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242B1 - 기판 지지용 서셉터 - Google Patents

기판 지지용 서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242B1
KR100932242B1 KR1020070112583A KR20070112583A KR100932242B1 KR 100932242 B1 KR100932242 B1 KR 100932242B1 KR 1020070112583 A KR1020070112583 A KR 1020070112583A KR 20070112583 A KR20070112583 A KR 20070112583A KR 100932242 B1 KR100932242 B1 KR 10093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mesh
fastening groov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435A (ko
Inventor
김형민
이윤구
정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11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2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5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coating or a hardness or a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VD, ALD 등에 사용되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판 지지용 서셉터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기판을 지지하는 블럭; 상기 블럭 내의 표면 쪽에 내장되며, RF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메쉬(mesh); 상기 블럭 내의 중간 부분에 내장되며, 상기 블럭을 가열하는 열선; 상기 블럭의 배면으로 부터 상기 메쉬까지 형성되는 RF 단자 체결홈; 상기 RF 단자 체결홈에 체결되며, 상기 메쉬와 접속되어 RF 바이어스를 상기 메쉬에 전달하는 RF 단자; 상기 블럭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열선까지 형성되는 히팅 파워 체결홈; 상기 히팅 파워 체결홈에 체결되며, 상기 열선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히팅 파워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RF 단자는, 상기 RF 단자 체결홈의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메쉬와 접촉하여 RF 를 공급하는 제1 단자;과 상기 제1 단자과 상기 RF 단자 체결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을 상기 메쉬 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제1 단자을 상기 블럭에 고정하는 제2 단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셉터, 기판, 열선, 단자, 세라믹

