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80B1 -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 Google Patents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80B1
KR101122680B1 KR1020090067170A KR20090067170A KR101122680B1 KR 101122680 B1 KR101122680 B1 KR 101122680B1 KR 1020090067170 A KR1020090067170 A KR 1020090067170A KR 20090067170 A KR20090067170 A KR 20090067170A KR 101122680 B1 KR101122680 B1 KR 10112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weaving
continuous carbon
fabric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91A (ko
Inventor
박종현
이세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앤에프
Priority to KR102009006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3/00Multiple looms, i.e. two or more looms assembled together, whether or not they have mechanisms in comm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D01F9/133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1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9/2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acrylonitri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3/00General weaving methods not special to the production of any particular woven fabric or the use of any particular loom; Weave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ingle group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52Shuttl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가 삽통(揷痛)되는 회전축(102)이 설치된 오프너부(100)와, 상기 오프너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에 수분을 침투시키는 워터분사부(200)와, 상기 워터분사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를 위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장치부(300)로 구성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직조장치부(300)는, 경사(312)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310); 상기 경사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12)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320a, 320b); 연속탄소섬유(402)를 상기 경사(312)에 일정한 주기로 걸려지도록 좌우 이동하는 셔틀(330); 및 상기 셔틀(330)의 좌우 이동 동작에 따라 형성된, 연속탄소섬유(402)와 경사(312)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500)을 권취하는 권취롤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직물, 일방향탄소섬유, 직조, 위사, 경사

Description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LOOM SYSTEM FOR MANUFACTURING UNIDIRECTIONAL CARBON FIBER FABRIC AND UNIDIRECTIONAL CARBON FIBER FABRIC THEREOF}
본 발명은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직조 공법을 통해 탄소프리폼을 형성하는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제조를 자동화함으로써 탄소프리폼의 생산성을 높이고, 또한, 탄소프리폼을 형성하는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면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탄소프리폼 내의 연속탄소섬유의 배열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탄소프리폼의 물리적 성질을 강화할 수 있는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프리폼을 형성하는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제조 공정에서는, 1. 토우 형태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탄소섬유(Oxi-PAN Fiber, Carbon Fiber) 다발을 평면으로 펼친 후 니들펀칭 장비 등을 이용하여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2. 탄소섬유 웹(Web)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평면으로 펼쳐진 토우 형태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탄소섬유 다발 위에 탄소섬유 웹을 니들펀칭 장비 등을 이용하여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들은 제조 공법의 특성상 통상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수작업으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면적 조절 및 생산성에 한계가 발생되고, 이는 탄소프리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에 장해가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수작업으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일방향성, 면밀도 균일분포성, 연속탄소섬유의 균일배향성이 낮아지며, 이는 탄소프리폼의 물리적 성질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균일하지 못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은 니들펀칭 공법을 이용한 탄소프리폼 제조시에 니들의 부러짐을 유발하고, 부러진 니들이 포함된 탄소프리폼은 제품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펀칭 장비에 적용되는 니들(50)은 니들펀칭 동작시에 탄소프리폼 표면으로부터 아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토우 형태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의 필라멘트를 끌고 내려가 층과 층 사이를 결합해 주는 부품이다.
