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043B1 -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043B1
KR100932043B1 KR1020070089232A KR20070089232A KR100932043B1 KR 100932043 B1 KR100932043 B1 KR 100932043B1 KR 1020070089232 A KR1020070089232 A KR 1020070089232A KR 20070089232 A KR20070089232 A KR 20070089232A KR 100932043 B1 KR100932043 B1 KR 10093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ump
suction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344A (ko
Inventor
야스시 다마이
겐따로오 시게미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Publication of KR2008009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 내지 8종류 정도의 구분 적재가 요구되는 액체 화물선에 적합하고, 초기 비용이나 운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화물 펌프의 진동에 의한 균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를 제공한다.
하부 종통 스툴 상에 기립 설치되는 중앙 격벽과 가로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선창을 구비하는 액체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중앙 격벽과 가로 격벽과의 교차부에 상부 갑판에 개방되는 해치로부터 상기 하부 종통 스툴 내부까지 관통 설치되는 화물 펌프실을 설치하고, 상기 화물 펌프실마다 1대의 디프웰 펌프를 배치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흡인측에 상기 선창 내에 개방하여 상기 하부 종통 스툴의 경사벽을 관통하는 화물 흡인부를 접속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토출측을 상기 화물 펌프실 내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갑판 상에 부설되는 매니폴드관에 접속하는 화물 토출관에 접속하고, 상기 화물 펌프실 내의 상기 화물 흡인부에는 신축관을 개재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디프웰 펌프를, 신축관을 통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디프웰 펌프, 신축관, 매니폴드관, 흡인부, 해치

Description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CARGO PUMP APPARATUS OF LIQUID CARGO SHIP}
본 발명은 액체 화물 수송선에 있어서의 화물 펌프 장치 및 화물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화물의 선적, 하역 계통에 사용되는 화물 펌프 장치 및 화물 흡인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종류의 화물을 동시에 선하적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화물 구획과 기관실의 사이에 위치하는 화물 펌프실에 화물 펌프를 4대 설치하고, 메인 브렌치(main branch) 방식의 화물관 배관을 채용한 5만톤 선적급의 액체 화물선이 건조(建造)되고 있다. 또한, 12 내지 16으로 구획된 선창(船倉)을 구비하는 액체 화물선에서는, 각 선창에 각각 독립된 화물 펌프[서브머지드 펌프(submerged pump)]가 설치되는 액체 화물선도 건조되고 있다.
각 선창에 각각 독립된 화물 펌프를 구비하는 액체 화물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8057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80576호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은,「선적 종료 직전에 있어서 메인 라인에 잔류하는 액상 화학 제품의 양을 제로로 하는 것이 가 능한 케미컬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액체 화학 제품을 선체 내에 거치된 복수의 탱크와 여러 설비 사이에서 선적, 하역하기 위한 카고 라인을 구비한 케미컬선에 있어서, 상기 카고 라인은 상기 선체의 중앙 부근에 그 폭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되고, 일단부가 여러 설비와 접속되는 복수의 매니폴드 크로스오버 라인과, 이들 크로스오버 라인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크로스오버 라인보다 높은 레벨에서 상기 선체의 선수(船首) 방향 및 선미(船尾) 방향으로 각각 연장 돌출된 복수의 제1, 제2 메인 라인과, 이들 제1, 제2 메인 라인의 타단부 및 도중의 적어도 한쪽 부위에 접속되고, 메인부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동시에 서브머지드 펌프를 부착한 하단부가 상기 탱크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브렌치 라인을 구비하는」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80576호 공보의 액체 화물선으로 대표되는 종래형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그 개요를 도12 및 도13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2는 종래형 액체 화물선의 선창의 가로 단면이고, 도13은 종래형 액체 화물선의 선창의 가로 격벽부를 상부 갑판으로부터 대략 도시한 것이다.
선체의 상부 갑판(23)에는 매니폴드관(25)이 부설(敷設)되어 있고, 선체는 중앙 격벽(13)과 가로 격벽(15)으로 구획된 메탄올과 같은 액상 화학 제품을 저장하는 쌍을 이루는 선창(11, 11)이 선수로부터 선미를 향해 합계 20의 선창이 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선창에는 서브머지드 펌프(91)가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서브머지드 펌프(91)는 전동 유압 방식이며, 펌프 하부에 유 압 모터가 내장되고, 그 하방에 임펠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갑판(23)의 해치(hatch)(33) 상에 유압의 유량을 조정하는 플로트 컨트롤이 설치되어, 이 플로트 컨트롤에 의해 유압의 유량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임펠러의 측방으로부터는 토출관(81)이 수직으로 연신하여, 상부 갑판(23) 상에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는 동시에, 매니폴드관(25)으로부터는 장입관(27)이 분기되어 있다.
