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581B1 -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 Google Patents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81B1
KR101776581B1 KR1020160032907A KR20160032907A KR101776581B1 KR 101776581 B1 KR101776581 B1 KR 101776581B1 KR 1020160032907 A KR1020160032907 A KR 1020160032907A KR 20160032907 A KR20160032907 A KR 20160032907A KR 101776581 B1 KR101776581 B1 KR 10177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expansion
low thermal
terminal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김용훈
이차원
Original Assignee
(주)티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티에스 filed Critical (주)티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032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05B3/143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applied to semiconductors, e.g. wafers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에 매설되는 금속 단자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금속 접속 부재(또는 로드)의 단자 접합시 공정 중의 부식성 가스에 대하여 내식성을 구비하고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높은 접합 강도와 전기적 접속을 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히터의 플레이트 내측으로 삽입되어 플레이트에 매설된 저항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드, 로드의 일단과 접촉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열팽창률보다 낮은 열팽창률을 가지는 저열팽창 도체, 및 저열팽창 도체와 접촉 결합되도록 삽입 홀이 형성되며, 로드 및 저열팽창 도체를 거쳐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Bonding structure of heater terminal}
본 발명은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에 매설되는 금속 단자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금속 접속 부재(또는 로드)의 단자 접합시 공정 중의 부식성 가스에 대하여 내식성을 구비하고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높은 접합 강도와 전기적 접속을 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또는 AlN 히터에 있어서 히터의 플레이트 내부에 매설된 저항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플레이트 내에 매설된 금속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구조가 다양하게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되고 있다. 플레이트 내에 금속 단자를 매설하여 외부의 전력 공급용 커넥터(또는 로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 부분은 산화성 분위기 하에서 또는 부식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매우 높은 고온과 매우 낮은 저온의 열순환에 노출된다. 이러한 악조건 하에서도, 장기간 높은 접합 강도와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로드와 금속 단자와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산화성 분위기 하에서 고온이나 열순환에 노출되더라도 높은 접합 강도와 단자의 단락을 방지하고, 로드의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합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9650(발명의 명칭 : 세라믹 부재와 전력 공급용 커넥터의 접합 구조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83600(발명의 명칭 : 세라믹스의 접합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3430(발명의 명칭 : 히터 및 정전척)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688(발명의 명칭 : 접합 구조 및 반도체 제조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정 중의 부식성 가스에 대하여 내식성을 구비하고 급격한 온도변화에 대한 높은 접합강도와 전기적 접속을 강화할 수 있는 단자접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의 플레이트 내측으로 삽입되어 플레이트에 매설된 저항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드, 로드의 일단과 접촉 결합되며, 플레이트의 열팽창률보다 낮은 열팽창률을 가지는 저열팽창 도체, 및 저열팽창 도체와 접촉 결합되도록 삽입 홀이 형성되며, 로드 및 저열팽창 도체를 거쳐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로드 및 저열팽창 도체는 플레이트의 홈부와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배치된다.
또한, 저열팽창 도체는 플레이트의 홈부 내측으로 탭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로드는 저열팽창 도체와 면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결합된다.
또한, 저열팽창 도체의 일단은 로드의 일단과 접촉 결합되며, 저열팽창 도체의 타단은 단자의 삽입 홀에 삽입되어 접촉 결합되며, 저열팽창 도체의 타단은 단자의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저열팽창 도체의 일단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또한, 단자의 삽입 홀은 노출되며, 단자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고 플레이트에 매설되며, 단자는 저열팽창 도체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또한, 로드와 저열팽창 도체를 접착하는 접착부는 금, 백금,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또한, 접착부는 티타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브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활성 금속을 함유한다.
또한, 저열팽창 도체와 단자를 접착하는 접착부는 금, 백금,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또한, 접착부는 티타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브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활성 금속을 함유한다.
또한, 로드는 니켈, 니켈기 내열합금, 금, 백금, 및 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저열팽창 도체는 몰리브덴, 텅스텐, 몰리브덴-텅스텐 합금, 텅스텐-구리-니켈 합금, 및 코바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단자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레이트에는 로드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다.
