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295B1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295B1
KR100925295B1 KR1020067027946A KR20067027946A KR100925295B1 KR 100925295 B1 KR100925295 B1 KR 100925295B1 KR 1020067027946 A KR1020067027946 A KR 1020067027946A KR 20067027946 A KR20067027946 A KR 20067027946A KR 100925295 B1 KR100925295 B1 KR 10092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ignal
recorded
data signal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682A (ko
Inventor
마사루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19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93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1963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6624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04H20/426Receiv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휴대 전화 장치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가진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지정된 기록 형식에 따라서,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분리부(105)에서 분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기록 개시 시간부터 기록 종료 시간까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고,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는 신호의 양의 적정화를 도모하고,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100)의 배터리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이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내용을 기록하여 재생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장치로 대표되는 이동체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전자 통신 기술의 진전은 현저하고, 또한 편리성에 기인하여 그와 같은 이동체 단말 장치가 다기능화하고 또한 고기능화하여, 이동체 단말 장치의 이용 범위가 확대하고 있다.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 접속 등의 통신 기능이나, 전자 메일의 기능, 게임, 음악재생, FM 방송의 수신 등이 있다.
그런데, 위성 방송 및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화가 진행하여, 고화질화나, 시청자 참가형의 인터렉티브(대화형) 방송, 데이터 방송 등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이 현실화하고 있어서, 지금까지의 음성과 영상에 의한 방송에 더해서 일기 예보, 주식 정보, 각종 뉴스 등의 데이터 방송도 디지털화되어 방송되도록 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젼 튜너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알려져 있지만, 지상파 디지털 방송 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에서는 주로 휴대성이 높은 소형 수신기 대상으로, 1 또는 3 세그먼트의 전송 대역을 사용한 방송이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상술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기록 가능한 장치를, 이동체 단말 장치에 대표되는 휴대 전화 장치와 일체적으로 통합해서 1개의 장치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존의 휴대 전화 장치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단지 합체 통합하기만 했을 때는 배터리의 전력 용량과 수명, 기록 용량 등의 제약을 극복할 수가 없다.
휴대 전화 장치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기존의 방법으로 일체로 구성한 경우를 상정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안테나(713), 송수신부(714), 비휘발성 메모리(715), 카메라(716), 조작부(717), 마이크(MIC)(711)는 휴대 전화 장치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만족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701)로 방송파를 수신하고, 지정된 프로그램에 주파수를 합하는 튜너부(702)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며, 튜너부(702)로 추출된 신호를 복조부(703)로 복조하고, 복조부(703)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출력한다.
또한, TS란 영상 신호(비디오 신호), 음성 신호(오디오 신호), 데이터 신호 별로 다중화된 정보이다. TS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관련해서 설명한다.
복조부(703)로부터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러(704)에서 해독을 실행한다.
해독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TS 분리부(705)에서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로 분리된다.
TS 분리부(705)로 분리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복호부(707)에서 디코드(복호)되고 표시부(709)에서 영상으로서 표시된다. TS 분리부(705)로 분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복호부(706)에서 복호되어 스피커(710)로부터 소리로서 출력된다.
TS 분리부(705)에서 분리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708)에서 처리되고 표시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표시부(709)에 문자, 숫자, 도형 등의 형태로 표시된다.
제어부(712)는 튜너부(702)의 선국을 제어하거나, 휴대 전화 장치를 제어한다.
상술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디지털 방송을 기록할 때는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프로그램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재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방법 혹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자체를 기록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2-9920호 공보
그러나, 이동체용 장치로 위에 설명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일체 구성으 로 하는 것만으로는 아래에 설명하는 과제가 있다.
종래의 디지털 방송에서의 프로그램 기록 방법은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프로그램 내용을 모두 메모리에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을 위해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가령, 다수의 메모리 또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한다고 해도, 배터리(축전지)의 소비 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장하는 기록 매체의 메모리 용량이 작은 경우, 결과적으로 기록 시간이 줄어들어 스포츠 프로그램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 등에는 그 결과까지 기록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상술한 프로그램을 마지막까지 기록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의 메모리를 탑재해야만 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 전화기와 같이, 그 장치 자체에 내장된 기억 메모리 용량에 제한이 있는 휴대 장치에서는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내용이, 음악 프로그램이나 뉴스 등, 데이터 신호 혹은 음성 신호만이여도 되는 기록 내용도 다 기록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영상, 음성, 데이터의 각 신호를 개별 또는 복수의 신호를 소거할 수가 없어서 기록 메모리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형 또한 경량이며, 휴대성이 우수하고, 실용적으로 이용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제를 극복하여, 이동체용에 적합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하기 (1)~(12)이다.
(1)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해당 분리 수단으로 분리한 신호 중 어느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해당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상기 지정 수단은 기록하는 프로그램 내용에 근거하여 기록하는 신호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상기 지정 수단이 데이터 신호의 기록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대상의 프로그램을 간헐적으로 수신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상기 지정 수단이 데이터 신호의 기록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대상의 프로그램의 마지막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기록할 프로그램을 예약하는 예약 수단과,
해당 예약 수단으로 예약한 프로그램이 상기 기록 수단에 모두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모두 기록 불가능하다고 예측된 경우, 상기 기록 수단은 해당 기록 대상의 프로그램의 마지막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중에 해당 기록 수단의 잔여 용량을 감시하고, 해당 잔여 용량이 부족할 경우, 상기 기록 동작을 정지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마지막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상기 지정 수단은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느 신호의 조합으로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 수단과,
해당 통신 수단을 통한 착신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기록 중에 착신을 검출했을 때의 착신 처리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중에 착신을 검출했을 때의 상기 설정 수단의 설정에 근거하여 착신을 처리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해당 기록 수단에 기록한 각 신호부터의 특정한 신호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해당 지정 수단이 지정한 신호만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0)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한 각 신호를 각각 다른 파일로서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파일을 지정하며, 상기 재생 수단은 해당 지정된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1)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해당 기록 수단에 기록한 각 신호로부터 특정한 신호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해당 지정 수단이 지정한 신호만을 삭제하는 삭제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2)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서 분리한 각 신호를 각각 다른 파일로서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파일을 지정하며, 상기 삭제 수단은 해당 지정된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발명의 효과)
상기 (1)~(12)의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하면, 방송 내용에 따라 기록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이면서, 또한 기억 용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용 형태나 장치의 상태에 따라 재생 형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신호를 개별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기록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록 용량이 작은 휴대 단말에 유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 휴대 전화 장치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통합한 경우의 장치(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d)는 도 1에 도시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d)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선택하는 신호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관한 재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데이터의 추출 처리를, (b),(c)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관한 재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데이터의 추출 처리를, (b),(c)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관한 재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파일 생성 처리를, (b)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관한 소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소거 처리를, (b)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에 있서, 방송 프로를 간헐적으로 수신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예약 기록 설정 수단이 마련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간헐적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에서 메모리 용량 판정 수단이 마련된 휴대 전화 장치의 구성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도.