그러나, 12 내지 16으로 구획된 선창을 구비하는 액체 화물선에서는, 십수 종류의 화물을 구분 적재하는 일이 없고, 많아도 6 내지 8종류의 구분 적재가 요구되는 정도이며, 중앙 격벽에 의해 구획된 우현 및 좌현측의 한 쌍의 선창에 이종(異種)의 화물을 쌓는 일이 없으므로, 각각에 서브머지드 펌프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그것이 과잉 설비가 될 뿐만 아니라, 제어를 각각의 펌프에 대해 행할 필요도 있어, 유지 보수 등을 포함하여 인건비 및 설비비가 증가하는 등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6 내지 8종류 정도의 구분 적재가 요구되는 액체 화물선에 적합하며, 초기 비용이나 운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화물 펌프의 진동에 의한 균열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청구항 1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화물선의 중심선을 따라 기립 설치되는 중앙 격벽과 상기 중앙 격벽에 직교하여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선창을 구비하는 액체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격벽은 이중 선저의 내부 저판 상에 설치되는 하부 종통 스툴 상으로부터 기립 설치되고, 상기 중앙 격벽과 상기 가로 격벽과의 교차부에 상부 갑판에 개방되는 해치로부터 상기 중앙 격벽을 따라 상기 하부 종통 스툴 내에 연통하는 화물 펌프실이 설치되고, 상기 화물 펌프실에는 디프웰 펌프(deep well pump) 및 잔유(殘油) 회수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흡인측은 선창 내의 내부 저판 상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suction well)에 개방되고 상기 하부 종통 스툴의 경사벽을 관통하는 화물 흡인부가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토출측은 상기 화물 펌프실 내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갑판 상에 부설되는 매니폴드관에 접속하는 화물 토출관에 접속되고, 상기 화물 펌프실 내의 상기 화물 흡인부에는 신축관이 개재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디프웰 펌프는 신축 커플링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화물 펌프실에는 각각 1대의 상기 디프웰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중앙 격벽을 통해 인접하는 2개 또는 4개의 선창으로 연신하는 2개 또는 4개의 흡인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원 청구항 3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상부 갑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플랜지와 중간부에 위치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 연접하고 하방이 좁아진 깔때기형의 교축부로 이루어지는 흡인 케이싱에 둘러싸이는 동시에, 상기 펌프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에 상기 신축 커플링을 통해 접속되는 상부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구동축을 통해 상기 해치로부터 매달아 설치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흡인 케이싱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흡인 케이싱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4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치는 하부 해치와 상기 하부 해치에 상기 신축 커플링을 통해 중첩 배치되는 상부 해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상부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 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5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종통 스툴의 경사벽을 관통하는 상기 2개의 흡인관 또는 상기 4개의 흡인관의 각각에는 상기 신축관이 개재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원 청구항 6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접 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형관은 상기 신축관으로 형성된 L형 신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7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형관과 상기 T자관 또는 상기 L형관과 상기 제1 T자관은 상기 신축관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청구항 8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이며,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관에는 상기 신축관이 개재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 중앙 격벽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마다, 또는 화물 펌프실에 인접하는 4개의 선창마다 화물 펌프로서 사용하는 1대의 디프웰 펌프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가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2개의 선창으로 이루어지는 선창 블록마다, 또는 화물 펌프실에 인접하는 4개의 선창으로 이루어지는 선창 블록마다 종류가 다른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선창 블록수의 분만큼의 액체 화물의 구분 적재가 가능해진다.
(2) 또한, 선창마다 화물 펌프를 필요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화물 펌프수는 1/2 내지 1/4로 삭감할 수 있으므로, 초기 비용이나 운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화물 펌프에 디프웰 펌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3) 화물 펌프실 내의 화물 흡인부에 대해 신축관을 개재시키거나, 또는 디프웰 펌프에 대해 신축 커플링을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디프웰 펌프의 모터나 펌프에 의한 화물 흡인부의 신축을 신축관이나 신축 커플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물 펌프의 진동에 의한 하부 종통 스툴의 벽체, 화물 펌프실의 벽체, 중앙 격벽이나 가로 격벽 등의 선체의 균열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관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도11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은 제1 실시예 의 화물 펌프 장치 및 부속 설치된 잔유 회수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이고, 도2는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 및 부속 설치된 잔유 회수 장치에 관한 선창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3은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이고, 도4는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의 흡인 케이싱부의 확대도이고, 도5는 제2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이고, 도6은 제2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해치부의 확대도이고, 도7은 제3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이고, 도8은 제3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이고, 도9는 제4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이고, 도10은 제5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이고, 도11은 제6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이다.
