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018B1 -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018B1
KR100934018B1 KR1020090070951A KR20090070951A KR100934018B1 KR 100934018 B1 KR100934018 B1 KR 100934018B1 KR 1020090070951 A KR1020090070951 A KR 1020090070951A KR 20090070951 A KR20090070951 A KR 20090070951A KR 100934018 B1 KR100934018 B1 KR 10093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mirror
lighting device
entrance
low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무
Original Assignee
유근무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무,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filed Critical 유근무
Priority to KR102009007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내부에 화재나 교통사고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이사실을 알리기 위한 안내문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운전자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고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는 터널입구의 양측 하단에 매설되며 중앙이 절곡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빔과, 상기 하부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복수개의 색상이 점등되어 터널의 입구, 폭,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알리는 다수개의 조명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알림부재와, 상기 하부빔에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부빔과, 상기 상부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회동수단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어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문구로 알리는 다수개의 조명등이 돌출설치된 미러와, 내측에 상기 상부빔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탄성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의 사이에 하프미러가 설치된 투명 재질의 덮개로 이루어지는 제 2알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널입구, 조명등, 알림부재

Description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TUNEL ENTRANA SEFETY DRIVING FOR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터널내부에 화재나 교통사고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이사실을 알리기 위한 안내문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운전자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고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등의 터널은 차량의 신속한 통행을 위해 산과 같은 장애물을 관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터널은 차량의 주행거리를 최소화하여 주행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은 있지만, 그 내부에서 각종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터널에서 교통사고나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이나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성이 클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터널사고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터널내에 진입하는 경우 신속한 대피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인적 및 물적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터널내에 소화기 등의 비상수단을 비치하지만 내부가 어둡고 협소하여 소화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방서 등에 화재신고를 한다고 하더라도 진입로에 정체된 차량으로 인해 소방차의 진입이 매우 어려워 대형 인적
및 물적 사고가 상존해 있는 것이다.
더욱이, 터널의 진입로에서 깃발 등을 이용하여 수신호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자구책이 있기는 하지만, 운전자들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여 신속히 대처하지 못함은 물론 수신호를 발견하지 못하고 주행하는 경우 적절한 차단방법이 없어 사고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널내부에 화재나 교통사고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이사실을 알리기 위한 안내문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운전자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사고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터널입구의 양측 하단에 매설되며 중앙이 절곡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빔과, 상기 하부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복수개의 색상이 점등되어 터널의 입구, 폭,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알리는 다수개의 조명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알림부재와, 상기 하부빔에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부빔과, 상기 상부빔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회동수단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어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문구로 알리는 다수개의 조명등이 돌출설치된 미러와, 내측에 상기 상부빔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탄성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의 사이에 하프미러가 설치된 투명 재질의 덮개로 이루어지는 제 2알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는 터널내부에 화재나 교통사고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이사실을 알리기 위한 안내문구가 운전자에게 입체적으로 전달되어 운전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고, 승용차, 2.5톤이하의 중형 트럭 및 2.5톤이상의 대형 트럭 등의 운전자들 모두에게 안내문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종래의 터널 입구에 설치되는 조명 안내장치가 구유하고 있는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형상을 탈피하고, 보는 이들에게 신선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적용된 제 1알림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적용된 제 2알림부재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적용된 회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의 작동원리는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는 지지부(10)와, 제 1알림부재(20)와, 제 2알림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0)는 제 1,2알림부재(20,30)를 지탱하는 기반이 되는 것으로 중앙이 절곡되어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하측은 땅에 매설되고 상측은 상부로 돌출되어 터널의 입구의 매설되며, 상기 제 1,2알림부재(20,30)의 상,하부빔(21,31)을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상기 제 1알림부재(20)는 운전자에게 터널의 입구, 터널의 폭, 터널 내부의 각종사고발생시 이를 인지시켜 운전자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빔(21)과, 조명등(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빔(21)은 