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957B1 -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957B1
KR100928957B1 KR1020077002726A KR20077002726A KR100928957B1 KR 100928957 B1 KR100928957 B1 KR 100928957B1 KR 1020077002726 A KR1020077002726 A KR 1020077002726A KR 20077002726 A KR20077002726 A KR 20077002726A KR 100928957 B1 KR100928957 B1 KR 10092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ment
implant
recess
recesses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444A (ko
Inventor
디에터 바이스하우프트
클라우스-디에터 스타인힐퍼
카를-디에터 레르흐
Original Assignee
이스쿨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쿨랍 아게 filed Critical 이스쿨랍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5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3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comprising bone transfixation elements, e.g. bolt with a distal cooperating element such as a 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reattaching pieces of the sku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9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bone-penetrating elements, e.g. blades or pro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2Flexible wires, band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bone plate)(12, 14), 특히, 이웃하는 두개골 플레이트(cranial bone plate)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implant)에 관계하는데, 상기 골 플레이트(12, 14)는 내부면(inner face)(16)과 외부면(outer face)(18)을 보유한다. 상기 임플란트는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의 내부면 상에 위치하는 내부 접촉 요소(inner contact element)(92); 상기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의 외부면 상에 위치하는 외부 접촉 요소(outer contact element)(94); 내부 접촉 요소(92)와 외부 접촉 요소(94)를 연결시켜 이들이 더 이상 서로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선형 방식(linear manner)의 유연성 인장 요소(tensioning elemen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특성을 갖는 이러한 종류의 임플란트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앞서 명시된 임플란트에서 달성되도록, 외부 접촉 요소(94)가 인장 요소의 자유 가닥(free strand) 사이에 연결 영역(connection region)(10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거나, 또는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갭(separation gap)을 관통하여 연결 영역(108)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임플란트

Description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IMPLANT FOR SECURING NEIGHBOURING BONE PLATES}
본 발명은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bone plate), 특히, 이웃하는 두개골 플레이트(cranial bone plate)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implant)에 관계하는데, 여기서 이들 골 플레이트는 각각, 내부면(inner face)과 외부면(outer face)을 보유하고, 상기 임플란트는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의 내부면 상에 위치하도록 변경되는 내부 접촉 요소(inner contact element);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의 외부면 상에 위치하도록 변경되는 외부 접촉 요소(outer contact element); 내부 접촉 요소와 외부 접촉 요소를 연결시켜 이들이 더 이상 서로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선형 방식(linear manner)의 유연성 인장 요소(tensioning element)를 포함한다.
이런 임플란트는 DE 199 52 359 C1로부터 공지된다(상기 문헌에서 이는 외과용 연결 요소(surgical connecting element)로서 지칭된다).
이런 임플란트의 추가의 실례는 DE 101 28 917 C1로부터 공지된다.
부러진 뼈의 치료를 위한 절차는 US 5,921,986으로부터 공지되는데, 여기서 실(thread)에 연결된 앵커(anchor)는 뼈를 통하여 골절의 각 면에 제공되고, 실은 골절의 첫 번째 면에서 뼈에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인장되고, 실은 골절 위로 연장 되고, 힘은 골절의 두 번째 면에서 두 번째 앵커로부터 뼈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특성을 갖는 앞서 명시된 종류의 임플란트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외부 접촉 요소가 인장 요소의 자유 가닥(free strand) 사이에 연결 영역(connection region)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거나, 또는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갭(separation gap)을 관통하여 연결 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앞서 명시된 임플란트에서 달성된다.
특히, 실이나 와이어인 유연성 선형 인장 요소의 자유 가닥은 연결 영역에 의해 연결된다. 예로써, 노트(knot)의 결과적인 형성이 주변 조직에 자극을 유발하거나, 또는 이러한 연결 영역이 환자에 의해 감지되거나 감지될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리세스의 도움으로 연결 영역은 외부 접촉 요소의 외부 표면(outer surface)에 대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으로 넓어지도록 변경된다. 이의 결과로써, 외부 접촉 요소 위로 연결 영역의 돌출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조직 자극이 예방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연결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접촉 요소의 외부 표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연결 영역(특히, 노트)은 외부 표면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특히, 연결 영역은 노트에 의해 형성된다. 자유 가닥은 노트에 의해 서로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접촉 요소는 더 이상 서로 분리될 수 없도록 함께 고정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노트는 슬립 노트(slip knot) 형태이다. 이는 예로써, DE 101 61 724 A1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정화 과정(securing process)을 완결하기 위하여,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applicator)의 도움으로 원하는 위치로 강제되고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연결 영역을 위한 리세스와 함께 또는 이러한 리세스 없이, 연결 영역은 조립식으로 제조된 슬립 노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간편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는 완성된 제조 임플란트의 형태로 수술 외과의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수술 외과의는 상기 슬립 노트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고 루프를 조이기만 하면 된다. 특히, 수술 외과의는 노트를 스스로 만들 필요가 없다.
자유 가닥은 가급적, 외부 접촉 요소로부터 방사하는, 인장 요소의 영역이다. 이들 자유 가닥을 영구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들 접촉 요소는 더 이상 서로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의 결과로써, 골 플레이트가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관통 홀(through hole)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연결 영역, 특히, 노트는 리세스를 통하여 골 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갭 내로 강제되고 여기에 수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 접촉 요소의 외부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연결 영역을 위한 수용 구역(seating are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 구역은 예로써, 구유-형상일 수 있다. 이런 수용 구역으로 인하여, 연결 영역은 외부 접촉 요소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베이스(base)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와 연결된다. 연결 영역은 상기 베이스에 의해 분리 갭 내로 강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내부 접촉 요소는 인장 요소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이격된 관통형(feed-through)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들 관통형 리세스로 인하여, 인장 요소는 내부 접촉 요소 상에 유지될 수 있고, 인장 요소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인장 요소는 관통형 리세스 사이에 내부 접촉 요소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응하는 배치 영역으로 인하여, 내부 접촉 요소는 인장 요소에 의해 외부 접촉 요소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접촉 요소가 서로를 향하여 인장될 수 있다.
특히, 인장 요소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외부 접촉 요소가 제공된다. 따라서, 인장 요소의 자유 가닥이 외부 접촉 요소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연결 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관통형 리세스에서 형성되거나, 또는 관통형 리세스를 형성한다. 이의 결과로써, 외부 접촉 요소를 통하여 최소한의 구멍(opening)만 제공되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mechanical stability)이 증가한다. 더 나아가, 생산 공정이 단순화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인장 요소는 활차 장치 시스템(pulley-block system)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부 접촉 요소와 외부 접촉 요소 상에서 유도된다. 한편으로, 이들 접촉 요소 사이에 안정적인 인장 정렬(tensioning arrangement)이 인장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의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된다. 다른 한편, 인장 과정(tensioning process)동안 외부 접촉 요소와 내부 접촉 요소의 서로에 대한 의도적 유도(guidance)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수술 외과의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강한 인장력(tensional force)이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접촉 요소가 그들 사이에 유지되는 골 플레이트에 대해 강한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골 플레이트는 접촉 요소 사이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따라서 골 플레이트의 서로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된다.