도1 내지 도11에 있어서, 부호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부호 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부호 3은 제3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부호 4는 제4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부호 5는 제5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부호 6은 제6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부호 11은 선창, 부호 13은 중앙 격벽, 부호 15는 가로 격벽, 부호 17은 내부 저판, 부호 19는 하부 종통 스툴, 부호 191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 부호 21은 흡인 웰, 부호 23은 상부 갑판, 부호 25는 매니폴드관, 부호 27은 장입관, 부호 31은 화물 펌프실, 부호 33은 해치, 부호 331은 상부 해치, 부호 333은 하부 해치, 부호 335는 해치 신축 커플링, 부호 40은 디프웰 펌프, 부호 41은 펌프부, 부호 43은 모터부, 부호 45는 구동축, 부호 5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화물 흡인부, 부호 5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화물 흡인부, 부호 53은 제3 실시예에 관한 화물 흡인부, 부호 54는 제4 실시예에 관한 화물 흡인부, 부호 55는 제5 실시예에 관한 화물 흡인부, 부호 56은 제6 실시예에 관한 화물 흡인부, 부호 57은 흡인관, 부호 59는 신축관, 부호 61은 흡인부 유압 밸브, 부호 63은 T자관, 부호 631은 제1 T자관, 부호 632는 제2 T자관, 부호 65는 L형관, 부호 67은 L형 신축관, 부호 70은 흡인 케이싱부, 부호 71은 원통부, 부호 73은 교축부, 부호 75는 하부 플랜지, 부호 77은 상부 플랜지, 부호 79는 플랜지 신축 커플링, 부호 81은 화물 토출관, 부호 83은 잔유 흡인관, 부호 85는 잔유 회수 펌프, 부호 87은 잔유 토출관, 부호 90은 직관이다. 또한, 도면 중의 CL은 화물선의 중심선이다. 또한, 도13 및 도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 종래의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에 있어서의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 실시예>
우선, 제1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 및 부속 설치된 잔유 회수 장치의 개요에 대해 도1 및 도2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그 후에 제1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도3 및 도4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2에서는, 도면의 상방이 선수측, 도면의 하방이 선미측으로 되어 있지만,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선의 중심선(CL)을 따라 기립 설치되는 중앙 격벽(13)과 중앙 격벽(13)에 직교하여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 격벽(15)에 의해 수밀하게 구획됨으로써 선창(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격벽(13) 및 가로 격벽(15)은 각각 내부 저판(17) 상에 설치되는 하부 종통 스툴(19)과 하부 횡통 스툴 상으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고, 중앙 격벽(13) 및 가로 격벽(15)은 콜게이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중앙 격벽(13)에 접하여 인접하는 좌현측 및 우현측의 한 쌍의 선창(11, 11)의 선미측의 중앙 격벽(13) 및 가로 격벽(15)의 교차부에는, 상부 갑판(23) 및 하부 종통 스툴(19)을 관통하여 수밀하게 구획된 화물 펌프실(31)이 관통 설치되어 있고, 화물 펌프실(31)의 상부의 상부 갑판(23) 상에는 해치(33)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화물 펌프실(31)의 평면으로부터 본 형상은, 중앙 격벽(13) 및 가로 격벽(15)에 평행한 벽면을 갖고 화물선의 중심선(CL)을 따라 가늘고 긴 직사각형이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우선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1) 내지 화물 펌프 장치(6)에 공통되어 부속 설치되는 잔유 회수 장치에 대해 도1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잔유 회수 장치는, 주로, 화물 펌프실(31)마다 배치되는 1대의 잔유 회수 펌프(85)와 이 잔유 회수 펌프(85)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잔유 흡인관(83)과 잔유 회수 펌프(85)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잔유 토출관(87)으로 구성되어 있고, 잔유 회수 펌프(85)에는 자급식 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잔유 회수 펌프(85)의 흡인측에는 T자관이 접속되고, 이 T자관의 양단부에는 약 50 mmφ의 잔유 흡인관(83)이 각각 접속되고, 이 T자관과 잔유 흡인관(83)과의 사이에는 유압 밸브가 개재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잔유 흡인관(83)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중앙 격벽(13)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잔유 회수 펌프(85)의 토출측에 접속된 잔유 토출관(87)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상부 갑판(23)을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잔유 회수 장치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화물 펌프 장치(1)에서는 완전히 회수할 수 없는 화물을 회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잔유 흡인관(83)은 약 50 mmφ의 가는 직경이며, 잔유 회수 펌프(85)는 자급식으로 흡인한다.
또한, 각 선창(11)에는 매니폴드관(25)으로부터 분기된 장입관(27)이 배치되어 있고, 이 장입관(27)에 의해 화물의 적재가 행해지는 것은, 종래형의 화물 운반선과 동일한 구성이다.
