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836B1 -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836B1
KR100933836B1 KR1020070118590A KR20070118590A KR100933836B1 KR 100933836 B1 KR100933836 B1 KR 100933836B1 KR 1020070118590 A KR1020070118590 A KR 1020070118590A KR 20070118590 A KR20070118590 A KR 20070118590A KR 100933836 B1 KR100933836 B1 KR 100933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contact hole
layer
insulating layer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066A (ko
Inventor
이정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1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836B1/ko
Priority to US12/163,735 priority patent/US8237284B2/en
Publication of KR2009005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by forming tapered via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in via holes or trenches, e.g. non-conductive sidewall l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01L21/76847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the layer being positioned within the main fill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에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을 포함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층이 상기 콘택홀의 하부에 잔류하도록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하되, 상기 절연층도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 상부의 폭을 넓히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의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콘택홀의 상부를 보다 넓게 형성하여 콘택홀을 도전 물질로 채우는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콘택홀, 도전층, 콘택 플러그, 플래시 메모리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Contact plug in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택홀을 도전 물질로 매립할 때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중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중의 하나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램(program)과 소거(erase)가 가능하며 일정 주기로 데이터(data)를 재작성하는 리프레쉬(refresh) 기능이 필요 없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셀의 구조 및 동작 조건에 의해서 크게 NOR 플래시 메모리와 NAND 플래시 메모리로 나뉜다. NOR 플래시 메모리는 복수의 워드 라인(word line)이 병렬로 연결되어 임의의 주소에 대한 프로그램 및 소거가 가능하여 고속의 동작을 요구하는 응용분야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NAND 플래시 메모리는 복수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emory cell transistor)가 직렬로 연결되어 한 개의 스트링(string)을 구성하고, 한 개의 스트링이 소스(source)와 드레인(drain)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 로서 고집적 데이터 보관 응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과 금속 배선 사이를 연결하는 소스/드레인 콘택 플러그는, 주로 반도체 기판과 금속 배선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한 뒤 절연층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콘택홀을 도전 물질로 갭필하여 소스/드레인 콘택 플러그를 형성한다. 그런데, 메모리가 점차 고집적화되고 초소형화됨에 따라 콘택홀의 폭이 점차 좁아지고, 이에 따라 콘택홀을 형성할 때 보잉이 발생되거나 콘택홀을 도전 물질로 매립하는 공정 중에 오버행 프로파일이 발생되어 콘택 플러그 내부에 심(seam)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오버행 프로파일은 콘택홀에 금속 장벽층을 증착할 때 발생될 수 있으며, 금속 장벽층의 오버행 프로파일로 콘택홀 상부가 좁아져서 후속하는 공정에서 금속 장벽층을 콘택홀 내부에 형성할 때 콘택 플러그 내부에 심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심은 후속하는 식각 또는 연마 공정을 통해 더욱 크게 형성되어 콘택 플러그가 단선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절연층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운 도전 물질층을 식각하는 공정시 절연층도 함께 식각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의 상부를 보다 넓게 형성하여 콘택홀을 도전 물질로 채우는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에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을 포함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층이 상기 콘택홀의 하부에 잔류하도록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하되, 상기 절연층도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 상부의 폭을 넓히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의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
상기 절연층은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는 공정은 폴리 실리콘의 식각 선택비와 산화막의 식각 선택비가 3:1 ∼ 6:1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는 공정은 Cl2가스, HBr 가스 및 O2 를 혼합한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한 뒤 노출된 상기 콘택홀 상부의 측벽에 식각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보호막은 PE질화 막 또는 LP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한 뒤 노출된 상기 콘택홀 상부의 측벽에 금속 장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장벽층은 Ti/TiN의 적층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정지막은 LP 질화막 또는 PE 질화막으로 형성하라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 또는 PETEOS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콘택홀을 형성할 때 CxFy 가스, Ar 가스 및 O2 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층 상에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접합 영역이 노출되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는,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형성되며, 하부폭보다 상부폭이 넓게 형성된 콘택홀과, 상기 콘택홀 하부에 형성되는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제2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과 상기 콘택홀 사이에 형성된 식각 보호막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과 상기 콘택홀 사이에 형성된 금속 장벽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연층에 형성된 콘택홀을 채운 도전 물질층을 식각하는 공정시 절연층도 함께 식각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의 상부를 보다 넓게 형성하여 콘택홀을 도전 물질로 채우는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보이드나 심이 발생되지 않는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k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통상의 공정을 통해 트랜지스터나 플래시 메모리 셀(도시하지 않음),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과 같은 접합 영역(103) 등 여러 요소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2) 상에 버퍼막(104)을 형성한다. 