유리하게는, 연결 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와 함께 또는 이런 리세스 없이, 내부 접촉 요소는 인장 요소를 위한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의 첫 번째 쌍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 사이에 인장 요소가 첫 번째 배치 영역 내에서 내부 접촉 요소 상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접촉 요소는 인장 요소를 위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의 두 번째 쌍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 사이에 인장 요소가 두 번째 배치 영역 내에서 내부 접촉 요소 상에 위치하고, 외부 접촉 요소는 인장 요소를 위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의 첫 번째 쌍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 사이에 인장 요소가 세 번째 배치 영역 내에서 외부 접촉 요소 상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접촉 요소는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의 두 번째 쌍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를 통하여 인장 요소의 자유 가닥이 공급된다. 관통형 리세스의 이런 정렬로 인하여, 인장 요소는 내부 접촉 요소 상에 첫 번째 턴(turn)을 통하여 유도되고, 외부 접촉 요소를 향하여 지향되고, 추가의 턴의 과정에서 외부 접촉 요소 상에 위치하고, 이후 내부 접촉 요소로 다시 지향되고, 추가의 턴이후, 이로부터 외부 접촉 요소를 향하여 다시 지향된다. 이렇게 형성된 활차 장치-유사 시스템(pulley-block-like system)은 유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가령, 강한 클램핑력이 발휘될 수 있고, 인장 요소에 의한 외부 접촉 요소의 정확한 유도가 담보되고, 따라서 이러한 정렬이 수술 외과의에 의해 간편하게 이용된다.
특히, 외부 접촉 요소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의 첫 번째 쌍은 두 번째 쌍의 관통형 리세스 사이에 정렬된다. 따라서, 첫 번째 쌍의 관통형 리세스 사이에 인장 요소의 턴은 활차 장치 시스템이 다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내부 접촉 요소의 관통형 리세스는 일렬로 정렬된다. 이들은 이후, 방향이 맞춰진다. 결과적으로, 분리 갭을 통과하는, 인장 요소의 영역은 평행하고 방향이 맞춰진다. 따라서, 이의 이용이 간편하다. 가령, 하나이상의 접촉 요소(이들은 내부 접촉 요소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 상에 정렬된다)는 인장 요소가 골 플레이트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접촉 요소 사이에 분리 갭의 영역 내에서 마주보게 놓여진 골 플레이트를 개별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간편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로써, 인장 요소에 대한 견인력(pulling force)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이들 접촉 요소는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클램핑 방식(clamping manner)으로 그들 사이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서로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재차 담보된다.
동일한 이유로, 외부 접촉 요소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가 일렬로 정렬된다.
유리하게는, 외부 접촉 요소 내에서 첫 번째 쌍의 관통형 리세스 및 내부 접촉 요소 내에서 첫 번째 쌍과 두 번째 쌍의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는 상호 상대된다. 결과적으로, 인장 요소는 활차 장치 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외부 접촉 요소 내에서 두 번째 쌍의 관통형 리세스 및 내부 접촉 요소 내에서 첫 번째 쌍과 두 번째 쌍의 이웃하지 않는 관통형 리세스가 상호 상대된다.
유리하게는, 연결 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외부 접촉 요소 내에서 두 번째 쌍의 관통형 리세스에서 정렬되거나, 또는 이런 관통형 리세스를 형성한다. 이의 결과로써, 활차 장치 시스템의 형성은 리세스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 이의 기계적 안정성에 원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접촉 요소 내에 관통 홀이 최소화될 수 있다.
관통형 리세스의 첫 번째 쌍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정렬되는, 연결 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접촉 요소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인장 요소의 턴이나 루프(loop) 주변에 인장 요소 영역(tensioning element region)의 위치가 변위(displacement)될 수 있다.
외부 접촉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부 접촉 요소의 표면 상에 놓이는 첫 번째 배치 영역과 두 번째 배치 영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내부 접촉 요소는 인장 요소의 도움으로 외부 접촉 요소로 견인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접촉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부 접촉 요소의 표면 상에 놓이는 세 번째 배치 영역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활차 장치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인장 요소는 변위가능 방식(displaceable manner)으로 외부 접촉 요소를 통하여 유도된다. 견인력이 내부 접촉 요소와 외부 접촉 요소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는 수단에 의해 발휘될 수 있고, 클램핑력이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골 플레이트에 발휘되도록 조정된다. 인장 요소는 클램핑력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의 감소를 추종한다.
특히, 인장 요소가 인장될 때, 내부 접촉 요소는 외부 접촉 요소(22)에 대하여 변위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인장 요소는 골 플레이트 사이로 분리 갭을 통과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갭은 인장 요소가 접촉 요소 사이의 영역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공간을 발생시킨다.
특히 유리하게는, 내부 접촉 요소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는 분리 갭 내로 돌출되도록 변경되는, 골 플레이트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골 플레이트는 접촉 요소 사이에 분리 갭에서 개별적으로, 다시 말하면, 인장 요소가 분리 갭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인장 요소가 골 플레이트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예로써, 견인력을 발휘함으로써, 조절 요소는 골 플레이트가 그들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분리 갭 내에서 인장 요소의 자유로운 유도를 담보하기 위하여 인장 요소를 위한 관통형 리세스와 일렬로 존재한다.
골 플레이트와의 접촉 영역(contact region)과 상기 접촉 영역을 통합하는 영역 사이에 중간 공간(intermediary space)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굽혀지는 내부 접촉 요소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가 제공된다. 따라서, 예로써, 힘의 적용으로 접촉 요소 자체의 높이를 어느 정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가령, 높이는 고정 과정(fixing process) 동안 감소된다. 상기 힘이 약화되면, 상기 높이가 상승한다. 이는 접촉 요소 사이에 골 플레이트의 고정을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인장 효과(tensioning effect)를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내부 접촉 요소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는 연결 방향과 관련하여 원상으로 회복된다. 따라서, 클램핑 효과(clamping effect)가 향상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내부 접촉 요소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는 골 플레이트와의 접촉 영역에서 맞물림 구역(gripping area)을 포함한다. 이러한 맞물림 구역은 골 플레이트에 대한 향상된 맞물림 효과(gripping effect)를 제공한다. 맞물림 구역은 예로써, 늑재(ribbing), 꺼칠한 표면 또는 일단의 톱니바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맞물림 구역은 주변 방식(peripheral manner)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이는 상응하는 접촉 요소의 주변에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 요소는 대칭적으로 정렬되고, 간편하게 이용된다.
유리하게는, 인장 요소는 재흡수성 물질(resorbable material)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관한 아래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첫 번째 전형적인 구체예의 개요적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의 단면도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골 플레이트는 고정되고, 노트는 리세스 내에 놓여진다;
도 3은 도 2에서와 동일한 도면이지만, 노트가 고정된 골 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갭 내에 놓여진다;
도 4는 두 번째 전형적인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세 번째 전형적인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촉 요소와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의 변형의 투시도이다;
도 7은 임플란트와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applicator)의 전형적인 구체예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첫 번째 전형적인 구체예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고, 전체 참조 번호(10)로 표시된다. 임플란트는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12, 14)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골 플레이트(12, 14)는 특히, 두개골 플레이트이다; 뇌수술을 위한 두개골 플레이트는 뇌로 접근하기 위하여 톱으로 잘려진다. 뇌수술의 완결이후, 제거된 두개골 플레이트(가령, 골 플레이트(12))는 이를 둘러싸는 골 플레이트(가령, 골 플레이트(14)와 추가의 골 플레이트)에 다시 고정되어야 한다. 이는 복수의 임플란트(10)의 도움으로 달성된다.