화물 펌프 장치(1)는, 주로 화물 펌프실(31)마다 배치되는 1대의 디프웰 펌프(40)와 이 디프웰 펌프(40)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1)와 디프웰 펌프(4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화물 토출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프웰 펌프(40)는 모터부(43)와 이 모터부(43)에 구동축(45)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41)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부(43)는 해치(33) 상에 고정되는 동시에, 펌프부(41)는 화물 펌프실(31)의 하부에 해치(33)에 지지된 흡인 케이싱부(7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흡인 케이싱부(70)는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플랜지(75)와 중간부에 위치하는 원통부(71)와 원통부(71)에 연접하고 하방이 좁아진 깔때기형의 교축부(73)로 구성되어 있고, 펌프부(41)는 하부 플랜지(75)에 플랜지 신축 커플링(79)을 통해 접속되는 상부 플랜지(77)에 고정되고, 또한 상부 플랜지(77)는 해치(33)에 고정됨으로써 흡인 케이싱부(70)는 해치(3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플랜지 신축 커플링(79)에는 금속제의 통형인 것에 주름을 형성하여 신축성·기밀성·스프링성을 갖게 한 벨로우즈식(蛇腹)을 사용하고 있다.
흡인 케이싱부(70)의 하단부에는 화물 흡인부(51)가 접속되지만, 이 화물 흡인부(51)는 흡인 케이싱부(70)의 하단부에 직결되는 T자관(63)과 이 T자관(63)의 양단부의 각각에 흡인부 유압 밸브(61)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흡인관(57)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흡인 케이싱부(70) 내의 펌프부(41)의 토출측에 접속된 화물 토출관(81)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해치(33)를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선창(11) 내의 화물은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가 가동함으로써, 화물 흡인부(51) 및 흡인 케이싱부(70)를 통해 펌프부(41)에 흡인되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되지만, 소정의 선창(11)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은 흡인부 유압 밸브(61)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된 화물은 화물 토출관(81)을 통해 매니폴드관(25)으로 송출되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흡인관(57)이나 화물 토출관(81)은 약 300 mmφ의 굵은 직경이며, 게다가 수 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지므로, 선체의 휨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흡인관(57)이나 화물 토출관(81)의 고정부의 파손으로 이어진다. 또한, 디프웰 펌프(40)도 그에 대응한 대용량의 펌프이므로, 모터부(43)의 가동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모터부(43)를 고정하는 해치(33)나 펌프부(41)를 고정하는 상부 플랜지(77)에 전달된다. 그러나, 흡인 케이싱부(70)가 하부 플랜지(75)와 상부 플랜지(77)의 사이에 개재 삽입된 플랜지 신축 커플링(79)을 통해 상부 플랜지(77)로부터 매달아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랜지 신축 커플링(79)에 의해 흡인관(57)이나 화물 토출관(81) 자체의 열 신축이나 해치(33) 및 상부 플랜지(77)의 진동은 흡수되어, 흡인 케이싱부(70)에 가해지는 상기 열 변화에 수반되는 신축량이나 진동은 작은 것이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에 가해지는 열 변화에 의한 신축이 작은 것이 되어, 하부 종통 스툴(19)의 벽체 등에 균열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으며, 또한 소음도 작은 것이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도5 및 도6을 바탕으로 설명하는데, 선창(11), 중앙 격벽(13), 가로 격벽(15), 화물 펌프실(31) 및 해치(33)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화물 펌프 장치(2)에 부속 설치되는 잔유 회수 장치의 구성이나 효과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물 펌프 장치(2)는, 주로 화물 펌프실(31)마다 배치되는 1대의 디프웰 펌프(40)와 이 디프웰 펌프(40)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2)와 디프웰 펌프(4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화물 토출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프웰 펌프(40)는 모터부(43)와 이 모터부(43)에 구동축(45)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41)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부(43)는 해치(33) 상에 고정된다. 이 해치(33)는 상부 갑판 상에 고정되는 하부 해치(333)와 하부 해치(333) 상에 해치 신축 커플링(335)을 통해 중첩 배치되는 상부 해치(331)로 구성되고, 모터부(43)는 상부 해치(331) 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부(41)는 화물 펌프실(31)의 하부에 위치하고, 구동축(45)을 통해 모터부(43)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 해치(331)로부터 매달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해치 신축 커플링(335)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금속제의 통형인 것에 주름을 형성하여 신축성·기밀성·스프링성을 갖게 한 벨로우즈식을 사용하고 있다.
펌프부(41)의 흡인측에는 화물 흡인부(52)가 접속되지만, 이 화물 흡인부(52)는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직결되는 T자관(63)과 이 T자관(63)의 양단부의 각각에 흡인부 유압 밸브(61)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흡인관(57)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중앙 격벽(13)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펌프부(41)의 토출측에 접속된 화물 토출관(81)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해치(33)를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선창(11) 내의 화물은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가 가동함으로써, 화물 흡인부(52)를 통해 펌프부(41)에 흡인되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되지만, 소정의 선창(11)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은 흡인부 유압 밸브(61)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된 화물은 화물 토출관(81)을 통해 매니폴드관(25)으로 송출되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모터부(43)나 펌프부(41)를 고정하는 상부 해치(331)에 전달되지만, 상부 해치(331)는 상부 갑판 상에 고정되는 하부 해치(333)에 해치 신축 커플링(335)을 통해 중첩 배치되어 있으므로, 해치 신축 커플링(335)에 의해 상부 해치(331)의 진동은 흡수되고,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감쇠된다.
