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676B1 -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676B1
KR100930676B1 KR1020020052133A KR20020052133A KR100930676B1 KR 100930676 B1 KR100930676 B1 KR 100930676B1 KR 1020020052133 A KR1020020052133 A KR 1020020052133A KR 20020052133 A KR20020052133 A KR 20020052133A KR 100930676 B1 KR100930676 B1 KR 10093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
sensing
upper roll
lo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525A (ko
Inventor
우정린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6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광휘소둔라인의 루퍼설비 내에서 스트립이 파단된 경우 스트립을 즉시 클램핑하여 아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트립 재 통판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칭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광휘소둔로의 루퍼설비에 있어서, 상기 루퍼설비 내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파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에 상부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롤에 길이방향으로 놓여지고 상기 지지부재에 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부롤에 걸쳐진 스트립을 밀착하기 위한 브레이크패드,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상기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어 브레이크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부롤에 걸쳐진 스트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를 제공한다.
승강블럭, 브레이크패드, 구동롤, 구동모터, 구동실린더

Description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Device for cramping strip of bright annealing furnace}
도 1은 일반적인 광휘소둔라인의 루퍼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클램핑장치의 일부 구성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클램핑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승강블럭 20 : 감지롤
21 : 탄성스프링 22 : 감지편
23 : 감지센서 30,40 : 지지부재
31 : 브레이크패드 32 : 구동실린더
41 : 지지블럭 42 : 구동롤
43 : 구동모터 44 : 수직실린더
112 : 상부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냉연코일을 광휘소둔처리하기 위한 광휘소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휘소둔로 양측에 설치된 루퍼설비에서 스트립이 파단되었을 때 스트립을 클램핑하기 위한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휘소둔은 냉간 압연된 스트립을 소재로 강 표면에 산화탈탄을 막고 금속적 광택을 잃지 않도록 환원성이나 비산화성 가스의 기류 내에서 소둔을 행하는 것으로, 소둔 후에 그대로 냉각하면 표면의 광택은 상실되지 않고 처음 그대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통상 광휘소둔은 열처리 중에 발생되는 산화와 광택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분위기 가스인 수소를 사용하게 되는 데, 수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광휘소둔로는 스트립의 입측과 출측이 밀폐되어 있는 진공로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휘소둔로를 도시한 도면으로, 가열로(100) 하부의 밀폐박스로 투입되는 스트립(150)은 본체 가열로(100) 상부에 설치된 냉각대(101)를 지나 상부의 가이드롤을 거쳐 수직으로 설치된 리턴덕트(102) 내부를 통하여 밑으로 빠져나오도록 되어 있으며, 이 광휘소둔로 입측과 출측에는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소둔시킬 수 있도록 스트립을 저장하는 루퍼설비가 설치된다.
상기 루퍼설비는 광휘소둔로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롤(111), 상기 하우징 내에 승하강리프트에 위해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상부롤(112)을 포함하여 스트립이 하부롤과 상부롤 에 걸쳐져 저장되고 필요시 상기 상부롤이 하강하면서 저장된 스트립(150)을 일정한 라인 속도로 다음 공정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루퍼설비는 내부에서 스트립이 파단된 경우 상부롤에 걸쳐져 있던 스트립이 아래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낙하되는 스트립에 의해 루퍼 설비가 파손되고 저장되어 있는 스트립에 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파단된 스트립을 다시 통판시키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작업능율이 저하되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휘소둔라인의 루퍼설비 내에서 스트립이 파단된 경우 스트립을 즉시 클램핑하여 아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트립 재 통판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칭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휘소둔로의 루퍼설비에 있어서, 루퍼설비 내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파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루퍼설비의 상부롤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부롤에 걸쳐진 스트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스트립을 상부롤에 대해 이동시켜 스트립을 재통판시키기 위한 통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일반적인 광휘소둔라인의 루퍼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클램핑장치의 일부 구성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광휘소둔로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스트립(150)이 가열되는 가열로(100)와 가열로 상부에 설치된 냉각대(101), 냉각대(101)를 거친 스트립(150)이 진행되는 리턴덕트(102)를 포함하며, 상기 광휘소둔로 입측과 출측에는 광휘소둔로로 진행하는 스트립(150)의 연속적인 진행과 라인 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트립(150)을 저장하는 루퍼설비가 설치된다.
