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59B1 -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 Google Patents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59B1
KR102039859B1 KR1020190040517A KR20190040517A KR102039859B1 KR 102039859 B1 KR102039859 B1 KR 102039859B1 KR 1020190040517 A KR1020190040517 A KR 1020190040517A KR 20190040517 A KR20190040517 A KR 20190040517A KR 102039859 B1 KR102039859 B1 KR 10203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ust
weft
drug applicator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복
Original Assignee
서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기복 filed Critical 서기복
Priority to KR102019004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2Climatic conditioning or removing lint or du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6Controlling a group of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직조장치에서 직물의 측면에 별도의 보조 직물을 더 설치하도록하여 염색과정에서 발생하는 올풀림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조된 직물이 통과되는 프레임 바디(60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경사를 감고 있다가 점차적으로 풀어서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부(61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직조를 위해 위사를 감고 있다고 점차적으로 풀어서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부(620)와; 상기 경사 공급부로부터 송출되는 경사를 2군으로 나누어 각 군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운동을 하여 반복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이후 위사가 유입되게 될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기 각 군의 경사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경사 개구 형성부(630)와; 상기 위사 위입후 전진하여 위입된 상기 위사를 타격하여 치밀성을 부여하는 수평 타격부(640)와; 상기 프레임 바디를 통과하면서 직조된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권취부(65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측면에 설치되며, 직물의 측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장치에 다수가닥의 측면용 경사가 제공될 수 있도록하여, 측면용 경사와 위사가 결합되면서 측면용 보조 직물(670)이 짜여지도록 하는 측면용 보조 경사 공급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LOOM SYSTEM FOR MANUFACTURING FABRIC}
본 발명은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직조장치에서 직물의 측면에 별도의 보조 직물을 더 설치하도록하여 염색과정에서 발생하는 올풀림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경사(經絲, 날실)와 위사(緯絲, 씨실)의 반복적인 짜임에 의해 평면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단순히 직물이라 함은 도 1과 같이 경사(k)와 위사(w)가 90°의 수직된 각도로 짜여진 평직 직물(10)을 의미한다.
한편, 바이어스(bias) 직물(20)이란, 도 2와 같이, 경사(k)와 위사(w)의 짜임 각도가 90°이외의 비스듬한 각도를 갖는 것으로, 평직 직물(10)에 비해 장력과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어, 의류의 칼라, 밴드 및 공업용 벨트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어스 직물(20)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대표적인 방법은, 먼저 도 1과 같은 평직 직물(10)을 직조하여 마련한 다음 해당 평직 직물(10)의 양쪽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짜임 각도가 비스듬하게 변경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먼저 통상적인 직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평직 직물(10)을 직조한 후에 추가적인 각도 부여 가공을 통해 제조하게 되므로, 우선은 해당 장치(100)를 통해 한번에 바로 직조되지 못함에 따라, 생산성이 매우 저하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조된 평직 직물(10)에 대해 추가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바이어스를 주게 되므로, 인위적인 힘을 추가로 가함에 따라 그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대폭 저하되게 되어 고유의 고장력 및 고내구성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없게 됨에 따라 품질도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에 있어, 평직 직물(10)을 직조하는 통상적인 직조장치(즉, 직조기)(100)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 하기로 한다.