골 플레이트(12, 14)는 각각, 내부면(16) 및 맞은편 외부면(18)을 보유한다. 내부면(16)은 몸체(body)의 내부를 향한다; 두개골 플레이트의 경우에, 내부면(16)은 뇌를 향한다.
임플란트(10)는 골 플레이트(12, 14)의 내부면(16) 상에 위치하도록 변경되는 내부 접촉 요소(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임플란트(10)는 골 플레이트(12, 14)의 외부면(18) 상에 위치하도록 변경되는 외부 접촉 요소(22)를 포함한다.
도시된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부 접촉 요소(22)는 환형 교차면(circular cross section)을 보유한다. 이들은 전체 형상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외부 접촉 요소(22)와 유사하게, 내부 접촉 요소(20)는 환상 접촉 영역(annular contact region)을 보유하는데, 상기 영역을 통하여 이는 골 플레이트(12, 14)의 내부면(16) 위에 위치한다. 상기 접촉 영역(24)은 “꺼칠하게” 형성되는 맞물림 구역(26)을 포함한다. 상기 맞물림 구역(26)은 골 플레이트(12, 14)의 내부면(16) 상에 내부 접촉 요소(20), 또는 골 플레이트(12, 14)의 외부면(18) 상에 외부 접촉 요소(20)의 맞물림(bite)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특히, 미끄러짐(slipping)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가령, 맞물림 영역(26)은 일단의 주변으로 연장되는 톱니바퀴, 늑재(ribbing) 또는 꺼칠한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접촉 요소(20)(및 도시된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외부 접촉 요소(22))는 굽혀진다, 다시 말하면, 접촉 영역(24)과 상기 접촉 영역을 특히, 원-피스(one-piece) 방식으로 통합하는 영역(28) 사이에 중간 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굽혀진다.
내부 접촉 요소(20)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22)는 이들 2개의 접촉 요소(20, 22) 사이의 연결 방향(32)과 관련하여 원상으로 회복된다. 이는 접촉 요소(20, 22) 모두의 고정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부 접촉 요소(22) 사이에 위치하는 골 플레이트(12, 14)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부 접촉 요소(2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하나의 유연성 선형 인장 요소(34)가 제공된다. 인장 요소는 특히, 외과용 실이나 와이어이다. 인장 요소는 이들 2개의 접촉 요소(20, 22)가 더 이상 서로 분리될 수 없도록(따라서, 골 플레이트(12, 14)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내부 접촉 요소(20)는 인장 요소(34)를 끌어당김으로써 외부 접촉 요소(22)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인장 요소(34)는 특히, 신체에서 재흡수되는 물질로 구성된다.
인장 요소(34)는 골 플레이트(13, 14)를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갭(36)을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분리 갭(36) 내로 돌출되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8a, 38b)를 포함하는 내부 접촉 요소(20)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22)가 제공된다(도 6). 골 플레이트(12)의 끝면(end face)은 스페이서(38a, 38b)의 첫 번째 접촉면(40) 위에 위치하고,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14)의 끝면은 스페이서(38a, 38b)의 맞은편 두 번째 접촉면(42) 위에 위치한다. 스페이서(38a, 38b)는 골 플레이트(12, 14)를 개별적으로 유지하고, 따라서 인장 요소(34)는 장력(tension)이 발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분리 갭(36)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고, 분리 갭(36) 내에서 골 플레이트(12, 14)에 끼이지 않는다.
스페이서(38a, 38b)는 특히,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34)를 위한 관통형 리세스와 일렬로 정렬된다.
스페이서(38a, 38b)는 특히, 연관된 접촉 요소(20, 22)와 원-피스(one-piece) 방식으로 형성된다.
임플란트(10)의 내부 접촉 요소(20)는 이격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46a, 46b)의 첫 번째 쌍(44)을 포함하고, 이격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50a, 50b)의 두 번째 쌍(48)을 포함한다. 관통형 리세스(46b, 50a)는 내부로 놓여지는 관통형 리세스이고, 관통형 리세스(46a, 50b)는 외부로 놓여지는 관통형 리세스이다. 관통형 리세스(46b)는 관통형 리세스(50a)를 이웃한다. 관통형 리세스(46a)와 관통형 리세스(50b) 사이의 거리는 관통형 리세스 사이의 최대 길이에 해당한다. 관통형 리세스(46b)와 관통형 리세스(50a)는 관통형 리세스(46a)와 관통형 리세스(50b) 사이에 위치한다.
관통형 리세스(46a, 46b, 50a, 50b)는 특히,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부 접촉 요소(22) 사이에 분리 갭(36) 내에 놓여지는, 인장 요소(34)의 인장 요소 영역이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서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일렬(스페이서(38a, 38b)와 공동으로)로 정렬된다.
외부 접촉 요소(22)는 이격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54a, 54b)의 첫 번째 쌍(52)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외부 접촉 요소(22)는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58a, 58b)의 두 번째 쌍(56)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관통형 리세스(54a, 54b)의 첫 번째 쌍(52)은 관통형 리세스(58a)와 관통형 리세스(58b) 사이에 위치한다. 두 번째 쌍(56)의 관통형 리세스(58a, 58b)는 외부로 놓여지는 관통형 리세스이다; 첫 번째 쌍(52)의 관통형 리세스(54a, 54b)는 내부로 놓여지는 관통형 리세스이다. 관통형 리세스(54a, 58a)가 이웃하고, 관통형 리세스(54b, 58b)가 이웃한다. 두 번째 쌍(56)의 관통형 리세스(58a)와 관통형 리세스(58b) 사이의 거리는 외부 접촉 요소(22) 내에 관통형 리세스 사이의 최대 길이에 해당한다.
외부 접촉 요소(22)의 관통형 리세스(54a, 54b, 58a, 58b)는 내부 접촉 요소(20)의 관통형 리세스(46a, 46b, 50a, 50b)의 정렬에 상대된다. 특히, 외부 접촉 요소(22) 내에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58a와 54a; 54a와 54b; 54b와 58b)는 내부 접촉 요소(20) 내에서 상응하는 관통형 리세스(46a와 46b; 46b와 50a; 50a와 50b)와 동일한 공간을 보유한다. 더 나아가, 외부 접촉 요소(22)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54a, 54b, 58a, 58b)는 가급적, 일렬로 정렬된다.
내부 접촉 요소(20)의 관통형 리세스와 외부 접촉 요소(22)의 관통형 리세스의 상대되는 대형(matched formation)으로 인하여, 이들 접촉 요소(22, 22) 사이에 인장 요소(34)의 평행하고 방향이 맞춰진 유도가 달성될 수 있다.
인장 요소(3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원-피스 방식으 로 형성된다(근본적으로, 별개의 인장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인장 요소(34)는 외부 접촉 요소(22) 내에 관통형 리세스(54a) 및 내부 접촉 요소(20) 내에 관통형 리세스(46a)를 통하여 제공된다. 관통형 리세스(46a)로부터, 이는 관통형 리세스(46b)로 제공되고 이를 통과한다. 관통형 리세스(46a)와 관통형 리세스(46b) 사이에, 인장 요소(34)는 첫 번째 배치 영역(60) 내에서, 외부 접촉 요소(22)로부터 멀리 떨어진, 내부 접촉 요소(20)의 외부 표면 상에 놓여진다. 관통형 리세스(46b)로부터, 인장 요소(34)는 외부 접촉 요소(22)의 관통형 리세스(54a)에 제공되고 이를 통과한다.