부호의 설명
100, 100A, 100B :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
101 : 디지털 방송 수신용 안테나 102 : 튜너부
103 : 복조부 104 : 디스크램블
105 : TS 분리부 106 : 음성 신호 복호부
107 : 영상 신호 복호부 108 : 데이터 신호 처리부
109 : 표시부 110 : 스피커
111 : 마이크(MIC) 112 : 제어부
113 : 휴대 전화용 안테나 114 : 무선통신부
115 : 조작부 116 : 기록 형식 선택 수단
117 : 기록 수단 118 : 재생 수단
119 : 소거 수단 126 : 카메라 부분
100A :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
401 : 예약 기록 설정 수단
402 : 프로그램 종류별 판정 수단
403 : 전자 프로그램 표 데이터
100B :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
601 : 메모리 용량 판정 수단 602 : 기록 용량 계산 수단
방송에서의 프로그램(콘텐츠)은 스포츠, 음악, 드라마, 영화, 뉴스, 버라이어티, 애니메이션 등 다양화되고 있지만,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연속해서 시청하지 않으면 내용을 알 수 없는 것도 있고, 스포츠나 뉴스 등 결과만 보면, 도중 경과는 보지 않아도 되는 것도 있다.
스포츠나 뉴스 프로그램은 그 결과만을 기록할 수 있으면 대부분의 사용자가 만족하고, 반대로 결과를 기록할 수 없으면 큰 불만을 갖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음악 프로그램의 경우는 기록된 것을 후에 들을 때 영상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의 프로그램 종류에 의해서 방송 내용 모두를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것과 기록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분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음성과 동시에 데이터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는 영상, 음성의 보완적 역할을 하고 있어서(예컨대, 야구 중계의 득점 경과 등), 데이터 방송에 있어서는 방송되고 있는 데이터 신호를 항상 기록할 필요는 없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방송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이며 또한 유용성(실용성)이 높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해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내용을 재생하고 출력하여, 수신된 방송 내용 중 희망하는 것을 희망하는 형식으로 기록(기억)할 수 있어서, 기록한 방송 내용을 재출력 가능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해당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이동체용 장치로 대표되는 휴대 전화 장치를 통합한 장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다.
본 발명에 근거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휴대 전화 장치를 통합한 장치를 이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실시예로서, 방송되고 있는 방송파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등을 예시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공통부와, 휴대 전화 장치의 부분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공통부로서 제어부(112), RAM(121), ROM(122), 조작부(115), 표시부(109), 기록 수단(117), 스피커(110)를 갖는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휴대 전화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공통부 외에, 휴대 전화용 안테나(113), 무선 통신부(114), 마이크(MIC)(111)를 갖는다. 휴대 전화 장치 부분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렌즈, CCD, 초점 자동 조정 및 조도 자동 조정 등을 처리하는 조정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부분(126)을 부가할 수 있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공통부 외에, 디지털 방송 수신용 안테나(101), 튜너부(102), 복조부(103),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분리부(105), 음성 신호 복호부(106), 영상 신호 복호부(107),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 기록 형식 선택 수단 (116)을 갖는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방송 내용이 스크램블 처리되고 있는 경우에 디스크램블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디스크램블러(104)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 재생 수단(118), 소거 수단(119) 등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은 1개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공통부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2)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현되어 있고, ROM(12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로서의 제어 처리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로서의 제어 처리를 행한다. RAM(121)은 제어부(112)의 처리에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의 제어 수단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수단은 제어부(112), RAM(121), ROM(122)을 공용할 수 있다.
조작부(115)도 휴대 전화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작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작을 겸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 장치로서 사용하는 소자로서는 텐키 수치 패드(ten-key numerical pad), 펑션키, 각종의 선택 버튼 등이 있다. 또한 카메라 부분(126)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조작 스위치 등도 포함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선국을 위한 조작 스위치,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을 통해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할 대상 즉,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의 선택, 기록 개시 시간과 종료 시간, 기록한 정보의 삭제 지시 등이 있지만, 텐키 수치 패드, 펑션 키와 상기 각종의 선택 버튼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109)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기이며, 휴대 전화 장치의 표시 수단으로서 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 수단으로서 양자로 병용된다.
표시예를 도 5~도 8에 예시하고 있으며,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스피커(110)도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 장치의 음성 신호 출력 수단으로서 및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음성 신호 출력 수단으로서 병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음성 신호라고 할 때, 음성과 각종 음향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소리의 신호」를 의미한다.
기록 수단(117)은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내장 또는 분리 가능(교환 가능한) 메모리이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 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카메라 부분(126)에서 촬상한 화상, 전화기로서 필요한 전화번호부 데이터, 착신 통보 등에 필요한 착신용 사운드 데이터, 전자 메일의 데이터, 무선부 등을 거쳐서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보존 등에 사용 가 능(공유 가능)하다.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를 휴대 전화 장치로서 사용할 때의 기본 동작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대의 휴대 전화 장치와 통상의 회화, 전자 메일 등을 할 때, 휴대 전화용 안테나(113), 무선통신부(114), 조작부(115), MIC(111)과, 스피커(110), 표시부(109), 제어부(112), RAM(121), ROM(122)이 동작한다.
또한,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바이더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그 정보를 보존할 때는 기록 수단(117)도 동작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2)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계되는 부분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하는 등 전력 절약화를 도모한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상대측 휴대 전화 장치의 번호에 다이얼링하여 발신하면, 제어부(112)의 제어를 기초로 무선통신부(114)와 휴대 전화용 안테나(113)를 통해서 기지국에 무선 접속되어, 상대측(피호출측)의 전화기(휴대 전화 장치를 포함함)에 접속되어, MIC(111)와 스피커(11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조작부(115)의 조작 내용, 통화 상태 등이 제어부(112)의 제어를 기초로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바이더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억할 때, 휴대 전화용 안테나(113), 무선통신부(114)를 통해서 무선 통신하여 얻어진 정보를 제어부(112)를 통해서 기록 수단(117)에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를 제어부(112)로부터 표시부(109)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를 카메라로서 사용할 때는 상술한 카메라 부분(126)을 동작시킨다.
그 촬상 결과를 예를 들면, 기록 수단(117)에 유지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를 이용하면, 기록 수단(117)에 카메라 부분(126)으로 촬상한 화상을 유지할 수 있어, 휴대 전화 장치(디지털 카메라)로서의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디지털 방송 수신용 안테나(101)는 디지털 방송파를 항상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튜너부(102)는 조작부(115)에서 선택되어 제어부(112)로부터 지령된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한 채널의 방송 내용, 즉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복조부(103)에 출력한다.
복조부(103)는 선국된 채널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복조한다.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스크램블링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러(104)로 스크램블을 해제한다.
즉, 특정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만이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허가하기 위한 (한정 수신 방식의 암호화된 방송을 해독하기 위한) 디스크램블러(104)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스크램블 처리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2)의 지시를 기초로 동작하여 스크램블 처리 방식에 따른 디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예시적인 TS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와, 데이터 신호와, 프로그램 정보가 패킷 단위로 다중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는 MPEG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는 TS 분리부(105)에서 각 패킷마다, 영상 신호, 음성 신호(음성/음향 신호), 데이터 신호, 프로그램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복호부(107)에서 예를 들어, MPEG 방식으로 복호되어 영상으로서 표시 수단(109)에 표시된다.