이로 인해,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의 발열에 의한 신축이 작은 것이 되어, 하부 종통 스툴(19)의 벽체 등에 균열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으며, 소음도 작은 것이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도7 및 도8을 바탕으로 설명하는데, 선창(11), 중앙 격벽(13), 가로 격벽(15), 화물 펌프실(31) 및 해치(33)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화물 펌프 장치(3)에 부속 설치되는 잔유 회수 장치의 구성이나 효과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물 펌프 장치(3)는, 주로 화물 펌프실(31)마다 배치되는 1대의 디프웰 펌프(40)와 이 디프웰 펌프(40)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3)와 디프웰 펌 프(4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화물 토출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프웰 펌프(40)는 모터부(43)와 이 모터부(43)에 구동축(45)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41)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부(43)는 해치(33) 상에 고정되고, 펌프부(41)는 화물 펌프실(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 해치(331)로부터 매달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부(41)의 흡인측에는 화물 흡인부(53)가 접속되지만, 이 화물 흡인부(53)는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직결되는 T자관(63)과 이 T자관(63)의 양단부의 각각에 흡인부 유압 밸브(61)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흡인관(57)에는 신축관(59)이 개재 삽입되어 있어, 신축관(59)으로부터 연신하는 흡인관(57)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중앙 격벽(13)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한다. 그리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펌프부(41)의 토출측에 접속된 화물 토출관(81)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해치(33)를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선창(11) 내의 화물은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가 가동함으로써, 화물 흡인부(53)를 통해 펌프부(41)에 흡인되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되지만, 소정의 선창(11)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은 흡인부 유압 밸브(61)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된 화물은 화물 토출관(81)을 통해 매니폴드관(25)으로 송출되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의 가동에 의해 모터부(43)나 펌프부(41)에는 큰 진동이 발생하지만, 이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흡인관(57)에 개재 삽입된 신축관(59)에 의해 흡수되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에는 진동은 거의 전달되지 않고, 미미한 것이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의 발열에 의한 신축이 작은 것이 되어, 하부 종통 스툴(19)의 벽체 등에 균열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으며, 소음도 작은 것이 된다.
<제4 실시예>
다음에, 제4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도9를 바탕으로 설명하는데, 선창(11), 중앙 격벽(13), 가로 격벽(15), 화물 펌프실(31) 및 해치(33)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디프웰 펌프(40)의 구성에 대해서도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화물 펌프 장치(4)에 부속 설치되는 잔유 회수 장치의 구성이나 효과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물 펌프 장치(4)는, 주로 화물 펌프실(31)마다 배치되는 1대의 디프웰 펌프(40)와 이 디프웰 펌프(40)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4)와 디프웰 펌프(4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화물 토출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프웰 펌프(40)의 펌프부(41)의 흡인측에는 화물 흡인부(54)가 접속되지만, 이 화물 흡인부(54)는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직결되는 신축관으로 형성된 L형 신축관(67)과 이 L형 신축관(67)에 접속되는 T자관(63)과 이 T자관(63)의 양단부의 각각에 흡인부 유압 밸브(61)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관(57)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중앙 격벽(13)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펌프부(41)의 토출측에 접속된 화물 토출관(81)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해치(33)를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선창(11) 내의 화물은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가 가동함으로써, 화물 흡인부(54)를 통해 펌프부(41)에 흡인되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되지만, 소정의 선창(11)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은 흡인부 유압 밸브(61)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된 화물은 화물 토출관(81)을 통해 매니폴드관(25)으로 송출되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의 가동에 의해 모터부(43)나 펌프부(41)에는 큰 진동이 발생하지만, 이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L형 신축관(67)에 의해 흡수되어 작은 것이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의 발열에 의한 신축이 작은 것이 되어, 하부 종통 스툴(19)의 벽체 등에 균열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으며, 소음도 작은 것이 된다.
