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685B1 - 필기 도구, 특히 볼펜 - Google Patents

필기 도구, 특히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85B1
KR100934685B1 KR1020057010717A KR20057010717A KR100934685B1 KR 100934685 B1 KR100934685 B1 KR 100934685B1 KR 1020057010717 A KR1020057010717 A KR 1020057010717A KR 20057010717 A KR20057010717 A KR 20057010717A KR 100934685 B1 KR100934685 B1 KR 10093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button
writing
housing
circumferential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4273A (ko
Inventor
니콜라 파일로트
델 피노 페드로 안토니오 페레스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빅
Publication of KR2005008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 도구(1), 특히 볼펜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형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잉크심(3); 상기 하우징(2)의 후위부에 위치하며, 손으로 제거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의 멈춤 위치와 전방의 필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잉크심(3)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멈춤 위치에서 바이어스(bias)되도록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는 푸시버튼(6); 상기 푸시버튼(6)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횡단 방향으로 탄성 굽힘이 가능한 스프링 아암(24)의 자유 끝단에 위치하는 걸쇠 돌출부(23) 및 상기 하우징(2)의 걸쇠 오목부(21)를 구비하며, 필기 위치에서 상기 푸시버튼(6)을 걸리게 하는 걸림 장치(19); 상기 걸림 장치(19)를 해제하고, 상기 걸쇠 돌출부(23)를 상기 멈춤 위치로 복귀시키는 변환 장치(35); 및 상기 푸시버튼(6)에 위치하며, 걸림 위치보다 더 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다시 뒤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걸쇠 돌출부(23)가 상기 걸쇠 오목부(21) 내로 측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17b)을 포함하는 지지부(17b)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필기 도구(1)에서 지지부(17)의 배치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7)는 상기 푸시버튼(6)의 원주 벽면부(17a)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상기 푸시버튼(6)의 중앙 자유 공간부(12)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필기 도구, 볼펜, 푸시버튼, 걸림 장치

Description

필기 도구, 특히 볼펜 {WRITING INSTRUMENT, PARTICULARLY A BALLPOINT PEN}
본 발명은 필기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볼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필기 도구는 본 출원인이 "Media Clic"이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따라서 최신의 필기 도구라 할 수 있다.
상기 공지된 필기 도구의 본질적인 기능은 후위부, 즉 필기하는 쪽에 대향하는 필기 도구의 끝단부에 푸시버튼(push button)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푸시버튼은 필기 도구의 슬리브(sleeve)형 하우징(housing)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지지되면서,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후위부의 반대측 상에는 스프링 탄성력으로 잉크심(reservoir)이 지지되어 있는데, 손으로 푸시버튼을 누름으로써 잉크심은 필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푸시버튼은 걸림 장치(latching device)에 의해 자동으로 하우징에 걸려 후퇴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로써 필기 도구에 의한 필기 기능이 가능해진다. 걸림 장치는 하우징 벽면 내의 지그재그형 안내홈(guiding groove) 및 그 안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걸쇠 돌출부(latch lug)로 구성된다. 또한, 걸쇠 돌출부는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푸시버튼에 장착된 스프링 아암(spring arm)의 자유 끝단(free end)에 위치한다. 그리고 푸시버튼을 지그재그형 안내홈 내에서 누르면, 걸림 장치는 먼저 원주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지그재그형 안내홈의 끝단에서 그 중심 위치로 되돌아와 후퇴하지 않도록 푸시버튼을 걸어 고정한다.
걸림 장치를 풀기 위해서, 이동 장치(shift device)가 구비된다. 걸림 위치에서 푸시버튼을 손으로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이동 장치는 자동적으로 걸쇠 돌출부의 걸림을 해제하고, 따라서 푸시버튼을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푸시버튼을 밀게 되어, 걸쇠 돌출부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푸시버튼을 한 번 더 누른 상태인 풀림 위치에서 원래 위치로 돌아올 때, 걸림 돌출부가 지그재그형 안내홈으로 다시 들어가 전방 끝단에서 걸리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사 지지면(oblique support surface)을 갖는 지지부(support member)가 푸시버튼에 구비된다. 즉, 걸림 위치에서 전방 이동하며 반대측 원주 방향으로 잠길 때, 걸쇠 돌출부가 측면으로 옮겨짐으로써 다시 후방으로 이동할 때 지그재그형 안내홈의 전방 끝단에서 걸쇠 돌출부의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안내홈의 후방 끝단에 위치하게 되는 것과 관련하여, 지지부가 푸시버튼에 구비된다.
