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235B1 - 배수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235B1
KR100930235B1 KR1020080045200A KR20080045200A KR100930235B1 KR 100930235 B1 KR100930235 B1 KR 100930235B1 KR 1020080045200 A KR1020080045200 A KR 1020080045200A KR 20080045200 A KR20080045200 A KR 20080045200A KR 100930235 B1 KR100930235 B1 KR 10093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heat
engag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271A (ko
Inventor
양영규
Original Assignee
양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규 filed Critical 양영규
Priority to KR102008004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ven Fabric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합성섬유사 내외측에 발열수단이 배치되어 합성섬유사가 직조될 때 상기 합성섬유사 내외측에서 열이 공급되는 배수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는 직조 플레이트 상에서 배수관의 횡사를 제공하는 횡사 실패; 상기 직조 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의 종사를 제공하는 종사 실패; 상기 직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종사와 횡사가 직조되도록 안내하는 중심축; 상기 횡사 및 종사가 용이하게 직조되도록 상기 횡사와 종사에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기; 및 상기 열공급기에서 제공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직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단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배수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배수관을 매설할 때 자갈이나 모래 등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조밀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이 플렉스블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열처리할 수 있다.
배수관, 중심축, 열공급기

Description

배수관 제조장치{Maunfacturing apparauts of drain tube}
본 발명은 배수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합성섬유사 내외측에 발열수단이 배치되어 합성섬유사가 직조될 때 상기 합성섬유사 내외측에서 열이 공급되는 배수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배수관은 금속제 스프링이나 종사를 갖는 모노필라멘트를 편조하여 제조된다.
금속제 스프링으로 제조되는 배수관은 매설했을 때, 아스팔트 등의 포장에 의해 가압되므로, 스프링 피치 내에 자갈이나 모래 등이 들어가 배수관의 기능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노필라멘트로 편조하여 제조되는 배수관은 편조밀도를 조밀하게 하여 자갈의 침입을 막을 수 있지만, 종사의 조밀도로 인해 플렉스블한 성질이 줄어들어 요철면에의 설치성이나 구부러진 지형에 시공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매설할 때 자갈이나 모래 등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조밀성이 있고 외부의 무게에 충분히 버틸 수 있는 내압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에 플렉스블 한 성질을 가져서 요철면에서의 설치성이나 구부러진 지형에서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배수관을 제조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배수관은 합성섬유사로 횡사와 종사를 구성하여 횡사와 종사를 짜서 제조하였는데, 합성섬유 자체의 탄성력 때문에 제조를 해도 내압성이 충분하지 않고,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수관의 직조 시에 배수관의 관경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의 관경에 맞는 관경 조절 로드를 교체하면서 직조하였는 바, 배수관의 관경을 조절할 때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배수관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합성섬유사의 직조시 다수의 종사를 사용하는 경우, 종사 전부가 균일한 장력으로 제공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종사 전부가 균일한 장력으로 제공되지 않고 제조된 배수관은 관경이 불규칙하며 장시간 배수관의 원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섬유사가 직조될 때 합성섬유사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발열부에 의해 제공되는 열로 합성섬유사가 용이하게 직조되어, 배수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배수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직된 배수관을 히터 파이프를 통과시켜 플렉스블리티 성질을 크게 할 뿐만 아니라 합성섬유사 배수관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도모하는 배수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직되는 배수관의 플렉스블리티 성질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직조 플레이트 상에 단열 커버를 구비하여, 직조될 때 내외측에 배치되는 발열부에 의해 제공되는 열을 더 보열하는 배수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관의 관경을 조절할 때 직경이 다른 관경 조절 로드를 교체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관경을 변경할 수 있는 관경 조절 장치를 구비한 배수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합성섬유사 종사 전부에 균일한 장력을 제공하는 배수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는 직조 플레이트 상에서 배수관의 횡사를 제공하는 횡사 실패; 상기 직조 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의 종사를 제공하는 종사 실패; 상기 직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종사와 횡사가 직조되도록 안내하는 중심축; 상기 횡사 및 종사가 용이하게 직조되도록 상기 횡사와 