분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복호부(106)에서 예를 들면, MPEG 방식으로 복호되어, 음성 및/또는 음향으로서 스피커(110)에서 출력된다.
분리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에서 그 내용을 해석하여, 데이터 신호의 내용이 방송 서비스에 관계되어 있는 것인 경우에는 표시 수단(109) 등에서 표시·재생 가능하도록 복호하여, 표시 또는 재생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디지털 방송을 기록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탑재된 기록 수단(117)은 내장 고정형이여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없는 경우와, 자유롭게 분리해서 교환 가능한 경우의 두가지 형태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떤 형태여도 된다. 이하, 기록 수단(117)을 교환 가능한 카드형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예시한다.
방송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종류별은 스포츠, 음악, 드라마, 영화, 뉴스, 버라이어티, 애니메이션 등 다양화되고는 있지만,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연속해서 시청하지 않으면 내용을 알 수 없는 것도 있고, 스포츠나 뉴스 등 결과만 보고 중간 경과는 보지 않아도 되는 것도 있다.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방송에 있어서는 시합 시작부터 종료까지 장시간 계속해서 보지 않아도 시합 결과만 알면 대부분의 시청자는 만족하지만, 반대로 시합 결과를 기록할 수 없으면 불만이 큰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방송의 프로그램 종류별에 의해서 방송 모두를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상술했다.
또한, 영상, 음성과 동시에 데이터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는 영상, 음성의 보완적 역할을 하고 있다기보다, 예를 들면, 야구 중계의 득점 경과 등, 데이터 방송에 있어서는 방송되고 있는 데이터 신호를 항상 기록 수단(117)에 기록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음악 프로그램 방송 등은 기록된 소리를 나중에 듣는 경우에는 반드시 연주하고 있는 영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의 프로그램 종류별에 의해서, 방송 모두를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분리되는 것은 상술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희망과 목적에 따라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 형식을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을 마련하여 선택 가능하게 했다.
또한, 통상과 같이 모든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표시부(109)에 표시된 표시예를, 도 3(a)~(d)에 예시한다. 도 3(a)~(d)는 본 실시예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야구 중계 프로그램의 방송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표시부(109)의 표시 화면(200) 중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01)과, 동시에 송신되어 오는 시합의 중간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02)으로 분할해서 표시한 예이다.
이 경우, 데이터의 내용은 야구 중계 프로그램의 보완 정보를 위해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동기하여 표시된다.
도 3(b)는 음악 프로그램의 방송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211)에 영상을 표시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12)에 영상에 동기하여 현재 노래 부르고 있는 아티스트명과 곡명을 텍스트 데이터로써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데이터 신호도 프로그램의 보완 정보를 위해 음악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동기하여 표시된다.
도 3(c)는 일기 예보 프로그램의 방송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영상을 표시 하기 위한 영역(221)에 영상을,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22)에 텍스트 데이터로 일기 예보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의 데이터의 내용은 일기 예보 프로그램의 진행과 반드시 동기할 필요는 없고, 데이터가 독립된 정보이기 때문에 전국의 일기 예보 정보를 한번에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로서 표시해도 된다.
도 3(d)는 뉴스 프로그램의 방송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현재 설명하고 있는 영상을 영역(231)에 표시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32)에는 그 뉴스 프로그램에서 방송하는 뉴스의 일람이 표시된다. 이 경우의 데이터의 내용도 프로그램의 진행과 반드시 동기할 필요는 없고, 데이터가 독립된 정보이기 때문에 뉴스 캐스터가 뉴스를 설명하기 전에 표시해 놓아도 된다.
이와 같이, 도 3(a)~(d)의 예시는 표시부(109)의 상반부의 영역에 영상 신호 복호부(107)로부터의 영상이 표시되고, 하반부의 영역에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로부터의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방송에 대해서는 (1) 시인중인 방송 서비스에 관계한 것인 경우와, (2) 그 외에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소프트웨어 갱신(업데이트)용 다운로드 등의 기능 서비스인 경우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한, 기능 서비스의 데이터 신호의 경우에는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된 내용에 따라서 동작을 해야 한다.
또한, 방송 서비스에서의 데이터 신호에 있어서는 문자 정보, 도형 정보, 정 지 화상, 동화상, 음성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에서 각각 적합한 복호 수단으로 복호된다.
도 4(a)~(d)에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로부터 선택하는 신호예를 나타내었다. 도 4(a)는 데이터 신호만을 선택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선택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각각의 파일(음성파일과 데이터 파일)로서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d)는 선택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파일로서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예)
도 4(a)에 나타낸 예는 데이터 신호만을 선택 출력하도록, 지정된 필터를 거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예)
도 4(c)에 나타낸 예는 기록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만을 선택 출력하도록, 지정된 필터를 통해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만을 재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음성 신호는 실시간으로 출력되지만, 데이터 신호의 일구성은 복수의 패킷(신호)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한 패킷(신호)이 모여서 표시된다.
(제 3 예)
도 4(b)는 방송파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각각의 신호를 각각의 파일에 기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파일은 관련지어서 보존되어 있어서 한쪽 파일을 지정하면 다른 파일도 재생할 수 있다.
(제 4 예)
도 4(d)에 나타낸 예는 데이터 신호와 음성 신호만을 선택 출력하도록, 지정된 필터를 거쳐서 방송파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데이터 신호와 음성 신호로 이루어진 파일(트랜스포트 형식)로서 기록하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제 5 예)
도 4(b), (d)에 나타낸 파일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지정된 신호를 재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제 6 예)
영상 신호가 멀티 채널(멀티 앵글)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상 신호를 기록하고 있는 경우에도, 채널을 지정하여 재생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부음성도 부음성만의 재생도 삭제도 상기와 같다.
또한, 상기한 예에 있어서 제어 정보 등은 생략한다.
구체적인 기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채널, 기록 개시 시간과 기록 종료 시간, 기록할 대상(형식), 영상 신호만이나, 음성 신호만이나, 데이터 신호만이나 혹은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어느 조합 등의 기록 형식을 지정한다.
그 내용이 기록 수단(117)에 보존된다. 또한, 기록 개시 시간과 기록 종료 시간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시를 지정한 시간부터 종료를 지정한 시간까지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여도 된다.
제어부(112)와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이 협동하여 형식 지정된 기록 형식에 따라서, 튜너부(102)에서 선국시키고, 튜너부(102)에 선국된 채널의 방송 내용에 대하여 TS 분리부(105)에서 분리한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선택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조작하여 선국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느 것을 기록할지 선택하면, 제어부(112)가 그 선택 조작 내용을 검출하고, 선택된 내용을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에 설정한다.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선택된 내용(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을 예를 들어, 패킷 단위로 기록 수단(117)에 기입한다.
이에 따라, 기록 수단(117)에서 선택된 종류의 패킷 단위의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 신호는 수신된 그대로의 신호 형태(선택된 경우, 불필요한 신호는 제외된다)이므로 기록 수단(117)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의 부하는 적어진다.
