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162B1 -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 Google Patents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162B1
KR100935162B1 KR1020080064450A KR20080064450A KR100935162B1 KR 100935162 B1 KR100935162 B1 KR 100935162B1 KR 1020080064450 A KR1020080064450 A KR 1020080064450A KR 20080064450 A KR20080064450 A KR 20080064450A KR 100935162 B1 KR100935162 B1 KR 10093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uide
guide pin
bushing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석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08006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29C2045/1763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machine part guiding the movabl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을 개시한다. 상기 금형을 개폐할 때 고정측 형판에 가동측 형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 하부의 일정 부위를 감싸 상기 금형이 개폐할 때 상기 가이드 핀의 마찰저항을 완충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싱 및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부싱이 소정 부위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측 형판과 결합되어 금형 작업시 발생되는 열팽창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유격 편차를 방지하는 inter lock을 포함한 가이드바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금형은 상기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싱, inter lock을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금형에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금형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여 주며, 고온에 의해 금형이 열팽창되더라도 금형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고 치수 정밀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사출되는 사출품의 신뢰도 및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 핀, 가이드바

Description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A MOLD EQUIPPED THE WHOLE TYPE GUIDE BAR}
본 발명은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싱, inter lock를 일체화 시킨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출 금형의 경우 사출품을 성형시키기 위해 가열 융용시킨 성형 재료를 캐비티부 및 코어부에 사출 충전한 후 고화 또는 경화시키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때, 고온으로 가열 융용된 성형 재료를 사출 충전시키다 보니 금형 내부 역시 고온인 상태로 유지되는데 다음 사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내부 온도를 식힌 다음 사출품을 제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금형을 보다 빠르게 냉각시키기 위해 금형에 형성된 다수의 냉각 유로에 냉각 유체를 공급하여 금형의 온도를 식히고 있다. 그러나 계속적인 사출작업에 의해 금형 본체의 냉각 효과는 한계가 있으며, 결국 상기 금형 본체는 작업 내내 계속적으로 고온의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금형 본체는 고온에 따라 열팽창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금형의 치수가 기형적으로 팽창된다. 이렇게 열팽창된 상기 금형 본체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사출 작업을 하게 되면 결국 상기 금형의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의 기준점이 어긋나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금형 본체는 긁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긁 힘 현상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계속 사출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이 제대로 개폐가 되지 않아 결국 금형 자체가 뒤틀리거나 깨지는 등의 파손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금형의 치수가 불규칙해 사출품 역시 제대로 성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며, 종래의 금형(2)은 가이드 핀이 고정형 형판 사각 면모서리 끝점에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열팽창에 의한 긁힘 현상이 특히 취약한 구조로서, 그 이유는 사각 면모서리에 가이드 핀이 형성될 경우 열팽창에 의해 팽창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긁힘 현상이 심한 편이다.
이러한 열팽창에 대한 문제점에 의해 종래의 금형의 경우 사출 작업을 할 때, 금형 본체가 뒤틀리거나 파손이 되어 사출품의 크기나 모양 등의 규격이 제대로 성형되지 않고 불규칙하게 성형되며, 이는 결국 완성된 사출품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켜 궁극적으로 완성된 사출품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금형의 경우에는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싱 및 inter lock이 그 기능에 맞추어 각각 분할되어 다수 개가 소정 부위에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싱 및 inter lock 등 금형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소정 부위에 다수 개 설치할 경우 금형 내부 공간의 공간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며, 이로 인해 금형이 복잡해져 관리자가 관리하기에도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출 작업시 고온에 의해 열팽창한 금형에 가이드 핀의 긁힘 현상을 방지해 주는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싱, inter lock을 일체화하여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최적화시킨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동측 형판 및 코어부로 이루어진 가동측 판과 고정측 형판 및 캐비티부로 이루어진 고정측 설치판으로 구성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을 개폐할 때 고정측 형판에 가동측 형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 하부의 일정 부위를 감싸 상기 금형이 개폐할 때 상기 가이드 핀의 마찰저항을 완충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싱 및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부싱이 소정 부위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측 형판과 결합되어 금형 작업시 발생되는 열팽창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유격 편차를 방지하는 inter lock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고정형 형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십자형태의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은 상기 가이드바가 가이드 핀, 가이드 부싱, inter lock을 일체로 구성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 의 활용도가 향상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에 의한 열팽창이 금형에 발생하더라도 상기 금형 개폐할 때 긁힘 현상을 방지해 주어 상기 금형의 파손을 방지하고, 치수 정밀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사출되는 사출품의 신뢰도 및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 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의 고정측 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가이드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1)은 가동측 형판 및 코어부로 이루어진 가동측 판(미도시)과 고정측 형판 및 캐비티부로 이루어진 고정측 설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측 형판에 가이드핀(100), 가이드 부싱(110), inter lock(120)이 일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바(10)를 설치함으로써 금형(1)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킨 금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형(1)의 상기 가이드바(10)를 설명하자면, 가이드 핀(100), 가이드 부싱(110), inter lock(120)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가이드 핀(100)은 상기 금형(1)이 개폐할 때, 상기 고정측 형판에 가동측 형판의 위치와 중심을 맞추기 위해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싱(110)이 상기 가이드 핀(100) 하부의 일정 부위를 감싸 상기 금형(1)이 개폐할 때 상기 가이드 핀(100)의 마찰저항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해 준다. 상기 가이드 부싱(110)의 재질은 합금 공구강이나 스틸 재질 등의 단단한 강재를 사용하여 사출 작업시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부싱(110)은 교환이 가능하여 만일 마모 현상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교환할 수 있다.
또한, inter lock(120)은 상기 가이드 핀(100)과 상기 가이드 부싱(110)이 소정 부위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측 형판과 결합되어 사출 작업시 발생되는 열팽창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가이드 핀(100)과 상기 가이드 부싱(110)의 유격 편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inter lock(120)은 사각의 단면부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일측변의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되어서, 육각 형상 단면부를 갖는다. 이는 상기 금형(1)의 고정형 형판에 설치되어 사출 작업을 할 때, 처짐현상에서 발생하는 길이 치수 및 열팽창으로 인한 금형 본체 치수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금형(1)이 닫힐 때 모따기된 육각 형상으로 인해 상기 고정측 형판에 가동측 형판이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안착된다. 이로 인해, 열팽창 및 뒤틀림으로 인해 치수가 증가되더라도 가이드 핀(1)이 긁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가이드 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형에 각각 분할되어 설치되던 상기 가이드 핀(100), 가이드 부싱(110), inter lock(120)을 일체화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금형(1) 내부에는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금형을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 핀(100)의 지지점은 상기 가이드 핀(100)이 inter lock(120)과 일체화되어 종래 금형의 지지점에 비해 상승한다. 이로 인해 금형의 원판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상기 가이드바(10)는 높아져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원판의 강도를 강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십자배열 구조의 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바(10)는 상기 금형(1)의 고정측 형판에 다수 개가 소정의 부위에 설치될 때, 상기 고정측 형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십자 형태 의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팽창이 되었을 때, 보다 효율적으로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금형처럼 각 모서리에 가이드 핀이 설치될 경우 열팽창이 될 때 x, y축으로 거리값이 상대적으로 커져 금형 자체가 뒤틀어지는데에 비해 십자 형태의 배열 구조로 배치할 경우 열팽창이 발생하더라 x,y축으로 증가되는 거리값을 최대로 억제하기 때문에 상기 금형(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열 구조가 아니더라도 상기 가이드바(10)는 소정의 부위에 설치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금형 고정판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고정판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바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십자배열 구조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의 금형 고정판 2 : 종래 금형의 고정판
10 : 가이드바
100 : 가이드 핀 110 : 가이드 부싱
120 : inter lock