종사에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기; 및 상기 열공급기에서 제공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직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단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상기 중심축의 외부에는 상기 횡사 및 종사에 열을 제공하는 코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상기 열공급기는 전기 히터 또는 열풍을 토출하는 열풍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상기 단열 커버에는 상기 열풍기의 열풍을 유입하는 열풍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상기 단열 커버는 투명 창의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는 개폐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상기 단열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관의 이동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배수관 안내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는 상기 종사와 횡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상기 배수관의 진행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이 통과하면서 열처리되는 히터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상기 히터 파이프의 외측에는 열선이 감겨있으며, 상기 열선은 보온 단열재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배수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배수관을 매설할 때 자갈이나 모래 등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조밀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이 플렉스블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이 일련의 장치로 연속하여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망상의 배수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직조 플레이트 상에 단열 커버를 구비하여 직조시 횡사 및 종사의 내외측에서 공급되는 열을 더 보열하여 배수관의 플렉스블리티 성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관경 조절 장치에 의하여, 배수관의 관경에 따라 관경 조절 로드를 교체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관경을 변경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하여, 직조되는 종사가 균일한 장력으로 제공되어, 직조된 배수관의 관경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원형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 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직조 플레이트 상부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단열 보호 커버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열공급부가 열풍기인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1)는 직조 플레이트(10), 배수관(20)의 횡사(27)와 종사(25)를 제공하는 횡사 실패(12)와 종사 실패(14), 상기 횡사(27)와 종사(25)가 직조되도록 안내하는 중심축(15) 및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의 상기 횡사(27)와 종사(25)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기(도 4의 50)를 포함한다.
상기 직조 플레이트(10)에는 도 1의 배수관(20)에서 횡사(27)가 되도록 합성섬유사를 제공하는 횡사 실패(12)가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직조 플레이트(10) 상의 다수의 회전 플레이트(11)가 배치되며, 상기 횡사 실패(12)는 상기 다수의 회전 플레이트(11) 각각에 2추가 안착되어 종사(25)를 기준으로 2추의 횡사실패(12)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횡사(27)를 공급하여 배수관(20)이 직조되도록 한다. 상기 종사(25) 및 횡사(27)는 방향 전환롤(22)의 구동에 의해 상부로 공급된다.
상기 종사 실패(14)는 상기 직조 플레이트(10)의 외측, 바람직하게는 직조 플레이트(10)의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횡사(27)와 직조되어 도 1의 배수관(20)에서 종사(25)가 되도록 합성섬유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배수관 제조장치(1)에 의하면, 직조 플레이트(10) 하부에 구비되는 종사 실패(14)는 상기 직조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종사 안내 튜브(18)를 거쳐 상기 횡사(27)와 직조되도록 상기 종사(25)를 상부로 공급한다. 상기 종사(25)의 상승도, 직조된 배수관을 상승시키는 방향 전환롤(22)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종사 실패(14)는 상기 배수관(20)을 구성하는 종사(25)의 수에 따라 결정되며 배수관의 성질에 따라 4추 내지 8추로 제조된다.
상기 횡사 실패(12) 및 종사 실패(14)는 합성섬유사가 실패에 잘 감겨지고 용이하게 풀어지지 않도록, 종사와 횡사는 각각의 실패에 감길 때 미리 약 120℃로 열처리 되면서 감겨진다.
배수관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섬유사는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수지, 폴리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심축(15)은 상기 종사(25)와 횡사(27)가 접하면서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핸들(16)을 구비한다. 상기 핸들(16)은 상기 종사(25)와 횡사(27)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견고히 직조되도록 상기 종사(25)와 횡사(27)를 팽팽하게 지지한다.
상기 핸들(16)을 접하면서 직조되는 종사(25)와 횡사(27)는 직조시 생기는 망의 간격을 조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배수관(20)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15)의 외부에는 상기 횡사 및 종사에 열을 제공하는 코일(17)이 형성된다. 상기 코일(17)은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의 종사(25) 및 횡사(27)의 내측으로 열을 제공한다.