공지된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푸시버튼의 베이스 상에 구비된다. 베이스는 푸시버튼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잉크심의 후방 끝단용 수용 샤프트(receiving shaft)를 위한 경계면을 형성하는데, 경계면은 전방을 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재료 비용이 많이 드는 까다로운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지지부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형태의 필기 도구를 개선하는데 있다. 특히, 지지부의 지지가 푸시버튼의 외주부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에는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유용한 개선점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도구에서, 지지부는 푸시버튼의 외주 벽면부(peripheral wall portion)에 위치하며 또 그곳에서 지지되고 있다. 푸시버튼의 외주 벽면부는 푸시버튼의 중앙 자유 공간부(free space)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지지부는 푸시버튼의 외주 벽면 또는 외주 벽면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 인해 형상이 간단해지며, 특히 사출 성형 부품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공지된 구조의 경우와 같이 푸시버튼의 중앙부를 횡단하여 연장되는 지지 벽면이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그 구성상 푸시버튼의 중앙부에 재료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더 적은 양의 재료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이로 인해 경량화 및 생산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은 자유 공간부가 잉크심의 수용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잉크심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설계로 잉크심은 유격을 갖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잉크심 수용 샤프트가 지지부 이상으로 축방향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기 도구는 더 긴 잉크심에 적합하게 되어 더 많은 필기용 잉크를 채울 수 있게 되고, 더 긴 시간 동안 필기 도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지면은 원주 벽면부의 축방향 횡단면(transverse surface)으로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축방향 원주면은 원주 벽면에서 구멍과 접하는데, 푸시버튼을 걸림 위치에서 한 번 더 눌러 걸쇠 돌출부가 오목부(recess) 쪽으로 잠기게 되면, 걸쇠 돌출부는 그 구멍 내로 잠기게 된다. 가장 중요한 점은 잠김 위치에서 걸쇠 돌출부가 지그재그형 안내홈이 위치하는 면 쪽으로 측면 지지된다는 것이다. 상기 측면 지지에 의해, 형상 끼움 방식(form-fit fashion)에서 걸쇠 돌출부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때 안내홈 내로 다시 들어가는 의도하지 않은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종속항의 구성에 의하면, 걸쇠 돌출부와 안내홈 사이의 불가피한 마모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작동 성능과 긴 수명을 보장하는 특별한 형상을 가진 걸쇠 돌출부의 영역 및 지지면을 지지하는 슬리브부(sleeve portion) 영역에서 간단한, 그리고 유리하게는 이격된 구조가 도출된다.
이하, 바람직하며 예시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청구하는 필기 도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그립 슬리브(4)의 슬리브 벽면(22)에 형성된 걸쇠 오목부(2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푸시버튼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필기도구 2: 하우징
3: 잉크심 6: 푸시버튼
12: 자유 공간부 14: 스프링
17a: 원주 벽면부 17b: 지지면
17c: 절단 자유면 19: 걸림 장치
21: 걸쇠 오목부 22: 원주 벽면
23: 걸쇠 돌출부 24: 스프링 아암
28: 걸림-풀림 동작
필기 도구(전체를 참조 부호 1로 표시)의 주요 구성요소는 펜형 하우징(pen-shaped housing)(2) 및 이에 수용된 잉크심(3)이다.