Claims (2)

  1. 가동측 형판 및 코어부로 이루어진 가동측 판과 고정측 형판 및 캐비티부로 이루어진 고정측 설치판으로 구성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금형을 개폐할 때 고정측 형판에 가동측 형판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 하부의 일정 부위를 감싸 상기 금형이 개폐할 때 상기 가이드 핀의 마찰저항을 완충시키기 위한 가이드 부싱 및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부싱이 소정 부위에 삽입되며, 일측은 상기 고정측 형판과 결합되어 금형 작업시 발생되는 열팽창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부싱의 유격 편차를 방지하는 inter lock로 이루어진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고정형 형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십자형태의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KR1020080064450A 2008-07-03 2008-07-03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KR10093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50A KR100935162B1 (ko) 2008-07-03 2008-07-03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50A KR100935162B1 (ko) 2008-07-03 2008-07-03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162B1 true KR100935162B1 (ko) 2010-01-06

Family

ID=4180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450A KR100935162B1 (ko) 2008-07-03 2008-07-03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16U (ja) * 1992-09-28 1994-04-19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成形用金型の芯ずれ防止構造
JP3222432B2 (ja) * 1999-03-03 2001-10-29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成形機の型締装置
KR200417111Y1 (ko) * 2006-03-03 2006-05-23 우신공업 주식회사 정밀 금형을 위한 몰드 베이스의 가이드 부싱과 가이드핀의 결합 장치
JP3833583B2 (ja) * 2002-07-08 2006-10-1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ガイドピンとガイドブッシ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16U (ja) * 1992-09-28 1994-04-19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成形用金型の芯ずれ防止構造
JP3222432B2 (ja) * 1999-03-03 2001-10-29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成形機の型締装置
JP3833583B2 (ja) * 2002-07-08 2006-10-1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ガイドピンとガイドブッシュ
KR200417111Y1 (ko) * 2006-03-03 2006-05-23 우신공업 주식회사 정밀 금형을 위한 몰드 베이스의 가이드 부싱과 가이드핀의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482B1 (ko) 기판 수납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119504A1 (en) Heat dissipating apparatus for cylinders of injection molding machines
JP4169353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WO2015037506A1 (ja) スペーサ
KR100935162B1 (ko) 일체형 가이드바를 구비한 금형
KR101290128B1 (ko) 사출 성형 몰드, 사출 성형 방법, 사출 성형품 및 그 사출 성형 몰드를 사용하는 사출 성형 기계
KR100945844B1 (ko)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KR100763950B1 (ko) 틈새부가 상면코어 측면에 형성된 고온금형사출기
JP5059952B2 (ja) トグルリンク式型締装置のリアプラテン
JP4939949B2 (ja) 射出成形金型
KR100896770B1 (ko) 일체형 푸쉬블록 유닛이 포함된 사출금형
KR101325222B1 (ko) 경사코어를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401796B1 (ko) 급속 가열 및 냉각용 사출금형
KR20210075785A (ko) 금형
US20200171726A1 (en) Injection molding die
KR101192159B1 (ko) 이중 사출 금형
JP3087083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用黒鉛型
KR20080104689A (ko) 금형장치
KR100542635B1 (ko)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JP6517592B2 (ja) 射出成形機
KR101823084B1 (ko) 변형보정 사출성형 장치 및 방법
CN214684214U (zh) 一种应对压铸模具中标识镶件安装结构
JP5592086B2 (ja) 成形機の型締装置
JP7099948B2 (ja) 射出成型方法
JPH0631735A (ja) 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