또한, 로드와 저열팽창 도체는 플레이트의 홈부에 삽입시 측면 간극부를 두도록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식성 가스의 침투 경로가 길어져 저열팽창 도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에 플랜지부를 둠으로써 로드의 접속력을 높여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매립되어 있는 단자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자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드 및 저열팽창 도체와 플레이트의 홈부 사이에 측면 간극부를 두어 열팽창률의 차이에 따른 열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저열팽창 도체에 의해 플레이트와 로드의 열응력 차를 완화하여 단락의 위험을 줄이고, 저열팽창 도체가 노출이 최소화된 단자의 삽입 홀에 삽입 접촉됨으로써 선행기술문헌의 관형 차폐부재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내식성 또는 산화성 가스 분위기(부식성 분위기)하에서 공정이 진행되는 공정 챔버 내에 배치되는 히터(10)는 세라믹 히터 또는 AlN 히터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플레이트(10)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샤프트(13)로 구성된다. 플레이트(10) 내부에는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RF전극(11)이 최상단에 배치되며, RF전극(11) 하방에 저항 발열체(12)가 매설된다. 저항 발열체(12)는 코일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13)는 중공으로서 플레이트(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열전달 특성 등을 고려해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공의 샤프트(13) 내측으로는 RF전극(11)과 접속되는 그라운드 로드(15)가 배치되며, 저항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는 AC 로드(14)가 배치된다. 이때, 저항 발열체(12)에 공급되는 AC 전원은 저항 발열체의 발열량에 따라 적절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내측에 매설되는 저항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AC 로드(14, 이하에서는 로드 또는 전원공급부라 함)가 샤프트(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로드(14)와 저항 발열체(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간의 단자접합 구조에 대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로드(100,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단자(300)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접합 구조는 대략적으로 로드(100), 저열팽창 도체(200), 및 단자(30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산화성 가스 분위기가 단자 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일예로서 세라믹 히터와 로드(100)간의 열팽창 차이로 인한 큰 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합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드(100, 전원공급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플랜지부(120)로 대략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플랜지부(120)는 몸체부(110)의 둘레방향으로 분기되어 연장 형성된다. 몸체부(110)의 일측 단부는 저열팽창 도체(200)와 제1 접착부(400)에 의해 접착 결합된다. 몸체부(110)의 타측 단부는 중공의 샤프트 내측을 관통하여 전원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측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수용 홈부(30)에 내측으로 수용된다. 몸체부(110)의 일측 단부가 플레이트(10)의 수용 홈부(30) 내측으로 수용되는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몸체부(110)가 플레이트(10)의 수용 홈부(30)에 수용시 수용 홈부(30)와 탭방식에 의한 충분한 결합력이 있을 정도로 수용될 수 있다. 몸체부(110)가 플레이트(10)의 수용 홈부(30)에 수용될 때 수용된 영역의 몸체부(110)의 일 영역에는 탭이 형성되어 플레이트(10)의 수용 홈부(30)와 탭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로드(100)는 내식성이 높은 재질의 니켈, 니켈기 내열합금, 금, 백금, 및 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10)는 세라믹 소재 또는 AlN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로드(100)와 플레이트(10)간의 열팽창률(또는 열팽창계수)이 다르기 때문에 측면 간극부(30)를 두어 응력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간극부(30)를 둠으로써 탭 결합이 가능하며, 응력 완화와 더불어 몸체부(110)의 일 단부와 저열팽창 도체(200)를 접착 결합하는 제1 접착부(400)의 접착 물질이 상부로 올라오는 모세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접착 물질이 측면을 타고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탭 결합 사이에 측면 간극부(30)를 둠과 동시에 몸체부(110)와 저열팽창 도체(200)의 접촉면(또는 접착면)을 모따기 한다. 측면 간극부(30)는 탭 결합과 별도로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몸체부(110)와 저열팽창 도체(200)간의 내측면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여 모세관 현상을 억제하며, 또한 몸체부(110)와 저열팽창 도체(200)의 밑면 접촉면을 모따기 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을 억제하도록 한다.
