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243B1 -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243B1
KR100937243B1 KR1020080103955A KR20080103955A KR100937243B1 KR 100937243 B1 KR100937243 B1 KR 100937243B1 KR 1020080103955 A KR1020080103955 A KR 1020080103955A KR 20080103955 A KR20080103955 A KR 20080103955A KR 100937243 B1 KR100937243 B1 KR 100937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rib
rotary member
vehic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 중 진동 및 충격발생시 자동차 글로브박스의 개방을 방지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자동차 내부의 대시보드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글로브박스하우징;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시보드에 삽입되는 한쌍의 로드; 상기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상기 로드를 직선이동시키는 로터리부재; 상기 로터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부재를 회동 뒤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커버; 및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로터리부재를 회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일단은 상기 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동시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서 회전운동하는 연결리브; 상기 연결리브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의 후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이동시 상기 로터리부재를 가압시켜 회전시키는 가압리브; 및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재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터리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돌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글로브박스하우징, 로드, 로터리부재, 노브, 글로브박스하우징열림방지리브

Description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ERROR OPERATION PREVENTIVE SYSTEM OF GLOVE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 중 진동 및 충격발생시 자동차 글로브박스의 개방을 방지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글로브박스(glove box)는 자동차의 대시보드의 조수석에 여러가지 물건을 보관하기 위하여 힌지에 대하여 회동되는 박스를 지칭한다.
글로브박스는 자동차의 운행중 개방되면 글로브박스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글로브박스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자동차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글로브박스하우징을 개방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는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측에서 글로브박스징의 개폐를 구속하는 싱글 록(single lock)방식과 글로브박스의 양측에서 글로브박스의 개폐를 구속하는 듀얼 록(dual lock) 방식이 있으 며, 이중 싱글 록 방식의 잠금장치는 일측에서만 글로브박스하우징를 구속하는 바 자동차의 작은 진동에 의해서 오작동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듀얼 록 방식의 잠금장치는 글로브박스의 양측에서 글로브박스를 구속하는바 자동차의 진동에 의한 오작동의 문제를 해소하였다.
그러나 듀얼 록 방식의 잠금장치의 경우에도 자동차의 충돌과 같은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글로브박스의 양 측면에 대시보드에 삽입된 로드가 이동되어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자동차 충돌시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는 경우 글로브박스가 탑승자 방향으로 돌출되고, 탑승자 방향으로 돌출된 글로브박스는 탑승자와 부딛쳐 상해를 확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의 개폐시 사용되는 로드를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만 로드의 구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하여 자동차 충돌과 같은 사고 발생시에도, 글로브박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를 구동시키는 수단에 글로브박스의 록킹수단을 연동시켜 글로브박스하우징 내에 물건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동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자동차 내부의 대시보드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글로브박스하우징;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시보드에 삽입되는 한쌍의 로드; 상기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상기 로드를 직선이동시키는 로터리부재; 상기 로터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부재를 회동 뒤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커버; 및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로터리부재를 회동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일단은 상기 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의 회동시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전면에서 회전운동하는 연결리브; 상기 연결리브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의 후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이동시 상기 로터리부재를 가압시켜 회전시키는 가압리브; 및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재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터리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돌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연결리브는 키(key)가 삽입되어 회전시 로터를 회전시키는 키실린더로 이루어지고, 로터는 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는 글로브박스하우징과 대시보드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를 이동시키는 로터리부재를 제어함으로서 손잡이부의 회전이 없는 경우 로드의 이동를 이동시키는 로터리부재의 회전을 통제하여 자동차 사고시에 발생될 수 있는 글로브박스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리부재의 회전을 키실린더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드 및 로터리부재가 강제로 구동되어 글로브박스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건의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가 잠긴 상태에서 억지로 열려고 하는 경우에도 로드를 이동시키는 가압리브와 노브를 분리시킴으로서 가압리브 등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리부재를 회동시키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를 로터리부재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서 로터리부재의 회동시 구동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법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 동 방지구조(1)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동 방지구조(1)의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동 방지구조(1)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동 방지구조(1)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글로브박스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1)를 살펴보면, 자동차 내부의 대시보드(3)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글로브박스하우징(10)과,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대시보드(3)에 삽입되는 한쌍의 로드(20)와, 로드(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로드(20)를 직선이동시키는 로터리부재(30)와, 로터리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로터리부재(30)를 회동 뒤 복귀시키는 탄성부재(40)와,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커버(15)와, 글로브박스커버(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로터리부재(30)에 연결되어 로터리부재(30)를 회동시키는 손잡이부(50)를 포함한다.
대시보드(3)는 운전석과 조수석 정면에 있는 운전에 필요한 각종 계기들이 달린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조수석 정면의 대시보드(3)에는 각종 물건을 보관하기 위하여 힌지(51a)에 대해 회동되는 글로브박스가 설치된다.
글로브박스는 대시보드(3)에 회동가능하게 힌지(51a)결합되며, 각종 사물이 수납되는 글로브박스하우징(10)과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커버(15)로 이루어진다.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는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어 대시보드(3)에 삽입되는 한쌍의 로드(20)가 설치된다.
로드(20)는 손잡이부(50) 및 로터리부재(30)의 회동에 의해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양 측면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측면에서 로드(20)가 돌출되어 대시보드(3)에 삽입되면 글로브박스하우징(10)은 대시보드(3) 내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게되며, 로드(20)가 대시보드(3)에서 분리되면 글로브박스하우징(10)은 힌지(51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되어 조수석 방향으로 열리게된다.
로터리부재(30)는 손잡이부(50)와 로드(20)에 맞닿아 손잡이부(50)의 구동시 로드(20)를 직선왕복시키는 것으로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로터리부재몸체(31)와 로터리부재몸체(31)의 측면에 연장형성되는 제1암(33)과, 제2암(34) 및 제3암(35)으로 형성된다.