Description

기판 지지용 서셉터{SUSCEPTOR FOR SUPPORTING SUBSTRATE}
본 발명은 CVD, ALD 등에 사용되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셉터(susceptor) 구성을 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참조하면 서셉터는 크게 블럭(10), 메쉬(20), 열선(30), 로드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블럭(10)의 재질은 열선(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서셉터 표면에서 균일하게 분포 되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현재 반도체 장비에서 사용되는 재질은 저온공정(500℃ 이하)에서 알루미늄을 주로 사용하고, 고온공정(500℃ 이상)에서는 인코넬 또는 질화 알루미늄 계열의 세라믹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열선(3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 내의 중간 부분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블럭(10)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럭(10)의 크기 또는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여러 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매쉬(3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 내의 표면 쪽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RF 바이어스를 인가받는 구성요소이다. 이 매쉬(20)는 최적의 효율을 위하여 블럭(10) 내에서 최대한 표면 쪽에 가깝게 내장되는데, 실제로 매쉬와 블럭 표면 사이의 두께(d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mm 정도에 불과하다.
다음으로 로드부(40)는 상기 서셉터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매쉬(20) 및 열선(30)에 각각 전원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매쉬(20)에는 RF 전원을 인가하는 RF 전원 공급 단자(42)가 연결되며, 열선(30)에는 히터 파워를 인가하는 히터 전원 공급 단자(44)가 연결된다. 이렇게 전원을 인가하는 배선은 상기 로드부(40)의 내측에 배치되어 블럭(10)으로 인도된다. 그리고 이 로드부(40)가 서셉터 자체를 수직이동시킬 수도 있다.
RF 전원 공급 단자(42)나 히터 전원 공급 단자(44)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RF 전원 공급 단자(42)나 히터 전원 공급 단자(44)를 블럭(10)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에 삽입한 후,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여 단자(42, 44)가 블럭(10)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메쉬(20) 또는 열선(30)과 단자(42, 4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브레이징(brazing)을 실시한다.
그런데 브레이징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약 천도에 이르는 온도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때,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블럭(10)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자(42) 사이에 열팽창율이 달라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열팽창율이 큰 단자(42)가 블럭(10)보다 많이 팽창하는데, 나사 결합에 의하여 고정된 단자의 앞부분이 블럭(10) 표면 쪽으로 팽창하면서 블럭 중에서 메쉬(20) 앞의 얇은 부분이 깨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착과정에서 블럭을 파손시키지 않으며, 작업이 용이한 RF 단자를 가지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판 지지용 서셉터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기판을 지지하는 블럭; 상기 블럭 내의 표면 쪽에 내장되며, RF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메쉬(mesh); 상기 블럭 내의 중간 부분에 내장되며, 상기 블럭을 가열하는 열선; 상기 블럭의 배면으로 부터 상기 메쉬까지 형성되는 RF 단자 체결홈; 상기 RF 단자 체결홈에 체결되며, 상기 메쉬와 접속되어 RF 바이어스를 상기 메쉬에 전달하는 RF 단자; 상기 블럭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열선까지 형성되는 히팅 파워 체결홈; 상기 히팅 파워 체결홈에 체결되며, 상기 열선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히팅 파워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RF 단자는, 상기 RF 단자 체결홈의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메쉬와 접촉하여 RF 를 공급하는 제1 단자;과 상기 제1 단자과 상기 RF 단자 체결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을 상기 메쉬 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제1 단자을 상기 블럭에 고정하는 제2 단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단자는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걸림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메쉬 방향으로 미는 걸 림턱을 가지는 것이, 제1 단자를 메쉬와 안정적으로 연결하면서도 열 팽창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단자는 그 외주면에 제1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RF 단자 체결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면과 호응되는 제2 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제2 단자을 블럭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는 필러가 충진되어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합하는 것이,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RF 단자가 사용과정에서 블럭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럭은 질화 알루미늄(Al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 단자 중에서 블럭의 표면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서, 브레이징과정에서 RF 단자의 길이 변화가 최소화되어 블럭 표면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지지용 서셉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10), 메쉬(120), 열선(130), RF 단자 체결홈(112), RF 단자(140), 히팅 파워 체결홈(114), 히팅 파워 공급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블럭(110), 메쉬(120), 열선(130), RF 단자 체결홈(112), 히팅 파워 체결홈(114), 히팅 파워 공급부(150)는 전술한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RF 단자(140)를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RF 단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와 제2 단자 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자(142)는 상기 RF 단자 체결홈(112)의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메쉬(120)와 직접 접촉하여 RF 전원을 메쉬(120)에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이 제1 단자(142)는 서셉터 외부에 배치되는 RF 공급원(도면에 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단자(142)의 말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142a)를 가진다. 이 걸림부(142a)는 제1 단자(142)의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제2 단자(144)의 걸림턱(144a)과 접촉하여 제1 단자(142)의 말단이 메쉬(120)와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단자(144)는 상기 제1 단자(142)와 상기 RF 단자 체결홈(11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142)를 상기 메쉬(120) 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제1 단자(142)를 상기 블럭(11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이 제2 단자(144) 스스로가 블럭(110)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제1 단자(142)를 메쉬(120) 방향으로 밀면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이 제2 단자(142)에 의하여 제1 단자(144)가 메쉬(120)와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 단자(144)에는 제1 나사면(144b)과 걸림턱(144a)이 형성된다.
먼저 제1 나사면(144b)은 제2 단자(144)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RF 단자 체결홈(11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나사면과 대응된다. 즉, 제1 나사면이 암나사면이면, 제2 나사면이 숫나사면이고, 반대로 제1 나사면이 숫나사면이면, 제1 나사면이 암나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나사면(144b)과 제2 나사면이 결합되어 제2 단자(144)가 블럭(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걸림턱(144a)은, 전술한 걸림부(142a)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단자(142)의 말단을 상기 메쉬(120) 방향으로 미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2 단자(144)에는 제1 단자(142)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제1 단자 삽입홀(144c)이 형성되는데, 다른 부분은 제1 단자(14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걸림턱(144a) 부분은 제1 단자의 걸림부(144a)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단자(144)가 RF 단자 체결홈(112)을 따라 나사 결합하면서 전진 하면, 걸림턱(144a)에 제1 단자의 걸림부(142a)가 걸려서 메쉬(120) 방향으로 전진하게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단자(142)와 제2 단자(144) 사이에는 필러(160)가 충진되어 제1 단자(142)와 제2 단자(144)를 견고하게 접합한다. 제1 단자(142)는 매우 좁은 영역에서 메쉬(12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과정에서 조금이라도 제1 단자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제1 단자(142)가 메쉬(120)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142)와 제2 단자(144)를 견고하게 접합하여 제1 단자(142)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셉터에서는 블럭 표면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서셉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의 표면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부분의 길이(ℓ1)가 길다. 이는 RF 단자(42) 전체가 블럭(10)의 이면 방향으로 열팽창될 수 없도록 블럭(10)에 강하게 고정되어 있는 구조 때문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서셉터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의 표면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부분의 길이(ℓ2)가 짧다. 이는 제1 단자의 걸림부(142a) 이하 부분(후단부)이 블럭(110)에 강하게 고정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제1 단자 중 걸림부(142a) 이하 부분(후단부)은 블럭(110)의 이면 방향으로 열팽창되는 반면에, 걸림부(142a) 이상 부분(전단부)은 블럭(110)의 표면 방향으로 열팽창된다. 따라서 종래의 서셉터에 비해서 매우 짧은 부분이 블럭의 표면 방향으로 열팽창 된다. 결국, 매쉬(120) 앞부분의 매우 얇은 블럭 부분이 깨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RF 단자의 브레이징 공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판 지지용 서셉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판 지지용 서셉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지지용 서셉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6)

