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31B1 -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531B1
KR101868531B1 KR1020170146729A KR20170146729A KR101868531B1 KR 101868531 B1 KR101868531 B1 KR 101868531B1 KR 1020170146729 A KR1020170146729 A KR 1020170146729A KR 20170146729 A KR20170146729 A KR 20170146729A KR 101868531 B1 KR101868531 B1 KR 10186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egeneration
waste liquid
washing
re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4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0Processing by flocc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액에 침전촉진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침전효율을 높이고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더욱 성능이 향상된 전해액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는, 전해제염에 사용된 폐액에 침전촉진제를 혼합하여 침전물을 생성하기 위한 반응탱크와, 반응탱크와 재생순환라인, 재생복귀라인 및 재생순환펌프를 통해 순환 가능하게 연결되어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와, 재생복귀라인과 재생배출라인으로 연결되고 침전물이 제거된 재생전해액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탱크와, 재생복귀라인과 재생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폐액을 반응탱크 또는 재생액 저장탱크쪽으로 흐르게 하는 제1 삼방향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Reproduction Treatent System for Electrochemical Decontamination Wastewater}
본 발명은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액을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의 방사성 핵종 제거에 사용한 후 발생한 폐액을 재사용하기 위한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전시설에서 규모가 큰 구성품(열교환기, 습분 분리기, 증기발생기) 교체나 해체 시 발생하는 다량의 금속폐기물을 그대로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폐기물 처분장 문제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처분 단가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금속성 방사성폐기물의 효과적인 감용 및 재활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금속성 방사성폐기물 처리 방법 중에서 제염 방법은 물리 및 화학 제염 방법과 전해제염 방법이 있으나 금속 모재 표면층까지 균일하게 연마하여 제염하는 전해 연마 제염기술이 재활용 목적의 제염기술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염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0934929호에 개시된 전해 연마 제염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해 연마조, 이동형 또는 진동형전극, 침전조, 전기증착/흡착부, 전해액저장조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해 연마조와 침전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양극전류와 음극전류를 교차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침전조는 전해제염에 사용된 폐액을 처리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부차단막을 가지며, 침전조의 하부에는 유기산분해제 또는 크롬침전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성분 이상을 투입하여 침전을 촉진시키고, 침전 후 상등액은 전기증착/흡착부로 이송하여 미 침전된 염을 회수하고, 전기 증착/흡착부로부터 재생된 전해액을 전해액저장부에 저장하여 전해 연마조에 재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침전조 및 전기증착/흡착부로 이루어지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 구성은, 침전조 내의 폐액에 침전촉진제를 직접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식이므로, 폐액과 침전촉진제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침전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고, 또한 침전조의 상등액으로부터 미침전된 염을 전기증착/흡착부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침전물 제거효율이 낮아 재생시간이 길고, 전기증착/흡착부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가동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세척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폐액 재생 장치의 가동율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폐액에 침전촉진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침전효율을 높이고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더욱 성능이 향상된 전해액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쪽의 필터로 침전물 제거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필터에 대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 구동이 가능하여 가동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해제염에 사용된 폐액에 침전촉진제를 혼합하여 침전물을 생성하기 위한 반응탱크; 상기 반응탱크와 재생순환라인, 재생복귀라인 및 재생순환펌프를 통해 순환 가능하게 연결되어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재생복귀라인과 재생배출라인으로 연결되고 침전물이 제거된 재생전해액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탱크; 및 상기 재생복귀라인과 재생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폐액을 반응탱크 또는 재생액 저장탱크쪽으로 흐르게 하는 제1 삼방향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탱크와 필터부 사이에서 폐액을 