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107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107B1
KR100936107B1 KR1020070120009A KR20070120009A KR100936107B1 KR 100936107 B1 KR100936107 B1 KR 100936107B1 KR 1020070120009 A KR1020070120009 A KR 1020070120009A KR 20070120009 A KR20070120009 A KR 20070120009A KR 100936107 B1 KR100936107 B1 KR 10093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film
semiconductor substrate
common source
gate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260A (ko
Inventor
임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2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1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41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insulating part of the electrode is defined by a sidewall spacer, e.g. dummy spacer, or a similar technique, e.g. oxid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 H01L21/76251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 H01L21/76256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using silicon etch back techniques, e.g. BESOI, ELTR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실시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 공통 소스 영역 형성시에 게이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적어도 두개의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스택을 덮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을 덮는 보호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의 공통 소스 영역을 오픈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공통 소스 영역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공통 소스 영역에 이온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실시예는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래쉬 메모리, 공통 소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는 종래 이피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의 장점을 동시에 구현하고자 하는데서 출발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과 소거가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제조공정 및 소형화된 칩 사이즈 등의 면에서 낮은 제조단가를 지향한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는 전원이 끊겨도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이지만 정보의 프로그래밍과 소거가 시스템 내에서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의 성격을 가지므로, 메모리 카드나 휴대용 사무자동화 기기의 하드 디스크를 대체하는 기억 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래쉬 메모리에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은 핫 일렉트론(hot electron)의 주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소스와 드레인 간에 걸리는 포텐셜 차이 에 의해 채널 내에서 핫 일렉트론이 발생되면, 그 중 게이트를 이루는 다결정 실리콘과 산화막 사이의 포텐셜 장벽인 3.1 eV 이상의 에너지를 얻은 일부 일렉트론이 콘트롤 게이트에 걸리는 높은 전기장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플래시 메모리는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 및 콘트롤 게이트(Control Gate)를 포함하는 스택(Stack)형 게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낸드(NAND)형과 노어(NOR)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NOR형 플래시 메모리는 각각의 셀이 비트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NOR형 플래시 메모리에는 공통 소스(Common Source)가 형성되는데, 즉 16개의 셀마다 1개의 콘택(Contact)이 형성되고, 이 16개의 셀의 소스 라인이 n+ 확산층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통 소스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공통 소스 영역을 오픈하여 식각하게 된다. 상기 식각시에 패드 산화막이 제거되는데 이 패드 산화막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수직한 게이트 스택 측면의 ONO막도 식각에 의하여 손상을 입게 된다. 또한, 공통 소스 영역의 이온 주입 공정에서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도 손상을 입게 된다.
이와 같이, 손상된 게이트 스택은 플래쉬 메모리의 커플링비(coupling ratio)의 변화를 가져와 소자 특성을 변질시키고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 공통 소스 영역 형성시에 게이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적어도 두개의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스택을 덮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을 덮는 보호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의 공통 소스 영역에 이온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에서 공통 소스 영역 형성시에 게이트 손상을 방지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제 1 ", "제 2 " 등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부재들을 구분하고 적어도 두개를 구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 "제 2 "등으로 언급되는 경우 부재들이 복수 개 구비되어 있음이 명백하며, 각 부재들이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치수)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치수의 비율은 실제 치수의 비율과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을 제외한 구성 요소들은 부가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above/over/upper)"에 또는 "아래(down/below/under/low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그 의미는 각 층(막), 영역, 패드,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직접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다른 층(막), 다른 영역, 다른 패드, 다른 패턴 또는 다른 구조물들이 그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의미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상에 90~100Å 두께의 패드산화막(105a)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산화막(105a)은 산소 분위기 및 700~900℃의 온도에서 FTP(Furnace Thermal Process) 방법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드산화막(105a)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폴리실리콘막(110a)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110a)은 LP-CVD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1000~5500Å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110a) 상에 ONO(Oxide-Nitride-Oxide) 구조의 유전체막(120a)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전체막(120a)은 700~800℃의 조건에서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50~70Å의 두께로 패드산화막(105a)을 형성하고, 650~750℃의 조건에서 LP-CVD법으로 60~80Å의 두께로 질화막을 형성한 다음 80~900℃의 조건에서 FTP 방법으로 산화막을 형성하여 ONO 구조를 구성한다.
상기 유전체막(120a) 상에 LP-CVD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1000~5500Å의 컨트롤 게이트용 제 2 폴리실리콘막(130a)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폴리실리콘막(130a), 상기 유전체 막(120a),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110a) 및 상기 패드산화막(105a)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스택은, 상기 실리사이드 패턴(101)을 덮는 플로팅 게이트(110), 유전체막 패턴(120) 및 컨트롤 게이트(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100)과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에 터널링 산화막(105)이 개재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스택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보호막(140a)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140a)은 질화막 예를 들어, 실리콘질화막(S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막(140a)은 질화막 및 산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보호막(140a)은 약 300 ~ 5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40a)은 상기 게이트 스택의 상부면, 측면 및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의 상기 반도체 기판(100)을 덮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140a)을 건식식각으로 에치백하여 보호 스페이서(140)를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 게이트(130)의 상면의 보호막은 제거될 수도 있고 소정 두께로 남을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가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스택 양측의 상기 반도체 기판(100)이 노출된다.
이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 및 상기 게이트 스택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의 공통 소스 영역(CS)을 오픈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50)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50)은 상기 공통 소스 영역(CS)이 형성되는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의 반도체 기판(100)을 오픈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게이트 스택의 일 측면도 오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 스택은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가 덮고 있으므로 상기 게이트 스택의 플로팅 게이트(110), 유전체막(120) 및 컨트롤 게이트(130)는 드러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50)을 마스크로 RIE(Reactive Ion Etching) 공정을 이용하여 따라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50)에 의하여 오픈된 상기 공통 소스 영역(CS)의 반도체 기판(100)을 식각하여 리세스(101)를 형성한다.
상기 RIE 공정은 플라즈마 이온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것으로 측면 식각보다 바닥면의 식각이 더 잘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는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RIE 공정에서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측벽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리세스(101) 형성 전에 STI(shallow trench isolation) 산화막을 식각할 수 있는데, 질화막과 선택비가 뛰어난 조건에서 상기 STI 산화막 RIE 공정 을 진행하므로 상기 게이트 스택의 유전체막 및 터널링 산화막은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가 형성된 후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101)가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이온 주입 공정(Implantation)을 이용하여 비소(Arsenic) 또는 인(Phosphorus) 등의 불순물을 상기 반도체 기판(100) 표면에 주입하여 공통 소스 영역(103)을 형성한다.
상기 이온 주입 공정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불순물이 주입되도록 한다.
상기 이온 주입 공정은 한번의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여러 번의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는 이온 주입되는 불순물에 대하여 게이트 스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50)를 제거하고 반도체 기판(100)을 세정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통 소스 영역(103)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을 건식식각하여 사이드 월(side wall)(16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 월(160) 형성 전에 상기 보호 스페이서(140)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월(16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리세스(101)를 매립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월(160)은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후, 일반적인 로직 공정을 거쳐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제조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스택을 측면을 덮는 보호 스페이서(140)를 형성하고 공통 소스 영역(10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통 소스 영역(103)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 동안에 상기 게이트 스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공통 소스 영역(103)의 이온 주입 공정에서 상기 게이트 스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성능 및 수명이 보다 향상된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플래쉬 메모리 소자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Claims (7)