상기 루퍼설비는 수직으로 세워진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롤(111), 상기 하우징(110)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블럭(10), 이 승강블럭(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롤(112),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럭(10)에 연결되어 승강블럭(1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리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리프트는 스프로켓휠과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설비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루퍼설비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럭(10) 일측에 설치되어 스트립(150)의 파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루퍼설비의 상부롤(112)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부롤(112)에 걸쳐진 스트립(150)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스트립(150)을 상부롤(112)에 대해 이동시켜 스트립(150)을 재통판시키기 위한 통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부는 상부롤(112)과 하부롤(111)에 걸쳐지는 스트립(150)의 장력을 이용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롤(112)에 걸쳐진 스트립(150)의 내측에서 양단이 승강블럭(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150)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감지롤(20)과, 이 감지롤(20)의 회전축과 승강블럭(1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감지롤(20)을 스트립(150)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21), 상기 감지롤(20)의 축 선단에 설치되는 감지편(22), 상기 승강블럭(10)에 설치되어 스트립(150) 파단시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감지롤(20)의 감지편(22)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립(15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감지롤(20)은 스트립(150)이 파단되어 장력을 잃게 되면 탄성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감지센서(23)는 상기 감지롤(20)의 감지편(22)을 감지함으로써 스트립(150)의 파단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롤(112)은 통상 3개 정도가 설치되는 데, 각 상부롤(112)에 감지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모둔 상부롤(112)에서의 스트립(150) 파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스트립(150) 파단시 상부롤(112)에서 흘러내려가는 스트립(150)을 클램핑하기 위한 상기 파지부를 살펴보면, 상기 파지부는 승강블럭(10)의 상부에 상부롤(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부롤(112)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상부롤(112)에 길이방향으로 놓여지고 상기 지지부재(30)에 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부롤(112)에 걸쳐진 스트립(150)을 밀착하기 위한 브레이크패드(31), 상기 지지부재(30)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상기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어 브레이크패드(31)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실린더(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트립(150) 파단시 상기 구동실린더(32)가 신장작동되면 브레이크패드(31)가 상기 스트립(150)을 눌러 스트립(150)이 상부롤(112)에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패드(31)는 상부롤(112)의 중앙 즉, 최상부에 위치하며 스트립(150)과의 밀착면이 원호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접지력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판부는 파단된 스트립(150)의 재통판을 위해 상부롤(112)에서 파지된 스트립(15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패드(31)가 설치된 지지부재(30)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지지부재(40)를 따라 승하강되는 지지블럭(41), 이 지지블럭(4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150)이 밀착되는 구동롤(42),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42)에 연결되어 구동롤(4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3),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수직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럭(41)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실린더(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롤(42)이 스트립(150)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3)가 작동되면 스트립(150)이 상부롤(112)을 따라 이동되어 아래로 통판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적인 수둔작업시에는 브레이크패드(31)와 구동롤(42)은 스트립(150)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로 스트립(150)은 상부롤(112)과 하부롤(111)에 걸쳐져 루프설비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루퍼설비내에서 스트립(150)이 파단된 경우에는 본 장치에 의해 상부롤(112)에 걸쳐져 있는 스트립(150)이 파지되고 스트립(150)의 파단 보수가 용이한 루퍼설비 하부로 스트립(150)을 간단히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정상적인 루핑작업하에서는 스트립(150)은 루퍼설비의 하우징(110) 내에서 상부롤(112)과 하부롤(111)에 걸쳐져 진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스트립(150)의 장력에 의해 감지롤(20)이 안쪽으로 눌려져 있게 되어 감지롤(20)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편(22)이 감지센서(23)에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때 스트립(150)이 파단되면 상부롤(112)과 하부롤(111)에 걸쳐져 팽팽하게 유지되고 있던 스트립(150)의 장력이 없어지면서 스트립(150)에 의해 눌려져 있던 감지롤(20)은 스프링(21)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스트립(150)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상기 감지롤(20)의 선단에 설치된 감지편(22)은 승강블럭(10)에 설치된 감지센서(23)에 감지된다.
상기 감지센서(23)의 신호를 인가받은 컨트롤러는 출력신호를 보내 지지부재(30) 상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32)를 즉각 신장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실린더(32)가 신장작동됨에 따라 구동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패드(31)가 하강하여 스트립(150)을 가압하게 되고 스 트립(150)은 브레이크패드(31)와 상부롤(112) 사이에 밀착되어 아래로 낙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스트립(150)이 상부롤(112)에 파지되면 스트립(150)의 파단 위치에 따라 상기 통판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스트립(150)의 파단부위를 루퍼설비 하부로 이동시켜 스트립(150) 파단복구를 하게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패드(31)가 스트립(150)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패드(31) 좌우측의 지지부재(40) 상에 설치된 수직실린더(44)를 신장작동시키게 되면 수직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블럭(41)이 하강하게 되고 이 지지블럭(41)에 설치된 구동롤(42)이 스트립(150)을 상부롤(112)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롤(42)이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구동실린더(32)는 수축작동되어 스트립(150)을 파지하고 있는 브레이크패드(31)를 상승시켜 