상기 열공급기(50)는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의 저부, 외부 또는 내부에서 상기 종사(25)와 횡사(27)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종사(25)와 횡사(27)의 유연성을 더할 수 있어 용이한 직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열공급기(50)는 전기 히터나 열풍기일 수 있으며, 상기 열공급기(50)에서 제공되는 열의 온도는 100℃ 내지 140℃이며, 상기 중심축(15)에 끼워지는 히터 코일(17)에서 제공되는 열의 온도는 230℃ 내지 2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1)는 상기 열공급기에서 제공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는 단열 커버(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열 커버(70)는 횡사실패(12), 중심축(15), 직조된 배수관(20) 등을 전부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하부는 직조 플레이트(10)에 놓여지며 상부는 직조된 배수관(2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단열 커버(70)는 깔대기 형상이며,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에서의 열을 가두어, 열이 상기 단열 커버(70) 내에서 수차례 회전하면서 상기 종사(25)와 횡사(27)를 가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커버(70)는 투명 창의 도어(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횡사 실패(12)의 교체를 위해 상기 도어(74)는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열 커버(70)의 재질은 양철인 것이 바람직하나, 열에 대한 내성을 전제로 투명 글래스나 플라스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 커버(70)의 상부는 직조된 배수관(20)의 관경에 맞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배수관 안내 튜브(72)가 상기 배수관(20)의 이동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 안내 튜브(72)에도 열이 공급되어 배수관(20)의 상승시에도 계속적으로 배수관(20)에 열을 가할 수 있어 상기 배수관(20)의 플렉스블리티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공급기(50)가 직조 플레이트(10) 외부에 배치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단열 커버(70)에는 상기 열공급기(50)의 열풍을 유입하는 열풍 유입구(7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넓은 관경의 배수관을 직조할 때 관경 조절 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좁은 관경의 배수관을 직조할 때 관경 조절 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1)의 배수관 관경 조절 장치의 모습과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배수관 관경 조절 장치는 상기 중심축(15)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수관(2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관경 조절 로드(42) 및 상기 관경 조절 로드(42)에 업다운 되면서 배수관(20)의 관경을 조절하는 관경 조절 링(40)을 포함한다.
상기 관경 조절 로드(42)는 직조되는 배수관(20)이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배수관(20)은 상기 관경 조절 링(40)이 상기 관경 조절 로드(42)의 원추형상의 어느 부분에 배치되는 가에 따라 원추형상에 따라 그 관경이 조절된다.
즉, 상기 관경 조절 링(40)은 상기 관경 조절 로드(42)에서 업다운 되면서 상기 배수관(20)의 관경을 조절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경 조절 링(40)이 상기 원추형상의 관경 조절 로드(42)의 하부에 위치, 즉 A 지점에 위치할 때는 상기 배수관(20)의 관경(D1)은 크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경 조절 링(40)이 상기 원추형상의 관경 조절 로드(42)의 상부에 위치, 즉 B 지점에 위치할 때는 상기 배수관(20)의 관경(D2)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관경 조절 링(40)의 업다운은 외부의 높이 조절 레버(44)에부착되어 상기 높이 조절 레버(44)의 상하운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경 조절 장치는 직조되는 배수관(20)의 관경에 따라 매번 규격에 맞는 관경 조절 로드를 교체할 필요없이 관경 조절 링(40)의 상하운동만으로 배수관(20)의 직경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관(20)의 관경 조절 작업이 단순하게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1)의 장력 조절 장치의 모습과 작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1)의 장력 조절 장치(80)는 상기 직조 플레이트(10)로 제공되는 종사에 미리 장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 조절 장치(80)는 종사(25)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나선 형상의 종사 이동 홈(85)이 형성된 한 쌍의 장력 조절 부재(84, 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사(25)는 한 쌍의 장력 조절 부재(84, 86)의 나선 형상의 종사 이동 홈(85)을 거쳐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의 종사 안내 튜브(18)로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장력 조절 부재(84, 86)는 상부 장력 조절 부재(86)와 하부 장력 조절 부재(84)로 이루어지며, 기어구조(87)에 의해 하나의 장력 조절 부재(86)이 회전으로 다른 하나의 장력 조절 부재(84)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우선, 바람직하게 8개의 종사 실패(14)에서 제공되는 8가닥의 종사(25)는 장력 조절 부재(84)로 유입되기 전 종사 통합 홀(82)을 통해 합쳐진다. 상기 종사 통합 홀(82)을 거쳐 합쳐진 종사(25)는 나선 형상으로 4 내지 6개 파여진 하부 장력 조절 부재(84)의 종사 이동 홈(85)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장력 조절 부재(84)의 종사 이동 홈(85)과 하나의 홈만큼 이격된 동일 형상의 상부 장력 조절 부재(86)의 종사 이동 홈(85)으로 이동한다. 상기 종사(25)는 상기 하부 장력 조절 부재(84)와 상부 장력 조절 부재(86)의 종사 이동 홈(85)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8"자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다. 합쳐진 종사(25)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장력 조절 부재(84, 86)의 종사 이동 홈(85)을 나선형으로 이동하면서 장력이 균일하게 되며, 균일한 장력의 종사는 다시 종사 분산 홀(88)을 통과하여 각각 상기 직조 플레이트(10) 상의 종사 안내 튜브(18)로 이동한다.