관통형 리세스(54a)로부터, 인장 요소(34)는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54b)에 제공되고 이를 통과한다. 관통형 리세스(54a)와 관통형 리세스(54b) 사이에, 인장 요소(34)는 세 번째 배치 영역(62) 내에서, 내부 접촉 요소(20)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부 접촉 요소(22)의 외부 표면 상에 놓여진다.
인장 요소(34)는 관통형 리세스(54b)를 통과하여 관통형 리세스(50a)까지 제공되고 이를 통과한다. 관통형 리세스(50a)로부터, 인장 요소(34)는 관통형 리세스(50b)에 제공되고 이를 통과한다. 관통형 리세스(50a)와 관통형 리세스(50b) 사이에, 인장 요소는 두 번째 배치 영역(64) 내에서, 내부 접촉 요소(20)의 외부 표면 상에 놓여진다.
관통형 리세스(50b)로부터, 인장 요소(34)는 관통형 리세스(58b)에 제공되고 이를 통과한다.
관통형 리세스(58a, 58b)로부터 출발하여, 인장 요소(34)는 자유 가닥, 다시 말하면, 첫 번째 자유 가닥(66a)(관통형 리세스(58a)로부터 외향) 및 두 번째 자유 가닥(66b)(관통형 리세스(58b)로부터 외향)을 보유한다.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12, 14)가 임플란트(10)에 의해 서로 고정될 때, 관통형 리세스(58a와 46a, 46b와 54a, 54b와 50a, 50b와 58b) 사이에 제공되는, 인장 요소(34)의 영역은 상당 부분, 분리 갭(36) 내에 놓여진다. 인장 요소(34)는 내부 접촉 요소(20)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46a, 46b)의 첫 번째 쌍(44)에 의해 첫 번째 루프 또는 턴의 형태로 유도되고, 인장 요소(34)의 방향은 내부 접촉 요소(20)의 외향으로, 외부 접촉 요소(22)를 향하여 지향된다.
인장 요소(34)는 관통형 리세스(54a, 54b)의 첫 번째 쌍(52)에 의해 두 번째 루프 또는 턴의 형태로 유도되고, 인장 요소(34)의 방향은 외부 접촉 요소(22)로부터 내부 접촉 요소(20)를 향하여 지향된다.
인장 요소(34)는 내부 접촉 요소(20)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50a, 50b)의 두 번째 쌍(48)에 의해 세 번째 루프 또는 턴의 형태로 유도되고, 인장 요소(34)의 방향은 내부 접촉 요소(20)로부터 외부 접촉 요소(22)를 향하여 다시 지향된다.
이후, 자유 가닥(66a, 66b)이 관통형 리세스(58a, 58b)의 두 번째 쌍(56)을 통하여 외부 접촉 요소(22)로부터 공급된다.
활차 장치 시스템은 접촉 요소(20, 22) 상에서 및 접촉 요소(20, 22) 사이에 인장 요소(34)의 이러한 형태의 유도에 의해 형성된다; 예로써, 자유 가닥(66a, 66b)이 끌어당겨질 때(가령, 상기 방향(32)으로), 내부 접촉 요소(20)는 외부 접촉 요소(22)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결과적으로, 클램핑력이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 부 접촉 요소(22) 사이에 존재하는 골 플레이트(12, 14)에 발휘되고 이들을 함께 고정시킨다.
골 플레이트(12, 14)가 서로 더 이상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 다시 말하면,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부 접촉 요소(22)가 서로 더 이상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클램핑 효과를 확립하기 위하여, 인장 요소(34)의 자유 가닥(66, 66b)이 연결된다. 특히, 노트(70)에 의해 형성되는 이러한 연결은 연결 영역(68)에서 달성된다.
노트(70)는 예로써,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도 7; 이런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의 작동 팁(operative tip, 72)은 도 1에 표시된다)에 의해 외부 접촉 요소(22)로 강제되도록 변경되는 슬립 노트 형태이다.
유용한 슬립 노트의 실례는 Roeder 노트이다.
임플란트(10)의 경우에, 가급적, 조립식으로 제조된 노트(70), 특히, 슬립 노트가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임플란트(10)는 내부 접촉 요소(20), 외부 접촉 요소(22) 및 앞서 기술된 방식으로 유도된 인장 요소(34)로 실행된다. 더 나아가, 자유 가닥(66a, 66b)이 슬립 노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슬립)노트(70)는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외부 접촉 요소(22) 상에서 변위될 수 있고, 2개의 접촉 요소(20, 22)는 예로서, 인장 요소(34)의 자유 단부를 통하여 노트를 인장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내부 접촉 요소(20) 및/또는 외부 접촉 요소(22)가 원상으로 회복되면, 고정 과정 동안 힘이 발휘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내부 접촉 요소(20)와 상기 외부 접촉 요소(22)의 외부면 사이의 거리가 원상회복 변형(resilient deformation)으로 인하여 감소한다. 이러한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거리가 증가한다. 따라서, 일종의 사전-인장(pre-tensioning) 과정이 달성될 수 있다.
외부 접촉 요소(22)는 인장 요소(34)의 연결 영역(68)을 수용하거나 이를 강제하는 기능을 하는, 다시 말하면, 노트(70)의 수용이나 통과를 위한 리세스(74)를 포함한다.
리세스(74)는 연결 영역(6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접촉 요소(22)의 외부 표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의 결과로써, 연결 영역(68)(및 특히, 노트(70))은 상기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만 돌출된다. 노트(70)는 리세스(74)로 인하여 “원추형으로 넓어지도록” 변경되기 때문에, 임플란트(10) 위에 위치하는 노트(70)에 기인한 주변 조직의 자극이 예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정 시간이후 환자가 노트(70)(연결 영역(68)의 형태로)를 감지할 위험이 극복된다.
적절하게는, 리세스(74)는 외부 접촉 요소(22)의 외부 영역에 정렬되는데, 여기서 외부 접촉 요소(22)는 강화된다. 결과적으로, 이는 리세스(74)가 외부 접촉 요소(22)의 기계적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담보한다.
적절하게는, 리세스(74)는 관통형 리세스(58b)에 놓여지거나 이를 형성한다. 리세스(74)는 관통형 리세스로서 직접 이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공정의 복잡성(complexity)이 감소된다. 더 나아가, 기계적 안정성이 담보된다.
또한, 외부 접촉 요소(22)가 이런 리세스(74)를 복수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 하다. 이는 예로써, 2개의 접촉 요소를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독립된 인장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에 필요하다.
원칙적으로, 내부 접촉 요소(20)에 이런 리세스(74) 또는 여러 리세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동일한 구조를 갖는 내부 접촉 요소(20)와 외부 접촉 요소(22)가 제공된다. 내부 접촉 요소(20) 내에서 리세스(74)는 기능적 목적을 갖지 않지만,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12, 14)의 고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가지 유형의 접촉 요소만 제조된다면,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생산 공정이 단순화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리세스(74)는 통과 홀(through hole)을 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이는 외부 접촉 요소(22)의 상부면(76)으로부터 외부 접촉 요소(22)의 하부면(78)까지 이어진다. 외부 접촉 요소(22)를 통과하는 연장되는 통로(80)가 형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노트(70)가 강제될 수 있다.
