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040B1 - 물품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물품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040B1
KR100924040B1 KR1020070099169A KR20070099169A KR100924040B1 KR 100924040 B1 KR100924040 B1 KR 100924040B1 KR 1020070099169 A KR1020070099169 A KR 1020070099169A KR 20070099169 A KR20070099169 A KR 20070099169A KR 100924040 B1 KR100924040 B1 KR 10092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veyance
article
cam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632A (ko
Inventor
헤이자부로 카토
도시나오 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730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29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49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58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49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13964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3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34Jigging conveyors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shaking device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low frequency and large ampl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32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irection, frequency or amplitude of vibration or shak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물품을 반송하기 위하여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 및 상기 반송부를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을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물품반송장치.
Figure R1020070099169
물품반송장치, 반송부, 진동 부여부, 캠 기구, 반송 방향, 연직 방향

Description

물품반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GOODS}
본 발명은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搬送)방향 및 연직(鉛直)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에 관계한다. 특히 상기 반송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진동 부여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한 물품 반송 장치에 관계한다.
특히,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갖춘 물품 반송 장치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반송 장치에 관계한다. 특히, 선회(旋回)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대와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대를 갖춘 물품 반송 장치에 관계한다.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 및 상기 반송부를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진동 부여부를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반송부란, 물품을 반송시킬 때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기기이며, 상기 반송부(보다 정확하게는, 반송부의 상단에 설치된 반송면) 위에 재치(載置)된 물품은 상기 반송부가 진동하면,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되게 된다.
또, 물품 반송 장치 중에는 진동 부여부를 복수개 갖추고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가 협동해 상기 반송부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반송부 위를 물품이 이동하게 된다(특개 2006 - 124111호 공 보).
그런데, 물품을 적절히 반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행하는 진동 부여 동작이 동기(同期)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물품의 반송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에 대해서, 진동의 속도(즉, 상기 진동의 진동수)를 조정하는 경우, 진동 부여부마다 조정하면, 각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이 결과, 각 진동부로부터 진동이 상기 반송부에 적절히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갖춘 물품 반송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캠 기구에 의해 상기 진동판에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진동이 부여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즉,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진동판이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상기 진동판 위의 물품이 상기 진동판에 대해서 상대적인 미끄러짐을 일으키는 결과, 상기 물품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게 된다(특개2006-199416호공보).
그런데 상기 진동판의 상기 물품을 재치하는 면(이하, 재치면(載置面))의 면적이 확장되는 만큼 상기 재치면에 재치 가능한 물품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반송 능력이 향상한다. 그러나 재치면의 면적이 확장하면 상기 진동판은 적절히 진동하기 어려워진다. 즉, 상기 진동판에 부여된 진동이 상기 진동판의 각부에 전달되는 동안에 감쇠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판에서 상기 진동이 부여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상기 진동이 적절히 전달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연직 방향의 진동은 감쇠하기 쉽고,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이 부여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적절히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진동판에서 진동의 고르지 못함이 생겨 상기 재치면 위에 물품을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물품 반송 장치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물품 반송 장치에 의한 물품 반송중에 물품에 대해서 검사, 가공 등의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물품 반송중에 상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물품 반송 장치 내에 복수의 반송대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대를 조합해 장거리의 반송 경로를 형성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반송중의 물품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스페이스와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물품 반송 장치에 있어서 각 반송대가 진동하면, 해당 각 반송대 위의 물품이 해당 각 반송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이 물품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을 이용해서 상기 각 반송대 위로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반송대가 복수대 설치되었을 경우, 물품은 각 반송대 위를 이동한 후, 각 반송대 사이에서 수수(授受)된다. 이 결과, 복수의 반송대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특개2006-124111호공보).
이와 같이 복수의 반송대로 반송 경로를 형성했을 경우,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는 각 반송대를 적절히 진동시켜야 한다. 단, 상기 각 반송대를 진동시키기 위해서,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 부여 기구가 상기 반송대마다 갖추어진 경우, 진동부여 기구의 대수가 많아져 물품 반송 장치의 제조 코스트도 비싸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제1의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물품을 보다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 장치를 실현시키는 것이 다.
주된 제1의 발명은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 및 상기 반송부를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와, 해당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을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제2의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물품을 적절히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주된 제2의 발명은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과, 캠 기구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에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적어도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과 캠 기구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에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제3의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물품 반송 장치의 비용절약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주된 제3의 발명은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대와,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직 진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대와, 상기 두 개의 반송대 중 한쪽의 반송대에 진동을 부여하는 캠식 진동 부여 기구와, 상기 다른 쪽의 반송대로부터 한쪽의 반송대로 상기 물품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각 반송대에 설치된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걸쳐져 상기 한쪽의 반송대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반송대에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다음의 사항이 명백하게 된다.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 및 상기 반송부를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을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물품 반송 장치.