직조장치(100)는, 크게 경사(k) 송출 운동, 경사(k) 개구 형성 운동, 위사(w) 위입(緯入) 운동, 위사(w) 위타(緯打) 운동 및 직물(10) 권취 운동의 조합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즉, 다수 가닥으로 일렬되는 경사(k)를 연속적으로 송출하기 위해 일측에 구비되는 경사송출부(110)와, 경사송출부(110)로부터 송출되는 경사(k)를 2군으로 나누어 각 군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운동을 하여 반복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이후 위사(w)가 위입되게 될 개구를 형성하게 되는 경사개구형성부(120)와, 형성된 경사(k)의 개구 사이로 위사(w)를 교차되는 방향으로 통과시켜 끼워 넣게 되는 위사위입부(140)와, 경사(k)의 개구 사이로 위사(w)가 끼워진 후에 전진 이동하여 끼워진 위사(w)를 타격하여 치밀성을 부여함으로써 직물(10)로 직조되도록 하게 되는 바디(body)(130)와, 직조된 평직 직물(10)을 감게 되는 직물권취부(150)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경사송출부(110)는, 경사(k)를 감고 있다가 점차적으로 풀어서 공급하게 되는 경사공급롤러(roller)(112)와, 이 경사공급롤러(112)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경사공급롤러(112)로부터 공급되는 경사(k)의 진행을 안내하게 되는 경사안내가이드(guide)(11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한 경사개구형성부(120)는, 위 아래로 벌어져 2군의 경사(k)가 서로 벌어지도록 하게 되는 상하 한쌍의 종광(heald)(122)을 구비하며, 각 종광(122)이 상, 하사점에 도달하여 서로 벌어졌을 때 위사(w)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한 위사위입부(140)는, 위사(w)를 끼워 넣기 위한 수단으로 잘 알려진 래피어(rapier), 셔틀(shuttle)(142), 글리퍼(gripper), 워터 제트(water jet), 에어 제트(air jet) 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디(130)는,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경사(k)의 개구 사이로 위사(w)가 끼워진 후에 전진 이동되어 끼워진 위사(w)를 타격하여 치밀한 직물(10)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진하여 위사(w)를 타격한 후에는 후진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며, 즉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바디(130)는, 사각형의 외곽틀(132)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일렬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수직된 바디살(134)을 포함하며, 이들 바디살(134)간의 사이로 경사(k)가 통과되게 되고, 해당 바디살들(134)의 전면측이 끼워진 위사(w)를 접촉하여 타격하게 된다.
상기한 직물권취부(150)는, 직조된 평직 직물(10)을 권취하는 것으로, 직조된 평직 직물(10)의 진행을 안내하게 되는 직물안내가이드(152)와, 이 직물안내가이드(152)에 의해 안내되면서 진행된 평직 직물(10)을 최종적으로 권취하게 되는 직물권취롤러(154)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그 작용은, 먼저 일측의 경사공급롤러(112)가 회전 구동되어 감고 있던 다수 가닥의 경사(k)를 풀어서 공급하게 되며, 공급되는 경사들(k)은 경사안내가이드(114)에 의해 그 진행방향이 변경되면서 계속 진행되게 되고, 진행되는 도중의 경사들(k)은 경사개구형성부(120)의 한쌍의 종광(122)에 의해 그들 사이가 벌어지게 되며, 이어서 벌어진 경사들(k) 사이로 위사위입부(140)의 작용에 의해 위사(w)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삽입되게 되고, 위사(w)가 삽입된 후에 바디(130)가 전진하면서 그 다수개의 바디살(134)로 삽입된 위사(w)를 타격하여 치밀성을 부여함으로써 평직 직물(10)이 직조되도록 하게 되며, 직조된 평직 직물(10)은 이후 직물안내가이드(152)를 통해 그 진행이 안내된 후 최종적으로 직물권취롤러(154)에 권취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직물을 단순히 직조만 하게 되면 염색과정에서 타월을 파지하여 컨베이어로 이송시에 직물이 풀릴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타월의 특성상 직물이 부드러운 재질이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현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직조장치에서 직물의 측면에 별도의 보조 직물을 더 설치하도록하여 염색과정에서 발생하는 올풀림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직조된 직물이 통과되는 프레임 바디(60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경사를 감고 있다가 점차적으로 풀어서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부(61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직조를 위해 위사를 감고 있다고 점차적으로 풀어서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부(620)와; 상기 경사 공급부로부터 송출되는 경사를 2군으로 나누어 각 군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운동을 하여 반복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이후 위사가 유입되게 될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기 각 군의 경사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경사 개구 형성부(630)와; 상기 위사 위입후 전진하여 위입된 상기 위사를 타격하여 치밀성을 부여하는 수평 타격부(640)와; 상기 프레임 바디를 통과하면서 직조된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권취부(65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측면에 설치되며, 직물의 측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장치에 다수가닥의 측면용 보조 경사(661)가 제공될 수 있도록하여, 측면용 경사(661)와 위사가 결합되면서 측면용 보조 직물(662)이 짜여지도록 하는 측면용 보조 경사 공급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의 주변에 발생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측정수단(1000a)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도포장치(11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직조장치에서 직물의 측면에 별도의 보조 직물을 더 설치하도록하여 염색과정에서 발생하는 올풀림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평직 직물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바이어스 직물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통상적인 평직 직물 직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조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사공급부 및 위사공급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장치의 후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경사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경사 공급장치 