또한, 시간 다중에 의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선택 가능하다.
또한, 기록 수단(117)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경우, 그 데이터 액세스시에 대량의 전류를 소비하기 때문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용량을 저감함으로써,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그 결과,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의 배터리의 수명도 늘어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재생)
다음으로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의 일반적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 처리에 있어서는 재생 수단(118)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하기의 처리를 행한다.
즉, 재생 수단(118)은 사용자의 조작부(115)에 대한 지시에 근거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데이터의 이력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이 때,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또한, 이 표시에 있어서, 표시부(109)의 화면 사이즈의 제약으로 한번에 모 든 이력 리스트를 표시할 수 없을 때는 스크롤 처리 등으로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표시부(109)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자기가 희망하는 것을 선택한다.
재생 수단(118)은 선택된 데이터를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판독해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복호부(107)로,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복호부(106)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로 출력한다.
이상으로부터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신호 중 사용자가 희망하는 것이 표시부(109), 스피커(110)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으로, 기록 수단(117)에 기입된 데이터에 대해서, 각종 신호 중에서 특정 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재생 수단(118)은 본 발명의 지정 수단 및 재생 수단의 일 실시예이다.
즉, 재생 수단(118)은 신호를 지정하기 위한 필터 기능과, 지정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기능을 갖고 있고, 각각의 기능이 본 발명의 지정 수단 및 재생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수단(117)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TS 분리하여 생성된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만을 재생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112)에 의해 데이터 신호만이 지정되고, 이에 따라서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주사하여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한다.
또한, 특정 신호의 지정은 사용자의 조작부(115)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제어부(112)가 재생 수단(118)에 지시하도록 해도 되고, 기록된 시간을 지정하여 그 범위 내에서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를 거쳐서 표시부(109)에 표시되도록 제어부(112)가 제어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생 수단(118)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데이터 신호의 추출 처리를, (b)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5(b)는 야구 중계 프로그램의 방송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표시부(109)의 표시 화면(200) 중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01)과, 동시에 보내져오는 시합 도중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02)에 분할하여 표시하는 예이다. 이 경우, 데이터의 내용은 야구 중계 프로그램의 보완 정보를 위해,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동기하여 표시된다.
다음으로,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프로그램)로부터 데이터 신호만을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로부터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프로그램)의 재생 조작이 행해지면,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에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주사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를 통해서 표시부(109)의 영역(202)에 표시되도록 제어부(112)가 제어한다. 또한, 영역(201)은 휴대 전화의 대기 화면 등 어떠한 표시라도 좋다.
또한, 도 5에 관련해서 데이터 신호만을 추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은 일례로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의하면, 저소비 전력으로 또한, 사용자의 의향에 맞는 재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내용 등에 따라 필요한 신호만을 지정하여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생시의 사용자의 상황이나 장치의 배터리 잔량 등을 고려한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데이터 신호를 지정하여 재생하는 것은 데이터 신호를 보완 정보로서 이용하는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으로부터 결과를 알고 싶을 때 등에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수단(117)에 기입된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신호 중에서 특정한 2개의 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의하 면, 단일 신호만을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추출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서는 특정한 2개의 신호로서, 예를 들어,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록 수단(117)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TS 분리하여 생성된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예를 들면,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제어부(112)에 의해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지정되고 이에 따라서,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의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주사하여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신호의 지정은 사용자의 조작부(115)에 대한 조작에 따라서, 제어부(112)가 재생 수단(118)에 지시하도록 해도 되고, 기록된 시간을 지정하여 그 범위 내에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복호부(106)를 거쳐서 스피커(110)로부터 출력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를 거쳐서 표시부(109)에 표시되도록 제어부(112)가 제어한다.
이 때,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는 소정수의 복수의 패킷에 의해서 하나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 그 소정수의 복수의 패킷을 추출하여 한 화면 분의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어부(112)가 표시부(109)를 제어하여 한 화면의 내용을 표시시킨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생 수단(118)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a) 는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추출 처리를, (b)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6(b)는 일기 예보 프로그램의 방송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221)에 영상을,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22)에 텍스트 데이터로 일기 예보 정보를 표시한다.
이 경우의 데이터의 내용은 일기 예보 프로그램의 진행과 반드시 동기할 필요는 없고, 데이터가 독립된 정보이기 때문에 전국의 일기 예보 정보를 한번에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로서 표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프로그램)로부터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만을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프로그램)의 재생 조작을 행하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주사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프로그램 정보 중에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복호부(106)를 거쳐서 스피커(110)로부터 출력되고,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를 거쳐서 표시부(109)의 영역(222)에 표시되도록 제어부(112)가 제어한다.
그 결과,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출된 데이터 신호는 표시부(109)의 영역(222)에 표시된다.
이 때, 도 6(c)에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는 3패킷분이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 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패킷분의 데이터 신호를 추출한 후에 영상 표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영역(221)은 휴대 전화의 대기 화면 등 어떠한 표시여도 된다.
또한, 도 6에 관련되어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은 일례로서, 그 외의 신호를 조합해서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의하면, 기록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분리하여 얻어진 복수의 신호 중에서 특정한 2개의 신호를 지정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내용 등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만을 지정하여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생시의 사용자의 상황이나 장치의 배터리 잔량 등을 고려한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지정하여 추출하는 것은 재생 내용과 동기할 필요가 없는 일기 예보 프로그램 등에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기록 수단을 공유하는 휴대 전화기의 기록 수단에 맞게, 데이터 종류별마다(예를 들어, 폴더) 파일을 저장하는 기록 수단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별도의 파 일로서 기록하고, 이들 파일을 사용자가 후에 개별적으로 지정함으로써 재생하는 것을 기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TS 분리부(105)가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고, 제어부(112)는 분리된 각 신호마다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생성한 파일을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이 때, 생성한 파일을 관련시켜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음악 프로그램의 방송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라면, 영상 신호의 파일과 음성 신호의 파일과 데이터 신호의 파일을 관련시켜서 기록한다.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파일은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거쳐서 파일을 지정함으로써, 개별적으로도 혹은 관련된 모두로도 재생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파일을 재생 수단(118)에 통지하고, 이에 따라서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지정된 파일을 출력하여 재생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생 수단(118)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파일 생성 처리를, (b)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 표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7(b)는 음악 프로그램의 방송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211)에 영상을 표시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12)에 영상에 동기하여 현재 노래 부르고 있는 아티스트명과 곡명을 텍스트 데이터로써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신호는 프로그램의 보완 정보이기 때문에, 음악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에 동기하여 표시된다.
다음으로, 방송파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 처리부터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로서는 우선,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S 분리부(105)가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등으로 분리함과 아울러, 제어부(112)는 분리된 각 신호마다 파일을 생성한다.
도 7(a)에 나타낸 예에서는 음성 신호의 파일과 데이터 신호의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
이들 파일은 서로 관련되어서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후에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거쳐서 파일을 지정하면 제어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파일을 재생 수단(118)에 통지하고 이에 따라서,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지정된 파일을 출력하여 재생한다.