파지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구동롤(42)에 설치된 구동모터(43)가 작동되어 구동롤(4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구동롤(42)과 상부롤(112) 사이의 스트립(150)을 파단부 접합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휘소둔로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루퍼설비내에서 스트립이 파단된 경우 이를 즉각 파지하여 스트립이 아래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및 스트립의 파손을 방지하고 스트립 복구 및 재통판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파단 복구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수직으로 세워진 하우징과, 이 하우징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부롤, 상기 하우징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블럭, 이 승강블럭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부롤, 상기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블럭에 연결되어 승강블럭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리프트를 포함하는 광휘소둔로의 루퍼설비에 있어서,
    상기 루퍼설비 내에 설치되어 스트립의 파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에 상부롤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롤에 길이방향으로 놓여지고 상기 지지부재에 양단이 승하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부롤에 걸쳐진 스트립을 밀착하기 위한 브레이크패드,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상기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어 브레이크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부롤에 걸쳐진 스트립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상기 상부롤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승하강되는 지지블럭, 이 지지블럭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이 밀착되는 구동롤,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에 연결되어 구동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수직설치되어 상기 지지블럭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실린더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립을 상부롤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통판부
    를 포함하는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상부롤에 걸쳐진 스트립의 내측에서 양단이 승강블럭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감지롤과, 이 감지롤의 회전축과 승강블럭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감지롤을 스트립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 상기 감지롤의 축 선단에 설치되는 감지편, 상기 승강블럭에 설치되어 스트립 파단시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감지롤의 감지편을 감지하기 위한 감 지센서를 포함하는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3. 삭제
KR1020020052133A 2002-08-30 2002-08-30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KR10093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33A KR100930676B1 (ko) 2002-08-30 2002-08-30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33A KR100930676B1 (ko) 2002-08-30 2002-08-30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525A KR20040020525A (ko) 2004-03-09
KR100930676B1 true KR100930676B1 (ko) 2009-12-09

Family

ID=3732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133A KR100930676B1 (ko) 2002-08-30 2002-08-30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34B1 (ko) * 2016-12-20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81B1 (ko) * 2018-11-30 2020-11-11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 소둔로 통판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4410A (ko) * 1972-08-01 1974-03-29
JPH06315707A (ja) * 1993-05-10 1994-11-15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プロセスラインにおけるストリップ2次破断の防止方法
JPH0685358U (ja) * 1993-05-25 1994-12-0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焼鈍炉におけるストリップ拘束装置
KR20010001180A (ko) * 1999-06-02 2001-01-05 이구택 소둔로의 절단 스트립 복구장치
KR20010064201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광휘소둔로 내부 스트립 크램핑장치
KR20010064017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
KR20010109974A (ko) * 2000-06-05 2001-12-12 이구택 스트립 낙하방지 장치
KR20020054420A (ko) * 2000-12-28 2002-07-08 이구택 철판의 역진행방지 기능을 구비한 연속소둔설비의자동통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4410A (ko) * 1972-08-01 1974-03-29
JPH06315707A (ja) * 1993-05-10 1994-11-15 Kawasaki Steel Corp 金属ストリップのプロセスラインにおけるストリップ2次破断の防止方法
JPH0685358U (ja) * 1993-05-25 1994-12-0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焼鈍炉におけるストリップ拘束装置
KR20010001180A (ko) * 1999-06-02 2001-01-05 이구택 소둔로의 절단 스트립 복구장치
KR20010064201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광휘소둔로 내부 스트립 크램핑장치
KR20010064017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
KR20010109974A (ko) * 2000-06-05 2001-12-12 이구택 스트립 낙하방지 장치
KR20020054420A (ko) * 2000-12-28 2002-07-08 이구택 철판의 역진행방지 기능을 구비한 연속소둔설비의자동통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34B1 (ko) * 2016-12-20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525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19048B (zh) 一种银亮钢棒自动探伤智能下料系统
KR100930676B1 (ko) 광휘소둔라인 루퍼설비의 스트립 클램핑장치
KR100502850B1 (ko) 소둔로의 절단 스트립 복구장치
KR200201122Y1 (ko) 광휘소둔로의 댄스롤 상하 유동장치
JP2004307178A (ja) スラブ吊り装置
KR20060097912A (ko) 소둔로 내의 백분 제거장치
KR100761738B1 (ko) 광휘소둔로의 댄스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61718B1 (ko) 수직소둔로 상부롤 오염 제거장치
KR20010064201A (ko) 광휘소둔로 내부 스트립 크램핑장치
KR101951945B1 (ko) 광휘 소둔 라인의 루퍼 장치
KR100868500B1 (ko) 스트립 톱부 오일 제거장치
KR100506410B1 (ko)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200180022Y1 (ko) 용강 정련설비 지금제거 장치
KR20200065969A (ko) 수직 소둔로 벽체 유지보수장치
KR100822974B1 (ko) 롤 표면의 파단 철편 제거장치
KR200175355Y1 (ko) 디스켈러 워크롤 교환 장치
KR100431448B1 (ko) 광휘소둔로의 머플 플러그 인출장치
KR100952643B1 (ko) 용접기 클램프의 스크랫치 방지장치
KR101105896B1 (ko) 스트립 보호장치가 구비된 산세설비
KR101869429B1 (ko) 연속소둔로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100972189B1 (ko) 광휘소둔로의 디프렉트롤 백분 제거장치
KR100732453B1 (ko) 수직소둔로 머플 플러그 인출장치
KR200198003Y1 (ko) 용융아연도금설비의 드로스 회수상자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