반복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반응탱크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필터부에서 제거하고, 침전물이 제거되어 재생된 폐액은 재생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재생액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한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재생순환라인과 재생복귀라인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과,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필터링하는 제1 및 제2 메탈필터를 포함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링라인의 제1 메탈필터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폐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세척수를 제1 메탈필터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세척라인; 상기 제2 필터링라인의 제2 메탈필터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폐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세척수를 제2 메탈필터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세척라인; 상기 제1 필터링라인의 제1 메탈필터와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 사이에 제4 삼방향밸브로 연결되어 제1 메탈필터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세척배출라인; 상기 제2 필터링라인의 제2 메탈필터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 사이에 제5 삼방향밸브로 연결되어 제2 메탈필터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세척배출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세척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세척액을 저장하는 세척폐액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세척라인과 제2 세척라인은 메인세척라인과 제6 삼방향밸브로 연결되고 메인세척라인은 세척수탱크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제1 세척라인 또는 제2 세척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세척라인과 반응탱크 사이를 제3 세척라인으로 연결하여 세척수를 반응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생순환라인에 설치되어 폐액의 흐름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압력이 설정치보다 높을 때, 제2 및 제3 삼방향밸브를 조작하여 폐액의 흐름을 제1 필터링라인 또는 제2 필터링라인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4, 5, 6 삼방향밸브를 조작하여 폐액이 흐르지 않는 제1 필터링라인 또는 제2 필터링라인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탱크와 교반순환라인, 교반복귀라인 및 교반순환펌프로 순환 가능하게 연결된 케미컬탱크를 더 포함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반순환라인은 재생순환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지점의 하류측 교반순환라인과 재생순환라인에 제1 및 제2 밸브가 구비되어 반응탱크의 폐액을 필터부 또는 케미컬탱크쪽으로 흐르도록 한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탱크, 재생순환라인 및 재생복귀라인으로 흐르는 폐액의 성분을 검출하는 성분검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검출수단은 반응탱크에 구비한 샘플배출라인과, 상기 샘플배출라인으로부터 배출된 샘플을 저장하는 샘플저장통을 구비한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제염에 사용된 폐액이 저장된 반응탱크 내에 침전촉진제를 투입하여 침전물을 생성하면서 반응탱크와 필터부 사이에서 반복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침전물이 제거됨에 따라 침전물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성능이 향상된 전해액을 재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부는 제1 메탈필터와 제2 메탈필터가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을 병렬로 배치함에 따라, 어느 한쪽 라인으로 폐액을 흐르게 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계속 수행하면서 폐액이 흐르지 않는 다른 라인에 대하여 메탈필터의 세척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장치의 가동률 및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탱크와 케미컬탱크가 순환가능하게 연결되어 반응탱크와 케미컬탱크 사이에서 폐액을 순환시키면서 케미컬탱크에 침전촉진제를 투입함에 따라, 폐액과 침전촉진제의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져 침전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써 더 많은 침전물을 생성하여 제거함으로써 성능이 더욱 향상된 재생성 전해액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제염에 사용된 폐액과 침전촉진제, 예를 들면 분말형태의 옥살산을 혼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침전물을 생성하기 위한 반응탱크(10)를 구비한다.
반응탱크(10)는 필터부(20)와 재생라인으로 연결되어 폐액을 반복해서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재생라인은, 반응탱크(10)와 필터부(20)를 연결하는 재생순환라인(11) 및 재생복귀라인(12)과 재생순환라인(11)에 설치된 재생순환펌프(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재생라인을 통해 폐액을 반응탱크(10)와 필터부(20) 사이에서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폐액과 침전촉진제의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된 침전물을 필터부(20)에서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폐액을 재생성하게 되어 있다.
재생라인의 재생복귀라인(12)에는 재생배출라인(14)을 통해 재생액 저장탱크(15)가 연결되고, 재생복귀라인(12)과 재생배출라인(14)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삼방향밸브(V1)가 설치되어 폐액의 흐름을 반응탱크(10) 또는 재생액 저장탱크(15)쪽으로 전환하게 되어 있다.
