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929B1 -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 Google Patents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929B1
KR100934929B1 KR1020070097085A KR20070097085A KR100934929B1 KR 100934929 B1 KR100934929 B1 KR 100934929B1 KR 1020070097085 A KR1020070097085 A KR 1020070097085A KR 20070097085 A KR20070097085 A KR 20070097085A KR 100934929 B1 KR100934929 B1 KR 10093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ntamination
electrolytic polishing
tank
electrolyte
precip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483A (ko
Inventor
오원진
최왕규
정종헌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9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1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objects, apparatus, clothes, food; Preventing contamination thereof
    • G21F9/005De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objects by ab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0Processing by floccul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2Processing by absorption; by adsorption; by ion-exchang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20Disposal of liquid waste
    • G21F9/22Disposal of liquid waste by storage in a tank or oth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원자력발전소, 원자력연구개발 시설 같은 원자력시설의 운영, 유지보수 및 해체 시에 대규모의 금속성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며 대부분이 금속표면만 오염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을 제염하여 금속자체는 재활용하고 소량의 제염폐기물만 방사성폐기물로 처분을 할 수 있는 기존 전해 연마 제염 기술을 개선한 기술이다.
전해 연마, 제염, 중성염 전해질, 제염폐액, 방사성 폐기물

Description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 제염폐액 처리{Regenerative Electrochemical Polishing Decontamination of metallic Radioactive Wastes and Decontamination Liquid Waste Treatment by Electro-sorption and Electro-deposition}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원자력연구개발 시설 같은 원자력시설의 운영, 유지보수 및 해체 시에 발생하는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금속성 폐기물을 제염함으로써 금속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소와 원자력연구소에는 상당량의 금속성방사성폐기물이 누적되어있다.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은 방사화된 것과 금속 표면만 오염된 것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은 표면 오염 방사성폐기물이다. 표면만 오염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은 제염으로 금속자체는 재활용하고 소량의 제염폐기물만 방사성폐기물로 처분을 할 수 있다.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은 제염폐기물 발생량이 감용효과를 결정하는 중요 인자이다. 따라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의 제염은 제염폐기물 처리가 용이하고 그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이를 제염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금속성 방사성폐기물 제염 방법은 물리 및 화학 제염 방법과 전해제염 방법이 있으나 금속 모재표면층까지 균일하게 연마하여 제염하는 전해 연마 제염기술이 재활용 목적의 제염기술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해 연마 제염기술에는 산성 전해질 제염과 중성염 전해질 제염이 있으나, 방사성폐기물을 작게 발생하는 중성염 전해 연마 제염기술이 국내외적으로 방사성폐기물 처분비의 상승으로 최근 더 각광을 받고 있다.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은 대부분 부식을 막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인코넬 같은 내부식성 재질을 사용하고 있지만 원자력발전소 일차계통 같이 고온 고압의 계통수에 놓이게 되면 고착성 마그네타이트 유형의 산화막이 형성되고 방사성핵종이 이 산화막에 주로 집적되게 된다.
중성염 전해질 전해 연마 제염기술은 외부전류에 의해 가해진 전기화학적 산화포텐셜(Elctrochamical Oxidative Potential)에 의해서만 금속재질이 용출되며 산성염 전해 연마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금속의 산성용해(Acidic Dissolution) 반응이 없고 또한 용해된 금속산화물도 중성에서는 수산화물로 금속모재에 부착하여 전극반응을 저해할 수 있다.
