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850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850B1
KR100923850B1 KR1020060134917A KR20060134917A KR100923850B1 KR 100923850 B1 KR100923850 B1 KR 100923850B1 KR 1020060134917 A KR1020060134917 A KR 1020060134917A KR 20060134917 A KR20060134917 A KR 20060134917A KR 100923850 B1 KR100923850 B1 KR 10092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eripheral circuit
layer
circuit reg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605A (ko
Inventor
서대영
원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3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8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3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01L21/28061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omprising a metal or metal silicide formed by deposition, e.g. sputter deposition, i.e. without a silicidation re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 중,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층, 블러킹 산화막 및 금속막을 제거함으로써,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의 단차를 감소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유전막 콘택홀 형성 공정을 생략하여,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패턴 불량을 감소시키고 공정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플래시, 단차, 유전막 콘택홀, TAT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1 : 버퍼 산화막
102 : 제1 폴리 실리콘막 103 : 터널 절연막
104 : 전하 저장층 105 : 블러킹 산화막
106 : 제1 금속막 107 : 제2 폴리 실리콘막
108 : 제2 금속막 109 : 하드 마스크막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 단계를 감소시켜 공정 비용 및 TAT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정기술 측면에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기술(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ies; NVSM)은 크게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 계열과 두 종류 이상의 유전막이 2중, 혹은 3중으로 적층된 MIS(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계열로 구분된다.
플로팅 게이트 계열은 전위 우물(Potential Well)을 이용하여 기억 특성을 구현하며, 현재 플래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가장 널리 응용되고 있는 ETOX(EPROM Tunnel Oxide) 구조가 대표적이다. 반면에, MIS 계열은 유전막 벌크, 유전막-유전막 계면 및 유전막-반도체 계면에 존재하는 트랩(trap)을 이용하여 기억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플래시 EEPROM으로 주로 응용되고 있는 MONOS/SONOS(Metal/Polysilicon Oxide Nitride Oxide Semiconductor) 구조가 대표적인 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 기판(10) 상에 버퍼 산화막(11), 제1 폴리 실리콘막(1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 후,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셀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폴리 실리콘막(12), 및 버퍼 산화막(11)을 제거한다. 이 후, 전체 구조 상에 터널 절연막(13), 전하 저장층(14), 블 러킹 산화막(15), 제1 금속막(16)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후, 주변 회로 영역에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17)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제1 금속막(16), 블러킹 산화막(15), 전하 저장층(14), 및 터널 절연막(13)을 식각하여 제1 폴리 실리콘막(12)이 노출되는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 후, 전체 구조 상에 제2 폴리 실리콘막(18)을 형성한다. 이때 콘택홀에 의하여 제1 폴리 실리콘막(12)과 제2 폴리 실리콘막(18)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하드 마스크막(20), 제2 금속막(19), 제2 폴리 실리콘막(18), 제1 금속막(16), 블러킹 산화막(15), 전하 저장층(14)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셀 영역에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 후, 도면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셀 영역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도포한 후,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주변 회로 영역의 노출된 터널 절연막(13), 제1 폴리 실리콘막(12)을 식각하여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콘택홀을 형성한 후, 전체 구조 상에 제2 폴리 실리콘막(18)을 형성하기 전에 세정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 저면에 노출된 제1 폴리 실리콘막(12)의 표면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세정 공정의 불량으로 인하여 후공정시 제2 폴리 실리콘막(18)과 제1 폴리 실리콘막(12)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시, 셀 영역에서 제거한 제1 폴리 실리콘막(12), 및 버퍼 산화막(11)의 높이에 의하여 발생한 단차(A)로 인하 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의 불량이 유발되고, 이로 인하여 식각 공정시 불량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셀 영역의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 후, 주변 회로 영역에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을 추가로 진행함으로써, 공정 비용 및 TAT 시간이 증가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 중,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층, 블러킹 산화막 및 금속막을 제거함으로써,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의 단차를 감소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유전막 콘택홀 형성 공정을 생략하여,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패턴 불량을 감소시키고 공정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은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으로 구분된 반도체 기판의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버퍼 산화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셀 영역에는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층, 블러킹 산화막, 및 제1 금속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셀 영역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제2 폴리 실리콘막, 제2 금속 막,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각각 셀 게이트 패턴과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기 제2 금속막,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셀 영역의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기 제2 금속막,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영역의 상기 제1 금속막, 상기 블러킹 산화막, 및 상기 전하 저장층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러킹 산화막은 Al2O3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금속막은 TiN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금속막은 텅스텐 실리사이드로 형성하며,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버퍼 산화막(101), 및 제1 폴리 실리콘막(10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 후,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셀 영역에 형성된 제1 폴리 실리콘막(102), 및 버퍼 산화막(101)을 제거한다.