중간 위치(intermediate position)는 도 2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노트(70)는 통로(80)에 놓여진다. 노트(70)는 이로부터 분리 갭(36) 내로 이동될 수 있다(도 3). 결과적으로, 노트(70)는 임플란트(10)의 상부면(76)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임플란트(10)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접촉 요소(20, 22)는 인장 요소(34)에 의해 “느슨하게” 서로 연결되고, 슬립 노트(70)는 자유 가닥(66a, 66b) 내에서 가급적, 조립식으로 제조된다. 이후,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12, 14)가 서로 고정되면, 내부 접촉 요소(20)가 골 플레이트(12, 14) 아래에 배치되거나, 또는 자유 골 플레이트가 상기 배치된 내부 접촉 요소(20) 상에 배치된다.
그 다음, 인장 요소(34)가 분리 갭(36) 내에서 이동한다.
자유 가닥(66a, 66b)은 외부 접촉 요소(22)와 내부 접촉 요소(20)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끌어당겨진다. 결과적으로, 내부 접촉 요소(20)는 골 플레이트(12, 14)의 내부면(16) 위로 압박되고, 외부 접촉 요소(22)는 골 플레이트(12, 14)의 외부면(18) 위로 압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슬립 노트(70)가 예로써,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에 의해 외부 접촉 요소(22)로 강제되고, 따라서 리세스(74)로 강제된다. 이로부터, 노트(70)는 분리 갭(36) 내로 강제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 접촉 요소(22)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노트(70)는 인장 요소(34)의 자유 단부를 끌어당김으로써 인장된다.
인장 요소(34)의 돌출 부분은 절단될 수 있다.
도 4에 개요적 단면도의 형태로 도시된 두 번째 전형적인 구체예(81)에서, 통과 홀이 아닌 리세스(82)가 외부 접촉 요소(22) 내에 제공된다(도 1 내지 3에 따른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유사한 요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이용된다). 리세스(82)는 노트(70)를 위한 수용 구역(seating area, 84)을 포함한다. 노트(70)는 상기 수용 구역, 예를 들면, 구유-형상 수용 구역(84) 내로 삽입되도록 변경되고, 따라서 이는 외부 접촉 요소(22)의 상부면(76) 위로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기껏해야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리세스(82) 및 수용 구역(84)과 연결되는 베이스(86)가 존재하는데, 이는 외부 접촉 요소(22)의 하부면(78)에서 수용 구역(84)을 차단한다.
베이스(86) 내에 관통형 리세스(88)가 형성되는데,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인장 요소(34)가 제공되지만 노트(70)는 이를 침범할 수 없다(관통형 리세스(88)는 도 1 내지 3의 전형적 구체예에서 관통형 리세스(58b)에 해당한다). 두 번째 배치 구역(64)로부터 출발하여, 인장 요소(34)는 관통형 리세스(88)를 통하여, 이후 외부 접촉 요소(22)를 통하여 내부 접촉 요소(20)를 향하여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형적인 구체예에 따른 임플란트(81)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도 5에 개요적 단면도의 형태로 도시되고 전체 참조 번호(90)로 표시되는 임플란트의 세 번째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내부 접촉 요소(92)와 외부 접촉 요소(94)가 제공된다. 상기 내부 접촉 요소는 첫 번째 관통형 리세스(96a)와 두 번째 이격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96b)를 포함한다. 실이나 와이어와 같은 유연성 선형 인장 요소(98)가 연결 요소로서 다시 제공된다. 이러한 인장 요소(98)는 접촉 요소(92, 94)가 서로를 향하여 인장될 때, 배치 영역(100) 내에서 내부 접촉 요소의 외부면 상에서 관통형 리세스(96a)와 관통형 리세스(96b) 사이에 놓여진다.
외부 접촉 요소(94)는 첫 번째 관통형 리세스(102a)와 두 번째 이격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102b)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내부 접촉 요소(92)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96a, 96b)의 정렬에 상대된다.
인장 요소(98)는 외부 접촉 요소(94)의 관통형 리세스(102a)로부터 내부 접촉 요소(92)의 관통형 리세스(96a)로 제공되고, 이후 상기 관통형 리세스(96a)를 통하여 유도된다. 이는 루프 또는 턴의 형태로 관통형 리세스(96a)와 관통형 리세 스(96b) 사이에 추가로 제공되고, 배치 영역(100) 내에서 내부 접촉 요소(92) 위에 위치한다. 이는 관통형 리세스(96b)를 통하여 제공되고, 이로부터 외부 접촉 요소(94)를 향하여 지향된다. 이는 상기 외부 접촉 요소 내에서 관통형 리세스(102b)를 통하여 제공된다.
인장 요소(98)의 자유 가닥(104a, 104b)은 개별 관통형 리세스(102a, 102b)로부터 공급된다. 이들은 자유 가닥(104a, 104b)을 서로 연결하고 2가지 접촉 요소(92, 94)의 상호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결 영역(106), 특히, 노트(10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특히, 유구-모양 리세스(110)가 관통형 리세스(102a)와 관통형 리세스(102b) 사이에 외부 접촉 요소(94)에 형성된다. 노트(108)는 리세스(110)로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이는 외부 접촉 요소(94)의 상부면(112) 위로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기껏해야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다른 관점에서, 임플란트(90)는 앞서 기술된 전형적인 구체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114)의 이용은 도 7에서 개요적으로 지시된다. 이는 플랜지(116)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는 애플리케이터 팁(applicator tip, 118)을 포함하는데, 이의 도움으로, 힘이 슬립 노트(120) 상에 발휘될 수 있고, 따라서 후자가 임플란트(124)의 외부 접촉 요소(122)를 향하여 이동한다.
기본적으로, 임플란트(124)는 앞서 기술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가령, 애플리케이터 팁(118)이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114)의 슬라이딩 멤 버(sliding member, 126) 상에 위치한다. 핸들 요소(handle element, 128)가 슬라이딩 멤버(126)에 연결된다.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이러한 연결은 일정한 변위력(displacement force)이 초과될 때 핸들 요소(128)와 슬라이딩 멤버(126)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연결이다. 이런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실의 원위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실을 따라 변위되는 슬립 노트의 형태인 실의 루프를 통합하는 장치)는 DE 101 61 724 A1에서 기술된다.