버퍼막(104)은 후속하는 콘택홀 식각 공정에서 반도체 기판(10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하 며,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버퍼막(104) 상에는 식각 정지막(106)을 형성한다. 식각 정지막(106)은 후속하는 콘택홀 식각 공정에서 에치 스탑퍼(etch stopper)로써 역할을 한다. 식각 정지막(106)은 저압 화학 기상 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방법으로 형성된 LP질화막이나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방법으로 형성된 PE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200∼6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06) 상에는 절연층(108)을 형성한다. 절연층(108)은 5000∼10000Å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108)은 산화막, 예를 들면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asma; HDP) 산화막이나 PETEOS(Plasma Enhanced Tetreathylorthosilicate)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절연층(108) 상에 후속하는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하드 마스크(110)를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110)는 아몰퍼스 카본(amorphous carbo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아몰퍼스 카본은 250∼600℃의 온도에서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방법을 이용하여 1000∼3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마스크(110) 상에는 후속하는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고 다시 형성하는 리워크(rework) 공정이 실시될 경우 하드 마스크(110)를 보호하는 보호막(112)이 형성된다. 보호막(112)은 300∼600Å의 두께를 갖는 SiON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112) 상에는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한 뒤 노광 및 현상 공정등을 실시하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photo resist pattern; 114)을 형성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114)은 콘택 플러그가 형성되는 영역이 오픈 되도록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 패턴(114; 도 1b 참조)을 이용하는 식각 공정으로 보호막(112; 도 1b 참조), 하드 마스크(110), 절연층(108), 식각 정지막(106) 및 버퍼막(104)을 식각하여 콘택홀(A)을 형성한다. 이로써 콘택홀(A)의 하부에는 반도체 기판(102)의 일부, 예를 들면 접합 영역(103)이 노출된다. 이때 콘택홀(A)을 형성하는 식각 공정은 CxFy 계열 가스, 불활성 가스 및 O2를 혼합한 혼합 가스로 실시할 수 있다. CxFy 계열 가스는 C4F6 가스, C4F8 가스, C3F8 가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활성 가스는 Ar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택홀(A)을 형성하는 식각 공정 중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114; 도 1b 참조)과 보호막(112; 도 1b 참조)은 동시에 식각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포토 레지스트 패턴(114; 도 1b 참조)과 보호막(112; 도 1b 참조)이 잔류하게 되면 이들을 제거하는 공정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110; 도 1c참조)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도체 기판(102)에 대해 애싱(ashing) 공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세정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02) 상에 형성된 불순물을 제거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콘택홀(A; 도 1d 참조)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2) 상에 제1 도전층(116)을 형성한다. 제1 도전층(116)은 콘택홀을 채워서 형성하는 콘택 플러그의 일부로써 형성되며,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폴리 실리콘은 450∼600℃의 온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전층(116)은 콘택 홀(A)을 채울 수 있는 두께, 예를 들면 절연층(108) 상에 1000∼20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f를 참조하면, 제1 도전층(116)에 대해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A)의 하부에만 제1 도전층(116; 도 1e 참조)이 잔류하여 제1 콘택 플러그(116a)를 형성한다. 이때 제1 도전층(116; 도 1e 참조)은 1500∼3000Å의 두께가 식각되어 콘택홀(A)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층(116; 도 1e 참조)에 대한 식각 공정중에 절연층(108)의 상부도 함께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콘택홀(A) 상부의 절연층(108)은 콘택홀(A) 하부의 절연층(108)에 비해 식각 공정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절연층(108)이 더욱 많이 제거된다. 따라서, 콘택홀(A)의 상부로 갈수록 콘택홀(A)의 개구부가 더욱 넓어진다. 이러한 식각 공정은 Cl2가스, HBr 가스 및 O2 를 혼합한 가스를 사용하여 폴리 실리콘의 식각 선택비와 산화막의 식각 선택비가 3:1 ∼ 6:1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g를 참조하면, 콘택홀(A)을 포함하는 절연층(108) 및 제1 콘택 플러그(116a) 상에 식각 보호막(118)을 형성한다. 식각 보호막(118)은 후속하는 세정 공정시 콘택홀(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식각 보호막(118)은 저압 화학 기상 증착 방법으로 형성된 LP질화막이나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방법으로 형성된 PE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식각 보호막(118)은 콘택홀(A)로 형성된 단차가 유지될 수 있는 두께, 예를 들면 30∼120Å 두께로 형성한다.
도 1h를 참조하면, 식각 보호막(118)에 대해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식각 보 호막(118)이 노출된 콘택홀(A)의 측벽에만 잔류하도록 한다. 이때 식각 보호막(118)이 잔류하는 두께는 20∼50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식각 보호막(118)에 대한 식각 공정은 CFx 계열 가스, CHxFy 계열 가스, 불활성 가스 및 O2를 혼합한 혼합 가스로 실시할 수 있다. CFx 계열 가스는 CF4 가스를 포함할 수 있고, CHxFy 계열 가스가스는 CHF3 가스 또는 CH2F2 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활성 가스는 Ar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세정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02)상에 형성된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식각 보호막(118)으로 인하여 노출된 콘택홀(A)이 보호될 수 있다.