이 후, 전체 구조 상에 터널 절연막(103), 전하 저장층(104), 블러킹 산화막(105), 제1 금속막(106)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블러킹 산화막(105)은 Al2O3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금속막(106)은 TiN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된 제1 금속막(106), 블러킹 산화막(105), 전하 저장층(104), 및 터널 절연막(103)을 제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금속막(106)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제2 폴리 실리콘막(107), 제2 금속막(108), 및 하드 마스크막(109)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제2 금속막(108)은 텅스텐 실리사이드(Wsix)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마스크막(109)은 전하 저장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제2 폴리 실리콘막(107)은 제1 폴리 실리콘막(102) 상에 형성되므로 추가적인 콘택홀 형성 공정이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영역에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주변 회로 영역에 트렌지스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함께 형성한다. 이때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은 주변 회로 영역에서 제거된 제1 금속막, 블러킹 산화막, 전하 저장층, 및 터널 절연막에 의해 종래 기술보다 단차가 감소함으로써, 노광 공정시 디포커스(Defocus) 현상을 방지하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제1 식각 공정으로 셀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109), 제2 금속막(108), 제2 폴리 실리콘막(107)을 식각하고, 주변 회로 영역의 하드 마스크막(109), 제2 금속막(108), 제2 폴리 실리콘막(107) 및 제1 폴리 실리콘막(102)을 식각하여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변 회로 영역에 식각 방지를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제2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셀 영역의 제1 금속막(106), 블러킹 산화막(105), 및 전하 저장층(104)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공정 중,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층, 블러킹 산화막 및 금속막을 제거함으로써,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의 단차를 감소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유전막 콘택홀 형성 공정을 생략하여,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패턴 불량을 감소시키고 공정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으로 구분되는 반도체 기판 상에 버퍼 산화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버퍼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터널 절연막, 전하 저장층, 블러킹 산화막 및 제1 금속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금속막, 상기 블러킹 산화막,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터널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제2 폴리 실리콘막, 제2 금속막,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각각 셀 게이트 패턴과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기 제2 금속막,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트랜지스터 패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셀 영역의 상기 하드 마스크막, 상기 제2 금속막,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셀 영역의 상기 제1 금속막, 상기 블러킹 산화막, 및 상기 전하 저장층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셀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킹 산화막은 Al2O3로 형성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막은 TiN으로 형성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막은 텅스텐 실리사이드로 형성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KR1020060134917A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92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917A KR100923850B1 (ko)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917A KR100923850B1 (ko)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605A KR20080060605A (ko) 2008-07-02
KR100923850B1 true KR100923850B1 (ko) 2009-10-27

Family

ID=3981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917A KR100923850B1 (ko) 2006-12-27 2006-12-27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8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397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2217319A (ja) 2001-01-22 2002-08-02 Ne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5689A (ko) * 2001-06-15 2002-12-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20050122905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397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2217319A (ja) 2001-01-22 2002-08-02 Nec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5689A (ko) * 2001-06-15 2002-12-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20050122905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605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6396B1 (en) Flash memo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60633B1 (ko)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1650621B1 (ko) 플래시 메모리 구조물 및 이의 형성 방법
JP2009094452A (ja) 非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48864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non-volatile memory
KR100875054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JP2008141153A (ja) 半導体メモリ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2385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JP4916177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ゲート形成方法
KR100932341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형성 방법
US7923770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0604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205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100620219B1 (ko)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049195B2 (en) Methods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100833440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스페이서 형성 방법
US722685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non-volatile memory
KR10060997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51917B1 (ko) Sonos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37672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89517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114525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KR100503368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00078610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3021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