요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 경사 직물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경사 직물의 요부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직조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사공급부 및 위사공급부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조장치의 후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경사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 경사 공급장치 요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조 경사 직물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 경사 직물의 요부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 및 경보출력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장치 작동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집광용 원판 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악취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직조된 직물(500)이 통과되는 프레임 바디(60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경사(611)를 감고 있다가 점차적으로 풀어서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부(61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직조를 위해 위사를 감고 있다고 점차적으로 풀어서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부(620)와; 상기 경사 공급부로부터 송출되는 경사를 2군으로 나누어 각 군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운동을 하여 반복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이후 위사가 유입되게 될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기 각 군의 경사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경사 개구 형성부(630)와; 상기 위사 위입후 전진하여 위입된 상기 위사를 타격하여 치밀성을 부여하는 수평 타격부(640)와; 상기 프레임 바디를 통과하면서 직조된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권취부(65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측면에 설치되며, 메인 직물(500)의 측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장치에 다수가닥의 측면용 보조 경사(661)가 제공될 수 있도록하여, 측면용 경사(661)와 위사가 결합되면서 측면용 보조 직물(662)이 짜여지도록 하는 측면용 보조 경사 공급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메인 직물(500)의 측면에 측면용 보조 직물(662)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이는 염색과정에서 직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메인 직물(500)의 측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장치에 다수가닥의 측면용 보조 경사(661)가 제공될 수 있는 측면용 보조 경사 공급장치(660)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경사 공급장치(660)로부터 측면용 보조 경사(661)가 공급되고 상기 측면용 보조 경사(661) 사이를 위사가 삽입되면서 측면용 보조 직물(662)이 짜여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직물을 이용하여 타월을 제작하는데 사용하는데, 상기 직물(500)을 단순히 직조만 하게 되면 염색과정에서 타월을 파지하여 컨베이어로 이송시에 직물이 풀릴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타월의 특성상 직물이 부드러운 재질이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현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메인 직물(500)의 가장자리에 재질이 강한 경사를 공급하여 측면용 보조 직물(662)이 직조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강한 재질의 경사로 직물의 가장자리를 직조하게 되면 염색과정에서 실이 풀리지 않아서 에러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600)의 일측에 먼지 측정수단(1000a)을 더 부가하여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a)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11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주변에 작업자가 있으면 적절히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a)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의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히터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1)과,
상기 다수개의 오목렌즈 중에서 일개의 오목렌즈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의 정중앙에 결합되어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함몰각도가 다른 렌즈를 적외선 송신소자에 위치시키도록 구동하는 원판 구동모터(3)와;
상기 원판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먼지의 양이 적으면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먼지의 양이 많으면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 원판을 구동시켜 적외선 송신소자가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에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오목렌즈 탑재용 원판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내려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먼지의 농도가 더 올라가면 함몰각도가 제 2 오목렌즈보다 낮은 제 1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다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먼지의 농도가 올라가면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몬지의 농도가 더 내려가면 제 4 오목렌즈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4 오목렌즈보다 더 높은 제 5 오목렌즈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출력을 훨씬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경보신호 출력수단으로서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를 구비하는바,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로부터 악취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제한다.
즉,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도포하는 악취 약액 도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악취를 출력하는 것이다.