재생액 저장탱크(15)에는 재생된 전해액이 저장되는 것으로, 재생액 공급라인(16)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전해조와 연결되어 재생된 전해액을 공급함으로써 전해제염에 재사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재생순환라인(11)에는 순환하는 폐액의 흐름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17)가 설치된다. 폐액의 흐름 압력은 침전물이 필터부(20)에 부착된 정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압력센서(17)로 검출된 폐액의 흐름 압력을 통해 필터부(20)의 세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필터부(20)는, 재생순환라인(11)과 재생복귀라인(12) 사이에 병렬로 배치된 제1 필터링라인(21)과 제2 필터링라인(2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21,22)과 재생순환라인(11)이 만나는 상류측에는 제2 삼방향밸브(V2)가 연결되고,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21,22)과 재생복귀라인(12)이 만나는 하류측에는 제3 삼방향밸브(V3)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및 제3 삼방향밸브(V2,V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폐액의 흐름을 제1 또는 제2 필터링라인(21,22)으로 전환하게 되어 있다.
제1 필터링라인(21)과 제2 필터링라인(22)에는 제1 메탈필터(23)와 제2 메탈필터(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메탈필터(23,24)는 폐액과 침전촉진제의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0.5~20.0㎛의 메쉬(mes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20)는, 제1 필터링라인(21)의 제1 메탈필터(23)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V3) 사이에 제1 세척라인(31)이 연결되어 폐액의 흐름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세척수를 제1 메탈필터(23)쪽으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제2 필터링라인(22)의 제2 메탈필터(24)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V3) 사이에 제2 세척라인(32)이 연결되어 폐액의 흐름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세척수를 제2 메탈필터(24)쪽으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라인(31)의 제1 메탈필터(23)와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V2) 사이에는 제4 삼방향밸브(V4)에 의해 제1 세척배출라인(33)이 연결되어 제1 메탈필터(23)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고, 상기 제2 필터링라인(22)의 제2 메탈필터(24)와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V2) 사이에는 제5 삼방향밸브(V5)에 의해 제2 세척배출라인(34)이 연결되어 제2 메탈필터(24)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세척배출라인(33,34)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세척폐액 저장탱크(35)에 저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라인(31)과 제2 세척라인(32)은 메인세척라인(36)과 제6 삼방향밸브(V6)로 연결되고 메인세척라인(36)은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 탱크(37)와 연결되어, 제6 삼방향밸브(V6)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세척수를 제1 세척라인(31) 또는 제2 세척라인(32)으로 공급하게 되어 있으며, 메인세척라인(36)은 제3 세척라인(38)에 의해 반응탱크(10)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반응탱크(10)로도 공급하여 반응탱크(10)를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반응탱크(10), 재생순환라인(11) 및 재생복귀라인(12)으로 흐르는 폐액의 성분을 검출하는 성분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성분검출수단은 반응탱크(10)에 샘플배출라인(41)을 구비하고, 샘플배출라인(41)으로부터 배출된 샘플을 샘플저장통(42)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탱크(10)와 필터부(20) 사이에서 폐액을 반복 순환시키면서 샘플배출라인(41)을 통해 소량의 폐액을 배출하여 샘플저장통(42)에 저장한 후, 배출된 샘플로부터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폐액의 재생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촉진제를 투입하기 위한 케미컬탱크(43)를 구비하고, 케미컬탱크(43)는 교반순환라인(44), 교반복귀라인(45) 및 교반순환펌프(46)로 이루어지는 교반라인을 통해 반응탱크(10)와 연결된다. 