제1암(33)의 일단은 로터리부재몸체(31)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로드(20) 에 연결되어 로터리부재몸체(31)의 회전시 로드(20)를 직선으로 이동시킨다.
제2암(34)은 제1암(33)과 동일하게 일단은 로터리부재몸체(31)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부(50)에 연결되는 것으로 손잡이부(50)가 하강시, 손잡이부(50)에 가입되어 로터리부재몸체(31)를 회전시킨다.
제3암(35)의 일단은 로터리부재몸체(31)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3암(35)의 일단 사이에는 탄성부재(40)가 설치된다.
탄성부재(40)는 로터리부재몸체(31)의 회전 후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탄성부재(40)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인장코일스프링은 각각의 로드(20)에 설치되는 로터리부재(30)의 제3암(35) 사이에 설치되어 로터리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제3암(35)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 인장코일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로터리부재(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손잡이부(50)는 자동차의 탑승자가 글로브박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하로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가 손잡이부(50)를 구동시키면 로터리부재(30)를 가압하여 로드(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부(50)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 다.
손잡이부(50)는 글로브박스커버(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51)와, 일단은 노브(51)에 설치되고, 타단은 로터리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노브(51)의 회동시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서 회전운동하는 연결리브(52)와, 연결리브(52)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와,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상부에 연결되고, 글로브박스커버(15)의 후면과 글로브박스커버(15)에 힌지(51a)결합되어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이동시 로터리부재를 가압시켜 회전시키는 가압리브(54)와,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로터리부재(30)의 측면에 맞닿고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이동에 따라 로터리부재(30)로부터 이격되는 돌출판(55)을 포함한다.
노브(51)는 탑승자가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하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말하는 것으로서, 글로브박스커버(15)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된다.
연결리브(52)는 노브(51)의 후면에 연결되고 로터리부재(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노브(51)의 움직임에 따라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서 노브(51)의 힌지(51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연결리브(52)의 글로브박스하우징(10) 방향의 단부에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가 연결되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는 연결리브(52)의 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제2암(34)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리브(52)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2 암(34) 사이에서 이동된다.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는 연결리브(52)의 운동에 따라 힌지(51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연결리브(52)의 회전시 힌지(51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리브(52) 방향의 단부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가압리브(54)는 글로브박스커버(15)와 노브(51)에 힌지결합되고, 제2암(34)의 상부와 맞닿으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에 고정되어,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회전에 따라 제2암(34)을 가압하여 제2암(34)과 연결되는 로터리부재몸체(3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후면에는 제2암(34)의 측면과 맞닿아 로터리부재(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판(55)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 돌출판(55), 가압리브(54) 및 제2암(34)의 거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는 연결리브(52)의 거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으로서 노브(5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커버(15)의 상부로 회전하면, 노브(51)의 후면에 연결된 연결리브(52)는 힌지(51a)를 중심으로 글로브박스커버(15)의 전면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리브(52)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열림방지리브(53)는 가압리브(54)의 힌지(51a)를 중심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상부에 설치된 가압리브(54)가 제2암(34)을 가압하게되고, 제2암(34)은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가 가압리브(54)의 힌지(51a)를 중심으로 글로브박스커버(15) 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돌출판(55)이 제2암(34)의 회전궤적에서 벗어나게 되어 가압리브(54)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리부재(30)는 로드(20)를 로터리부재(30)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게 되어 대시보드(3) 상에서 로드(20)를 이탈시켜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가 제2암 사이에 설치되는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에 설치된 가압리브(54)는 제2암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제2암이 결합된 로터리부재(3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되어 로터리부재(30)의 구동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노브(51)가 글로브박스커버(15)의 상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경우,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연결리브(52) 및 돌출판(55)이 제2암(34)의 회전궤적 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2암(34)의 회전을 방지하며, 제2암(34)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로터리부재(30)의 회전 및 로드(20)의 이동이 제한되어 로드(20)가 로터리부재(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노브(51)가 글로브박스커버(15)의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 로드(20)는 로터리부재(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어는바, 자동차의 진동, 충격등이 있는 경우에도 글로브박스는 개방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리브(52)는 키가 삽입되어 회전시 로터(59)를 회전시키는 키실린더(57)로 이루어진다.
즉, 키실린더(57)의 키 삽입부는 노브(51)의 전면으로 돌출형성되고, 로터(59)는 키실린더(57)의 회전에 따라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로터(59) 방향의 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터(59)의 중심축은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끝단 상면에 맞닿게 설치되어 로터(59)가 회전시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에서 분리 또는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와 로터(59)가 연결된 상태에서 노브(51)가 힌지(51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로터(59)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상부에 결합된 가압리브(54)는 제2암(34)을 회전시켜 로드(20)가 로터리부재(30) 방향으로 회전을 시킴으로서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실린더(57)에 키(도면 미도시)를 삽입하 고 삽입된 키를 회전시켜 로터(59)를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에서 분리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51)를 힌지(51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로터(59)와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가 분리되어 있어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상부에 형성된 가압리브(54)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로드(20)는 로터리부재(30)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되어 글로브박스는 열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 등 큰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돌출부가 로터리부재(30)의 제2암(34)의 회전궤적상에 위치함으로 로터리부재(30)는 회전할 수 없는바, 로터리부재(30)에 연결된 로드(20)는 로터리부재(30)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어 글로브박스하우징(10)은 열리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동 방지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글로브박스하우징 오작동 방지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3; 대시보드
10; 글로브박스하우징
15; 글로브박스 커버
20; 로드
30; 로터리부재
31; 로터리부재몸체
33; 제1암
34; 제2암
35; 제3암
40; 탄성부재
50; 손잡이부
51; 노브
51a; 힌지
52; 연결리브
53;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
54; 가압리브
55; 돌출판
57; 키실린더
59; 로터