  1. 반도체 기판 상에 적어도 두개의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스택을 덮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을 덮는 보호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스택 사이의 공통 소스 영역을 오픈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상기 공통 소스 영역에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공통 소스 영역에 이온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을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스택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월(side wall)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 산화막 상에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상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막 상에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폴리실리콘막, 상기 유전체막,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및 상기 패드산화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산화막 및 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월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보호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300~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070120009A 2007-11-23 2007-11-23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3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009A KR100936107B1 (ko) 2007-11-23 2007-11-23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009A KR100936107B1 (ko) 2007-11-23 2007-11-23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260A KR20090053260A (ko) 2009-05-27
KR100936107B1 true KR100936107B1 (ko) 2010-01-11

Family

ID=4086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009A KR100936107B1 (ko) 2007-11-23 2007-11-23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60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11145430A (ja) 1997-11-10 1999-05-2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373947A (ja) * 2001-02-08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07592A (ko) * 2005-07-11 2007-01-1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엔오알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60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11145430A (ja) 1997-11-10 1999-05-2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373947A (ja) * 2001-02-08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07592A (ko) * 2005-07-11 2007-01-1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엔오알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260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752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667261B2 (en) Split-gate memory cell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TWI408800B (zh) 非揮發性記憶體單元及其製造方法
US807620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US2009011772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173624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3050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774117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semiconductor device
CN1720618A (zh) 在浮动栅器件中具有提高的耦合系数的自对准浅沟槽隔离
US6432773B1 (en) Memory cell having an ONO film with an ONO sidewall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6962852B2 (en) Nonvolatile memori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KR10088101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3610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5435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US912985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semiconductor device
US20040062076A1 (en) Flash memory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01043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9923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17220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9406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00080182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8045B1 (ko) 높은 게이트 결합계수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제조방법
KR101038838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3402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6322046A (zh) 分裂栅非易失性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