슬립 노트 애플리케이터의 도움으로, 인장 요소(34)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인장 요소는 근위 단부에서 슬라이딩 멤버(126) 아래 핸들 요소(128)를 통과하고, 또한 애플리케이터 팁(118)으로 슬립 노트(120)를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하다(즉, 루프를 함께 끌어당김으로써 견고한 노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5)

  1. 삭제
  2.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12,14)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implant)에 있어서,
    상기 골 플레이트(12,14)는 각각 내부면(16)과 외부면(18)을 보유하고,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골 플레이트(12,14)의 상기 내부면(16) 상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내부접촉요소(20; 92)와, 상기 골 플레이트(12,14)의 상기 외부면(18) 상에 위치하도록 적용되는 외부접촉요소(22; 94)와, 상기 내부접촉요소(20; 92)와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를 연결시켜 이들이 서로 분리될 수 없도록 하는 선형 방식의 유연성 인장요소(34; 98)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는 상기 인장요소(34; 98)의 자유가닥(free strand)(66a,66b; 104a,104b) 사이의 연결영역(68; 10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거나 상기 골 플레이트(12,14) 사이의 분리 갭(separation gap)(36)으로 관통하여 연결영역(68)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74; 82; 11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74; 82; 110)는 상기 연결영역(68; 10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의 외부 표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68; 106)은 노트(knot)(70; 10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70; 108)는 슬립 노트(slip knot)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68; 106)은 미리 만들어진 슬립 노트(70; 10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가닥(66a,66b; 104a,104b)은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로부터 나온 상기 인장요소(34; 98)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74)는 관통 홀(through hole)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82)는 상기 연결영역(68; 106)을 위한 수용구역(seating area)(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베이스(base)(86)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8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92)는 상기 인장요소(34; 98)를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된 관통형(feed-through) 리세스(46a,46b; 50a,50b; 96a,9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요소(34; 96)는 상기 관통형 리세스(46a,46b; 50a,50b; 96a,96b) 사이에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92)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는 상기 인장요소(34; 98)를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54a,54b; 58a,58b; 102a,10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68; 106)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74; 82; 110)는 관통형 리세스(58b; 88)에서 형성되거나 관통형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요소(34)는 활차 장치 시스템(pulley-block system)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부접촉요소(20)와 상기 외부접촉요소(22) 상에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는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46a,46b)의 첫 번째 쌍(44)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46a,46b) 사이에서 상기 인장요소(34)는 첫 번째 배치영역(placement region)(60)에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상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접촉요소(20)는 상기 인장요소(34)를 위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50a,50b)의 두 번째 쌍(48)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50a,50b) 사이에서 상기 인장요소(34)는 두 번째 배치영역(64)에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상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접촉요소(22)는 상기 인장요소(34)를 위한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54a,54b)의 첫 번째 쌍(52)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54a,54b) 사이에 상기 인장요소(34)는 세 번째 배치영역(62)에서 상기 외부접촉요소(22) 상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접촉요소(22)는 이격된 관통형 리세스(58a,58b)의 두 번째 쌍(56)을 포함하고, 이들 리세스(58a,58b)를 통하여 상기 인장요소(34)의 상기 자유가닥(66a,66b)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촉요소(22)의 상기 첫 번째 상(52)의 관통형 리세스(54a,54b)는 상기 두 번째 쌍(56)의 관통형 리세스(58a,58b) 사이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의 관통형 리세스(46a,46b,50a,50b)는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촉요소(22)의 관통형 리세스(54a,54b,58a,58b)는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촉요소(22)의 상기 첫 번째 쌍(52)의 관통형 리세스(54a,54b)와 상기 내부접촉요소(20)의 상기 첫 번째 쌍(44)과 두 번째 쌍(48)의 이웃하는 관통형 리세스(46b,50a)는 상호 상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촉요소(22)의 상기 두 번째 쌍(56)의 관통형 리세스(58a,58b)와 상기 내부접촉요소(20)의 상기 첫 번째 쌍(44)과 두 번째 쌍(48)의 이웃하지 않는 관통형 리세스(46a,50b)는 상호 상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74; 82)는 상기 외부접촉요소(22)의 상기 두 번째 쌍(56)의 관통형 리세스(58b; 88)에서 정렬되거나 관통형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68)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74; 82)는 상기 첫 번째 쌍(52)의 관통형 리세스(54a,54b)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배치영역(60)과 상기 두 번째 배치영역(64)은 상기 외부접촉요소(22)와 대면하지 않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내부접촉요소(20)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 번째 배치영역(62)은 상기 내부접촉요소(20)와 대면하지 않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외부접촉요소(22)의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요소(34; 98)는 변위가능한 방식(displaceable manner)으로 상기 외부접촉요소(22)를 통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요소(34; 98)가 인장될 때, 상기 내부접촉요소(20)는 상기 외부접촉요소(22)를 향하여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요소(34; 98)는 상기 골 플레이트(12,14) 사이의 상기 분리 갭(36)을 관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92),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분리 갭(36) 내로 돌출하는, 상기 골 플레이트(12,1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38a,3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38a,38b)는 관통형 리세스(46a,46b,50a,50b)와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92), 상기 외부접촉요소(22; 94),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골 플레이트(12,14)와의 접촉영역(24)과 상기 접촉영역(24)을 통합하는 영역(28) 사이에 중간 공간(intermediary space)이 형성되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상기 외부접촉요소(22), 또는 이들 모두는 연결방향(32)과 관련하여 원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접촉요소(20), 상기 외부접촉요소(22),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골 플레이트(12,14)와의 접촉영역(24)에서 맞물림 구역(gripping area)(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구역(26)은 주변 방식(peripheral manne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요소(34; 98)는 재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 플레이트(12,14)는 두개골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KR1020077002726A 2004-08-04 2005-05-27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KR100928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8823.7 2004-08-04
DE102004038823A DE102004038823B3 (de) 2004-08-04 2004-08-04 Implantat zur Fixierung benachbarter Knochenplatten
PCT/EP2005/005738 WO2006015635A1 (de) 2004-08-04 2005-05-27 Implantat zur fixierung benachbarter knochenpla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444A KR20070058444A (ko) 2007-06-08
KR100928957B1 true KR100928957B1 (ko) 2009-11-30

Family

ID=3497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726A KR100928957B1 (ko) 2004-08-04 2005-05-27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03929B2 (ko)
EP (2) EP2361569B1 (ko)
JP (1) JP5080253B2 (ko)
KR (1) KR100928957B1 (ko)
DE (1) DE102004038823B3 (ko)
ES (2) ES2401337T3 (ko)
WO (1) WO2006015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8400B2 (en) 2000-01-05 2014-06-24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Closure system and methods of use
DE60144328D1 (de) 2000-09-08 2011-05-12 Abbott Vascular Inc Chirurgische Klammer
US8690910B2 (en) 2000-12-07 2014-04-08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Closure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6623510B2 (en) 2000-12-07 2003-09-23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Closure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6749621B2 (en) 2002-02-21 2004-06-15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Sheath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closure device
EP1513453B1 (en) 2002-06-04 2008-12-17 Abbott Vascular Inc Blood vessel closure clip and delivery device
US8398656B2 (en) 2003-01-30 2013-03-19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Clip applier and methods of use
US8202293B2 (en) 2003-01-30 2012-06-19 Integrated Vascular Systems, Inc. Clip applier and methods of use
DE10326690B4 (de) * 2003-06-04 2005-04-28 Aesculap Ag & Co Kg Sternumverschluß
US7905904B2 (en) 2006-02-03 2011-03-15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7749250B2 (en) 2006-02-03 2010-07-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8137382B2 (en) 2004-11-05 2012-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atomical features
US8303604B2 (en) 2004-11-05 2012-11-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method
US7909851B2 (en) 2006-02-03 2011-03-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repai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US7658751B2 (en) 2006-09-29 2010-02-09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implanting soft tissue
US8128658B2 (en) 2004-11-05 2012-03-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bone
US8298262B2 (en) 2006-02-03 2012-10-3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8088130B2 (en) 2006-02-03 2012-01-0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361113B2 (en) 2006-02-03 2013-01-29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017381B2 (en) 2007-04-10 2015-04-28 Biomet Sports Medicine, Llc Adjustable knotless loops