기존의 중성염 전해질 전해 연마 제염기술은 모재 표면에 고착성 이물질층이 없는 깨끗한 금속표면의 연마에 효과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우라늄 오염 같은 비고착성 금속오염의 전해 연마 제염에 이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소 등에서 많이 발생하는 고착성 부식산화막으로 오염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에는 중성염 전해 연마 제염이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내부식성 금속 재질에는 대부분 크롬성분이 18%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크롬성분은 전해 연마로 용출 되었을 시 +6가 산화물로도 용해가 되며 기존의 중성염 전해제염 방법으로는 수산화물로 침전제거가 되지 않아 전해질 재생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중성염 전해 연마 제염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산성염 전해 연마 제염기술에도 일부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 및 제염폐기물 처리기술을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은 원자력 연구소나 원자력 연구시설에서 발생하는 대규모의 금속성 방사성 폐기물, 예컨대 표면만 오염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을 제염하여 금속자체를 재활용하고, 소량의 제염 폐기물만 폐기물로 처분할수 있도는 효율을 높인 금속성 방사성 폐기물의 제염 처리기술에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원자력발전소, 원자력연구개발 시설 같은 원자력시설의 운영, 유지보수 및 해체 시에 대규모의 금속성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한다. 표면만 오염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을 제염하여 금속자체는 재활용하고 소량의 제염폐기물만 방사성폐기물로 처분을 할 수 있는 기존 전해 연마 제염 기술을 개선한 기술이다.
특히, 기존의 중성염 전해 연마 제염기술의 단점인 부식산화막 같은 고착성 오염 표면에 대한 낮은 제염 성능을 개선하고 제염폐기물 처리와 전해질 재생 성능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는 전해 연마조, 이동형 또는 진동형전극, 침전조, 전기증착/흡착부, 전해액저장조로 구성되고, 상기 전해 연마조와 침전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양극전류와 음극전류를 교차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 연마조는 초음파발생기에 의해 초음파 제염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형 또는 진동형 전극은 전극진동기에 의해 진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해 연마조는 중성염 전해질과 유기산 착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침전조는 상하부차단막을 가지며, 침전조의 하부에는 유기산분해제 또는 크롬침전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을 투입하여 침전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침전조는 침전 후 상등액은 전기증착/흡착부로 이송하여 미 침전된 염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기 증착/흡착부로부터 이송된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액저장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해액저장조는 전해 연마조와 연결되어 전해액을 보충하거나 또는 과량의 전해액을 저장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산은 옥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산 분해제는 과산화수소이고 크롬 침전제로는 Ag+, Pb2 +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해 연마조는 중성염 전해질과 유기산 착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해 연마조는 중성염 전해질과 유기산 착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해 연마에 사용사는 제염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한 중성염 전해질에 의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의 전해 연마에 사용하는 제염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염 방법은, 방사성오염을 함유하는 금속산화피막을 가지는 금속을 전해 연마조에 침전하는 단계; 상기 금속을 이동형 또는 진동형 전극과 연결되게 배치하는 단계; 전해 연마조의 전해액에 유기산을 더 투입하는 단계; 제염된 금속염을 침전조에 