터널의 형상(아치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은 한쌍의 지지부(10) 상단에 앙카볼트 및 앙카너트를 통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빔(21)은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정면에는 조명등(25)에서 점등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투과홀(23)이 일정간격으로 이격형성되며, 상기 투과홀(23)에는 아크릴 마개(24)가 더 삽입고정되어 조명등(25)의 빛을 더욱 효율적으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투과홀(23)을 통해 하부빔(21)의 내부로 빗물, 눈,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빔(21)은 도심의 교각 또는 산의 특정부위를 발파하여 형성된 터널의 입구에 매설되는 바, 상기 교각의 상판 또는 산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하부빔(21)이 휨/변형될 것을 고려하여 하부빔(21)의 내부 양측벽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반원형 형상의 보강돌기(22)을 형성하여 교각의 상판 또는 산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극대화시켜 하부빔(21)이 휨/변형에 되지 않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등(25)은 복수개를 이루어 하부빔(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리드 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에 의해 적색 또는 녹색으로 점등되어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리거나 터널이 시작되는 부분 및 터널의 폭을 운전자에게 알린다.
예컨대, 상기 조명등(25)은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운전자 알리기 위한 적색 전구 및 터널의 폭과 진입 가능한 표시를 알리는 녹색 전구가 각각 설치되거나, 적색과 녹색을 점등할 수 있는 LE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알림부재(30)는 터널 내부의 각종 사고발생시 운전자에게 문구로 알려 운전자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빔(31)과, 미러(35)와, 덮개(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빔(31)은 내부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양단이 상기 하부빔(21)의 상단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이러한 상부빔(31)은 상기 하부빔(21)과 동일하게 터널의 형상(아치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빔(31)의 내부 양측벽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빔(21)과 동일하게 상호 대향되는 반원형 형상의 보강돌기(32)이 더 형성되어 교각의 상판 또는 산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성이 극대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미러(35)는 상부빔(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회동수단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된다. 상기 미러(35)는 회동될 때 상부빔(31)의 내측벽에 닿지 않도록 하부빔(21)의 내부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운전석의 높이가 낮은 승용차와, 운전석의 높이가 높은 트럭의 운전자 모두에게 제 2알림부재(30)의 문구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미러(35)를 회동시키기 위한 제 1실린더(33)와, 제 2실린더(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실린더(33,34)는 통상의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압또는 공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33a,34a)이 좌,우로 왕복운동 한다. 상기 제 1,2실린더(33,34)는 유,공압펌프(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유,공압펌프(미도시)는 제어부(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는 제 2알림부재(30)의 조명등(36)을 점등시킴과 아울러 유,공압펌프를 작동시켜 제 1,2실린더(33,34)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제 1실린더(33)는 복수개를 이루어 상기 상부빔(3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실린더(33)의 피스톤(33a)은 미러(35)의 배면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실린더(34)는 하프미러(39)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실린더(34)의 피스톤(34a)은 미러(35)의 정면 하측에 결합되어 제 1,2실린더(33,34)는 상호 대각선상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2실린더(33,34)에 유압 또는 공압을 주입하거나 배출 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 제 1실린더(33)의 피스톤(33a)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미러(35)의 상측을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시키고, 제 2실린더(34)의 피스톤(34a)은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미러(35)의 하측을 뒤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시키게 되어 승용차, 2.5톤이하의 중형 트럭 및 2.5톤이상의 대형 트럭 등의 운전자들 모두에게 제 2알림부재(30)의 문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러(35)에는 다수개의 조명등(36)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조명등(36)은 리드선(미도시)을 통해 제어부(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되거나 소등된다.
상기 조명등(36)은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LED를 N*M의 전광판 형태로 배열하므로서 다양한 안내문구 또는 터널 내부의 상황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터널내 화재발생', '터널내 교통사고 발생', '안전속도 70Km' 등의 각종 정보를 문구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덮개(37)는 조명등(36)에서 점등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쌍의 탄성고정부(38)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정부(38)는 복원력에 의해 상부빔(31)의 내측벽에 완전밀착되어 덮개(37)가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부(38)의 사이에는 하프미러(39)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프미러(39)는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거울의 역할을 하지만 미러(35)에 돌출설치된 조명등(36)이 점등되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등(36)의 빛은 미러(35)와 하프미러(39) 사이에서 상호 연속적으로 반사되어 입체적으로 스펙트럼화되어 안내문구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펙트럼화되어 표시되는 안내문구는 시인성이 증대되어 터널내부의 상황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터널 입구에 설치되는 조명 안내장치가 구유하고 있는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형상을 탈피하고, 보는 이들에게 신선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적용된 제 1알림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적용된 제 2알림부재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에 적용된 회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의 작동원리는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 : 제어부 10 : 지지부
20 : 제 1알림부재 21 : 하부빔
22,32 : 보강돌기 23 : 투과홀
24 : 아크릴 마개 25, 36 : 조명등
30 : 제 2알림부재 31 : 상부빔
33 : 제 1실린더 33a,34a : 피스톤
34 : 제 2실린더 35 : 미러
37 : 덮개 38 : 탄성고정부
39 : 하프미러