하우징(2)은 그립 슬리브(4)를 포함하는데, 그립 슬리브(4)의 전방은 돔형부(dome)(5)가 특히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후방 끝단은 푸시버튼(6)으로 막혀 있다. 푸시버튼(6)은 가이던스(guidance)(7)에 의해 그립 슬리브(4)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잉크심(3)은 잉크심 샤프트(8) 내에 위치하는데, 잉크심 샤프트(8)는 테이퍼진 길이방향 구멍(9) 형태로 돔형부(5)를 관통하고, 또 그립 슬리브(4)의 중공부(hollow space)(11)에 의해 구성되며, 그 후면 끝단부에서는 잉크심 홀(reservoir hole)(12)로서 푸시버튼(6) 내부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푸시버튼(6)은 슬리브형 안내 샤프트(13)를 구비하는데, 안내 샤프트(13)의 단면은(예를 들어, 원형) 그립 슬리브(4)의 내측 단면적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이동을 위한 유격을 두어 정해지고, 푸시버튼(6)은 그립 슬리브(4) 내로 삽입되어 필기 도구(1)의 중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잉크심(3)은 스프링(14), 바람직하게는 서라운딩 스파이어럴 스프링(surrounding spiral spring)에 의해 후방으로 가세(biased)되어 있고, 잉크심(3)은 중앙 자유 공간부, 여기서는 푸시버튼(6)의 잉크심 홀(12) 내로 연장되어, 그 후단 부분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 샤프트(13)의 슬리브 벽면(17)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방사상 웨브(web)(16)에 형성된 견부 표면(shoulder surface)(15)에서 지지된다. 또한 잉크심(3)은 더 큰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잉크심 홀(12)의 단면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웨브(16)는 생략될 수 있고, 잉크심 홀(12)과 접하는 홀 벽면(18)은 후미에서 잉크심(3)을 지지하는 견부 표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프링(14)의 전단 부분은 돔형부(5)에서 지지되고, 스프링(14)의 후단 부분은 잉크심(3)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견부와 맞닿는다.
손으로 푸시버튼(6)을 전방으로 누르면, 잉크심(3)은 도시되어 있는 후방의 멈춤 위치에서 전방의 필기 위치로 이동되며, 필기 위치에서는 잉크심 첨단부(reservoir tip)(3a)가 돔형부(5) 밖으로 돌출하게 되고, 푸시버튼(6)은 후퇴하지 않도록 그립 슬리브(4)에 설치된 걸림 장치(19)에 의해 걸어 고정된다.
걸림 장치(19)는 그립 슬리브(4)의 슬리브 벽면(22)의 걸쇠 오목부(latch recess)(21)와, 푸시버튼(6)에 스프링 이동식으로 설치된 걸쇠 돌출부(23)로 구성되어 있으며, 걸쇠 돌출부(23)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 오목부(21) 내로 자동적으로 걸리게 된다. 걸쇠 돌출부(23)는 필기 도구(1)의 중심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스프링 아암(24)의 자유 끝단에 위치한다. 스프링 아암(24)은 푸시버튼 슬리브 벽면(17)의 일부이며, 그 양쪽 면에 구비된 벽면 오목부(25, 26)에 의해 형성된다.
걸쇠 오목부(21)는 지그재그형 안내홈(27)의 일부이며, 안내홈(27)의 후방 단부는 멈춤 오목부(parking recess)(27a)를 구성하고, 안내홈(27)의 전방 단부는 걸쇠 오목부(21)를 구성한다. 걸쇠 오목부(21)의 측면 경계 벽면(21a)은 멈춤 오목부(27a)의 경계 벽면(27b)에 대해 안내홈(27) 쪽으로 일정 치수만큼, 예를 들어 1 내지 2㎜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그립 슬리브(4)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단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계 벽면(21b)에 의하여 걸쇠 오목부(21)의 전방측 경계가 정해진다.