탄소프리폼을 구성하는, 평면으로 펼쳐진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이 균일하지 않으면 니들펀칭 공정시에 니들(50)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는 Z축 보강이 미흡하거나 니들(50)이 부러지는 현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탄소섬유(Oxi-PAN Fiber, Carbon Fiber)를 사용한 직조 공법을 통해, 탄소프리폼을 형성하는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일방향성, 면밀도 균일분포성, 탄소섬유의 균일배향성으로 탄소프리폼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직조 공법의 자동화를 통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생산성 향상으로 탄소프리폼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직조 공법의 기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의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의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가 삽통(揷痛)되는 회전축(102)이 설치된 오프너부(100)와, 상기 오프너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에 수분을 침투시키는 워터분사부(200)와, 상기 워터분사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를 위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장치부(300)로 구성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직조장치부(300)는,
경사(312)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310);
상기 경사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12)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320a, 320b);
연속탄소섬유(402)를 상기 경사(312)에 일정한 주기로 걸려지도록 좌우 이동하는 셔틀(330); 및
상기 셔틀(330)의 좌우 이동 동작에 따라 형성된, 연속탄소섬유(402)와 경사(312)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500)을 권취하는 권취롤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프너부(100)는 수직 절곡한 'ㄴ'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ㄴ'형의 플레이트 중의 평면부(100a)에는 원통형의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가 삽통(揷痛)되는 회전축(102)이 설치되고, 상기 'ㄴ'형의 플레이트 중의 측면부(100b)에는 상기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사(402)가 관통하는 홀(104)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회전축(102)이 설치된, 평면부(100a)의 중앙 부분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워터분사부(200)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부에는 별도의 자동 물 분사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기 직조 시스템의 측면 절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기 직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셔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 고, 도 4는 상기 직조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연속탄소섬유와 경사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은 탄소프리폼을 형성하는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은 크게 오프너부(100)와, 워터분사부(200)와, 직조장치부(300)로 구성된다. 또한, 직조장치부(300)는 경사(312)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310)와, 상기 경사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12)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320a, 320b)와, 연속탄소섬유(402)를 상기 경사(312)에 일정한 주기로 걸려지도록 좌우 이동하는 셔틀(330)과, 상기 셔틀(330)의 좌우 이동 동작에 따라 형성된, 연속탄소섬유(402)와 경사(312)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500)을 권취하는 권취롤러(340), 및 상기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7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의 미설명 부호 350은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구조의 경사진입틀이고, 미설명 부호 360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2개조의 벌림용 핀이며, 미설명 부호 380은 위사인 연속탄소섬유의 면밀도 조절장치이다.
본 발명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에는, 일방향탄소섬유로서 산화섬유(Oxidation PAN Fiber)와 탄소섬유(Carbon PAN Fiber)가 모두 적용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에는 3K~24K의 탄소섬유를 적용할 수 있다. 참고로, 탄소섬유는 그 특성상 표면에 사이 징(sizing) 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셔틀(330)의 좌우 왕복 이동 동작에 따라 탄소섬유를 구성하는 각 필라멘트 가닥이 풀리는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산화섬유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표면에 사이징 처리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셔틀(330)의 좌우 왕복 이동 동작에 따라 산화섬유를 구성하는 각 필라멘트 가닥이 퍼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소섬유가 직조 장치로 이동되는 동안, 산소섬유를 구성하는 각 필라멘트 가닥이 풀리면서 장치 주변부위에 걸릴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정 진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의 오프너부(100)와, 워터분사부(200)는 상술한 일방향탄소섬유(예를 들면, 산화섬유 또는 탄소섬유)의 각 필라멘트 가닥이 퍼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 요소이다.
오프너부(100)는 셔틀(330)의 이동시 발생되는 연속탄소섬유(402)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프너부(100)는 예를 들면, 수직 절곡한 'ㄴ'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ㄴ'형의 플레이트 중의 평면부(100a)에는 원통형의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가 삽통(揷痛)되는 회전축(10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ㄴ'형의 플레이트 중의 측면부(100b)에는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사(402)가 관통하는 홀(10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회전축(102)이 설치된, 평면부(100a)의 중앙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02)은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가 삽통된 상태로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셔틀(330)의 이동 동작에 의해 끌려나가는 연속탄소섬유(402)의 풀림을 매끄럽게 할 수 있으므로, 연속탄소섬유(402)의 손상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워터분사부(200)는 측면부(100b)의 홀(104)을 통과한 연속탄소섬유(402)에 수분을 침투시켜 연속탄소섬유(402)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가닥들이 최대한 응집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워터분사부(200)는 예를 들면, 외부에 공개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워터분사부(200)에서 직접, 예를 들면, 분무기 등의 물 분사 도구를 이용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고, 또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의 상부에 별도의 자동 물 분사 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워터분사부(200)를 통과하는 연속탄소섬유(402)에 물을 자동으로 분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직조장치부(300)에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의 필라멘트 가닥들을 최대한 응집할 수 있으므로, 섬유의 퍼짐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워터분사부(200)를 통과한 연속탄소섬유(402)는 셔틀(330)을 통해, 직조장치부(300)에 위사로서 공급된다.