침전하는 단계; 침전조의 침전물의 수위가 지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 침전조의 상부 차단막을 차단하는 단계; 유기산 분해제를 침전조에 투입하는 단계; 전조의 상등액을 전기증착/흡착부로 이송하여 용해한 금속염을 증착 또는 흡착하하여 제거하고 침전조의 침전물을 배출하여 별도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제염처리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산성 전해 연마 뿐 아니라 중성염 전해 연마에서 제염이 어려운 고착성 산화막 오염 금속도 제염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또한 일체형으로 이동형에 유리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내외부를 가지는 파이프등도 용이하게 제염할 수 있고, 제염폐액 처리 성능의 우수성 등 기존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효과적이고 신속하며 특히 경제적인 제염 및 재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연마 제염 장치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도 1중에서 파이프 등과 같이 밀폐된 내외 오염이 있는 금속 오염폐기물을 내외부 동시에 전해 연마 제염하는 제염도를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전해 연마 제염도에서 보듯이, 본 전해 연마 제염 장치는 전해조(전해 연마조)와 침전조를 일체형으로 하여 제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고, 또한 제염 대상 금속폐기물은 전해 연마조에 있는 이동식 양극전극에 연결되며 금속 산화피막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극과 음극 전류가 교체로 흐르도록 교차식 전원 공급 방식이고, 이동식 양극전극에 연결된 금속산화피막의 제거를 용이하게 위하여 전극진동기를 더욱 부착시켜 균일하고 신속히 금속염이 제염되도록 하며, 전해 연마조 내에서도 진동을 주어 제염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초음파진동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진동에 의한 초음파 제염도 병행이 되도록 압전소자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일예로 중성염 전해 연마 제염 시에는 제염연마조에서 금속 산화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제염제로 기존 중성염 전해질(NaNO3 or Na2SO4 등)를 사용 하고, 이에 더하여 중성염 영역에서 유효한 유기산 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전해 연마로 용출된 금속이온이 수산화물 등으로 금속표면에 재침전을 막으며, 이때 사용하는 유기산 착화제의 사용량은 제염된 금속성분의 양이나 종류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양을 특정하지 않으며 이는 단지 산화피막 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유기산 착화제로서는 옥살산 등의 유기산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와 침전조 사이에는 2 개의 분리차단 막(도 1의 침전조 상하부에 도시)을 설치하여 전해조에서 일정량의 침전물이 침전조에 형성되면 그 양을 감지하여 상부 분리차단막을 닫아 전해조와 침전조를 차단하고, 침전조에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유기산 분해제와 후속 공정의 보조용으로 필요시 크롬이온 침전제를 첨가하여 침전을 가속화시킨다. 이 때 사용하는 크롬 이온 침전제로는 AgNO3, Pb(NO3)2 등이며 다음과 같은 침전 반응으로 침전시킨다.
CrO4 2 -+Pb2 +→PbCrO4
2Ag+ + CrO4 2 -→Ag2Cr2O4
침전이 종료되면 상등액을 폐액처리공정인 전기 증착 및 흡착조를 통과시켜 잔여 크롬이온, 방사성핵종 그리고 미 침전된 금속성이온을 제거한다. 침전방사성핵종 등은 전기 증착/흡착판에 포집한다.
전기 증착 및 흡착 공정의 제1 방식은 비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흑연전극을 사용하며 그 공정 개념도를 도4에 예시한다. 다공성 흑연전극으로 활성탄탄소섬 유(ACF: Activated Carbon Fiber) 전극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증착 및 흡착 공정의 제2방식은 음이온투과막(AEM: Anion Exchange Membrane)과 양이온투과막(CEM: Cation Exchange Membrane)을 사용하는 전기투석(Electrodialysis) 공정이며 그 개념도를 도6에 예시한다.
상기 2가지 전기 증착 및 흡착 공정 중 하나를 제염폐액 특성 및 처리량에 따라 적의 선정한다.
전기 증착/흡착조를 통해 재생된 전해질은 재생/전해액 저장조에 저장한다.
침전조의 상등액이 처리되고 나면 침전물을 침전물처리조에 받아 세척 및 건조 시킨 후 고체 방사성폐기물로 관리하게 한다.
침전조의 처리가 종료되면 전해 연마조의 용액이 침전조와 연결될 수 있게 하고 전해 연마조의 전해액을 전해액 저장조에서 보충한다.