통상 반응탱크(10)에는 히터(10a)가 구비되어 폐액을 대략 80~90℃로 가열하도록 된 것이므로, 반응탱크(10)에 분말형태의 옥살산 등 침전촉진제를 투입할 경우, 투입구로 증기가 배출되어 투입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별도로 마련한 케미컬탱크(43)를 이용하여 침전촉진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침전촉진제가 혼합된 폐액을 반응탱크(10)와 케미컬탱크(43) 사이에서 반복하여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져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라인의 교반순환라인(44)은 재생라인의 재생순환라인(11)에 연결하고, 재생순환라인(11)에 제1 개폐밸브(V7)를 설치하고, 교반순환라인(44)에 제2 개폐밸브(V8)를 설치하여 반응탱크(10)의 폐액을 선택적으로 필터부(20) 또는 케미컬탱크(43)로 순환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전해제염에 사용된 전해액, 즉 폐액을 반응탱크(10) 내에 공급하여 히터(10a)로 대략 80~90℃의 고온으로 가열한다. 또한 재생순환라인(11)의 제1 개폐밸브(V7)는 폐쇄하고 교반순환라인(44)의 제2 개폐밸브(V8)를 개방하여 재생순환펌프(13)를 구동하게 되면, 반응탱크(10) 내의 폐액을 교반순환라인(44)을 통해 케미컬탱크(43)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케미컬탱크(43)의 뚜껑(43a)을 통해 침전촉진제인 분말형태의 옥살산을 투입한 후, 교반순환펌프(46)를 구동하게 되면, 케미컬탱크(43) 내에서 침전촉진제가 혼합된 폐액을 교반복귀라인(45)을 통해 다시 반응탱크(10)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침전촉진제가 혼합된 폐액을 반응탱크(10)와 케미컬탱크(43) 사이에서 반복하여 순환시키게 되면, 균일한 교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폐액과 침전촉진제의 화학반응이 더욱 활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침전물 생성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폐액과 침전촉진제가 균일하게 교반되면, 교반순환라인(44)의 제2 개폐밸브(V8)를 폐쇄하여 폐액이 케미컬탱크(43)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재생순환라인(11)의 제1 개폐밸브(V7)를 개방하여 폐액이 재생순환라인(11)을 통해 필터부(20)로 흐르도록 전환한다. 이때 교반순환펌프(46)는 케미컬탱크(43) 내의 폐액이 모두 반응탱크(10)로 저장되면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폐액이 필터부(20)를 통과하면서 폐액에 포함된 침전물이 제거된다. 이때 제1 삼방향밸브(V1)는 필터부(20)를 통과한 폐액이 다시 재생복귀라인(12)를 통해 반응탱크(10)에 저장되도록 설정하여 둔다.
이와 같이 침전물은 반응탱크(10) 내에서 생성되어 필터부(20)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폐액을 반응탱크(10)와 필터부(20)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침전물의 생성과 제거가 반복되어 결국, 폐액은 서서히 재생되어진다. 이러한 폐액 재생 방식은 침전물 제거효율이 높아 성능 좋은 전해액으로 재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반응탱크(10) 내의 폐액은 샘플배출라인(41)을 통해 샘플로서 소량 수시로 배출하여 샘플저장통(42)에 저장하고, 샘플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폐액의 재생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폐액이 재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삼방향밸브(V1)를 조작하여 폐액의 흐름을 재생배출라인(14)으로 전환함으로써 폐액을 재생하여 형성된 재생 전해액을 재생액 저장탱크(15)에 저장할 수 있고, 이로써 재생 전해액을 재생액 공급라인(16)을 통해 전해조(도시 안됨)에 공급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부(20)는 폐액을 반응탱크(10)와 필터부(20) 사이에서 순환시켜 재생하는 작업과 병행하여 침전물 제거에 의해 오염된 필터를 세척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필터부(20)는 제2 삼방향밸브(V2)와 제3 삼방향밸브(V3)를 조작하게 되면, 병렬로 배치된 제1 필터링라인(21) 또는 제2 필터링라인(22)으로 폐액의 흐름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및 제3 삼방향밸브(V2,V3)를 조작하여 폐액이 제1 필터링라인(21)으로 흐르게 하면, 제1 메탈필터(23)에 의해 침전물이 제거된다. 폐액의 순환이 반복되어 제1 메탈필터(23)에 제거된 침전물이 쌓이게 되면, 침전물 제거효율도 떨어지고 폐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 재생순환라인(11)에 설치된 압력센서(17)에서 검출되는 압력수치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압력센서(17)로부터 검출된 폐액의 흐름 압력이 설정치보다 높아지게 되면, 제2 삼방향밸브(V2)와 제3 삼방향밸브(V3)를 조작하여 폐액이 제2 필터링라인(22)으로 흐르도록 전환함으로써 제2 메탈필터(24)에 의한 침전물 제거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고, 압력센서(17)의 압력수치는 다시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메탈필터(24)에 의한 침전물 제거작업과 동시에, 제4,5,6 삼방향밸브(V4,V5,V6)를 조작하여 세척수 탱크의 세척수를 제1 세척라인(31)을 통해 제1 필터링라인(21)에 공급하고 제1 세척배출라인(33)을 통해 배출시키게 되면, 세척수가 제1 메탈필터(23)를 폐액의 흐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1 메탈필터(23)에 쌓여 있던 침전물이 분리되어 세척수와 함께 세척폐액 저장탱크(35)에 저장됨으로써 세척작업이 수행된다.