<제5 실시예>
다음에, 제5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도10을 바탕으로 설명하는데, 선창(11), 중앙 격벽(13), 가로 격벽(15), 화물 펌프실(31) 및 해치(33)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디프웰 펌프(40)의 구성에 대해서도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화물 펌프 장치(5)에 부속 설치되는 잔유 회수 장치의 구성이나 효과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물 펌프 장치(5)는, 주로, 화물 펌프실(31)마다 배치되는 1대의 디프웰 펌프(40)와 이 디프웰 펌프(40)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5)와 디프웰 펌프(4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화물 토출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프웰 펌프(40)의 펌프부(41)의 흡인측에는 화물 흡인부(55)가 접속되지만, 이 화물 흡인부(55)는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직결되는 L형관(65)과 이 L형관(65)에 신축관(59)을 통해 접속되는 T자관(63)과 이 T자관(63)의 양단부의 각각에 흡인부 유압 밸브(61)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관(57)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중앙 격벽(13)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펌프부(41)의 토출측에 접속된 화물 토출관(81)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해치(33)를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선창(11) 내의 화물은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가 가동함으로써, 화물 흡인부(54)를 통해 펌프부(41)에 흡인되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되지만, 소정의 선창(11)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은 흡인부 유압 밸브(61)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된 화물은 화물 토출관(81)을 통해 매니폴드관(25)으로 송출되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의 가동에 의해 모터부(43)나 펌프부(41)에는 큰 진동이 발생하지만, 이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L형관(65)과 T자관(63)의 사이에 개재 삽입된 신축관(59)에 의해 흡수되어 작은 것이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의 발열에 의한 신축이 작은 것이 되어, 하부 종통 스툴(19)의 벽체 등에 균열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으며, 소음도 작은 것이 된다.
<제6 실시예>
다음에, 제6 실시예에 관한 화물 펌프 장치에 대해 도11을 바탕으로 설명하지만, 선창(11), 중앙 격벽(13), 가로 격벽(15) 및 해치(33)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디프웰 펌프(40)의 구성에 대해서도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화물 펌프 장치(6)에 부속 설치되는 잔유 회수 장치의 구성이나 효과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의 선미측마다 화물 펌프실(31)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6 실시예에서는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 및 가로 격벽(15)의 소정의 교차부에 인접하는 4개의 선창(11, 11, …)으로 이루어지는 선창 블록마다 화물 펌프실(31)을 설치하고 있다.
화물 펌프 장치(6)는, 주로 화물 펌프실(31)에 배치되는 1대의 디프웰 펌프(40)와 이 디프웰 펌프(40)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6)와 디프웰 펌프(4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화물 토출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화물 흡인부(56)는,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직결되는 제1 T자관(631)과 제1 T자관(631)의 양단부에 신축관(59) 및 흡인부 유압 밸브(61)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632)과 2개의 제2 T자관(632)의 각각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제2 T자관(632)에 접속된 2개의 흡인관(57)은,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여 중앙 격벽(13)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제2 T자관(632)에 접속된 2개의 흡인관(57)은 상기한 한 쌍의 선창(11, 11)에 가로 격벽(15)을 통해 인접하는 선창(11, 11) 내로 연신하고, 그 선단부는 선창(11)의 내부 저판(17)에 오목 설치된 흡인 웰(21)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펌프부(41)의 토출측에 접속된 화물 토출관(81)은 화물 펌프실(31) 내를 상방을 향해 연신하고, 해치(33)를 관통하여 상부 갑판(23) 상에 부설된 매니폴드관(25)에 접속하고 있다.
선창(11) 내의 화물은,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가 가동함으로써 화물 흡인부(54)를 통해 펌프부(41)에 흡인되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되지만, 소정의 선창(11)으로부터의 화물의 배출은 흡인부 유압 밸브(61)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펌프부(41)로부터 토출된 화물은 화물 토출관(81)을 통해 매니폴드관(25) 으로 송출되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디프웰 펌프(40)의 모터부(43)의 가동에 의해 모터부(43)나 펌프부(41)에는 큰 진동이 발생하지만, 이 모터부(43)나 펌프부(41)의 진동은 신축관(59)에 의해 흡수되어 작은 것이 된다.
이로 인해,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191)을 관통하는 흡인관(57)의 발열에 의한 신축이 작은 것이 되어, 하부 종통 스툴(19)의 벽체 등에 균열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으며, 소음도 작은 것이 된다.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중앙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 쌍의 선창(11, 11)마다 1대의 디프웰 펌프(40)를 배치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화물 펌프실(31)에 인접하는 4개의 선창(11, 11, …)마다 1대의 디프웰 펌프(40)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디프웰 펌프(40)의 대수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종류가 적어진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흡인 케이싱부(70)의 하단부나 펌프부(41)의 흡인측에 제1 T자관(631) 및 제2 T자관(632)을 통해 4개의 흡인관(57)을 접속시킬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 및 부속 설치된 잔유 회수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 및 부속 설치된 잔유 회수 장치에 관한 선창의 부분 평면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
도4는 제1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의 흡인 케이싱부의 확대도.
도5는 제2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
도6은 제2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해치부의 확대도.
도7은 제3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선창의 가로 단면도.
도8은 제3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
도9는 제4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
도10은 제5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
도11은 제6 실시예의 화물 펌프 장치에 관한 화물 흡인부의 확대도.