악취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악취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악취 약물을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악취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악취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의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악취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악취 약액 저장수단의 악취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악취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악취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악취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악취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악취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500: 직물
600: 프레임 바디
610: 경사 공급부
620: 위사 공급부
630: 경사 개구 형성부
640: 수평 타격부
650: 직물권취부
660: 측면용 보조 경사 공급장치
661: 측면용 보조 경사
662: 측면용 보조 직물

Claims (6)

  1. 직조된 직물이 통과되는 프레임 바디(60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며, 경사를 감고 있다가 점차적으로 풀어서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부(61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직조를 위해 위사를 감고 있다고 점차적으로 풀어서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 공급부(620)와;
    상기 경사 공급부로부터 송출되는 경사를 2군으로 나누어 각 군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운동을 하여 반복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이후 위사가 유입되게 될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기 각 군의 경사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경사 개구 형성부(630)와;
    상기 위사 위입후 전진하여 위입된 상기 위사를 타격하여 치밀성을 부여하는 수평 타격부(640)와;
    상기 프레임 바디를 통과하면서 직조된 직물을 권취하는 직물권취부(650)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면 측면에 설치되며, 직물의 측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장치에 다수가닥의 측면용 보조 경사(661)가 제공될 수 있도록하여, 측면용 보조 경사(661)와 위사가 결합되면서 측면용 보조 직물(662)이 짜여지도록 하는 측면용 보조 경사 공급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의 주변에 발생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측정수단(1000a)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도포장치(11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설치하되 입력되는 먼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먼지만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철망(10a)과, 상기 철망을 삽입 결합시키고 철망을 회전시켜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 제거를 가속하기 위한 철망 회전모터(10b)와, 상기 철망에 열을 공급하여 철망에 접촉되는 수분을 빠른 속도로 증발시키기 위해 히터열을 제공하는 히터열 제공용 전기수단(10c)과, 상기 수분이 제거된 먼지를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습도센서(7)를 더 설치하여 습도에 따라서 먼지 측정제어부(C)가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습도가 높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높임과 동시에 기준보다 높은 히터열을 공급하고 습도가 낮으면 철망 회전모터(10b)의 회전속도를 기준보다 낮춤과 동시에 기준보다 낮은 히터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10a)은 철망 회전모터(10b)의 축에 탈착 가능하게 수평 가이드 봉(10a-1) 및 하우징의 수직홈(5)에 결합되는 수직 가이드봉(10a-2)을 결합 설치되어 필요시 수평 가이드 봉(10a-1)을 철망 회전모터(10b)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수직 가이드봉(10a-2)을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철망에 존재하는 오염요소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악취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악취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악취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악취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악취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KR1020190040517A 2019-04-08 2019-04-08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KR10203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17A KR102039859B1 (ko) 2019-04-08 2019-04-08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17A KR102039859B1 (ko) 2019-04-08 2019-04-08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59B1 true KR102039859B1 (ko) 2019-11-01

Family

ID=6853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17A KR102039859B1 (ko) 2019-04-08 2019-04-08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845A (en) * 1992-05-05 1994-10-11 Nuovopignone-Industrie Mecaniche E Fonderia Spa Rapid release system for false selvedge and fabric edge binding members
KR101122680B1 (ko) * 2009-07-23 2012-03-12 주식회사씨앤에프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845A (en) * 1992-05-05 1994-10-11 Nuovopignone-Industrie Mecaniche E Fonderia Spa Rapid release system for false selvedge and fabric edge binding members
KR101122680B1 (ko) * 2009-07-23 2012-03-12 주식회사씨앤에프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방향탄소섬유 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7481A1 (en) Monitor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weaving machine, and method for monitoring
CN106978665B (zh) 一种立体织机可选剑杆引纬机构
EP0396407A1 (en) An improved mechanism for guiding shuttles in a circulair room
KR102039859B1 (ko) 측면용 보조 직물을 갖는 직물 직조장치
US4361172A (en) Mechanism for stopping a circular loom during weaving operation
US3532138A (en) Arrangement for the optical monitoring of weft threads
KR20180030623A (ko) 직조기
KR20140030305A (ko) 실 초과 장력 모니터링 방법 및 실 초과 장력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한 직조기
EP0295700B1 (en) Automatic cop exchanging apparatus for shuttle loom
CS249521B2 (en) Weaving machine
KR102039858B1 (ko) 직물 직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
JPS633986B2 (ko)
SU728722A3 (ru) Захват приемной рапиры к бесчелночному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CA3177707A1 (en) Loom with movable guide beams
PH12017000043A1 (en) Warp shedding apparatus of loom
CN112030328B (zh) 织机的开口不良检测装置
KR20080002706U (ko) 바이어스 직물 직조장치
US6000439A (en) Mechanical loom with warp changing apparatus
GB1555662A (en) Apparatus for removing fly from selvage yarn feeding device of weaving loom
US20110253246A1 (en) Warp and weft type weaving machine
KR20010030560A (ko) 하네쓰요소들의 아이렛들을 정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35198A (en) Apparatus for weaving fabrics.
CS199731B2 (en) Shuttleless weaving looms
US3434508A (en) Apparatus for weaving stiff filamentary material
US234758A (en) dorg-ey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