Claims (4)

  1. 터널입구에 설치되어 터널내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주행차량이나 보행자들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터널입구의 양측 하단에 매설되며 중앙이 절곡된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에 결합되는 하부빔(21)과, 상기 하부빔(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에 의해 복수개의 색상이 점등되어 터널의 입구, 폭,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알리는 다수개의 조명등(25)으로 이루어지는 제 1알림부재(20)와;
    상기 하부빔(21)에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부빔(31)과, 상기 상부빔(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회동수단에 의해 소정각도 회동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에 의해 점등되어 터널내부의 사고사실을 문구로 알리는 다수개의 조명등(36)이 돌출설치된 미러(35)와, 내측에 상기 상부빔(31)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탄성고정부(38)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38)의 사이에 하프미러(39)가 설치된 투명 재질의 덮개(37)로 이루어지는 제 2알림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빔(21) 및 상부빔(31)의 내부 양측벽에는 상호 대향되는 반원형 형상의 보강돌기(22,3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상부빔(3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미러(35)의 상측과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미러(35)의 상측을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 시키는 제 1실린더(33)와, 상기 하프미러(39)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미러(35)의 하측과 결합되어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미러(35)의 하측을 뒤로 이동시키거나 원위치 시키는 제 2실린더(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빔(21)은 정면에 상기 조명등(25)에서 점등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홀(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아크릴 마개(24)가 더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KR1020090070951A 2009-07-31 2009-07-31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KR10093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51A KR100934018B1 (ko) 2009-07-31 2009-07-31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51A KR100934018B1 (ko) 2009-07-31 2009-07-31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018B1 true KR100934018B1 (ko) 2009-12-28

Family

ID=4168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51A KR100934018B1 (ko) 2009-07-31 2009-07-31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731B1 (ko) * 2017-12-28 2019-12-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 조명 모듈 제어 시스템
KR102302251B1 (ko) * 2021-03-25 2021-09-14 김경식 터널 입구 표시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600A (ja) 2001-01-31 2002-08-1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トンネル設備体およびトンネル設備
KR100691742B1 (ko) 2005-02-01 2007-03-12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1389A (ko) * 2006-12-06 2007-06-13 안승범 진동교통신호기
KR20080094294A (ko) * 2007-04-19 2008-10-23 유근무 터널 입구부의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600A (ja) 2001-01-31 2002-08-1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トンネル設備体およびトンネル設備
KR100691742B1 (ko) 2005-02-01 2007-03-12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1389A (ko) * 2006-12-06 2007-06-13 안승범 진동교통신호기
KR20080094294A (ko) * 2007-04-19 2008-10-23 유근무 터널 입구부의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731B1 (ko) * 2017-12-28 2019-12-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 조명 모듈 제어 시스템
KR102302251B1 (ko) * 2021-03-25 2021-09-14 김경식 터널 입구 표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2980A (en) Directional warning system
KR100847153B1 (ko) 도로 등 토목용터널 진입차단장치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100934018B1 (ko) 터널 입구의 안전운전을 위한 조명장치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1168132B1 (ko)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102106380B1 (ko) 다기능 교통 표지판
KR102170319B1 (ko) 가로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도로조명 제어 시스템
KR102269615B1 (ko) 교통 신호 스크린 장치와 이를 포함한 교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제어 방법
KR102338236B1 (ko) 도로 중앙분리대 지주용 경고등
KR20150123027A (ko) 과속방지턱의 자동 청소되는 발광장치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KR101228191B1 (ko)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KR20180092346A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기기
JP3185192U (ja) 横断表示装置
CN208580504U (zh) 交通信号光源
RU11642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170115887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710561B1 (ko) 터널용 입체형 이정표
KR100835849B1 (ko) 자동차 과속방지 시스템
KR20040110782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KR102570718B1 (ko)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JP2003043957A (ja) Ledを用いた標識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