상기 한 쌍의 장력 조절 부재(84, 86)는 상기 종사(25)의 상승에 따라 동일한 회전 속도로 상대 회전하여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종사(25)가 동일한 장력으로 직조가 일어나는 직조 플레이트(10) 상으로 제공되므로, 직조된 배수관(20)의 관경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원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히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수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파이프의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배수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1)의 직조된 배수관(20)은 상기 배수관(2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20)이 통과되면서 열처리되는 히터 파이프(3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조된 배수관(20)이 상승하며, 방향 전환롤(22)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히터 파이프(30)를 통과하며, 히터 파이프(30) 통과 후 다시 방향 전환롤(24)을 통해 하강하면서 수거된다.
상기 히터 파이프(30)는 직조된 배수관(20)이 플렉스블한 성질을 가지도록 상기 배수관(20)을 열처리한다. 열처리된 배수관(20)의 플렉스블한 성질은 요철이 있는 지역이나 수직으로 꺽이는 지역에서도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 파이프(30)의 구성은 배수관(20)이 이동되는 내부 스틸 파이프(31), 상기 내부 스틸 파이프(31)의 외측에 감기는 열선(33), 상기 열선(33)을 둘러싸는 외부 스틸 파이프(35) 및 상기 외부 스틸 파이프(35) 외부에서 상기 열선(33)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온 단열재(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히터 파이프(30)로 상기 히터 파이프(30)를 통과하는 배수관(20)은 상기 직조된 배수관(20)에 230℃ 내지 250℃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배수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배수관을 매설할 때 자갈이나 모래 등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조밀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이 플렉스블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이 일련의 장치로 연속하여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망상의 배수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직조 플레이트 상에 단열 커버를 구비하여 직조시 횡사 및 종사의 내외측에서 공급되는 열을 더 보열하여 배수관의 플렉스블리티 성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관경 조절 장치에 의하여, 배수관의 관경에 따라 관경 조절 로드를 교체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관경을 변경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하여, 직조되는 종사가 균일한 장력으로 제공되어, 직조된 배수관의 관경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원형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직조 플레이트 상부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단열 보호 커버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열공급부가 열풍기인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넓은 관경의 배수관을 직조할 때관경 조절 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좁은 관경의 배수관을 직조할 때 관경 조절 장치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장력 조절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의 히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수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 파이프의 횡방향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배수관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직조 플레이트 12: 횡사 실패
14: 종사 실패 15: 중심축
20: 배수관 30: 히터 파이프
50: 열공급부 70: 단열 커버
80: 장력 조절 장치

Claims (8)

  1. 직조 플레이트 상에서 배수관의 횡사를 제공하는 횡사 실패;
    상기 직조 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의 종사를 제공하는 종사 실패;
    상기 직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종사와 횡사가 직조되도록 안내하는 중심축;
    상기 횡사 및 종사가 용이하게 직조되도록 상기 횡사와 종사가 직조되기 전에 상기 횡사와 종사에 열을 제공하는 열공급기; 및
    상기 열공급기에서 제공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직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단열 커버;를 포함하는 배수관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외부에는 상기 횡사 및 종사에 열을 제공하는 코일이 형성되는 배수관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기는 전기 히터 또는 열풍을 토출하는 열풍기인 배수관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에는 상기 열풍기의 열풍을 유입하는 열풍 유입구가 형성되는 배수관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는 투명 창의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는 개폐가능한 배수관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관의 이동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는 배수관 안내관이 형성되는 배수관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사와 횡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상기 배수관의 진행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이 통과하면서 열처리되는 히터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파이프의 외측에는 열선이 감겨있으며, 상기 열선은 보온 단열재로 둘러싸이는 배수관 제조장치.