플랜지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이고, 몸체부(110)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점은 대략 플레이트(10)의 상면 조금 위쪽에 형성된다. 플레이트(또는 히터)는 대략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랜지부(120)의 형상도 이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는 플랜지부(12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플랜지부(120)는 대략 원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한편, 플랜지부(120)는 로드의 체결 안정성 및 접속력을 강화하기 위해 원통형 차폐 부재로 형성되며, 몸체부(110)의 분기점에서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 플랜지부(121)와 제1 플랜지부(121)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진다. 제2 플랜지부(122)는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 수용 홈부(20)에 수용된다. 제2 플랜지부(122)가 플랜지 수용 홈부(20)에 수용됨으로써 로드(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단자(300)와의 단락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부식성 가스가 저열팽창 도체(200) 또는 단자(300)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경로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부식성 가스분위기로부터 격리를 좀 더 완전히 할 수 있다. 플랜지 수용 홈부(20)는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 폭 및 깊이를 가지고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저열팽창 도체 수용 홈부(30)와 되도록 가까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제2 플랜지부(122)는 플랜지 수용 홈부(20)에 수용시 탭 방식으로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도 있다. 탭 방식으로 제2 플랜지부(122)가 체결되는 경우 제1 플랜지부(121)를 하방으로 눌러주어 로드의 접합면의 흔들림을 잡아주어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단자의 산화방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열팽창 도체(200)는 로드(10)의 일 단부와 선 접촉 또는 면 접촉되어 접촉 결합되도록 플레이트(10)의 수용 홈부(30)에 수용되면서 로드(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저열팽창 도체(200)는 몸체부(110)의 일 단부와 접촉 결합하는 제1 결합부(210)가 도 2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며, 하측에는 단자(300)의 삽입 홀(310)에 삽입되어 제2 접착부(500)에 의해 접착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210)의 폭은 접촉 결합되는 로드(100)의 폭과 대략 동일하며, 제2 결합부(220)의 폭은 단자(300)의 삽입 홀(310)에 삽입되기 위해 제1 결합부(210)의 폭보다 좁다. 즉, 제2 결합부(220)의 폭은 제1 결합부(210)의 폭보다 좁고, 단자(300)의 폭보다 좁으며, 단자(300)의 폭은 제1 결합부(210)의 폭보다 좁다. 제2 결합부(220)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매설된 단자(300)의 삽입 홀(310)에 삽입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다.
한편, 로드(100)는 니켈, 니켈기 내열합금, 금, 백금, 및 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저열팽창 도체(200)는 바람직하게는 열팽창률 8.0x10-6/℃ 이하의 성질을 가지는 몰리브덴, 텅스텐, 몰리브덴-텅스텐 합금, 텅스텐-구리-니켈 합금, 및 코바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는 세라믹 또는 AlN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 간의 열팽창률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측면 간극부(30)를 두어 열팽창으로 인한 응력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400)의 접착 물질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모세관 현상 방지).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100)와 단자(300) 사이에 저열팽창 도체(200)를 배치하여 중간 접합 매체로 사용함으로써 세라믹 플레이트(10)와 로드(100)간의 열응력 차를 완화하여 단락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접착부(400) 및 제2 접착부(500)는 각각 금, 백금,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티타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브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활성 금속을 함유하는 것이 내 산화성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접착부(400)는 몸체부(110)의 일단과 저열팽창 도체(200)의 제1 결합부(210) 간을 접착 결합하며, 제2 접착부(500)는 저열팽창 도체(200)의 제2 결합부(220)와 단자(300) 간을 접착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300)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제로 이루어지며, 로드(100)와 대략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저열팽창 도체(200)의 제2 결합부(220)와 접착 결합된다. 저열팽창 도체(200)의 제2 결합부(220)와 접착 결합하기 위해 단자(300)에는 삽입 홀(310)이 형성되며, 단자(300)는 저열팽창 도체(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플레이트의 최 하측에 매설된다. 따라서 단자(300)가 이격된 거리만큼 저열팽창 도체의 제2 결합부(220)의 길이가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에 매립되는 순서는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로드(100), 로드(100)와 단자(30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접합 매체인 저열팽창 도체(200), 저열팽창 도체(200)와 접착 결합되는 단자(300)로 형성된다. 단자(300)는 삽입 홀(310)을 제외하고 모든 부분이 플레이트(10)에 매설되어 있어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산화성 또는 부식성 가스 분위기로부터 단자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히터(플레이트)
11 : RF전극
12 : 저항 발열체
13 : 샤프트
14 : AC 로드
15 : 그라운드 로드
20 : 플랜지 수용 홈부
30 : 측면 간극부(수용 홈부)
100 : 로드(커넥터, 전원공급부)
110 : 몸체부
120 : 플랜지부
121 : 제1 플랜지부
122 : 제2 플랜지부
130 : 결합부(탭부)
200 : 저열팽창 도체
210 : 제1 결합부
220 : 제2 결합부
300 : 단자
310 : 삽입 홀
400 : 제1 접착부(결합층)
500 : 제2 접착부(결합층)

Claims (13)

  1. 히터의 플레이트 내측으로 삽입되어 플레이트에 매설된 저항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과 접촉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열팽창률보다 낮은 열팽창률을 가지는 저열팽창 도체, 및