도12는 종래형 액체 화물선의 선창의 가로 단면도.
도13은 종래형 액체 화물선의 선창의 가로 격벽부를 상부 갑판으로부터 대략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물 펌프 장치
2 : 화물 펌프 장치
3 : 화물 펌프 장치
4 : 화물 펌프 장치
5 : 화물 펌프 장치
6 : 화물 펌프 장치
11 : 선창
13 : 중앙 격벽
15 : 가로 격벽
17 : 내부 저판
19 : 하부 종통 스툴
21 : 흡인 웰
23 : 상부 갑판
25 : 매니폴드관
31 : 화물 펌프실
33 : 해치
40 : 디프웰 펌프
41 : 펌프부
43 : 모터부
45 : 구동축
51 : 화물 흡인부
52 : 화물 흡인부
53 : 화물 흡인부
54 : 화물 흡인부
55 : 화물 흡인부
56 : 화물 흡인부
57 : 흡인관
59 : 신축관
61 : 흡인부 유압 밸브
63 : T자관
65 : L형관
67 : L형 신축관
70 : 흡인 케이싱부
71 : 원통부
73 : 교축부
75 : 하부 플랜지
77 : 상부 플랜지
79 : 플랜지 신축 커플링
81 : 화물 토출관
90 : 직관
191 : 하부 종통 스툴 경사벽
331 : 상부 해치
333 : 하부 해치
335 : 해치 신축 커플링
631 : 제1 T자관
632 : 제2 T자관

Claims (8)

  1. 화물선의 중심선을 따라 기립 설치되는 중앙 격벽과 상기 중앙 격벽에 직교하여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선창을 구비하는 액체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격벽은 이중 선저의 내부 저판 상에 설치되는 하부 종통 스툴 상으로부터 기립 설치되고,
    상기 중앙 격벽과 상기 가로 격벽과의 교차부에 상부 갑판에 개방되는 해치로부터 상기 중앙 격벽을 따라 상기 하부 종통 스툴 내에 연통하는 화물 펌프실이 설치되고,
    상기 화물 펌프실에는 디프웰 펌프 및 잔유 회수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흡인측은 선창 내의 내부 저판 상에 오목 형성된 흡인 웰에 개방되어 상기 하부 종통 스툴의 경사벽을 관통하는 화물 흡인부가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토출측은 상기 화물 펌프실 내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 갑판 상에 부설되는 매니폴드관에 접속하는 화물 토출관에 접속되고,
    상기 화물 펌프실 내의 상기 화물 흡인부에는 신축관이 개재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디프웰 펌프는 신축 커플링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펌프실에는 각각 1대의 상기 디프웰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디프웰 펌프의 흡인측에 접속되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중앙 격벽을 통해 인접하는 2개 또는 4개의 선창으로 연신하는 2개 또는 4개의 흡인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상부 갑판 상에 고정되고,
    상기 펌프부는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 플랜지와 중간부에 위치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 연접하고 하방이 좁아진 깔때기형의 교축부로 이루어지는 흡인 케이싱으로 둘러싸이는 동시에, 상기 펌프부는 상기 하부 플랜지에 상기 신축 커플링을 통해 접속되는 상부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구동축을 통해 상기 해치로부터 매달아 설치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흡인 케이싱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흡인 케이싱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치는 하부 해치와 상기 하부 해치에 상기 신축 커플링을 통해 중첩 배치되는 상부 해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상부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 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종통 스툴의 경사벽을 관통하는 상기 2개의 흡인관 또는 상기 4개의 흡인관의 각각에는 상기 신축관이 개재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의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형관은 상기 신축관으로 형성된 L형 신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T자관과 상기 T자관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2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L형관과 상기 L형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형관과 상기 T자관 또는 상기 L형관과 상기 제1 T자관은 상기 신축관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웰 펌프는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펌프부와 모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해치 상에 고정되고,
    상기 화물 흡인부는 상기 펌프부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제1 T자관과 상기 제1 T자관의 양단부에 직관을 통해 접속되는 2개의 제2 T자관과 상기 제2 T자관의 각각의 양단부에 유압 밸브를 통해 접속되는 4개의 흡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관에는 상기 신축관이 개재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의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KR1020070089232A 2007-04-27 2007-09-04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KR100932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17890 2007-04-27
JP2007117890A JP4382111B2 (ja) 2007-04-27 2007-04-27 液体貨物船の貨物ポ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344A KR20080096344A (ko) 2008-10-30
KR100932043B1 true KR100932043B1 (ko) 2009-12-15

Family

ID=3968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32A KR100932043B1 (ko) 2007-04-27 2007-09-04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85535B1 (ko)
JP (1) JP4382111B2 (ko)
KR (1) KR100932043B1 (ko)
CN (1) CN100581920C (ko)
PL (1) PL1985535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921B1 (ko) 2010-07-08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의 배관 장치