KR1020080045200A 2008-05-15 2008-05-15 배수관 제조장치 KR100930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200A KR100930235B1 (ko) 2008-05-15 2008-05-15 배수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200A KR100930235B1 (ko) 2008-05-15 2008-05-15 배수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71A KR20090119271A (ko) 2009-11-19
KR100930235B1 true KR100930235B1 (ko) 2009-12-09

Family

ID=4160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200A KR100930235B1 (ko) 2008-05-15 2008-05-15 배수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294B1 (ko) * 1985-12-23 1990-05-14 풍남산업 주식회사 심사층으로 보강된 합성수지 호오스의 제조방법
KR920006468B1 (ko) * 1990-01-11 1992-08-07 이교일 가요성(可堯性)관상체 직물의 열처리장치
JP2001254873A (ja) * 2000-03-10 2001-09-21 Kuraray Plast Co Ltd 網状樹脂管の製法
KR100827271B1 (ko) 2007-10-22 2008-05-07 심일웅 합성수지 고압호스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294B1 (ko) * 1985-12-23 1990-05-14 풍남산업 주식회사 심사층으로 보강된 합성수지 호오스의 제조방법
KR920006468B1 (ko) * 1990-01-11 1992-08-07 이교일 가요성(可堯性)관상체 직물의 열처리장치
JP2001254873A (ja) * 2000-03-10 2001-09-21 Kuraray Plast Co Ltd 網状樹脂管の製法
KR100827271B1 (ko) 2007-10-22 2008-05-07 심일웅 합성수지 고압호스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71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7073B2 (en) Method of producing protective tubes
RU2015149039A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е слоистые материалы, содержащие систему отверстий, получаемые регулируемой выкладкой волокон
KR100930235B1 (ko) 배수관 제조장치
KR100892602B1 (ko) 배수관 제조장치
SK287460B6 (sk) Ochranná rúrka pre káble alebo potrubia
KR100892603B1 (ko) 배수관 제조장치
HUE033613T2 (en) Structure of grouped metal fibers in parallel position for reinforcement of road surfaces, manufacturing process and installation
CN105358501A (zh) 具有耐磨性包覆层的复合杆
US10753017B2 (en) Insulating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4846556B (zh) 连续生产纺粘型非织造幅料的设备
KR101229560B1 (ko) 고강도 저신율의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84825B1 (ko) 미끄럼 방지용 매트 직조장치
KR20050018069A (ko) 텍스타일 유리섬유 지오 그리드와 그 제조시스템 및제조방법
KR102137808B1 (ko) 안전 네트 및 안전 네트용 고정 유닛
JP7374914B2 (ja) 人工芝生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2680B1 (ko)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JP5766698B2 (ja) 地面覆い構造体、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20160102457A1 (en) Method of making a rigid fiber grid
KR101112087B1 (ko) 신율이 우수하고 변형과 접점 강도를 개선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CN110578203B (zh) 一种单向高速经编机
JP3432765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ラダーコード及び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KR20090102565A (ko) 알엠원단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권취롤러장치
KR101066966B1 (ko)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KR20200007757A (ko) 필라민트사로 제직한 방충망원단
CN106544919A (zh) 用于舒展辊的套体和舒展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