이어서 침전물 제거작업이 계속 진행되어 제2 메탈필터(24)에 침전물이 쌓이게 되면, 압력센서(17)의 압력수치가 상승하게 되고, 압력센서(17)로부터 검출된 폐액의 흐름 압력이 다시 설정치보다 높아지게 되면, 제2 삼방향밸브(V2)와 제3 삼방향밸브(V3)를 조작하여 폐액이 다시 제1 필터링라인(21)으로 흐르도록 전환하고, 제4,5,6 삼방향밸브(V4,V5,V6)를 조작하여 세척수가 제2 필터링라인(22)으로 흐르도록 전환하게 되면, 세척된 제1 메탈필터(23)로 다시 침전물 제거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2 메탈필터(24)를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부(20)는 제1 및 제2 메탈필터(23,24)에 대하여 교대로 폐액의 침전물 제거작업과 세척수에 의한 세척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메탈필터(23,24) 세척을 위해 장치의 가동을 중단시킬 필요가 없어 제1 및 제2 메탈필터(23,24)의 세척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가동률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반응탱크 11 : 재생순환라인
12 : 재생복귀라인 13 : 재생순환펌프
14 : 재생배출라인 15 : 재생액 저장탱크
17 : 압력센서 21,22 :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
23,24 : 제1 및 제2 메탈필터 31,32 : 제1 및 제2 세척라인
33,34 : 제1 및 제2 세척배출라인 35 : 세척폐액 저장탱크
36 : 메인세척라인 37 : 세척수 탱크
41 : 샘플배출라인 42 : 샘플저장통
43 : 케미컬탱크 44 : 교반순환라인
45 : 교반복귀라인 46 : 교반순환펌프
V1~V6 : 제1 내지 제6 삼방향밸브 V7,V8 : 제1 및 제2 개폐밸브

Claims (6)

  1. 전해제염에 사용된 폐액에 침전촉진제를 혼합하여 침전물을 생성하기 위한 반응탱크;
    상기 반응탱크와 재생순환라인, 재생복귀라인 및 재생순환펌프를 통해 순환 가능하게 연결되어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반응탱크, 재생순환라인 및 재생복귀라인으로 흐르는 폐액의 성분을 검출하는 성분검출수단;
    상기 재생복귀라인과 재생배출라인으로 연결되고 침전물이 제거된 재생전해액을 저장하는 재생액 저장탱크; 및
    상기 재생복귀라인과 재생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폐액을 반응탱크 또는 재생액 저장탱크쪽으로 흐르게 하는 제1 삼방향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탱크와 필터부 사이에서 폐액을 반복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반응탱크에서 생성된 침전물을 필터부에서 제거하고, 침전물이 제거되어 재생된 폐액은 재생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재생액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재생순환라인과 재생복귀라인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과,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폐액으로부터 침전물을 필터링하는 제1 및 제2 메탈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링라인의 제1 메탈필터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폐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세척수를 제1 메탈필터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세척라인;
    상기 제2 필터링라인의 제2 메탈필터와 하류측 제3 삼방향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폐액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세척수를 제2 메탈필터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세척라인;
    상기 제1 필터링라인의 제1 메탈필터와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 사이에 제4 삼방향밸브로 연결되어 제1 메탈필터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세척배출라인;
    상기 제2 필터링라인의 제2 메탈필터 상류측 제2 삼방향밸브 사이에 제5 삼방향밸브로 연결되어 제2 메탈필터를 통과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세척배출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세척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세척액을 저장하는 세척폐액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라인과 제2 세척라인은 메인세척라인과 제6 삼방향밸브로 연결되고 메인세척라인은 세척수탱크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제1 세척라인 또는 제2 세척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탱크와 교반순환라인, 교반복귀라인 및 교반순환펌프로 순환 가능하게 연결된 케미컬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6. 삭제