KR101498245B1 (ko) * 2013-07-3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잔유 액체화물 하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07961B1 (ko) * 2018-11-28 2019-08-06 (주)발맥스기술 액화가스 저장탱크
CN110254619A (zh) * 2019-07-01 2019-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货油泵的定位安装工装及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0066B (zh) * 2010-03-18 2014-02-19 容云 膜式隔水舱壁
CN102700685B (zh) * 2012-05-30 2014-12-24 江苏大学 一种用于液体货物运输船长轴卸货泵的固定装置
KR200477464Y1 (ko) * 2013-10-10 2015-06-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CN105446359B (zh) * 2014-08-28 2018-04-17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深井泵与液罐的安装精度控制方法
CN105599866B (zh) * 2014-11-10 2017-12-01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运输船
CN104627318B (zh) * 2014-12-03 2017-03-22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适于压载舱涂层保护要求的深井泵安装方法
JP6449052B2 (ja) * 2015-03-03 2019-01-09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サブマージドポンプの取付構造及びサブマージドポンプの取付方法
DE102018209465A1 (de) * 2018-06-13 2019-12-19 Ejot Gmbh & Co. Kg Saugvorrichtung zum Entleeren eines Behält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390A (en) * 1979-03-14 1982-02-02 Yamashita-Shinnihon Steamship Co., Ltd. Tanker construction
WO1997006050A1 (en) * 1995-08-10 1997-02-20 Frank Mohn Fusa A/S Cargo discharging pump
JP2001180576A (ja) * 1999-12-21 2001-07-03 Mitsui O S K Lines Ltd ケミカル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7662A (en) * 1966-06-28 1968-08-20 Mcmullen John J Hatch arrangement for liquefied gas storage tanks
US3766875A (en) * 1971-11-10 1973-10-23 Litton Systems Inc Ship for transporting slurry ore, coal and oil
JPS5855956B2 (ja) * 1978-12-26 1983-12-12 日本鋼管株式会社 ケミカルタンカ−
NO983204L (no) * 1998-04-16 1999-10-18 Allied Applied Marine Technolo Bulk carrier
JP3071879U (ja) * 2000-03-21 2000-09-22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スツールを有する油送船の荷油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390A (en) * 1979-03-14 1982-02-02 Yamashita-Shinnihon Steamship Co., Ltd. Tanker construction
WO1997006050A1 (en) * 1995-08-10 1997-02-20 Frank Mohn Fusa A/S Cargo discharging pump
JP2001180576A (ja) * 1999-12-21 2001-07-03 Mitsui O S K Lines Ltd ケミカル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921B1 (ko) 2010-07-08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의 배관 장치
KR101498245B1 (ko) * 2013-07-3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잔유 액체화물 하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07961B1 (ko) * 2018-11-28 2019-08-06 (주)발맥스기술 액화가스 저장탱크
CN110254619A (zh) * 2019-07-01 2019-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货油泵的定位安装工装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73342A (ja) 2008-11-13
JP4382111B2 (ja) 2009-12-09
KR20080096344A (ko) 2008-10-30
CN100581920C (zh) 2010-01-20
EP1985535B1 (en) 2017-05-10
CN101293561A (zh) 2008-10-29
PL1985535T3 (pl) 2017-09-29
EP1985535A3 (en) 2014-05-21
EP1985535A2 (en)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043B1 (ko)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KR880002157B1 (ko) 해상 플랫트폼
KR101949215B1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및 그 설계 방법
JP5254354B2 (ja) Lngカーゴタンクのためのスロッシング抑制構造
CN102216153B (zh) 浮动生产lng的装置和将lng运输船改造为这种装置的方法
KR100552939B1 (ko) 튜브를 이용한 자동 밸러스트 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KR20070115240A (ko) 액화천연가스 슬러싱 감소 기능을 갖는 화물창
JPS627076B2 (ko)
KR101259630B1 (ko) 액상 화물 하역 장치
JP5173917B2 (ja) 液化天然ガス運搬船
JP7133331B2 (ja) 船舶
KR20230044005A (ko) 부체, 액화 이산화 탄소의 적재 방법, 액화 이산화 탄소의 양하 방법
KR20160009174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선체구조
NO175424B (no) Fremgangsmåte og fartöy for offshore oljelasting
CN110662694B (zh) 海上浮体结构物
US4573422A (en) Ship without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hull plating
KR101334325B1 (ko) 화물창을 구비하는 선박
KR102456766B1 (ko) 선박
JP2021109475A (ja) 船舶
JP2005104187A (ja) タンカーのダクト装置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US1277943A (en) Submarine and other navigable vessel.
JP2020158057A (ja) ばら積み貨物船
US3113544A (en) Underdeck tunnel for tankers
CN116729545B (zh) 一种原油船的储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