즉, 음성이라면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110)로부터 출력되고, 데이터 방송의 데이터 파일이라면 대응하는 데이터가 표시부(109)의 영역(212)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의하면, 수신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를 분리해서 획득한 복수의 신호로부터 각각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생성된 파일을 이후에 개별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반드시 영상 표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음악 프로그램 방송 등의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이후에 재생(시청)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음성 신호의 파일만을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4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의 설명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기록된 이들 신호 중 특정한 신호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수단(117)의 기록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소거 수단(119)을 이용한다.
소거 수단(119)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하기의 처리를 행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데이터 신호의 이력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킬 때, 소거 수단(119)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또한, 이 표시에 있어서, 표시부(109)의 화면 사이즈의 제약 때문에 한번에 모든 이력 리스트를 표시할 수 없을 때는 스크롤 처리 등으로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표시부(109)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자기가 소거를 희망하는 신호를 선택한다.
소거 수단(119)은 선택된 신호를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소거하는 처리를 행하고, 소거된 부분을 기록 가능 영역에 설정한다.
또한, 소거 수단(119)은 본 발명의 삭제 수단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소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소거 수단(119)의 처리를, (b)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 서비스의 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8(b)는 뉴스 프로그램의 방송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현재 설명하고 있는 영상을 영역(231)에 표시하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영역(232)에는 그 뉴스 프로그램에서 방송하는 뉴스의 일람이 표시된다.
또한, 이 경우의 데이터의 내용은 프로그램의 진행과 반드시 동기할 필요는 없고, 데이터가 독립된 정보이기 때문에 뉴스 캐스터가 뉴스의 설명을 하기 전에 표시되어도 된다.
이러한 뉴스 프로그램은 영상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있다면 충분한 정보 전달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큰 기록 용량이 필요한 영상 신호는 소거하고,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다른 용도로 개방함으로써 기록 수단(117)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의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 중에서 영상 신호만을 선택하여 소거함으로써 보다 많은 기록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 신호에 한하지 않고, 다른 신호에 대해서도 소거하는 것이 가능 하지만, 큰 기록 영역이 필요한 영상 신호를 소거하는 것이, 기록 수단(117)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도 뉴스 등, 즉시성(immediacy)이 필요한 정보, 시간적으로 유효 기한이 있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자동적으로 소거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록 수단(117)에 기록시킬 내용에 우선 클래스(우선도)를 붙여 두고, 보다 낮은 클래스(카테고리여도 된다)의 데이터 신호를 소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파일로서 관련시켜서 기록 수단(117)에 기록했지만 이들 기록된 파일은 파일마다 소거할 수 있다.
이로써, 기록 수단(117)의 기록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 파일을 소거하는 데는 소거 수단 (119)을 이용한다.
소거 수단(119)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하기의 처리를 행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파일의 이력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이 때, 소거 수단(119)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 되어 있는 기록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또한, 이 표시에 있어서, 표시부(109)의 화면 사이즈의 제약으로 한번에 모든 이력 리스트를 표시할 수 없을 때는 스크롤 처리 등으로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표시부(109)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자기가 소거를 희망하는 파일을 선택한다.
소거 수단(119)은 선택된 파일을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소거하는 처리를 행하고, 소거된 부분을 기록 가능 영역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 3 실시예에 나타낸 도 7(a)의 예에서는 음성 신호의 파일과 데이터 신호의 파일이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지만, 사용자는 이들 파일을 지정하여 소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데이터 신호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데이터 신호의 파일만을 소거함으로써, 그 만큼의 기록 영역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의하면, 제 4 실시예에 관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와 같이, 보다 많은 기록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6 실시예)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데이터 단위 또는 파일 단위로 기록, 재생 또는 삭제를 할 수 있는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영상 신호가 멀티 채널(멀티 앵글)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데이터/파일의 기록, 재생 또는 삭제를 행할 수 있다.
즉, 멀티 앵글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는 앵글마다의 영상 데이터를 각각 별개의 데이터로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앵글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삭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음성의 음성 데이터에 관해서도, 주음성의 음성 데이터와는 별개의 데이터로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부음성의 음성 데이터만의 재생/삭제도 실행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사용자는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채널, 기록 개시 시간과 기록 종료 시간, 기록할 대상(형식) 예를 들면, 도 4의(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만이나, 음성 신호만이나, 데이터 신호만이나 혹은,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어느 조합 등의 기록 형식을 지정한다.
이 내용이 기록 수단(117)에 보존된다. 또한, 기록 개시 시간과 기록 종료 시간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시를 지정한 시간부터 종료를 지정한 시간까지로 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약 기록 시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112)와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이 협동하여, 형식 지정된 기록 형식에 따라서, 튜너부(102)에서 선국하고, 튜너부(102)에서 선국된 채널의 방송 내 용에 대하여 TS 분리부(105)에서 분리한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선택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조작하여, 선국한 방송프로에 대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느 것을 기록할지를 선택하면, 제어부(112)가 그 선택 조작 내용을 검출하여, 선택된 내용을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에 설정한다.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선택된 내용(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을 예를 들어, 패킷 단위로 기록 수단(117)에 기입한다.
이에 따라, 기록 수단(117)에 선택된 종류의 패킷 단위의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 신호는 수신된 그대로의 신호 형태(선택된 경우, 불필요한 신호는 제외된다)이므로, 기록 수단(117)에 있어서의 기록 처리의 부하는 적어진다.
또한, 시간 다중 등에 의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록 수단(117)의 기억 용량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압축 부호화된 음성 신호가 96kbps, 데이터 신호가 32kbps, 압축 부호화된 영상 신호가 256kbps로 구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384kbps의 스트림으로 방송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1)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음악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압축 부호화된 음성 신호만을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면 된다고 희망하는 경우에는, 기록 수단(117)에 있어서 동일 프로그램을 동일 시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용량으로서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 신호와 압축 부호화된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모든 신호를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 경우에 비해서 1/4의 기록 용량으로도 충분하다.
(2) 뉴스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자가 그 때에 방송되는 뉴스의 토픽만을 기록하면 된다고 희망하는 경우에는, 기록 수단(117)에는 예를 들면, 도 4(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만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모든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 비해서 1/12의 기록 용량으로도 충분하다.
(3) 음악 프로그램으로 도 4(b)부터 (d)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에도 상기 모든 신호를 기록한 경우의 1/3의 기록 용량으로도 충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한 신호만을 선택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폭 메모리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수단(117)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경우, 그 데이터 액세스시에 대량의 전류를 소비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용량을 저감함으로써,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그 결과,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의 배터리의 수명도 길어 진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
상기와 같이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 수단(118)을 이용한다. 재생 수단(118)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하기의 처리를 행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데이터의 이력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이 때, 재생 수단(118)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또한, 이 표시에 있어서, 표시부(109)의 화면 사이즈의 제약으로 한번에 모든 이력 리스트를 표시할 수 없을 때는 스크롤 처리 등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09)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자기가 희망하는 것을 선택한다.
재생 수단(118)은 선택된 데이터를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판독하여,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복호부(107)에,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복호부(106)에,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신호 처리부(108)에 출력한다.