경사공급부(310)는 경사(312)를 공급하는 장치 요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사공급부(310)는 경사(312)를 감고 있다가 점차적으로 풀어서 경사(312)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경사섬유 다발체(311)와, 경사섬유 다발체(311)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12)를 안내하는 안내핀(314) 및 안내가이드(316)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경사(312)로서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경사공급부(310)는 콘트롤러(370)의 제어하에 이송롤러(320a, 320b)의 회전 동작에 따라 연속하여 경사(312)를 공급한다.
경사공급부(310)(안내가이드(316))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12)는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구조의 경사진입틀(350)을 통과한 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2개조의 벌림용 핀(360)을 관통한다.
2개조의 벌림용 핀(360)은 경사(312)를 상층의 경사와 하층의 경사로 분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2개조의 벌림용 핀(360)은 일정한 간격, 예를 들면 3㎜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제1조와 제2조로 구성되는 벌림용 핀(360)은 각 제1조 및 제2조의 벌림용 핀이 서로 상이한 높이로 설치된다. 즉,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조의 높은 핀(360a)을 통과하는 경사(312)와 제2조의 낮은핀(360b)을 통과하는 경사(312)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를 셔틀(330)이 통과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속탄소섬유(위사)(402)와 경사(312)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500)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셔틀(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탄소섬유(402)를 경사(312)에 일정한 주기로 걸려지도록 좌우 왕복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셔틀(330)의 구조와 그것의 구체적인 구동 동작들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권취롤러(340)는 셔틀(330)의 좌우 이동 동작에 따라 형성된, 연속탄소섬유(402)와 경사(312)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500)을 권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일방향탄소섬유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조 시스템(10)을 구동시키기 전에,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를 오프너부(100)의 회전축(102)에 설치한 후, 연속탄소섬유사(402)의 끝단이 홀(104)을 관통하여 셔틀(330)과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경사공급부(310)에 복수의 경사섬유 다발체(311)를 설치한 후, 각 경사섬유(312)가 안내핀(314), 및 안내가이드(316)를 통해 경사진입틀(350)의 각 미세 홈을 관통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제1조(360a) 및 제2조(360b)의 각 벌림용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각 벌림용 핀(360a, 360b)을 관통한 경사(312)의 끝단은 권취롤러(340)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콘트롤러(3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사공급부(310)는 이송롤러(320a, 320b) 및 권취롤러(340)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일정한 주기로 경사(312)를 공급하고, 셔틀(330)은 일정 주기의 좌우 왕복 동작을 수행하면서, 직조장치부(300) 내에 공급되는 경사(312)의 사이 공간(즉, 제1조(360a) 및 제2조(360b)의 각 벌림용 핀에 의해 형성된 각 경사(312)의 사이 공간)으로 연속탄소섬유(402)를 침투시킨다. 이때, 면밀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연속탄소섬유의 형성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면밀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위사로서 연속탄소섬유(402)가 적용되고, 일정한 면밀도 및 균일한 배열구조를 가진 일방향탄소섬유 직물(500)이 제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상기 직조 시스템의 측면 절개도.