KR1020170146729A 2017-11-06 2017-11-06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KR10186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29A KR101868531B1 (ko) 2017-11-06 2017-11-06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729A KR101868531B1 (ko) 2017-11-06 2017-11-06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531B1 true KR101868531B1 (ko) 2018-06-19

Family

ID=6279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729A KR101868531B1 (ko) 2017-11-06 2017-11-06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4366A (zh) * 2020-12-10 2021-04-06 上海齐耀重工有限公司 一种脱硫废水处理再生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20157695A (ko) 2021-05-21 2022-11-29 한국원자력연구원 폐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액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00A (ja) * 1986-02-10 1987-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性高電導度廃液処理設備
US20020179545A1 (en) * 1999-10-27 2002-12-05 Stefan Rosenberger Fluid conveyed material collection system
KR20090031483A (ko) * 2007-09-22 2009-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JP2015513458A (ja) * 2012-02-23 2015-05-14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バーミンガム 基質を酸化するための反応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00A (ja) * 1986-02-10 1987-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性高電導度廃液処理設備
US20020179545A1 (en) * 1999-10-27 2002-12-05 Stefan Rosenberger Fluid conveyed material collection system
KR20090031483A (ko) * 2007-09-22 2009-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재생성 전해 연마 제염과 전기 흡착 및 증착을 이용한제염폐액 처리
JP2015513458A (ja) * 2012-02-23 2015-05-14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バーミンガム 基質を酸化するための反応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4366A (zh) * 2020-12-10 2021-04-06 上海齐耀重工有限公司 一种脱硫废水处理再生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20157695A (ko) 2021-05-21 2022-11-29 한국원자력연구원 폐액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액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8290B (zh) 廢水處理系統以及方法(一)
US6241872B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electrochemical dual phase concentration, collection and removal of ions
US5770090A (en) Method for recovery of heavy metal from waste water
JP4104157B2 (ja) 重金属類による被汚染物の浄化方法及び装置
CN1117634C (zh) 减少废水排放的方法和装置
CA26988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oagulation
CN102674590A (zh) 双膜法工艺处理重金属废水及回收利用方法
KR101868531B1 (ko) 전해제염 폐액 재생성 처리장치
TW200307647A (en) Ion exchange regeneration system for UPW treatment
JP2005521867A5 (ko)
KR101868534B1 (ko) 방사성 금속 침전 폐액 처리장치
JP2002105696A (ja) 電解液の清浄方法
CN105800800B (zh) Dsa三维电极电化学水质稳定装置及工艺
KR101910853B1 (ko) 도금 공정의 폐수 저감형 수세장치
KR101978329B1 (ko) 막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막모듈 세척방법
JP2014087750A (ja) 電気透析装置及び電気透析方法
CN111018203B (zh) 一种含镍重金属废水资源化回收装置
JP2011062576A (ja) アルカリ性電解水の再利用方法とそのシステム
CN105040078A (zh) 一种垂直电镀清洗系统
JP6247968B2 (ja) イオン交換樹脂再生装置、および、イオン交換樹脂再生システム
KR102247603B1 (ko) 염소발생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분리막의 연속적인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5016442A (ja) 水質浄化処理装置および水質浄化処理方法
CN208667292U (zh) 一种环保水洗槽设备
KR101052856B1 (ko) 이동형 탈염수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