이상으로부터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신호 중, 희망하는 것이 표시부(109), 스피커(110)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재생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5~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된 데이터의 소거)
상기와 같이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소거 수단(119)을 이용한다.
소거 수단(119)은 제어부(112)와 협동하여 하기의 처리를 행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15)를 이용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된 데이터 신호의 이력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이 때, 소거 수단(119)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리스트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또한, 이 표시에 있어서, 표시부(109)의 화면 사이즈의 제약으로 한번에 모든 이력 리스트를 표시할 수 없을 때는 스크롤 처리 등으로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표시부(109)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자기가 소거를 희망하는 신호를 선택한다.
소거 수단(119)은 선택된 신호를 기록 수단(117)으로부터 소거하는 처리를 행하고, 소거된 부분을 기록 가능 영역에 설정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된 데이터의 자동 소거)
또한, 상술한 소거 외에 뉴스 등, 즉시성, 시간적으로 유효 기한이 있는 것은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자동적으로 소거시킬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된 데이터의 우선 소거)
또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할 내용에 클래스(우선도)를 붙여 두고,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할 용량이 부족할 때, 보다 낮은 클래스(카테고리여도 된다)의 신호를 소거하는 것을 소거 수단(119)에 지령하여, 소거 수단(119)을 거쳐서 기록 수단(117)에 기록할 영역을 확보시킨 후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이 선택하는 신호를 기록시킬 수 있다.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면 상술한 신호의 기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12),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 재생 수단(118), 소거 수단(119) 등 신호 처리를 행하는 부분은 1개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식 기록 방식의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하면, 저소비 전력으로 또한, 기록 수단(117)의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보다 소형이고, 경량이며, 휴대성이 풍부하고, 휴대 전화 장치와 유기적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한다는 점에서 융화성이 있어서, 이동체용 장치에 적용하는 데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편리성과 자원의 활용이 보다 향상시킨다.
(선택식 기록 방식의 제 8 실시예)
도 9를 참조하여 선택식 기록 방식의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도 3(c), (d)와 같은 뉴스 프로그램의 데이터 방송을 간헐적으로 수신, 기록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통상, 일기 예보 등의 프로그램은 뉴스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취급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형태의 방송이 된다.
Δt(초)의 간격으로, 주기적 또한 간헐적으로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 최초의 수신시에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록 수단(117)은 영역(232)에 표시 가능한 모든 데이터 신호를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뉴스 프로그램 등의 방송의 경우에, 방송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는 어떤 일정 시간 내에는 같은 데이터 신호가 반복해서 방송되기 때문에,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기록 수단(117)에 기록할 필요는 없다.
대부분의 방송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과 함께 데이터 신호의 내용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부(115)를 거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형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인, 튜너부(102)로부터 TS 분리부(105)까지를 항상 동작시켜 둘 필요는 없고, 이들을 일정 시간마다 동작시켜 문자 등의 표시를 구성할 수 있는 만큼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며,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 전회의 데이터 신호와 비교하여 데이터 신호의 내용에 변화가 있으면,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뉴스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데이터 신호의 내용은 프로그 램진행과는 독립된 정보이기 때문에, 두번째 이후에는 그 내용이 다른 경우만 기록 동작을 실행하므로, 다음의 전국 날씨가 방송될 때까지는 간헐적으로 수신을 실행하지만, 데이터 신호의 내용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기록 수단(117)으로의 기록 동작은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전국 날씨가 방송되는 시점에, 데이터 신호의 내용도 변화되기 때문에, 새롭게 영역(222)에 표시 가능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으로 기록 수단(117)에,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튜너부(102)~TS 분리부(105)에서 간헐적으로 수신 동작을 행하여 기록 수단(117)에 기록함으로써, 수신 동작시외에는 기록 수단(117)에 있어서의 소비 전류를 크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서, 방송 내용을 더 기록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제 9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에 예약 기록 설정 수단을 마련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와 비교하면, 도 10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에는 예약 기록 설정 수단(401), 프로그램 종류별 판정 수단(402), RAM(121)에 기록된 전자 방송편성표 데이터(403)가 부가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와 동일하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와 같은 참조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의 대응하는 부분과 같은 기능을 한다.
또한, 예약 기록 설정 수단(401), 프로그램 종류별 판정 수단(402)을 제어부 (112)와 일체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에서, 전자 방송 편성표 데이터(403)가 사전에 RAM(12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조작부(115)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예약 기록을 행하는 경우, 프로그램 종류별 판정 수단(402)이 예약된 프로그램의 정보를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의 RAM(121)에 기록되어 있는 전자 방송 편성표 데이터(403)와 대조하여, 그 프로그램 종류별이 뉴스 등과 같이, 영상과 동기되지 않는 독립된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서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인 경우, 또는 스포츠 프로그램과 같이 데이터 신호는 프로그램 보완 정보이지만, 보완 정보를 보는 것만으로 그 결과, 경과를 아는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기록 수단(117)에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도록 예약 기록 설정 수단(401)에 설정한다.
예약 기록 설정 수단(401)은 설정된 시간이 되면 제어부(112)에 통지하고, 제어부(112)는 예약 정보를 예약 기록 설정 수단(401)으로부터 판독해서,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채널)으로 튜너부(102)를 조정하여,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도록 지시한다.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은 지시된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 수단(117)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기록 수단(117)에는 예약된 프로그램의 종류별에 따라서, 데이터 패킷만이 기록됨으로써, 그 기록 용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프로그램 종류별 판정 수단(402)이, 예약 설정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만 기록하면 되는지를 판정하는데는 예를 들면, ARIB STD-B10디지털 방송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배열 정보에 기재되는 것 같은 컨텐츠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사용해서 장르에 의한 대분류 및 중분류에 의해서 판정한다.
일례로서는 장르 대분류가 "뉴스/보도", "스포츠", "정보/와이드쇼"인 경우나, 장르 대분류가 "취미/교육"이고 장르 중분류가 "회화·어학", "유아·초등학생", "중학생·고등학생", "대학생·수험", "생애 교육·자격" 등인 경우에 데이터 패킷만으로 유용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기록 예약된 프로그램의 장르 대분류가 「스포츠」이고, 장르 중분류가 「야구」, 「축구」, 「골프」 등과 같이, 결과를 알면 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제 2 실시예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와 같이 데이터 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하고, 마지막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결과만을 데이터 신호로서 기록하는 것으로, 기록 수단(117)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과 기록 용량을 대폭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도 3(a)에 나타내는 방송 내용을 간헐적으로 수신, 기록하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 예약시에 방송 시간이 판명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시간 종료 수분 전부터 간헐 수신을 개시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실시간 방송이 많기 때문에, 방송 종료 시간이 예정에 전후하는 경우가 많다.
단, 시합 중계가 일찍 종료하는 등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한계의 관계로, 계속해서 시합 결과의 해설이나 인터뷰 등을 실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예정보다 일찍 방송이 종료하는 일은 거의 없어서, 방송 시간 종료 수분 전부터 방송종료 까지를 간헐 수신하면 된다.