    상기 저열팽창 도체와 접촉 결합되도록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 및 저열팽창 도체를 거쳐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저열팽창 도체는 상기 단자의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및 저열팽창 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홈부와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또는 저열팽창 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홈부 내측으로 탭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저열팽창 도체와 면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열팽창 도체의 일단은 상기 로드의 일단과 접촉 결합되며,
    상기 저열팽창 도체의 타단은 상기 단자의 삽입 홀에 삽입되어 접촉 결합되며,
    상기 저열팽창 도체의 타단은 상기 단자의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저열팽창 도체의 일단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삽입 홀은 노출되며, 단자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고 플레이트에 매설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저열팽창 도체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저열팽창 도체를 접착하는 접착부는 금, 백금,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에 의해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티타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브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활성 금속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열팽창 도체와 상기 단자를 접착하는 접착부는 금, 백금,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에 의해 접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티타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브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활성 금속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니켈, 니켈기 내열합금, 금, 백금, 및 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열팽창 도체는 몰리브덴, 텅스텐, 몰리브덴-텅스텐 합금, 텅스텐-구리-니켈 합금, 및 코바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는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로드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저열팽창 도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홈부에 삽입시 측면 간극부를 두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KR1020160032907A 2016-03-18 2016-03-18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KR10177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907A KR101776581B1 (ko) 2016-03-18 2016-03-18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907A KR101776581B1 (ko) 2016-03-18 2016-03-18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581B1 true KR101776581B1 (ko) 2017-09-11

Family

ID=5992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907A KR101776581B1 (ko) 2016-03-18 2016-03-18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5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34A (ko) 2018-04-09 2019-10-17 (주)티티에스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KR20190117931A (ko) 2018-04-09 2019-10-17 (주)티티에스 히터의 로드 접속 구조
US20210037613A1 (en) * 2018-11-19 2021-02-04 Ngk Spark Plug Co., Ltd. Hol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d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6351A (ja) * 2001-10-03 2006-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6351A (ja) * 2001-10-03 2006-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製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34A (ko) 2018-04-09 2019-10-17 (주)티티에스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KR20190117931A (ko) 2018-04-09 2019-10-17 (주)티티에스 히터의 로드 접속 구조
US20210037613A1 (en) * 2018-11-19 2021-02-04 Ngk Spark Plug Co., Ltd. Hol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781B1 (ko) 웨이퍼 배치 장치
KR101776581B1 (ko)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KR100787082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2052811B1 (ko) 기판지지장치
JP4909704B2 (ja) 静電チャック装置
KR101763713B1 (ko)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JP2006041418A (ja) 面実装コイル部品
JP2008047657A (ja) 静電チャック装置
US10707642B2 (en) Housing for an electronic component, and laser module
JP2000036548A (ja) 二重構造の貫通接続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832634B (zh) 晶片支撑台
KR102054733B1 (ko) 히터의 단자접합 구조
US20130250471A1 (en) Compressible conductive element for use in current-carrying structure
KR102054732B1 (ko) 히터의 로드 접속 구조
JP2010103321A (ja) 静電チャック装置
KR20090046436A (ko) 히터 제조방법
JP2018203581A (ja) セラミックス構造体
KR101904490B1 (ko) 세라믹 히터 접합구조
JP7014821B2 (ja) 試料保持具
JP6838957B2 (ja) ヒータ
JP2020047377A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626667B1 (ko) 샤프트 부착 세라믹 히터
JP3620061B2 (ja) セラミックヒータ素子、セラミックヒータ及びセラミックグロープラグ
US20230282497A1 (en) Feeder member and wafer placement table
JP4091687B2 (ja) セラミック基板の電極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