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718B1 -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 Google Patents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718B1
KR102570718B1 KR1020230022604A KR20230022604A KR102570718B1 KR 102570718 B1 KR102570718 B1 KR 102570718B1 KR 1020230022604 A KR1020230022604 A KR 1020230022604A KR 20230022604 A KR20230022604 A KR 20230022604A KR 102570718 B1 KR102570718 B1 KR 10257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board
guide
fixing
board body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Priority to KR102023002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1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 F16B5/022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pl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차량용 사인보드에 관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사인보드본체(111)에 다수의 표시램프(112)와 문구안내부(116)가 형성된 사인보드부재(110);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인보드부재(1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150);를 마련하여 사인보드본체의 상면과 이격된 상면판을 고소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의 프레임에 끼워 설치할 수 있고, 상면판의 볼트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사인보드본체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인보드본체의 배면에 설치된 고정후크를 이용하여 고소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의 프레임에 안정되게 걸어 사인보드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고소차량용 사인보드{Sign board for aerial vehicles}
본 발명은 고소차량용 사인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차량의 상단에 고리를 이용하여 사인보드를 걸어 설치하거나 볼트로 체결하여 사인보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차량용 사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사가 진행되거나 또는 그 부대 시설물을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를 위하여 공사 등이 진행될 경우에는 공사장 전방 약 500 내지 1000m 전방에 고정식 차량안내 사인보드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행을 안내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교통안내 사인보드는 프레임에 화살표를 적색등으로 그려서 공사장의 전방에 설치하거나 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화살표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프레임에 전구 또는 발광체 등을 설치하고, 이들 전구 또는 발광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구를 점멸시키거나 또는 발광체가 발광되게 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행방향을 인식시켜서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교통안내 사인보드는, 국도 및 그 부대 시설물을 유지 보수하거나, 또는 안전관리를 위한 공사가 종료하였을 경우에 많은 작업인원을 동원하여 고정식 교통안내 사인보드를 이동시켜야 하였고, 특히 대형의 고정식 교통안내 사인보드의 경우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서 차량에 적재한 후 다른 공사장 또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야 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고정식 교통안내 사인보드는, 이동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차량 적재식 교통안내 사인보드가 제안된 바 있다. 차량 적재식 사인보드는, 사인보드를 사고 발생지나 공사지역으로 신속하게 이송하여 사용하므로, 종래의 문제점들은 다수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 적재식 사인보드는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용 효율에 상당히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즉, 교통안내 사인보드의 사용을 위해서는 항상 차량과 함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에 따라 차량에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용 사인보드(Sign board)는 도로의 작업 차량 등의 뒤쪽에 장착되어 후방의 차량이 작업장소를 우회하여 통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사인보드는 좌측 화살표 표시등, 우측 화살표 표시등, 좌우측 화살표 표시등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사인보드를 탑재한 작업차량이 도로의 가장 바깥측 차선에 있는 경우 후방의 차량이 좌측으로 우회하도록 좌측 화살표 표시등을 발광 표시한다.
차량용 사인보드를 탑재한 작업차량이 도로의 가장 안측 차선에 있는 경우 후방의 차량이 우측으로 우회하도록 우측 화살표 표시등을 발광 표시하고, 차량용 사인보드를 탑재한 작업차량이 도로의 가운데 차선에 있는 경우 후방의 차량이 좌측 및 우측으로 우회하도록 좌우측 화살표 표시등을 발광 표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사인보드는 차량의 후방 등에 제한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차량 또는 고소작업대 등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사인보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는 빛을 방출하는 다수 개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면에 제1이미지가 인쇄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방출하는 투광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2이미지가 인쇄되어 상기 발광부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투광부로 상기 제2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미지가 인쇄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투광부가 형성된 제1인쇄부와, 상기 제1인쇄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반투명부와, 상기 반투명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이미지가 인쇄되는 제2인쇄부와, 상기 제2인쇄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확산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관통되는 공간에 상기 발광부가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유도하는 광유도부와, 상기 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 회로가 인쇄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을 흡수하는 불투명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사인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사인보드는 사인(Sign)이 형성되는 사인보드 몸체와, 'ㄷ '자로 형성되어, 차량의 후미에 걸치도록 형성하여 상기 사인보드 몸체를 차량에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체결하는 사인보드 체결부 및 상기 사인보드 체결부가 상기 차량의 후미에 고정 또는 탈락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조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인보드 체결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량 조임쇠를 포함한다.