침전조와 제염폐액 처리는 침전조에 침전물이 일정량 쌓이고 난 후 전해 연마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게 별도의 독립적인 작업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파이프와 같은 내부와 외부의 표면에 축적된 오염된 금속염을 제거하기 위한 전해 연마조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식 양전극을 금속파이프의 안과 밖에 동시에 설치함으로써, 도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염을 제거하고 회수한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제염 대상 금속과 전극 사이에 균일한 전류흐름이 일어나고 밀폐된 내부 표면도 제염할 수 있는 이동형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기존 고정형 전극을 사용 한 전해 연마 제염의 경우 제염 대상 금속과 전극 사이에 균일한 전류흐름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과다한 국부 연마나 미진한 제염 결과를 초래되어 재생효율이 좋지 않는 단점이 있고, 또한 완전한 제염을 기재할 수 없었지만 이동형 전극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제염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모든 표면에 균일한 제염정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염 대상물이 밀폐된 내부 표면적을 가지고 있을 시 기존 전극으로는 제염이 불가하지만 도 2와 같이 이동형 전극을 밀폐 공간에 침지시켜 파이프나 용기 내외부 표면을 동시에 전해 연마 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원자력발전소에 발생하는 많은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은 금속 표면이 산화물 층으로 덮혀 있어 기존 중성염 전해질 제염법으로는 제염이 어려운 문제점을 중성염전해질에 유기산 첨가, 초음파와 진동 같은 물리적 충격 부가, 그리고 제염대상 교류식 전원공급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제염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을 개발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 발생하는 많은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은 금속 표면이 산화물 층으로 덮혀있어 산화물 층은 이미 산화가 된 상태이므로 양극 전류에 의해 금속 모재와 같이 산화반응으로 전해질에 용출되지 않아, 그 산화물 층은 상기 모재의 산화 반응을 저해하고 특히 중성염 전해질 전해 연마 제염에서는 양극전류로 용출된 모재 금속이온이 수산화물로 모재표면에 재침적됨으로 더욱 모재의 전해 연마 반응이 저해를 받는데 본 발명과 같이 중성염전해질에 옥살산과 같은 유기산을 첨가하고, 초음파 같은 물리적 충격을 가하고 제염대상 표면에 산화와 환원 반응을 교차로 가할 수 있는 교류식 전원공급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기존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셋째, 일체형 전해 연마조와 침전조를 구비하고, 하부 침전조에 유기산 분해제와 후속 폐액처리 보조용으로 Ag+, Pb2 + 같은 크롬 침전제를 첨가함으로써 침전효율을 증가시키고 이어서 최종 침전물은 세척후 건조 방출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며, 이렇게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중성염 전해질 전해 연마 기술에서 전해제염 폐액을 별도의 제염폐액 보관 탱크로 옮겨 침전 및 원심분리 처리를 하기때문에 장치가 크고 이송펌프와 별도의 원심분리나 필터설비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해조와 침전조를 일체형으로 만들고 하부 침전조에 유기산을 분해하여 무해한 물과 탄산가스로 만들어 침전을 가속화 시키고 최종 침전물은 전기가열로 건조후 방출하게 함으로서 장치의 소형화와 신속한 침전을 통한 제염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넷째, 내부식성 금속에서 용출되는 Cr 이온과 수산화물로 침전조에서 침전이 되지 않은 잔여 금속이온을 전기 증착과 전기 흡착법으로 제거함으로써 염제거 효율을 더욱 높인 일체형 제염폐기물 처리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에는 SUS와 같이 크롬성분이 모재에 18%이상 함유된 금속이 많으며 크롬은 전해되어 일부는 Cr+6 이온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중성염 전해 연마 제염기술에서 사용하는 침전방식으로는 제거가 않으므로 (도 2의 크롬의 Pourbaix Diagram 참조) 크롬이온과 침전되지 않은 방사성핵종을 전기 증착과 전기 흡착법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상기의 전기증착과 흡착법은, 기존 흡ㆍ탈착공정이 농도(기상흡착의 경우 압 력)와 온도를 변화시켜 유발되는데 비하여 전기흡착은 제3의 제어인자로 용액 중 전극의 전기전위를 이용하며, 높은 표면적의 전극에 이를 적용하는 새로운 분리공정 기술이다. 기본원리는 전극표면에 생성된 전기이중층을 하전하거나 방전하는 것이다. 계면에서의 전기전위가 용액으로부터 이온종의 흡착에 영향을 주며 비이온성 화학종 역시 계면에서의 전기적 성질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전위 가용 하에서의 흡착현상인 전기흡착에서는 전기전도성 탄소체를 분극 하여 계면전위 즉, 결과적으로 표면 흡착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전도체에 전기를 통하면 폐액 중의 이온종은 상변화 없이 전극의 전기이중층에 정전기적으로 흡착될 수 있으며, 이온종이 환원될 수 있는 환원전위를 가용하면 전자가 전극-용액의 계면을 가로질러 이동한다. 