또한, 야구, 축구 등 스포츠 중계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1 시간 이상의 프로그램(많게는 2 시간 정도)이기 때문에, 모두 수신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해서 전지의 소모가 심하다.
이와 같이 스포츠 중계 등을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시합 종료 직전(프로그램의 마지막 부근)부터 간헐적으로 수신해서 기록하는 것이, 기록 수단(117)의 기록 용량의 삭감과 소비 전력의 삭감에 불가결하게 된다.
(제 10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제 10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에 메모리 용량 판정 수단(601)과 기록 용량 계산 수단(602)을 마련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 치(100B)의 구성도이다.
도 12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B)로서, 도 10의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와 같은 도면 부호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A)의 대응하는 부분과 같은 기능을 한다.
또한, 메모리 용량 판정 수단(601)과 기록 용량 계산 수단(602)을 제어부(112)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15)를 조작하여 기록 예약을 실행할 때에, 기록 용량 계산 수단(602)은 예약된 프로그램 정보를 RAM(121)에 기록되어 있는 전자 방송 편성표 데이터(403)로부터 판독해서, 그 프로그램을 기록 수단(117)에 기록하는데 필요한 기억 용량을 계산한다.
디지털 방송의 송신 레이트는 각각의 방송 형식에 따라,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기록 용량 계산 수단(602)에 있어서, 기록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기록에 필요한 기억 용량을 추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 용량 판정 수단(601)에서는 기록 용량 계산 수단(602)에서 획득한 예측되는 기록 용량을 기록 수단(117)의 잔여 용량과 비교하여, 잔여 용량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가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모두를 기록하고 싶다고 설정한 경우에도, 프로그램 종류별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포츠 프로그램 등 결과를 기록하면 되는 것과 같은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전술의 방법과 같이 방송 종료 수분 전부터 간헐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에 관해서만 기록함으로써, 기록 수단(117)의 잔여 기억 용량이 적은 경우에도 소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록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1 실시예)
상술한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장치(100~100B)의 동작의 설명에 있어서, 휴대 전화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휴대 전화 장치를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자동 응답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용하는 표시부(109), 스피커(110)에 경합은 일어나지 않고, 문제는 없다.
그러나, 휴대 전화 장치를 대기 상태로 두고,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동작시켜 두며, 표시부(109)와 스피커(110)를 사용하고 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거나, 메일이 도착했을 때에, 표시부(109)와 스피커(110)의 경합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우선 순위를 설정 가능하게 했다.
사용자는 조작부(115)를 통해서 휴대 전화 장치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보다 우선시킬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휴대 전화 장치보다 우선시킬지를 제어부(112)에 설정한다.
설정 결과는 RAM(121)에 기록된다.
(1) 휴대 전화 장치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우선시키는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희망하는 채널의 방송 내용을 표시부(109) 및 스피커(110)로 시청하면서, 기록 수단(117)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휴대 전화 장치로 호출이 들어오면, 제어부(112)는 표시부(109)에는 휴대 전화 장치의 내용을 표시시키고, 스피커(110)로부터 벨소리 등을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오프 후크(off-hook)하면, MIC(111)도 사용하여 휴대 전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표시부(109), 스피커(110)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용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지만, 기록 형식 선택 수단(116)을 통해서 기록 수단(117)에 필요한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의 통화가 종료하여 온 후크 상태가 되었을 때, 제어부(112)는 휴대 전화 장치를 대기 상태로 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을 부활시키고, 표시부(109), 스피커(110)로부터 재생한 영상과 소리를 출력시킨다.
(2) 휴대 전화 장치보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우선시킨 경우
제어부(112)는 휴대 전화 장치의 기지국에 대하여, 휴대 전화 장치가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인 것, 예를 들어, 전원 오프 상태, 자동 응답 전화 상태에 상당하는 모드를 통보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하여, 희망하는 채널의 방송 내용을 표시부(109) 및 스피커(110)로 시청을 하고, 필요에 따라서 기록 수단(117)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이 종료한 후, 제어부(112)는 들어오는 호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 여, 들어오는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109)에 이를 표시한다.
(3)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내용에 따라 휴대 전화 장치를 우선시키는 경우
상기 (1), (2) 외에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내용에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을 우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감상이라든가 긴박한 격투기의 방법의 경우에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으로 음악 감상이라든가 격투기의 방송을 중단하고 싶지는 않다. 한편, 연속 드라마 방송의 경우 등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장치를 우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자 방송 편성표 데이터(403) 등을 이용하여 예약할 때에 휴대 전화 장치를 우선할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우선할지를 기록해 두고, RAM(121)에 기록시켜 두어서, 제어부(112)는 RAM(121)에 기록된 내용에 따라서, 경합하는 개의 동작(착신 처리)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외에도, 예를 들어 방송파의 감도를 검출하고, 감도가 소정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영상이나 음성을 안정되게 수신할 수 없는 상태), 데이터 신호의 기록 형식을 바꿔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동체에 탑재되어 수신 장소(수신 감도)가 시시각각 변화되는 경우에도, 최저한 필요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은 반복하여 같은 데이터를 방송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이 나 음성에 비해서 간헐적인 기록이 되어도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화기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은 데이터 종류별마다 폴더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방송파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상기 전화기에 이용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겸용한 경우, 예를 들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포함하여 구성된 파일은 무비 폴더에 기록되지만, 이 파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삭제한 경우, 그 삭제 후의 파일을 사운드 폴더에 이동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삭제 후의 파일이 어떤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12)의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하면, 방송 내용에 따른 기록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으로,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용 형태나 장치의 상태에 따른 재생 형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신호를 개별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기록 용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매우 크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 다.