US8840645B2 (en) 2004-11-05 2014-09-2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801708B2 (en) 2004-11-05 2017-10-3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118836B2 (en) 2004-11-05 2012-02-2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998949B2 (en) 2004-11-09 2015-04-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Soft tissue conduit device
US8313497B2 (en) 2005-07-01 2012-11-20 Abbott Laboratories Clip applier and methods of use
US9408599B2 (en) 2006-02-03 2016-08-09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771352B2 (en) 2011-05-17 2014-07-0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ibial fixation of an ACL graft
US9149267B2 (en) 2006-02-03 2015-10-0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8562645B2 (en) 2006-09-29 2013-10-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8801783B2 (en) 2006-09-29 2014-08-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Prosthetic ligament system for knee joint
US9538998B2 (en) 2006-02-03 2017-01-1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ure fixation
US8936621B2 (en) 2006-02-03 2015-01-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US9271713B2 (en) 2006-02-03 2016-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suture
US8574235B2 (en) 2006-02-03 2013-11-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rochanteric reattachment
US9078644B2 (en) 2006-09-29 2015-07-14 Biomet Sports Medicine, Llc Fracture fixation device
US8968364B2 (en) 2006-02-03 2015-03-0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ixation of an ACL graft
US8506597B2 (en) 2011-10-25 2013-08-13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sseous membrane reconstruction
US8562647B2 (en) 2006-09-29 2013-10-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soft tissue to bone
US8652172B2 (en) 2006-02-03 2014-02-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Flexible anchors for tissue fixation
US11259792B2 (en) 2006-02-03 2022-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atomical features
US8652171B2 (en) 2006-02-03 2014-02-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tissue fixation
US11311287B2 (en) 2006-02-03 2022-04-26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tissue fixation
US8597327B2 (en) 2006-02-03 2013-12-03 Biomet Manufactur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nal closure
US10517587B2 (en) 2006-02-03 2019-12-3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elf-locking adjustable loop
DE102006021025B3 (de) * 2006-04-28 2008-01-03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 Fixiereinrichtung für zwei Knochenteile
US8556930B2 (en) 2006-06-28 2013-10-15 Abbott Laboratories Vessel closure device
DE102006046428A1 (de) 2006-09-22 2008-04-03 Aesculap Ag & Co. Kg Sternumverschluss
DE102006046424B3 (de) 2006-09-22 2007-11-08 Aesculap Ag & Co. Kg Sternumverschluss
US8672969B2 (en) 2006-09-29 2014-03-18 Biomet Sports Medicine, Llc Fracture fixation device
US11259794B2 (en) 2006-09-29 2022-03-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implanting soft tissue
US8500818B2 (en) 2006-09-29 2013-08-06 Biomet Manufacturing, Llc Knee prosthesis assembly with ligament link
US9918826B2 (en) 2006-09-29 2018-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Scaffold for spring ligament repair
US9282965B2 (en) 2008-05-16 2016-03-15 Abbott Laboratories Apparatus and methods for engaging tissue
US8282674B2 (en) * 2008-07-18 2012-10-09 Suspension Orthopaedic Solutions, Inc. Clavicle fixation
US9271706B2 (en) * 2008-08-12 2016-03-01 Covidien Lp Medical device for wound closure and method of use
US9414820B2 (en) 2009-01-09 2016-08-16 Abbott Vascular Inc. Closur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486191B2 (en) 2009-01-09 2016-11-08 Abbott Vascular, Inc. Closure devices
US20100179589A1 (en) 2009-01-09 2010-07-15 Abbott Vascular Inc. Rapidly eroding anchor
US20100185234A1 (en) * 2009-01-16 2010-07-22 Abbott Vascular Inc. Closur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343227B2 (en) 2009-05-28 2013-01-01 Biomet Manufacturing Corp. Knee prosthesis assembly with ligament link
US20110054492A1 (en) 2009-08-26 2011-03-03 Abbott Laboratories Medical device for repairing a fistula
US9357991B2 (en) 2011-11-03 2016-06-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itching tendons
US9357992B2 (en) 2011-11-10 2016-06-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81013B2 (en) 2011-11-10 2016-07-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70350B2 (en) 2011-11-10 2016-06-21 Biomet Sports Medicine, Llc Apparatus for coupling soft tissue to a bone
US9332976B2 (en) 2011-11-30 2016-05-10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Tissue closure device
US9433438B2 (en) 2012-11-15 2016-09-06 DePuy Synthes Products, Inc. Locking member for a bone fixation device
US9364209B2 (en) 2012-12-21 2016-06-1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Articulating suturing device
US9795426B2 (en) * 2013-03-07 2017-10-24 DePuy Synthes Products, Inc. Implants
US9757119B2 (en) 2013-03-08 2017-09-12 Biomet Sports Medicine, Llc Visual aid for identifying suture limbs arthroscopically
US9918827B2 (en) 2013-03-14 2018-03-20 Biomet Sports Medicine, Llc Scaffold for spring ligament repair
US9839450B2 (en) 2013-09-27 2017-12-12 Spinal Elements, Inc. Device and method for reinforcement of a facet
CN103479421A (zh) * 2013-10-05 2014-01-01 王学建 神经外科内镜经鼻手术的缺损重建器械
US10136886B2 (en) 2013-12-20 2018-11-27 Biomet Sports Medicine, Llc Knotless soft tissue devices and techniques
US9615822B2 (en) 2014-05-30 2017-04-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Insertion tools and method for soft anchor
US9700291B2 (en) 2014-06-03 2017-07-11 Biomet Sports Medicine, Llc Capsule retractor
US10039543B2 (en) 2014-08-22 2018-08-07 Biomet Sports Medicine, Llc Non-sliding soft anchor
US9955980B2 (en) 2015-02-24 2018-05-01 Biomet Sports Medicine, Llc Anatomic soft tissue repair
US9974534B2 (en) 2015-03-31 2018-05-22 Biomet Sports Medicine, Llc Suture anchor with soft anchor of electrospun fibers
CN106725795B (zh) * 2016-10-13 2018-07-10 苏州希普生物科技有限公司 可吸收颅骨固定锁系统及使用方法
US10758224B2 (en) * 2017-03-27 2020-09-01 Trimed,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a relationship between first and second bodies on a person
CN116370052B (zh) * 2023-06-07 2023-08-18 杭州锐健马斯汀医疗器材有限公司 钛板、钛板组件及钛板植入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885A (ja) * 1999-10-30 2003-04-08 アエスキュラップ アーゲ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隣接して配置された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外科用接続要素
US20040102779A1 (en) 2001-06-15 2004-05-27 Aesculap Ag & Co. Kg Implant for fixing bone plates
US20040267287A1 (en) 2001-12-15 2004-12-30 Aesculap Ag & Co. Kg Surgical device for pushing together a thread loop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501A (en) 1882-07-18 Bag and sail tie
DE7802791U1 (de) 1978-05-24 Semm, Kurt, Prof. Dr.Med., 2300 Kiel Vorrichtung zum Abbinden von biologischem Gewebe
US2576649A (en) * 1949-03-12 1951-11-27 Milo W Slind Skull clamp
DE912619C (de) 1952-03-22 1954-05-31 Walter Hirsch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Anziehen eines aus Fadenschlingen gebildeten, einen Koerper umfassenden Knotens
US2856933A (en) * 1958-01-27 1958-10-21 Hildebrand Herbert Surgical snare
NL133643C (ko) * 1967-01-10 1900-01-01
DE2125556B1 (de) 1971-05-22 1972-07-06 Fischer, Artur, 7241 Tumlingen Verbindungselement für Kniescheibenfrakturen
US3910281A (en) * 1973-10-09 1975-10-07 Bio Medicus Inc Suture anchor
US4177813A (en) * 1978-01-09 1979-12-11 Med General, Inc. Vessel occluder
DE2804070A1 (de) 1978-01-31 1979-08-02 Kurt Prof Dr Med Semm Vorrichtung zum abbinden von biologischem gewebe
US4754529A (en) * 1980-07-14 1988-07-05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Bundling of objects
US5258011A (en) * 1987-01-12 1993-11-02 Drews Robert C Corneal rivet
DE3709067A1 (de) 1987-03-19 1988-09-29 Ewald Hensler Medizinisches, insbesondere chirurgisches instrument
US4802477A (en) * 1987-05-07 1989-02-07 Shlomo Gabbay Sternum closure device
US4765329A (en) * 1987-10-19 1988-08-23 Cumming, Redwitz & Wilson, Inc. Intraocular lens insertion instrument
US4966600A (en) * 1989-01-26 1990-10-30 Songer Robert J Surgical securance method
DE8910462U1 (ko) 1989-09-01 1990-01-04 Hensler, Ewald, 7717 Immendingen, De
US5021059A (en) 1990-05-07 1991-06-04 Kensey Nash Corporation Plug device with pulley for sealing punctures in tissue and methods of use
EP0520177B1 (en) * 1991-05-24 1995-12-13 Synthes AG, Chur Resorbable tendon and bone augmentation device
CA2078530A1 (en) * 1991-09-23 1993-03-24 Jay Erlebacher Percutaneous arterial puncture seal device and insertion tool therefore
US5250049A (en) * 1992-01-10 1993-10-05 Michael Roger H Bone and tissue connectors
JPH0613038B2 (ja) 1992-02-10 1994-02-23 島 由美子 頭蓋骨骨弁固定装置
US5242459A (en) * 1992-07-10 1993-09-07 Laparomed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ligating loop
US5330491A (en) 1992-09-18 1994-07-19 Ethicon, Inc. Endoscopic suturing device
DE4243427C1 (de) 1992-12-15 1994-03-10 Ethicon Gmbh System zum Applizieren von Knoten in chirurgischem Nahtmaterial
FR2704132B1 (fr) 1993-04-23 1995-07-13 Ethnor Système pour ligature et/ou suture pour chirurgie endoscopique.