이온종이 상변화를 일으키는 반응은 패러데이의 법칙을 따르므로(즉, 전류흐름에 의해 발생된 화학반응의 양이 통과 전류의 양에 비례) 패러데이 과정(Faraday process)이라 부르며, 패러데이 과정이 지배적으로 일어나는 공정을 전착이라 한다. 이러한 전기 흡착 및 증착과 관련하여는 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지만, 그 일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산화환원반응과 전위차에 의하여 금속이온 성분이 캐소드에 흡착된다. 이때 사용한 전극의 성분은 안정하여 흡착전극의 열화나 부생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며, 폐액처리 환경에 적합한 재료특성을 갖추어야 하고 전기적 접촉이 연속적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야 할 뿐만아니라 전기화학적 활성종이 전극기공에 접촉하거나 기공으로 유체가 쉽게 침투할 수 있는 다공성 비표면적을 가져야 하므로 ACF(Active Carbon Fiber)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염처리한 산화물의 증착사진으로서, 그 중에서 제염폐액을 ACF 전기흡착으로 처리 시 제염 전후 ACF 전극에 산화물의 흡착/증착을 보여준다.도 5에서 보듯이 전극표면에 매우 많은 금속염 흡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전해 연마조에서의 제염처리및 전기흡착에서 침전되지 않는 염의 흡착이 매우 우수하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6은 전기 증착 및 흡착 공정의 제2방식으로 음이온투과막(AEM: Anion Exchange Membrane)과 양이온투과막(CEM: Cation Exchange Membrane)을 사용하는 전기투석(Electrodialysis) 공정개념도 예시다.
상기 도5와 도6의 공정은 기존 침전물의 원심분리 처리공정에 비해 크롬 이온과 잔여 미침전 금속이온의 제거가 가능하고, 또한 빠른 증착/흡착 반응 특성으로 공정 체류 시간이 짧아 공정장치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 연마 제염 개념도에 대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부 전해 연마 제염도 이고,
도 3은 제염액 재생에 중요 성분인 크롬의 Pourbaix Diagram이며
도 4는 ACF전극을 사용한 제염폐액의 전기 증착 공정도의 예를 나타내며,
도 5는 상기 도4의 전기 흡착공정에서 산화물의 ACF 전극 증착 사진으로 좌는 증착 전, 우는 증착 후 ACF전극 표면을 나타내고,
도 6은 Electrodialysis 방법에 의한 크롬이온의 처리 공정개념을 나타낸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해 연마조, 이동형 또는 진동형전극, 침전조, 전기증착/흡착부, 전해액저장조로 구성되고, 상기 전해 연마조와 침전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양극전류와 음극전류를 교차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전해 연마조는 중성염 전해질과 유기산 착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침전조는 상하부차단막을 가지며, 침전조의 하부에는 유기산분해제 또는 크롬침전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을 투입하여 침전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침전 후 상등액을 전기증착/흡착부로 이송하여 미 침전된 염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증착/흡착부로부터 이송된 전해액을 저장하는 전해액저장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저장조는 전해 연마조와 연결되어 전해액을 보충하거나 또는 과량의 전해액을 저장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옥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분해제는 과산화수소이고 크롬 침전제로는 Ag+, Pb2 +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연마 제염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5항 내지 10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해 연마 제염장치를 이용한 중성염 전해질에 의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의 전해 연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염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염 방법은, 방사성오염을 함유하는 금속산화피막을 가지는 금속을 전해 연마조에 침전하는 단계;
    상기 금속을 이동형 또는 진동형 전극과 연결되게 배치하는 단계;
    전해 연마조의 전해액에 유기산을 더 투입하는 단계;
    제염된 금속염을 침전조에 침전하는 단계;
    침전조의 침전물의 수위가 지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 침전조의 상부 차단막을 차단하는 단계;
    유기산 분해제를 침전조에 투입하는 단계;
    침전조의 상등액을 전기증착/흡착부로 이송하여 용해한 금속염을 증착 또는 흡착하하여 제거하고 침전조의 침전물을 배출하여 별도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염 방법.