상기 사인보드 체결부는 상기 차량의 후미에 걸침으로써 상기 차량의 후미에 1차 고정되고, 상기 차량 조임쇠의 상하 이동으로 상기 차량의 후미에 2차 고정되며, 상기 차량 조임쇠의 조임으로 상기 차량의 후미에 3차 고정되도록 하여 전후 고정되며, 상기 사인보드 체결부는 상기 사인보드 몸체의 좌측에 형성되는 사인보드 좌체결부 및 상기 사인보드 몸체의 우측에 형성되는 사인보드 우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인보드 체결부는 상기 사인보드 좌체결부의 좌측이동과 상기 사인보드 우체결부의 우측이동을 통해서 상기 차량의 후미에 좌우 고정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2573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64689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1060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크를 이용하여 고소작업대 또는 차량의 프레임 등에 자유롭게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는 일정 크기를 갖는 사인보드본체(111)에 다수의 표시램프(112)와 문구안내부(116)가 형성된 사인보드부재(110);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인보드부재(1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사인보드본체(111);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램프(112); 상기 표시램프(112)의 하부에 안내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문구안내부(116);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램프(112)는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대각선램프(113)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114)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램프(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사인보드본체(111);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램프(112); 상기 표시램프(112)의 하부에 안내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문구안내부(116);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부걸쇠유닛(1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걸쇠유닛(120)은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판(121)과, 상기 배면판(121)으로부터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상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면판(122)과, 상기 상면판(112)을 원하는 위치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면판(122)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구멍(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는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부레일유닛(131); 상기 상부레일유닛(131)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하부레일유닛(132);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유닛(131, 13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33);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유닛(131, 132)에 형성되는 안내홈부(134);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부(134)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부(135);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부(134)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구(136);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볼트(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의 레일유닛(131, 132)에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구(151); 상기 안내구(151)에 설치되는 고정걸쇠(153); 상기 고정걸쇠(153)에 의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후크(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의 레일유닛(131, 132)에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구(151); 고정걸쇠(153)를 안내구(151)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안내구(151)에 형성되는 제1 볼트구멍(152); 상기 안내구(151)에 설치되는 고정걸쇠(153); 고정후크(158)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기 고정걸쇠(153)에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홈부(154); 상기 안착홈부(154)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5); 상기 고정걸쇠(153)를 상기 안내구(151)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고정플레이트(155)에 형성되는 제2 볼트구멍(156); 상기 제1 볼트구멍(152)과 상기 제2 볼트구멍(156)에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157); 상기 고정걸쇠(153)에 의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후크(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에 의하면, 사인보드본체의 상면과 이격된 상면판을 고소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의 프레임에 끼워 설치할 수 있고, 상면판의 볼트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사인보드본체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인보드본체의 배면에 설치된 고정후크를 이용하여 고소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의 프레임에 안정되게 걸어 사인보드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는 일정 크기를 갖는 사인보드본체(111)에 다수의 표시램프(112)와 문구안내부(116)가 형성된 사인보드부재(110)와,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인보드부재(1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와,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사인보드본체(111)와,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램프(112)와, 상기 표시램프(112)의 하부에 안내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문구안내부(116)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램프(112)는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대각선램프(113)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114)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램프(115)를 포함한다.
상기 사인보드본체(111)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표시램프(112)가 설치된다.
