차량 갇힘 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기능에 따라 터널형(연속형) 자동 세차기와 문형(門形) 자동 세차기로 구분한다.
터널형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 본체가 고정되어 있고,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기 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물과 세제를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분사시키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자동차 표면의 물을 건조시킨다.
문형 자동 세차기는 터널형 자동 세차기와는 달리 피세정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기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위와 같은 동작을 하면서 자동차의 표면을 세척한다.
그러나, 상기 터널형 자동 세차시 상시전원, 솔레노이드 밸브(SOL V/V),모터 회전용 전자개폐기 등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 세차기 탑브러시 승하강용 모터측에 전원이 인가 되지 않아 차량을 빼내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3945호
자동세차기는 습한 환경에 노출되어 동작하게 되므로, 누전 또는 다선 등을 이유로한 전기적인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상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널형 세차시 누전으로 인해 전원이 차단되어 세차 도중 차량에 갇히거나 또는 이차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안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터널형 세차시 상시전원, 솔레노이드 밸브(SOL V/V),모터 회전용 전자개폐기 등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차량을 빼내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 세차중 발생 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터널형 자동세차기의 차량갇힘현상 개선방법은 상시 전원용 누전차단기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상시 전원의 누전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시 전원의 누설전류가 검출되면 상시 전원 누전차단기에서 상기 상시 전원을 차단하고, 전원 절환용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 절환용타이머에서 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개폐기를 이용하여 비상전원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전원에 연결된 안전장비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장비를 통해 터널형 세차설비의 탑 브러시 승하강모터, 컨베이어장치의 전원을 지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시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세차기 조작 판넬측 LCD 화면에 상기 상시 전원 이상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터널형 세차시 라인상 출력 전원 계열을 분리하고 전원을 이중화 설계하여, 세차 도중 계통상 누전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차량에 갇힐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세차기 특성상 물을 자주 사용 하여 누전이 자주 발생 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계통을 분리하여 비상전원을 유입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세차중 차량이 갇힌 경우 비상전원을 구동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시전원에 누전 등이 발생하여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시전원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상전원을 구동한다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차중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터널형 자동세차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터널형 세차시 차량 갇힘현상개선장치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터널형 세차시 차량 갇힘현상 개선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차량형상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터널형 자동세차기는 세차기본체(1)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6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 왁스부(20), 에어건조부(30), 측면 천건조부(40) 및 상면 천건조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시(11)(12)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왁스용 브러시(2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측면천건조부(40)에는 회전체(42)가 마련되어 있고, 상면 천건조부(50)에는 탑회전체(5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세차기에 마련되는 탑브러시(12)(22) 및 탑회전체(52)는 피세정차량(C)의 이동경로상의 상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세정차량(C)의 상면 굴곡에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터널형 자동세차기에서 세차중에 전원 계열상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여 차중 전원을 차단하였다. 특히 탑브러시(12)(22)나 세차기에서 승하강 구동과 관련된 솔레노이드 밸브(SOL V/V) 등의 전원계열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탑브러시(12)(22)나 솔레노이드 밸드 등에 별도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을 시킬 수 없어 차량이 갇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터널형 자동세차기에서 차량이 갇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용하는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갇힘현상을 해소한 터널형 자동세차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부(210, 220), 상시전원누전차단기(212), 안전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230), 비상전원누전차단기(232), 전원절환용타이머(240),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250),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260) 및 제어부(270)을 포함한다. 각 구성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250)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부(210, 220)에 상시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며, 상시전원의 정상유무를 확인하도록 구현된다. 상시전원누전차단기(212)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부(210, 220)의 출력측 단상 220V 라인상에서 누전이 발생될 경우 해당 상시전원을 차단시킨다.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260)는 상시전원부(210, 220)의 전원이 차단되고 전원이 비상전원부(230)에 재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비상전원누전차단기(232)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부(210, 220)의 출력측 단상 220V 라인상에서 누전이 발생될 경우 비상전원부(230)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시전원부(210, 220)에서 누전을 검출하면, 제어부(270)에서 차 안의 승객에게 상시전원에 누전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원절환용타이머(240)가 활성화되어 비상전원부(230)에 전원이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250)는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부(210, 220)의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상시전원의 누전 발생을 확인하고, 상시전원 누전차단기(212)에서 상시전원부(210, 220)를 차단하며, 전원절환용타이머(240)를 동작시킨다. 전원절환용타이머(24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260)를 이용하여 비상전원부(230)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한다. 전원절환용타이머(240)는 예를 들어 콘센트, 솔레노이드 밸브, 모터 회전용 전자개폐기 등과 같은 부품에 누전이 발생되어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260)에서 상시전원부(210, 220)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약 5초 이후 비상 전원부(2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승하강 구동부 측에 전원을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시전원부(210, 220)에서 누전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전원절환용타이머(240)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비상전원부(230)에 전원을 인가한다. 비상전원부(230)는 탑브러시 승하강모터, 컨베이어 등을 포함하는 안전 장비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시전원부(210, 220)와 비상전원부(230)를 이중화하여 상시전원부(210,220)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비상전원부(230)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터널형 자동세차기 내에 차량이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시전원부(210, 220)를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여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제 1 상시전원부(210)를 연결하고, 그 외의 계열에 제 2 상시전원부(220)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복수개의 상시전원부(210, 220)를 구비한 경우, 누전이 발생한 상시전원을 검출하여,신속하게 상시전원에 발생한 누전 문제를 해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누전과 관련된 부품을 점검한 후, 해당 부품에 별다른 특이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비상용누전차단기를 오프(OFF)한다. 그 후, 콘센트, 솔레노이드 밸브, 모터 회전용 전자개폐기등의 용도인 상시전원용 차단기를 온(ON)한다. 그 후, 비상용누전차단기를 온(ON)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터널형 자동세차기에서 차량갇힘현상 개선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터널형 자동세차기는 상시 전원용 전자개페기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상시 전원의 누전 발생을 확인한다(S310). 상시 전원의 누설전류가 검출되면 상시 전원 누전차단기에서 상시 전원을 차단하고, 전원절환용타이머를 동작시킨다(S320). 전원절환용타이머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자개폐기를 이용하여 비상전원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한다(S330). 비상전원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비상전원에 연결된 안전장비를 구동한다(S340). 이 경우 안전장비는 터널형 자동세차기의 탑브러시 승하강모터, 컨베이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5)