KR1020070097085A 2007-09-22 2007-09-22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KR10093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085A KR100934929B1 (ko) 2007-09-22 2007-09-22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085A KR100934929B1 (ko) 2007-09-22 2007-09-22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483A KR20090031483A (ko) 2009-03-26
KR100934929B1 true KR100934929B1 (ko) 2010-01-06

Family

ID=4069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085A KR100934929B1 (ko) 2007-09-22 2007-09-22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31B1 (ko) * 2009-05-18 2010-01-06 김광득 전해액 재활용이 가능한 전해연마방식의 방사능 및 비방사능 금속 제염장치
KR100949301B1 (ko) * 2009-07-08 2010-03-23 선광원자력안전(주) 방사성 오염 금속폐기물용 제염장치
RU2453939C1 (ru) * 2011-02-22 2012-06-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орода Москвы - объединенный эколог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по обезвреживанию РАО и охране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ГУП МосНПО "Радон") Установка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дезактиваци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KR101155179B1 (ko) * 2011-03-31 2012-06-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사용후핵연료 재활용을 위한 전해제련기의 양극장치
KR101868531B1 (ko) * 2017-11-06 2018-06-1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CN110322981B (zh) * 2019-08-09 2021-06-2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用于表面放射性沾污金属的电解去污的作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149A (ja) * 2002-09-26 2004-04-15 Hitachi Ltd 再処理廃材の電解除染方法および電解除染装置
KR20040036977A (ko) * 2002-10-25 2004-05-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 금속폐기물 표면오염 제거용 전해제염장치 및 방법
KR20040090942A (ko) * 2000-12-21 2004-10-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학 오염 제거 용액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50068382A (ko) * 2003-12-30 2005-07-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금속폐기물 제염장치 및 제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942A (ko) * 2000-12-21 2004-10-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학 오염 제거 용액의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4117149A (ja) * 2002-09-26 2004-04-15 Hitachi Ltd 再処理廃材の電解除染方法および電解除染装置
KR20040036977A (ko) * 2002-10-25 2004-05-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 금속폐기물 표면오염 제거용 전해제염장치 및 방법
KR20050068382A (ko) * 2003-12-30 2005-07-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금속폐기물 제염장치 및 제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483A (ko)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29B1 (ko)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KR101462554B1 (ko) 방사성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104157B2 (ja) 重金属類による被汚染物の浄化方法及び装置
US4383901A (en) Method for removing metal ions and other pollutants from aqueous solutions and moist gaseous streams
JP4438988B2 (ja) 放射性物質による汚染を除去するための電気化学的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398546B1 (ko) 방사성 금속폐기물 제염 폐액의 처리 방법
JPH11511808A (ja) 汚染された液体及び固体廃棄物から電荷を帯びた化学種を除去するための電気化学的システム及び方法
JP5235276B2 (ja) 重金属類を含む被汚染物の浄化装置
KR101919200B1 (ko) 전해액 재생성 전해제염 방법
JP4311811B2 (ja) 放射性廃液の処理方法
JP7320160B2 (ja) 放射性使用済イオン交換樹脂の除染方法及び装置
JP4102851B2 (ja) 被汚染物からの重金属類の溶出を行う反応槽
JPS6020720B2 (ja) 放射能で汚染された金属材料の除染方法
JP4053179B2 (ja) 放射化汚染材料の除染方法とその装置
JPS61231496A (ja) 放射性金属廃棄物の除染方法
JP2012207997A (ja) 電解除染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557560B2 (ko)
Lee et al. Application of a modified electrochemical system for surface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metal waste
KR0148088B1 (ko) 수지충전식 전기투석법에 의한 음극실 폐기물 분리를 포함하는 제염제 재생방법 및 장치
JPS59224598A (ja) 使用済イオン交換樹脂の電解再生法
JP3044306B1 (ja) 放射性廃棄物の除染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WO2005050668A1 (fr) Dispositif de desactivation electrochimique d'un equipement metallique
JPH0631858B2 (ja) 溶液中金属イオンの分離方法
JPH03232521A (ja) 電解質溶液のイオン成分除去方法
Lee et al. Application of a Modified Electrochemical System for Surface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Metal Waste (W07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