스프링 아암(2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쇠 돌출부(23)는 그 단면 형상이 안내홈(27)의 후방 단부, 즉 멈춤 오목부(27a)의 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걸쇠 돌출부(23)는 일 측면(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볼 때의 우측면)에 축방향 측면부(23a)를 갖는데, 이 측면부(23a)의 전방으로의 연장선은, 측면부(23a)로부터 걸쇠 돌출부(23)의 중심을 지나서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면(23b)과 약 25°내지 35°의 예각 W1을 이루고, 자유면(23b)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면(23c)이 후방으로 경사져 있져서 그립 슬리브의 길이 방향 중심축(4a)과 예각 W, 예를 들어 약 45°를 이룬다. 자유면(23b)과 전방면(23c)의 경계(edge)는 곡면부 또는 경계 모따기면(edge rupture surface)(23d)으로 모따기 될 수도 있다. 후위면(23e)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유면(23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벽면부(17a)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거리 b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종단된다. 도 4를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 벽면부(17a)는 필기 도구(1)의 중심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지지면(17b)을 구비한다. 계속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면(17b)은 그립 슬리브(4)의 길이 방향 중심면(E1)과 예각 W3을 이루는데, 길이 방향 중심면(E1)은 걸쇠 돌출부(23)의 동작(28)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각도 W3은 약 30 내지 60°에 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45°이다. 슬리브 벽면부(17a)의 외측은 할선상으로 연장된 자유면(17c)에 의해 편평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지면(17b)이 슬리브 벽면부(17a)의 내측부로 한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지지면(17b)의 반경방향 외측 경계면(17d)은 E1과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 방향 중심면(E2) 내에 있으며, 걸쇠 돌출부(23)는 길이 방향 중심면(E2)에 대해 중심 외측(도 4에서의 우측)으로 떨어져 있고, 길이 방향 중심면(E2)과 대향하는 하부 경계(23f)가 지지면(17b)의 반경 방향 상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거리 c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다.
걸쇠 돌출부(23)에는 그 경사진 후위면(23e)으로부터 측면 돌출부(23g)가 구비되어 있으며, 측면 돌출부(23g)는 지지면(17b) 이상의 측면부의 내측부에 위치한다. 측면 돌출부(23g)의 측면부(23h)는 길이 방향 중심면(E2)과 예각 W4를 이루는데, 이 각도는 내측을 향한 것이며, 예를 들어 약 10 내지 15°일 수 있고, 걸쇠 돌출부(23)는 그 상부 경계에서, 측면 돌출부(23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슬리브 벽면부(17a)는 그 단면이 테이퍼진 잉크심 홀(12)의 길이 방향부(longitudinal portion)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4에서, 두께 차이는 d로 확인된다. 따라서 슬리브 벽면부(17a)는 잉크심 홀(12)의 테이퍼지지 않은 길이 방향 단면에서 치수로 d만큼 돌출되어 있다. 그 결과, 지지면(17b)은 더 큰 횡단 치수 e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서, 슬리브 벽면부(17a)는 길이 방향 중심면(E2)에서 거리 f만큼 돌출되어 있다.
푸시버튼(6)은 그립 슬리브(4) 내에서 회전 제한장치(pivot lock)(31)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며, 그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회전 제한장치(31)는 푸시버튼(6)과 그립 슬리브(4) 사이에서 일측 또는 양측의 홈/핀 결합부(groove/pin engagement)(32)에 의해 작용한다. 실시예에서, 안내 웨브(guiding web)(33)가 푸시버튼(6)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는데, 안내 웨브(33)는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움직임 동작과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홈(34)의 슬리브 벽면(22)의 내측 벽면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안내 웨브(33)는 반대측으로 개방되어, 푸시버튼(6)이 뒤에서 안내 웨브(33)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걸쇠 돌출부(23)는 안내홈(27)에 대해 원주 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걸림 장치(19)는 변환 장치(35)와 결합할 수 있다. 변환 장치(35)에 의해, 걸림 장치(19)가 풀리며, 잉크심(3)과 함께 푸시버튼(6)이 걸림 위치에서 멈춤 위치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풀림 단계를 실행하려면, 걸림 위치에서 푸시버튼을 손으로 누르면 되는데, 이때 걸림 돌출부(23)의 전방면(23c)은 경계 벽면(21b)을 타격하고 따라서 방사상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걸림 장치(19)는 측면 유효 지지면(17b)과 부딪히고, 걸쇠 오목부(21)에서 벗어나 축과 평행한 선 상에 위치하도록 안내홈(27)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지게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푸시버튼(6)이 스프링(14)의 탄성력으로 다시 뒤로 움직이면, 걸림 돌출부(23)는 슬리브 벽면(2)의 내측면에서 걸림 오목부(21)에서 벗어나 안내되며, 걸쇠 오목부(21) 내로 잠기지 않으며 멈춤 위치에 이르게 되는데, 이 위치에서 걸쇠 오목부(21) 위치에서 걸림 돌출부(23)는 멈춤 오목부(27a) 내로 되돌아오게 된다.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라인(36)은 멈춤 오목부(27a) 및 걸림 돌출부(23)의 중심을 가로질러, 걸쇠 돌출부(23)가 자동적으로 되돌아오도록 한다.