US5423858A (en) * 1993-09-30 1995-06-13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eptoplasty fasteners and device for applying same
US5569250A (en) * 1994-03-01 1996-10-29 Sarver; David R.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djacent bone portions
US5433727A (en) * 1994-08-16 1995-07-18 Sideris; Eleftherios B. Centering buttoned device for the occlusion of large defects for occluding
US5549620A (en) * 1994-12-06 1996-08-27 Bremer; Paul Brain surgery with craniotomy pin
DE19603887C2 (de) * 1996-02-03 1998-07-02 Lerch Karl Dieter Anordnung zum Fixieren eines aus der Schädelkapsel zum Zwecke des operativen Eingriffs herausgetrennten Knochenstücks am verbliebenen Schädelbein
US5707373A (en) * 1996-04-26 1998-01-13 Ikonos Corporation Bone fastener and instrument for insertion thereof
JP2000505323A (ja) * 1996-02-14 2000-05-09 ウオルター ローレンツ,サージ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定着具及びそれを挿入するための機器
DE19634697C1 (de) 1996-08-28 1998-04-23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Verbindungselement zur Fixierung eines Kalottensegments
DE19636976C2 (de) * 1996-09-12 2003-05-15 Wolf Gmbh Richard Endoskopisches Instrument mit einer Betätigungsstange
DE19731453C2 (de) * 1997-07-22 1999-07-22 Storz Karl Gmbh & Co Vorrichtung zum Begrenzen der Kraftübertragung an chirurgischen Instrumenten
US6063106A (en) * 1997-09-19 2000-05-16 Gibson; William Frits Stewart Surgical spacer
US5921986A (en) * 1998-02-06 1999-07-13 Bonutti; Peter M. Bone suture
DE19832797C1 (de) 1998-07-21 2000-02-24 Aesculap Ag & Co Kg Fixiervorrichtung für nebeneinander angeordnete Knochenplatten und Anlegeinstrument dafür
US6022351A (en) 1999-02-23 2000-02-08 Bremer; Paul W. Skull closure device and procedure
US6379363B1 (en) * 1999-09-24 2002-04-30 Walter Lorenz Surg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ttachment of a cranial flap using a cranial clamp
DE29919090U1 (de) 1999-10-30 2000-01-13 Aesculap Ag & Co Kg Chirurgisches Verbindungselement zur Fixierung benachbart angeordneter Knochenplatten
US7153312B1 (en) * 1999-12-02 2006-12-26 Smith & Nephew Inc. Closure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repair
US6514274B1 (en) * 2000-02-25 2003-02-04 Arthro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or cuff repair
WO2002022001A2 (en) * 2000-09-15 2002-03-21 Macropore, Inc. Cranial flap fixation device
US7670361B2 (en) * 2001-06-15 2010-03-02 Aesculap Ag Implant for fixing bone plates
US6685707B2 (en) * 2001-09-25 2004-02-03 Walter Lorenz Surgical, Inc. Cranial clamp and method for fixating a bone plate
US7048737B2 (en) * 2002-06-11 2006-05-23 Bioplate, Inc. Cranial bone flap fixation system and method
US7387633B2 (en) * 2003-04-04 2008-06-17 Osteomed L.P. Cranial flap fixation system and method
US7455683B2 (en) * 2004-02-26 2008-11-25 Depuy Mitek,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pairing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ea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885A (ja) * 1999-10-30 2003-04-08 アエスキュラップ アーゲ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カーゲー 隣接して配置された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外科用接続要素
US20040102779A1 (en) 2001-06-15 2004-05-27 Aesculap Ag & Co. Kg Implant for fixing bone plates
US20040267287A1 (en) 2001-12-15 2004-12-30 Aesculap Ag & Co. Kg Surgical device for pushing together a thread lo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3221B1 (de) 2013-01-30
JP2008508067A (ja) 2008-03-21
US20130190763A1 (en) 2013-07-25
DE102004038823B3 (de) 2006-03-30
ES2401337T3 (es) 2013-04-18
ES2428517T3 (es) 2013-11-08
EP2361569A1 (de) 2011-08-31
EP1773221A1 (de) 2007-04-18
US8403929B2 (en) 2013-03-26
US20070250059A1 (en) 2007-10-25
WO2006015635A1 (de) 2006-02-16
US8986352B2 (en) 2015-03-24
EP2361569B1 (de) 2013-07-31
KR20070058444A (ko) 2007-06-08
JP5080253B2 (ja)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957B1 (ko)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JP4669871B2 (ja) 隣接して配置された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外科用接続要素
US10052091B2 (en) Knotless suture or tissue fixation using an implant having a pointed tip
US9060762B2 (en) Reattachment of tissue to base tissue
US5324291A (en) Bone section re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7582088B2 (en) Bone fixing device
JP2014525769A (ja) 脊椎固定装置
EP2967544B1 (en) Soft tissue fixation system
US9492157B2 (en) Bone anchor apparatus and method
EP1265540B1 (en) Surgical cable crimp
RU27183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US20190099258A1 (en) Adjustable fixation device
US1097350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pairing soft tissue and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JP4340147B2 (ja) 隣接する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
WO2017210659A1 (en) Adjustable cleat and suture
US9913637B2 (en) Soft tissue fixation system
US20220015752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pairing soft tissue and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EP1596741B1 (en) Bone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