도 1i를 참조하면, 콘택홀(A)을 포함하는 절연층(108) 상에 금속 장벽층(barrier metal layer; 120)을 형성한다. 금속 장벽층(120)은 콘택홀(A)에 의하여 형성된 단차를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장벽층(120)은 금속 장벽층(120)상에 형성되는 금속층이 하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금속 장벽층(120)은 티탄/질화티탄(Ti/TiN)의 적층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노출된 콘택홀(A)의 상부가 하부보다 넓기 때문에, 금속 장벽층(120)을 형성할 때 콘택홀(A) 상부에 오버행 프로파일(overhang profile)이 발생되지 않고 용이하게 금속 장벽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j를 참조하면, 콘택홀(A)을 포함하는 금속 장벽층(120) 상에 제2 도전층(122)을 형성한다. 제2 도전층(122)은 텅스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술한 공정을 통해 콘택홀(A) 상부의 폭이 넓어졌기 때문에, 금속 장벽층(120)이 오버행 프로파일 발생 없이 증착되어 제2 도전층(122) 또한 콘택홀(A)을 채울 때 보이드나 심이 발생되지 않고 용이하게 콘택홀(A)을 채울 수 있다.
도 1k를 참조하면, 제2 도전층(122; 도 1j 참조)에 대해 화학 물리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방법과 같은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층(108) 상에 형성된 제2 도전층(122; 도 1j를 참조)과 금속 장벽층(120)을 제거한다. 이로써, 제1 콘택 플러그(116a)과 제2 콘택 플러그(122a)를 포함하는 콘택 플러그의 형성이 완료된다.
도 1a 내지 도 1k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 : 반도체 기판 103 : 접합 영역
104 : 버퍼막 106 : 식각 정지막
108 : 절연층 110 : 하드 마스크
112 : 보호막 114 : 포토 레지스트 패턴
116 : 제1 도전층 118 : 식각 보호막
120 : 금속 장벽층 122 : 제2 도전층

Claims (17)

  1. 반도체 기판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에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포함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층이 상기 콘택홀의 하부에 잔류하도록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하되, 상기 콘택홀 상부의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도전층 상부의 상기 콘택홀은 개구부가 넓은 역사다리꼴 모양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의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제2 도전층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폴리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는 공정은 폴리 실리콘의 식각 선택비와 산화막의 식각 선택비가 3:1 ∼ 6:1인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는 공정은 Cl2가스, HBr 가스 및 O2 를 혼합한 가스를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한 뒤 노출된 상기 콘택홀 상부의 측벽에 식각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보호막은 PE질화막 또는 LP질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을 식각한 뒤 노출된 상기 콘택홀 상부의 측벽에 금속 장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장벽층은 Ti/TiN의 적층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정지막은 LP 질화막 또는 PE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 또는 PETEOS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할 때 CxFy 가스, Ar 가스 및 O2 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층 상에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보호막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접합 영역이 노출되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118590A 2007-11-20 2007-11-20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0933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90A KR100933836B1 (ko) 2007-11-20 2007-11-20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US12/163,735 US8237284B2 (en) 2007-11-20 2008-06-27 Contact plug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90A KR100933836B1 (ko) 2007-11-20 2007-11-20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66A KR20090052066A (ko) 2009-05-25
KR100933836B1 true KR100933836B1 (ko) 2009-12-24

Family

ID=4064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90A KR100933836B1 (ko) 2007-11-20 2007-11-20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37284B2 (ko)
KR (1) KR100933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535B1 (en) * 2016-11-29 2017-11-07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emiconducto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8874A (en) * 1993-09-02 1999-01-12 Nec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ep of forming plug in contact hole
KR20050029517A (ko) * 2003-09-23 2005-03-28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24950A1 (en) * 2004-08-02 2006-02-02 Suk-Hun Choi Methods of forming metal contact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phase-change memory devices using the same
US20070082482A1 (en) * 2005-10-12 2007-04-12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 of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8740B2 (en) * 1998-12-01 2008-05-27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Dual damascene structure for the wiring-line structures of multi-level interconnects in integrated circuit
JP2002319571A (ja) * 2001-04-20 2002-10-31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エッチング槽の前処理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537913B2 (en) * 2001-06-29 2003-03-25 Inte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aluminum capped copper interconnect pads
JP2003060031A (ja) * 2001-08-14 2003-02-28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1677B1 (ko) * 2005-12-29 2007-02-09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이중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8874A (en) * 1993-09-02 1999-01-12 Nec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ep of forming plug in contact hole
KR20050029517A (ko) * 2003-09-23 2005-03-28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24950A1 (en) * 2004-08-02 2006-02-02 Suk-Hun Choi Methods of forming metal contact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phase-change memory devices using the same
US20070082482A1 (en) * 2005-10-12 2007-04-12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 of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66A (ko) 2009-05-25
US8237284B2 (en) 2012-08-07
US20090127714A1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897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965031B1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65030B1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JP2005175420A (ja) Nandフラッシュ素子の製造方法
KR10040456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94186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33836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및 그의 형성 방법
JP2008258632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KR100875054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8000205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100642922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KR101038378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93231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779360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 방법
KR20070059324A (ko) Nand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7674711B2 (en)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device by forming a drain contact plug within a contact hole below and ILD interface
KR100932341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KR10100906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1256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2260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92385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KR20080084186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94847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43156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80098802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