  1. 복수 개의 상시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은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상시전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시전원은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 이외의 계열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만 비상전원과 이중화하여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 상기 비상전원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는 이중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화단계는
    상시전원용 누전차단기에서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에서만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누전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누설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상시전원용 누전차단기에서 누설전류가 검출된 상시전원을 차단하고, 전원절환용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전원절환용타이머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자개폐기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전원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비상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상전원에 연결된 안전장비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만 상기 전원절환용타이머, 상기 전자개폐기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개폐기는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 및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는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에만 상시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의 정상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는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의 출력측 단상 라인상에서 누전이 발생될 경우 상기 비상전원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안전장비는 승하강모터, 컨베이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에서 안전성을 개선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세차기 조작 판넬측 LCD 화면에 상기 상시전원 이상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에서 안전성을 개선하는 방법.
  4. 삭제
  5. 안정성을 개선한 자동세차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은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시전원은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 이외의 계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시전원부;
    탑브러시 승하강모터, 컨베이어 등을 포함하는 안전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에서 누전이 검출된 경우 구동되는 전원절환용타이머;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에만 상시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의 정상유무를 확인하는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및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의 출력측 단상 라인상에서 누전이 발생될 경우 상기 비상전원부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도록 구현되는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만 상기 전원절환용타이머, 상기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 상기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에 연결되며, 상시전원용누전차단기에서 상기 누전이 자주 발생될 수 있는 계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상시전원에서만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상기 상시전원용 누전차단기에서 누설전류가 검출된 상시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절환용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전원절환용타이머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상시전원용전자개폐기 및 상기 비상전원용전자개폐기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전원부에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하여 상기 안전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
KR1020170167524A 2017-12-07 2017-12-07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KR10204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24A KR102042130B1 (ko) 2017-12-07 2017-12-07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524A KR102042130B1 (ko) 2017-12-07 2017-12-07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09A KR20190067509A (ko) 2019-06-17
KR102042130B1 true KR102042130B1 (ko) 2019-11-27

Family

ID=6706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524A KR102042130B1 (ko) 2017-12-07 2017-12-07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1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33B1 (ko) * 2009-08-25 2010-01-20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KR100939233B1 (ko) * 2008-01-18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보조동력장치가 내장된 분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45Y1 (ko) 2002-11-12 2003-02-12 동양기전 주식회사 세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33B1 (ko) * 2008-01-18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보조동력장치가 내장된 분전반
KR100937633B1 (ko) * 2009-08-25 2010-01-20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무인운행 경전철용 세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09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132B1 (ko) 세차기의 동결방지장치
US11338336B2 (en) Coating machine, coating system and cleaning method for coating machine
KR102042130B1 (ko) 터널형 자동세차기 전원 안전성 개선 방법
CN102529899A (zh) 一种隧道式洗车机的控制电路
CN206336257U (zh) 一种环卫车辆清洗机
CN102529900A (zh) 隧道式洗车机
CN201665202U (zh) 一种改进的具有自动复位和止动功能的汽车刮雨器
CN107861465A (zh) 一种用于洗车台的全自动光电控制开关箱
JP6563259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機の動作方法
CN205128456U (zh) 一种擦片机
CN211814766U (zh) 一种细纱吹吸风机间歇运行及定点停机系统及细纱机装置
CN112848897B (zh) 有轨电车换端的高压保持电路、高压保持控制方法及应用
CN207689895U (zh) 用于洗车台的全自动光电控制开关箱
CN204911759U (zh) 具有自动卸铁功能的除铁器
JP6308174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機の制御方法
CN206970038U (zh) 可自动播报故障发生位置的天车故障报警装置
JP2011046360A (ja) 洗車機の遠隔制御装置
CN108689289B (zh) 辅助制动装置、辅助制动方法和乘客输送系统
CN205718521U (zh) 一种链篦机篦床运行保护装置
JP2014203108A (ja) 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板ガラス製造装置
CN213182387U (zh) 一种车辆冲洗台控制装置
JP3152817B2 (ja) 門型洗車機
JP5176435B2 (ja) 洗車機
CN107712949A (zh) 一种水果清洗装置
CN205190292U (zh) 一种冷却风机的起停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