  1. 기판을 지지하는 블럭;
    상기 블럭 내에 내장되며, RF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메쉬(mesh);
    상기 블럭 내에 내장되며, 상기 블럭을 가열하는 열선;
    상기 블럭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메쉬까지 형성되는 RF 단자 체결홈;
    상기 RF 단자 체결홈에 체결되며, 상기 메쉬와 접속되어 RF 바이어스를 상기 메쉬에 전달하는 RF 단자;
    상기 블럭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열선까지 형성되는 히팅 파워 체결홈;
    상기 히팅 파워 체결홈에 체결되며, 상기 열선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히팅 파워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RF 단자는,
    상기 RF 단자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메쉬와 접촉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단부를 가지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RF 단자 체결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걸림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를 상기 메쉬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턱을 가지는 제2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후단부는 상기 걸림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열팽창하여 상기 제2 단자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그 외주면에는 제1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RF 단자 체결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나사면과 호응되는 제2 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과 제2 단자 사이에는 필러가 충진되어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질화 알루미늄(Al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지지용 서셉터.
  6. 삭제
KR1020070112583A 2007-11-06 2007-11-06 기판 지지용 서셉터 KR10093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83A KR100932242B1 (ko) 2007-11-06 2007-11-06 기판 지지용 서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83A KR100932242B1 (ko) 2007-11-06 2007-11-06 기판 지지용 서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35A KR20090046435A (ko) 2009-05-11
KR100932242B1 true KR100932242B1 (ko) 2009-12-16

Family

ID=4085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583A KR100932242B1 (ko) 2007-11-06 2007-11-06 기판 지지용 서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48B1 (ko) * 2012-08-17 2014-02-07 주식회사 좋은기술 나사 조립식 단자대를 갖는 반도체 가열장치
KR101678678B1 (ko) * 2015-05-22 2016-11-22 주식회사 좋은기술 기판 히팅 플레이트 및 이를 적용하는 기판 가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934A (ja) * 1999-04-28 2000-11-07 Kyocera Corp ウエハ支持部材
JP2006313919A (ja) * 2001-09-11 2006-11-16 Sumitomo Electric Ind Ltd 被処理物保持体、半導体製造装置用サセプタおよび処理装置
KR20070071577A (ko)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코미코 히터 및 정전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934A (ja) * 1999-04-28 2000-11-07 Kyocera Corp ウエハ支持部材
JP2006313919A (ja) * 2001-09-11 2006-11-16 Sumitomo Electric Ind Ltd 被処理物保持体、半導体製造装置用サセプタおよび処理装置
KR20070071577A (ko)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코미코 히터 및 정전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48B1 (ko) * 2012-08-17 2014-02-07 주식회사 좋은기술 나사 조립식 단자대를 갖는 반도체 가열장치
KR101678678B1 (ko) * 2015-05-22 2016-11-22 주식회사 좋은기술 기판 히팅 플레이트 및 이를 적용하는 기판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35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879B1 (ko) 세라믹 서셉터의 지지 구조
JP2001326181A (ja) 加熱装置
US20110143603A1 (en) Connector structure
KR100932242B1 (ko) 기판 지지용 서셉터
CN103222047A (zh) 用于压力接触结构的陶瓷热沉材料、使用其的半导体模块和用于制造半导体模块的方法
JP4858319B2 (ja) ウェハ保持体の電極接続構造
KR100932233B1 (ko) 히터 제조방법
KR102054733B1 (ko)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KR102054732B1 (ko) 히터의 로드 접속 구조
JP3156031U (ja) セラミックスヒーター
KR101776581B1 (ko)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JP2020202372A (ja) プラズマ処理装置用セラミック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439108B2 (ja) ウエハ支持部材
JP5942380B2 (ja) 半導体製造装置用ウエハ保持体
KR100542583B1 (ko) 화학기상증착 장비의 글라스 지지용 서셉터
KR20140142548A (ko) 기판 지지 유닛
KR102140366B1 (ko) 압축스프링이 결합된 알에프 로드를 갖는 세라믹히터
KR200492187Y1 (ko) 세라믹히터의 열선케이블 결합용 연결볼트
JP4436505B2 (ja) 赤外線電球
JP2019040939A (ja) ウエハ載置台
JP2001227513A (ja) クランプ装置およびクランプ体並びに放熱装置
KR200206613Y1 (ko) 열전 반도체 냉각모듈
KR100938867B1 (ko) 음식 쓰레기 건조 처리기용 히트 싱크 및 발열체 어셈블리및 이의 제조 방법
CN216315611U (zh) 气溶胶产生装置的发热体及气溶胶产生装置
JP2002083909A (ja) モジュール型半導体装置および金属ベース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