이러한 표시램프(112)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대각선램프(113)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114)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램프(115)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하부에는 작업중인 상태 및 위험을 알리는 안내문구가 인쇄된 문구안내부(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사인보드본체(111)와,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램프(112)와, 상기 표시램프(112)의 하부에 안내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문구안내부(116)와,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부걸쇠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걸쇠유닛(120)은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판(121)과, 상기 배면판(121)으로부터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상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면판(122)과, 상기 상면판(112)을 원하는 위치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면판(122)에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구멍(12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걸쇠유닛(120)은 차량 또는 고소작업대의 프레임(미도시) 등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걸쇠유닛(120)의 배면판(121)은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배면판(121)의 상단에는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는 상면판(12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122)에는 볼트 등을 관통시킬 수 있게 다수의 볼트구멍(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트구멍(123)은 볼트(미도시)를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는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부레일유닛(131)과, 상기 상부레일유닛(131)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하부레일유닛(132)과,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유닛(131, 13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33)와,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유닛(131, 132)에 형성되는 안내홈부(134)와,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부(134)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부(135)와,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부(134)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구(136)와,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볼트(137)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는 후크부재(150)를 원하는 위치로 가변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는 배면판(1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레일유닛(131)과, 상기 상부레일유닛(13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레일유닛(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유닛(131, 132)에는 배면판(121)에 고정될 수 있게 고정플레이트(133)가 일체로 형성되고,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가 끼워질 수 있게 안내홈부(13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홈부(134)의 상부에는 안내구(1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이탈방지부(1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부(134)의 하부에는 하부이탈방지구(136)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배면판(12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볼트(137)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의 레일유닛(131, 132)에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구(151)와, 상기 안내구(151)에 설치되는 고정걸쇠(153)와, 상기 고정걸쇠(153)에 의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후크(158)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재(150)는 차량 또는 고소작업대(미도시)의 프레임 등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구(151)는 레일유닛(131, 132)의 안내홈부(134)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구(151)에는 제2 고정볼트(157)가 체결될 수 있게 제1 볼트구멍(152)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의 레일유닛(131, 132)에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구(151)와, 고정걸쇠(153)를 안내구(151)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안내구(151)에 형성되는 제1 볼트구멍(152)과, 상기 안내구(151)에 설치되는 고정걸쇠(153)와, 고정후크(158)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게 상기 고정걸쇠(153)에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홈부(154)와, 상기 안착홈부(154)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5)와, 상기 고정걸쇠(153)를 상기 안내구(151)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고정플레이트(155)에 형성되는 제2 볼트구멍(156)과, 상기 제1 볼트구멍(152)과 상기 제2 볼트구멍(156)에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157)와, 상기 고정걸쇠(153)에 의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후크(15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걸쇠(153)에는 고정후크(158)를 감쌀 수 있게 'U'자 형상의 안착홈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154)의 양측에는 고정플레이트(15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55)에는 제1 볼트구멍(152)에 대응되는 제2 볼트구멍(15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구멍(152)과 제2 볼트구멍(156)에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157)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구(151)와 고정걸쇠(153)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후크(15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후크(158)는 전체적인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소차량용 사인보드는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대각선램프(113), 수평램프(114)와 수직램프(115)를 설치하며,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하부에는 "작업반경 내 접근금지" 등의 안내문구가 인쇄되는 문구안내부(116)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는 배면판(121)과 상면판(122)을 고정하며, 상기 상면판(122)은 사인보드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한다.
이는 사인보드본체(111)와 상면판(12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고소차량 또는 고소작업대(미도시)의 프레임(미도시)에 끼워 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면판(122)의 볼트구멍(123)에는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사인보드부재(110)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면판(121)에는 상하레일유닛(131, 132)을 제1 고정볼트(137)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상하레일유닛(131, 132)은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한다.
상기 상하레일유닛(131, 132)의 안내홈부(134)에는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안내구(151)의 외면에는 고정걸쇠(153)를 맞댄 상태에서 제1 볼트구멍(152)과 제2 볼트구멍(156)에 제2 고정볼트(157)를 체결한다.