또한, 푸시버튼을 누르고, 걸쇠 돌출부(23)를 잠기게 할 때, 거리 a만큼 스프링 아암(24)으로부터 측면 굽힘에 의해, 라인(36) 영역으로 걸쇠 돌출부(23)가 자동적으로 돌아오도록, 지지면(17b)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푸시버튼(6)이 전방으로 압출된 위치에서 멈춤 위치로 되돌아 올 때, 멈추개(stop)를 써서 걸쇠 돌출부(23)가 걸쇠 오목부(21) 쪽으로 측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지지면(17)의 위치를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부는 푸시버튼의 외주벽 또는 외주 벽면부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 인해 형상이 간단해 지며, 특히 사출 성형 부품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구성상 푸시버튼의 중앙부에 재료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더 적은 재료가 필요하므로, 경량화 및 생산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다. 또한, 자유 공간부가 잉크심의 수용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잉크심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Claims (10)

  1. 필기 도구(1), 특히 볼펜에 있어서,
    슬리브형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에서 필기 도구(1)의 중심 축 방향으로 연장된 잉크심(3);
    상기 하우징(2)의 후위부에 위치하며, 손으로 제거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의 멈춤 위치와 전방의 필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잉크심(3)과 함께 손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멈춤 위치로 편향되어(biased)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있는 푸시버튼(6);
    상기 푸시버튼(6)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횡단 방향으로 탄성 굽힘이 가능한 스프링 아암(24)의 자유 끝단에 위치하는 걸쇠 돌출부(23) 및 상기 하우징(2)의 걸쇠 오목부(21)를 구비하며, 필기 위치에서 상기 푸시버튼(6)을 걸리게 하는 걸림 장치(19);
    상기 걸림 장치(19)를 해제하고, 상기 걸쇠 돌출부(23)를 상기 멈춤 위치로 복귀시키는 변환 장치(35); 및
    상기 푸시버튼(6)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 위치보다 더 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다시 뒤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걸쇠 돌출부(23)가 상기 걸쇠 오목부(21) 내로 측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17b)을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푸시버튼(6)의 원주 벽면부(17a)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상기 푸시버튼(6)의 중앙 자유 공간부(12)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상기 푸시버튼(6)의 슬리브형 원주 벽면(22)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상기 푸시버튼(6)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또 다른 원주 벽면부의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d)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7b)은 필기 도구의 중심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상기 원주 벽면부(17a)의 횡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7b)은 상기 원주 벽면부(17a)의 자유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7b)은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또는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17b)은 상기 걸쇠 돌출부(23)의 걸림-풀림 동작(28)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 방향 중심면(E1)과 예각(W3), 바람직하게는 약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그 외측이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절단 자유면(17c)에 의해 편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면부(17a)는 상기 걸쇠 돌출부(23)의 걸림-풀림 동작(2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길이 방향 중심면(E2)에 대해 돌출(f)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KR1020057010717A 2002-12-13 2003-10-01 필기 도구, 특히 볼펜 KR10093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7949.3 2002-12-13
EP02027949A EP1428683B1 (en) 2002-12-13 2002-12-13 Writing Instrument, particularly a Ballpoint Pen
PCT/EP2003/010872 WO2004054816A1 (en) 2002-12-13 2003-10-01 Writing instrument, particularly a ballpoint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273A KR20050084273A (ko) 2005-08-26
KR100934685B1 true KR100934685B1 (ko) 2009-12-31

Family

ID=3231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717A KR100934685B1 (ko) 2002-12-13 2003-10-01 필기 도구, 특히 볼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128489B2 (ko)