Claims (12)

  1. 삭제
  2.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기록할 프로그램 내용에 근거하여 기록하는 신호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 수단이 데이터 신호의 기록을 지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대상인 프로그램을 간헐적으로 수신하여, 당해 프로그램의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 수단이 데이터 신호의 기록을 지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대상인 프로그램의 마지막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예약하는 예약 수단과,
    상기 예약 수단에 의해 예약된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수단에 모두 기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모두 기록할 수 없다고 예측되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대상인 상기 프로그램의 마지막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수단은 기록 중에 해당 기록 수단의 잔여 용량을 감시하여, 이 잔여 용량이 부족할 경우, 상기 기록 동작을 정지하고 기록 대상인 프로그램의 마지막 데이터 신호만을 기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중 어떤 신호의 조합으로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해서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어떤 신호를 기록할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의 지정에 근거하여 상기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서 착신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기록 중에 착신을 검출했을 때에 실행될 착신 처리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기록 중에 착신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설정 수단의 설정에 근거하여 착신 처리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된 신호 중 특정한 신호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신호만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각 신호를 각각 다른 파일로서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파일을 지정하며,
    상기 재생 수단은 상기 지정된 파일을 재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1.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된 신호 중 특정한 신호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과,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신호만을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각 신호를 각각 다른 파일로서 기록하고,
    상기 지정 수단은 상기 파일을 지정하며,
    상기 삭제 수단은 해당 지정된 파일을 삭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20067027946A 2004-06-29 2005-06-29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0925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1964 2004-06-29
JP2004191964A JP4409374B2 (ja) 2004-06-29 2004-06-29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JP-P-2004-00191963 2004-06-29
JP2004191963A JP3916624B2 (ja) 2004-06-29 2004-06-29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682A KR20070024682A (ko) 2007-03-02
KR100925295B1 true KR100925295B1 (ko) 2009-11-04

Family

ID=3578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946A KR100925295B1 (ko) 2004-06-29 2005-06-29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81288B2 (ko)
EP (2) EP2515549A3 (ko)
KR (1) KR100925295B1 (ko)
CN (1) CN102123232B (ko)
WO (1) WO2006001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6855B2 (en) 2004-06-28 2013-02-19 Winview,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gaming over a mobile device
US8870639B2 (en) 2004-06-28 2014-10-28 Winview,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gaming over a mobile device
US10226698B1 (en) 2004-07-14 2019-03-12 Winview, Inc. Game of skill played by remote participants utilizing wireless devices in connection with a common game event
US10721543B2 (en) 2005-06-20 2020-07-21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client resources and assets for activities on computing devices
WO2007002284A2 (en) 2005-06-20 2007-01-04 Airplay Networ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client resources and assets for activities on computing devices
US8149530B1 (en) 2006-04-12 2012-04-03 Winview, Inc. Methodology for equalizing systemic latencies in television reception in connection with games of skill played in connection with live television programming
US9511287B2 (en) 2005-10-03 2016-12-06 Winview, Inc. Cellular phone games based upon television archives
US9919210B2 (en) 2005-10-03 2018-03-20 Winview, Inc. Synchronized gaming and programming
US8002618B1 (en) 2006-01-10 2011-08-23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ducting multiple contests of skill with a single performance
US10556183B2 (en) 2006-01-10 2020-02-11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ducting multiple contest of skill with a single performance
US9056251B2 (en) 2006-01-10 2015-06-16 Winview,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conducting multiple contests of skill with a single performance
JP2007281537A (ja) * 2006-04-03 2007-10-25 Hitachi Ltd 録画再生装置及び録画再生装置を含む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11082746B2 (en) 2006-04-12 2021-08-03 Winview, Inc. Synchronized gaming and programming
KR100757231B1 (ko) * 2006-06-08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휴대단말기에 있어 복수의 채널 동시 다중화면시청 방법 및 장치
JP4371152B2 (ja) 2007-06-08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受信装置、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340536B (zh) * 2008-08-13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定时录制手机电视节目的方法
US9716918B1 (en) 2008-11-10 2017-07-25 Winview, Inc. Interactive advertising system
US8713604B2 (en) 2010-06-23 2014-04-29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upplement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a programming
US11551529B2 (en) 2016-07-20 2023-01-10 Winview, Inc. Method of generating separate contests of skill or chance from two independent events
US11308765B2 (en) 2018-10-08 2022-04-19 Winview, Inc. Method and systems for reducing risk in setting odds for single fixed in-play propositions utilizing real time inpu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794A (ja) * 2001-07-26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6320B1 (en) * 1996-10-08 2006-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JP3366234B2 (ja) 1996-10-08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受信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情報受信装置
US6219488B1 (en) * 1997-08-07 2001-04-17 Mat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JP2000009920A (ja) 1998-06-24 2000-01-14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JP2000100073A (ja) * 1998-09-28 2000-04-07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提供媒体
US8250617B2 (en) * 1999-10-29 2012-08-21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erspective instant replay
US8528019B1 (en) * 1999-11-18 2013-09-03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data/visual information
US6628891B1 (en) * 1999-11-19 2003-09-30 Scm Microsystems, Inc. Signal filtering mechanism for a multi-purpose digital television receiver
JP4562837B2 (ja) * 2000-01-14 2010-10-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記録再生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2009920A (ja) 2000-06-27 2002-01-11 Kyocera Corp 電源供給装置とセットになった携帯機器及び当該電源供給装置
JP2002330382A (ja) 2001-02-28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放送データ蓄積方法、放送データ蓄積プログラム及び放送データ蓄積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322746C (zh) * 2001-03-22 2007-06-20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一种个人录像机系统的存储器控制方法
US6925180B2 (en) * 2001-09-27 2005-08-02 Sony Corporation PC card recorder
JP2003134250A (ja) * 2001-10-26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590377B2 (ja) * 2001-11-30 2004-11-17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編成装置及びその編成方法
JP2003196227A (ja) 2001-12-28 2003-07-11 Sony Corp バス・インタフェースにおける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バス・インタフェース
EP1407601B1 (en) * 2002-04-05 2018-10-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llowing content reception and voice communication
JP2003333000A (ja) * 2002-05-14 2003-11-21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3333532A (ja) * 2002-05-17 2003-11-21 Canon Inc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デジタルテレビ放送信号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01566B2 (ja) * 2002-06-25 2008-06-18 日本放送協会 コンテンツ信号とコンテンツ時間管理情報信号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再生装置、相変化光ディスク媒体および光磁気ディスク媒体
JP2004080673A (ja) * 2002-08-22 2004-03-11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記録装置
JP4366912B2 (ja) * 2002-09-10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KR100722063B1 (ko) * 2003-03-11 2007-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방송 재생 제어 장치, 데이터 방송 재생 제어 방법 및 데이터 방송 재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553705A (zh) 2003-05-29 2004-12-08 乐金电子(沈阳)有限公司 个人录像机系统广播种类信号存储装置及其方法
US20060248551A1 (en) * 2005-04-28 2006-11-02 Taugher Lawrence N Single motor connected to an optical pick up unit and an optical print he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794A (ja) * 2001-07-26 2003-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23232B (zh) 2013-06-19
US8781288B2 (en) 2014-07-15
EP2515549A3 (en) 2012-12-12
EP1768267B1 (en) 2012-09-12
EP1768267A4 (en) 2010-09-08
WO2006001481A1 (ja) 2006-01-05
EP1768267A1 (en) 2007-03-28
EP2515549A2 (en) 2012-10-24
US20080240681A1 (en) 2008-10-02
CN102123232A (zh) 2011-07-13
KR20070024682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29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082911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US77782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766852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7843772B2 (en) Content use syste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system control method
US20090013363A1 (en) Broadcast system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40204020A1 (en)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llowing content reception and voice communication
JP3868820B2 (ja) 放送受信装置
AU2007201003B2 (en) Method for playback of broadcast data in receiver
MXPA06014900A (es) Servicios multiples dentro de un canal-identificacion en un dispositivo.
US20060274201A1 (en) Method of converting digtial broadcast contents and digital broadcast terminal having function of the same
KR100765888B1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JP440937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50506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producing broadcast data using the same
KR10073525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화면 캡쳐 방법
JP391662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542232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4781690B2 (ja) 移動型放送受信装置、移動型放送受信装置の放送受信方法
JP5043156B2 (ja) 携帯型テレビ視聴装置
JPWO2006006219A1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06007991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dmb 방송 프로그램 예약 녹화방법
KR100787031B1 (ko) 휴대단말기의 방송 예약 장치 및 방법
JP4124997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0036835A1 (en) Broadcasting time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