이러한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보다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상기 반송 방향 및 상기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수는, 상기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각 진동 부여부의 진동 부여 동작이 동기 되도록 되고, 물품을 보다 한층 적절히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를 구동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입력축과, 상기 반송 방향 및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출력부로서, 상기 출력부 위 에서 상기 반송부를 고정 지지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는 상기 출력부와 상기 반송부를 일체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캠 기구와 제2 캠 기구는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반송부를 진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출력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캠 기구와 제2 캠 기구가 협동하는 것에 의해 발생한 진동은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반송부에 적절히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 캠 기구가 구비하는 회전 가능한 제1 캠과 상기 제2 캠 기구가 구비하는 회전 가능한 제2 캠은 함께 상기 입력 축으로 지지되고 있어 상기 입력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캠의 회전과 상기 제2 캠의 회전이 동기하기 쉬워지고, 상기 반송부 위에 재치된 물품을 보다 용이하게 반송시키는 진동을 상기 반송부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제1 캠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상기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캠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반송부의 각 위치 있어서의 물품의 반송 속도는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의 반송 방향에서의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 는 경우에는 상기 반송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반송 속도가 상기 반송부의 각 위치에서 불균일이 되었을 경우에 생기는 반송의 고르지 못함이 억제된다.
또,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포함하는 제2 캠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가 각각 부여하는 진동의 상기 연직 방향에서의 진폭이 상기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는 캠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반송 속도는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에도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진동 부여부문에서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반송의 고르지 못함이 억제되게 된다. 게다가 상기 반송부의 각 위치에서 연직 방향의 위상이 일치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반송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경로가 굴곡을 이루지 않고, 물품을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반송부는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개의 반송대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반송대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반송대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진동 부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각 진동 부여부의 진동 부여 동작을 동기시키는 것에 의해 틈새의 필요폭도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반송대 사이에 있어서의 물품의 수수가 적절히 행해져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반송대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 타원상 경로를 형성하도록 병설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반송부의 설치 스페이스를 매우 작게 하면서, 비교적 긴 반송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물품의 반송부 안에서 상기 물품의 가공이나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반송부는 그 긴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있는 사각형상(矩形狀)의 반송대이고,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는 상기 반송대의 긴 방향에서 직선상으로 줄지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반송부가 사각형상의 반송대인 경우, 그 긴 방향에서 생기는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진동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또, 각 진동 부여부의 진동 부여 동작에 엇갈림이 생기면, 상기 반송대에 흔들림이 생겨 물품을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함으로써 상기 반송대의 고르지 못함도 억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송부는 그 짧은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에 따라서 있는 사각형상의 반송대이고,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는 상기 반송대의 긴 방향에서 직선상에 줄지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도 반송대의 휨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복수개의 진동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단일의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대의 고르지 못함도 억제된다. 게다가 반송부가 반송 방향에 대해서 폭넓은 반송대이기 때문에, 각 진동 부여부의 진동 부여 동작을 동기시킨 상태로 상기 반송부가 진동함으로써 다량의 물품을 한 번에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먼저,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과, 캠 기구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에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적어도 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과 캠 기구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에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을 포함하는 물품 반송 장치.
이러한 물품 반송 장치에는 감쇠하기 쉬운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이 적어도 3대 이상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이 광범위하게 걸쳐 적절히 전달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진동판에 있어서의 진동의 고르지 못함이 방지되어 물품을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진동판은 상기 물품을 재치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재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재치면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라 있고, 상기 반송 방향은 상기 재치면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 가운데 어느 방향을 따라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보다 범용성 높은 물품 반송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 중에는 상기 재치면의 긴 방향에 있어서, 다른 제2 진동 부여 유닛과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진동 부여 유닛과 상기 재치면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 다른 제2 진동 부여 유닛과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 이 각각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 진동의 전달 범위가 넓어져, 상기 진동판에 있어서의 진동의 고르지 못함의 방지 효과가 향상한다.
또,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 각각은 상기 재치면의 긴 방향 및 짧은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단부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전달 범위가 보다 넓어져, 상기 진동의 고르지 못함의 방지 효과가 한층 더 향상한다.