도 3은 도 1의 상기 직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셔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상기 직조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연속탄소섬유와 경사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니들 펀칭 장비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100: 오프너부
100a: 평면부 100b: 측면부
200: 워터분사부 300: 직조장치부
310: 경사공급부 311: 경사섬유 다발체
312: 경사 320a, 320b: 이송 롤러
330: 셔틀 340: 권취 롤러
350: 경사진입틀 360: 벌림용 핀
370: 콘트롤러 380: 면밀도 조절장치
400: 연속탄소섬유 다발체 402: 연속탄소섬유사

Claims (4)

  1. 원통형의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가 삽통(揷痛)되는 회전축(102)이 설치된 오프너부(100)와, 상기 오프너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에 수분을 침투시키는 워터분사부(200)와, 상기 워터분사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402)를 위사로 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장치부(300)로 구성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직조장치부(300)는,
    경사(312)를 공급하는 경사공급부(310);
    상기 경사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되는 경사(312)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320a, 320b);
    연속탄소섬유(402)를 상기 경사(312)에 일정한 주기로 걸려지도록 좌우 이동하는 셔틀(330); 및
    상기 셔틀(330)의 좌우 이동 동작에 따라 형성된, 연속탄소섬유(402)와 경사(312)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의 직물(500)을 권취하는 권취롤러(340)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분사부(200)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부에는 별도의 자동 물 분사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부(100)는 수직 절곡한 'ㄴ'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ㄴ'형의 플레이트 중의 평면부(100a)에는 원통형의 연속탄소섬유 다발 체(400)가 삽통(揷痛)되는 회전축(10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ㄴ'형의 플레이트 중의 측면부(100b)에는 상기 연속탄소섬유 다발체(400)로부터 공급되는 연속탄소섬유사(402)가 관통하는 홀(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기 회전축(102)이 설치된, 평면부(100a)의 중앙 부분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직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고, 위사로서 연속탄소섬유(402)가 적용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KR1020090067170A 2009-07-23 2009-07-23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KR10112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70A KR101122680B1 (ko) 2009-07-23 2009-07-23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170A KR101122680B1 (ko) 2009-07-23 2009-07-23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91A KR20110009791A (ko) 2011-01-31
KR101122680B1 true KR101122680B1 (ko) 2012-03-12

Family

ID=4361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170A KR101122680B1 (ko) 2009-07-23 2009-07-23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859B1 (ko) * 2019-04-08 2019-11-01 서기복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KR102039858B1 (ko) * 2019-04-08 2019-11-01 서기복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665B1 (ko) 2020-09-08 2021-01-05 주식회사 피치앤글로비스 탄소사 발열직물 직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145A (ja) * 2000-10-10 2002-04-19 Mitsubishi Rayon Co Ltd 補強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100822409B1 (ko) * 2007-01-10 2008-04-17 박경희 복합재료시트 직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145A (ja) * 2000-10-10 2002-04-19 Mitsubishi Rayon Co Ltd 補強繊維織物の製造方法
KR100822409B1 (ko) * 2007-01-10 2008-04-17 박경희 복합재료시트 직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859B1 (ko) * 2019-04-08 2019-11-01 서기복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KR102039858B1 (ko) * 2019-04-08 2019-11-01 서기복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91A (ko)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15B1 (ko) 보행매트 직조기
WO2005090664A1 (ja) 等方性ピッチ系炭素繊維紡績糸、それを用いた複合糸及び織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02234861A (zh) 一种超细旦、多孔锦纶面料的织造方法
US20110155276A1 (en) Loom for producing a woven article with a profiled cross section, in particular a rope
KR101122680B1 (ko)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KR101757678B1 (ko) 코아 네트 직조장치
CN103215727B (zh) 一种超细布料生产工艺
JP2006336183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織機の織物製織装置
CN103624849B (zh) 捞纸竹帘编织机
JP3089984B2 (ja) 補強織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1394845U (zh) 一种拉舍尔经编机的分纱针
CN102191626B (zh) 一种表面绕设有缠绕体的复合织带及其编织方法及织带编织机
CN111607882B (zh) 一种波纹丝垫布的制备装置及方法
CN203697185U (zh) 捞纸竹帘编织机
KR102039858B1 (ko)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KR101279668B1 (ko)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CN212451826U (zh) 一种可用于三维正交织物织造的纺织装置
JPH08337960A (ja) 補強用織物の製造方法
CN109056155A (zh) 一种纤维布斜纹织造工艺
CN217757832U (zh) 可实现织造用捕边纱循环工作的机构
CN214218990U (zh) 一种高模量碳纤维织物编织系统
KR101100599B1 (ko) 커튼 제직용 실 제조방법
KR102147945B1 (ko) 사이드 링을 형성하는 세폭직물 제조방법
KR101223337B1 (ko) 열선망 제직기
CN203700866U (zh) 捞纸竹帘编织机用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