EP (1) EP1428683B1 (ko)
JP (1) JP4590267B2 (ko)
KR (1) KR100934685B1 (ko)
CN (1) CN100395123C (ko)
AU (1) AU2003268896B2 (ko)
BR (1) BR0316120A (ko)
CA (1) CA2501680A1 (ko)
DE (1) DE60219043T2 (ko)
ES (1) ES2284771T3 (ko)
MX (1) MXPA05004567A (ko)
WO (1) WO2004054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2570B2 (en) * 2003-10-03 2011-01-04 Smith & Nephew, Inc. Surgical positioners
KR100734903B1 (ko) * 2006-08-04 2007-07-03 주식회사 모리스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CN103373138B (zh) * 2012-04-27 2016-06-08 顺德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按键防压功能的文具
CN112207752A (zh) * 2020-10-09 2021-01-12 厦门南旗佰特精密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推出式扭矩施加工具
US11794510B2 (en) 2021-10-27 2023-10-24 Nottingham Jr Lee Vig Double-locking clicker mechanism and use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272A (en) 1989-03-22 1992-09-08 Merz & Krell Gmbh & Co. Projectable and retractable, push button writ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61349A1 (de) * 1965-08-02 1969-05-14 Bross Dipl Ing Helmut Druckschaltmechanik,insbesondere fuer Kugelschreiber
JP2516283Y2 (ja) * 1990-07-02 1996-11-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軸と回転体の締結装置
CN1110655A (zh) * 1994-04-20 1995-10-25 株式会社寿 按压式笔具
JP3626041B2 (ja) * 1998-07-27 2005-03-02 株式会社壽 ノック式筆記具
JP2000190689A (ja) * 1998-12-28 2000-07-11 Pentel Corp 出没式筆記具
WO2000044574A1 (fr) * 1999-01-28 2000-08-03 Pentel Kabushiki Kaisha Outil d'ecriture retractable
JP3327879B2 (ja) * 1999-10-14 2002-09-24 ゼブラ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272A (en) 1989-03-22 1992-09-08 Merz & Krell Gmbh & Co. Projectable and retractable, push button writ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4120A1 (en) 2006-02-02
ES2284771T3 (es) 2007-11-16
JP4590267B2 (ja) 2010-12-01
MXPA05004567A (es) 2005-07-26
DE60219043T2 (de) 2007-07-12
AU2003268896B8 (en) 2004-07-09
EP1428683B1 (en) 2007-03-21
KR20050084273A (ko) 2005-08-26
US7128489B2 (en) 2006-10-31
CA2501680A1 (en) 2004-07-01
BR0316120A (pt) 2005-09-27
WO2004054816A1 (en) 2004-07-01
EP1428683A1 (en) 2004-06-16
AU2003268896B2 (en) 2008-01-03
AU2003268896A1 (en) 2004-07-09
DE60219043D1 (de) 2007-05-03
CN100395123C (zh) 2008-06-18
JP2006509655A (ja) 2006-03-23
CN1711176A (zh)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964B2 (ja) 筆記具
KR101227292B1 (ko)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
EP2327564B1 (en)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MXPA06012735A (es) Instrumento de escritura con punta retraible.
KR100934685B1 (ko) 필기 도구, 특히 볼펜
US20190016173A1 (en) Slide-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drying-prevention device
US6758617B2 (en) Side knocking-type writing instrument
US6203226B1 (en) Side-knock type mechanical pencil
US20070231048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JPH0525915Y2 (ko)
US6082916A (en) Mechanical pencil
JP3535796B2 (ja) ノック式二芯筆記具
KR970003364Y1 (ko) 녹크식 필기구
JP4814708B2 (ja) 伸縮式筆記具
JP3183485B2 (ja) 複式筆記具
JP3324034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04507392A (ja) 単一体の機構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筆記用具
US2898886A (en) Alternate push retractable ball pen having double rocking latch mechanism
JP3774804B2 (ja) 出没式筆記具
JPH0423034Y2 (ko)
JPH081692Y2 (ja) スライド式化粧具
JP2005145003A (ja) 携帯型筆記用具
JP3317939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8290698A (ja) 筆記具または化粧具
JP2005178243A (ja) 出没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