Claims (3)

  1. 자동차 내부의 대시보드(3)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글로브박스하우징(10);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고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시보드(3)에 삽입되는 한쌍의 로드(20);
    상기 로드(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시 상기 로드(20)를 직선이동시키는 로터리부재(30);
    상기 로터리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부재(30)를 회동 뒤 복귀시키는 탄성부재(40);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커버(15); 및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부재(30)에 연결되어 상기 로터리부재(30)를 회동시키는 손잡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51);
    일단은 상기 노브(51)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리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51)의 회동시 상기 글로브박스하우징(10)의 전면에서 회전운동하는 연결리브(52);
    상기 연결리브(52)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5)의 후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이동시 상기 로터리부재(30)를 가압시켜 회전시키는 가압리브(54); 및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터리부재(30)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터리부재(30)로부터 이격되는 돌출판(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리브(52)는 키(key)가 삽입되어 회전시 로터(59)를 회전시키는 키실린더(57)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59)는 상기 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글로브박스열림방지리브(53)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KR1020080103955A 2008-10-23 2008-10-23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KR100937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55A KR100937243B1 (ko) 2008-10-23 2008-10-23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55A KR100937243B1 (ko) 2008-10-23 2008-10-23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243B1 true KR100937243B1 (ko) 2010-01-15

Family

ID=4180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955A KR100937243B1 (ko) 2008-10-23 2008-10-23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2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2300A (ko) * 2006-06-26 2007-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락킹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2300A (ko) * 2006-06-26 2007-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락킹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046B1 (ko) 로크장치
US7712803B2 (en) Handle apparatus for vehicle door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KR20090102046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댐핑장치
JP5676819B2 (ja) ロック装置
JP2021528581A (ja) 格納式ドアハンドル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と及び操作方法
JP2020531718A (ja) フラッシュハンドルを備える自動車のドアリーフの施錠システム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CN205044644U (zh) 一种汽车储物盒总成
JP2018001961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などの蓋体用のヒンジ機構
KR100937243B1 (ko) 자동차 글로브박스 오작동 방지구조
JP4824444B2 (ja) フード持ち上げ構造を有する自動車
JP4245528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6972452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2014172572A (ja) 車両用ゲート部材の操作ハンドル装置
JP3635290B2 (ja) 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ラッチ
KR20090040174A (ko) 암레스트
KR20040035927A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4498703B2 (ja) 開閉体のラッチ装置
JP6895281B2 (ja) 開閉体の開閉装置
CN112055772A (zh) 用于将打开面板打开的装置和配备这种装置的车辆
KR100387851B1 (ko) 팝업장치를 갖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
KR100483279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4034302B2 (ja) 車両用天井設置型収納装置
KR20100021878A (ko) 자동차 글로브박스용 도어 걸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