상기 안착홈부(154)의 내면에는 고정후크(158)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고정후크(158)는 제2 고정볼트(157)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후크(158)는 전체적인 형상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후크(158)는 고소차량 또는 고소작업대(미도시)의 프레임에 걸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사인보드부재 111: 사인보드본체
112: 표시램프 113: 대각선램프
114: 수평램프 115: 수직램프
116: 문구안내부 120: 상부걸쇠유닛
121: 배면판 122: 상면판
123: 볼트구멍
130: 가이드레일부재 131: 상부레일유닛
132: 하부레일유닛 133: 고정플레이트
134: 안내홈부 135: 상부이틸방지부
136: 하부이탈방지부 137: 제1 고정볼트
150: 후크부재 151: 안내구
152: 제1 볼트구멍 153: 고정걸쇠
154: 안착홈부 155: 고정플레이트
156: 제2 볼트구멍 157: 제2 고정볼트
158: 고정후크

Claims (6)

  1. 일정 크기를 갖는 사인보드본체(111)에 다수의 표시램프(112)와 문구안내부(116)가 형성된 사인보드부재(110);
    상기 사인보드부재(110)의 배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후크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사인보드부재(11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사인보드본체(111);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램프(112);
    상기 표시램프(112)의 하부에 안내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문구안내부(116); 및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부걸쇠유닛(1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걸쇠유닛(120)은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면판(121)과, 상기 배면판(121)으로부터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면판(122)과, 상기 상면판(122)을 상측의 원하는 위치에 걸어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면판(122)에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볼트구멍(123);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의 레일유닛(131, 132)의 안내홈부(1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안내구(151),
    상기 안내구(151)에 체결되는 고정걸쇠(153) 및
    상기 고정걸쇠(153)에 의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후크(158)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구(151)에는 한 쌍의 제1 볼트구멍(152)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고정걸쇠(153)에는 상기 고정후크(158)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게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홈부(154), 상기 안착홈부(154)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5), 상기 고정걸쇠(153)를 상기 안내구(151)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고정플레이트(155)에 형성되는 제2 볼트구멍(156) 및 상기 제1 볼트구멍(152)과 상기 제2 볼트구멍(156)에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램프(112)는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전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대각선램프(113)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램프(114)와, 상기 대각선램프(113)의 일단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램프(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130)는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상부레일유닛(131);
    상기 상부레일유닛(131)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설치되는 하부레일유닛(132);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유닛(131, 13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33);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유닛(131, 132)에 형성되는 안내홈부(134);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부(134)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부(135);
    상기 후크부재(150)의 안내구(151)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부(134)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구(136);
    상기 레일유닛(131, 132)을 상기 사인보드본체(11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볼트(1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22604A 2023-02-21 2023-02-21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KR10257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604A KR102570718B1 (ko) 2023-02-21 2023-02-21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604A KR102570718B1 (ko) 2023-02-21 2023-02-21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718B1 true KR102570718B1 (ko) 2023-08-28

Family

ID=8780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604A KR102570718B1 (ko) 2023-02-21 2023-02-21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7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818Y1 (ko) * 2000-08-17 2001-01-15 주식회사우정종합건축사무소 공사장용 안전간판
KR20110125731A (ko) 2010-05-14 2011-11-22 (주)한국킹유전자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
KR101166061B1 (ko) * 2012-01-31 2012-07-19 애드컴 주식회사 하측사선전광용 친환경 광고채널프레임모듈
KR20180064689A (ko) 2016-12-06 2018-06-15 (주)예스안전 사인보드
KR102106088B1 (ko) 2019-09-03 2020-04-29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차량용 사인보드 발광 제어 장치
KR102133565B1 (ko) * 2019-12-16 2020-07-21 박동석 차량 탑재용 이동식 사인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818Y1 (ko) * 2000-08-17 2001-01-15 주식회사우정종합건축사무소 공사장용 안전간판
KR20110125731A (ko) 2010-05-14 2011-11-22 (주)한국킹유전자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
KR101166061B1 (ko) * 2012-01-31 2012-07-19 애드컴 주식회사 하측사선전광용 친환경 광고채널프레임모듈
KR20180064689A (ko) 2016-12-06 2018-06-15 (주)예스안전 사인보드
KR102106088B1 (ko) 2019-09-03 2020-04-29 주식회사 정우세이프티 차량용 사인보드 발광 제어 장치
KR102133565B1 (ko) * 2019-12-16 2020-07-21 박동석 차량 탑재용 이동식 사인보드 및 이를 구비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458B1 (ko) 보수 편이성의 증대 및 전력소비 저감형 조명 표지판
KR101384622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829390B1 (ko) 차량용 led 안전삼각대
KR101314937B1 (ko)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101775496B1 (ko) 차량용 롤 타입 플렉시블 엘이디 비상표시등
KR101596731B1 (ko)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102570718B1 (ko) 고소차량용 사인보드
KR100995337B1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US20130051055A1 (en) Hazard Beacon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101710561B1 (ko) 터널용 입체형 이정표
KR200359671Y1 (ko) 안전표지판
JPH1120699A (ja) 踏切表示装置
KR20200059486A (ko) 순차적 점멸이 가능한 led가 구비된 도로용 갈매기 유도등
KR20022255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교통표지판
KR102651234B1 (ko) 운전자 과속 및 신호위반 예방을 위한 신호 알림 시스템
KR20100134172A (ko) 도로용 안전경고 표시구
KR200181692Y1 (ko) 도로표지병
CN217822004U (zh) 一种新式自主发光待行区提示屏
KR102178511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지 장치
KR20090102273A (ko) 이동식 교통안전 표지물
KR101600414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KR101583020B1 (ko) 차량용 비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