또, 상기 적어도 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 및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단일의 구동 모터가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 구동 및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의 구동을 동기 시키기 쉬워진다. 이 결과 예를 들면,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어긋났을 경우에 생기는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 등 물품 반송에 대한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적어도 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 각각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 가능한 제1 출력부로서 상기 제1 출력부의 상면에서 상기 진동판을 고정 지지하는 제1 출력부와, 상기 제1 출력부와 상기 진동판을 일체적으로 상기 반송 방향 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 각각은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 가능한 제2 출력부로서, 상기 제2 출력부의 상면에서 상기 진동판을 고정 지지하는 제2 출력부와 상기 제2 출력부와 상기 진동판을 일체적으로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가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하는 경우, 상기 진동판이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에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제1 캠 기구 및 제2 캠 기구가 상기 제1 출력부 및 상기 제2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진동판을 적절히 진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적어도 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이 각각 가지는 상기 제1 캠 기구에 설치된 제1 캠의 캠프로파일은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 동일하고,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이 각각 가지는 상기 제2 캠 기구에 설치된 제2 캠의 캠프로파일은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재치면의 각부에서의 물품 반송 속도는 상기 각부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진동의 진폭에 의존한다. 상기의 구성이면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이 부여하는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폭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 동일하고 또한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도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서 동일하다. 이 결과, 상기 각부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 속도가 균일하게 되어, 물품을 보다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방향에 대해 각 진동의 진폭이 동일한 경우,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의 발생을 방지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적어도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이 각각 부여하는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서 동일하고, 상기 적어도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이 각각 부여하는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상기 제3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서 동일하고,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각부의 물품 반송 속도는 상기 각부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진동의 진동수에도 의존한다. 상기의 구성이면 물품 반송 속도의 균일성이 보다 향상하여 물품을 보다 한층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은 1대만 갖춰져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1 진동 부여 유닛에 의해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은 연직 방향의 진동과 비교해서 감쇠 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의 대수는 1대로 충족할 가능성이 높다. 상기의 구성이면 코스트면에서 보다 유리한 물품 반송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대와,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진동하여 상기 물체를 직진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대와, 상기 두개의 반송대 가운데 한쪽의 반송대에 진동을 부여하는 캠식 진동 부여 기구와, 상기 한쪽의 반송대로부터 다른 쪽의 반송대로의 상기 물품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각 반송대에 설치된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걸쳐 상기 한쪽의 반송대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반송대로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갖추는 물품 반송 장치.
상기하는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캠식 진동부여기구를 반송대마다 갖추지 않고, 진동 전달 부재에 의해서 진동을 각 반송대에 전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반송대를 적절히 진동시키면서, 상기 캠식 진동 부여 기구의 대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결과, 물품 반송 장치가 비용절약화 되게 된다. 덧붙여 본 명세서 중, 연직 방향이란, 각 반송대에 설치된 물품을 재치하기 위한 면(이하, 재치면이라고도 말한다)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한쪽의 반송대는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기 위한 제1 반송대이며, 상기 다른 쪽의 반송대는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한 제2 반송대인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상기 제1 반송대로부터 상기 제2 반송대로 상기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진동 전달 부재이며,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기 위한 제3 반송대와, 상기 제2 반송대로부터 상기 제3 반송대로의 상기 물품에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반송대 및 제3 반송대에 각각 설치된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걸쳐 상기 제2 반송대로부터 상기 제3 반송대로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제2 진동 전달 부재가 추가로 갖춰져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하는 구성이면, 보다 긴 반송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반송중 의 물품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 제3 반송대에 진동을 전달하는 제2 진동 전달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3 반송대를 가지는 물품 반송 장치를 보다 비용 절약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한 제4 반송대와, 상기 제3 반송대로부터 상기 제4 반송대로의 상기 물품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3 반송대 및 상기 제4 반송대에 각각 설치된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걸쳐 상기 제3 반송대로부터 상기 제4 반송대로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제3 진동 전달 부재가 추가로 갖추어져 있고, 상기 제1 반송대, 상기 제2 반송대, 상기 제3 반송대, 및 상기 제4 반송대에 의해 타원상의 반송 경로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하는 구성이라면 한층 더 긴 반송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반송 경로를 예를 들면 폐쇄계 경로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물품 반송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장을 억제하면서, 충분한 반송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송 중의 물품에 대해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4 반송대로 진동을 전달하는 제3 진동 전달 부재에 의해서, 장원형의 반송경로를 가지는 물품반송장치를 보다 비용 절약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진동 전달 부재, 상기 제2 진동 전달 부재 및 상기 제3 진동 전달 부재가 단책상(短冊狀)의 스틸 벨트이며, 상기 스틸 벨트가 각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걸친 상태로 상기 각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걸쳐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적당한 강성(剛性)을 갖춘 스틸 벨트가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걸쳐 있기 때문에 상기 각 물품 수수부 사이를 적절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각 반송대에 진동이 적절히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반송대, 상기 제2 반송대, 상기 제3 반송대 및 상기 제4 반송대의 각각은 상기 물품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과 상기 재치면의 폭방향 단부에서 상기 재치면과 교차하도록 설치된 측벽을 가지고, 상기 스틸 벨트의 긴 방향 양단부는 상기 측벽에 고정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하는 경우, 상기 스틸 벨트의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스틸 벨트가 진동 전달시에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에 혹은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을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에 각각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스틸 벨트에 의해서 진동이 전달된 각 반송대는 그 반송 방향에 적절히 진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식 진동 부여 기구는 상기 제1 반송대에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제1 캠식 진동 부여 기구이며, 상기 제3 반송대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가 더욱 갖춰져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하는 구성이면, 보다 감쇠하기 쉬운 연직 방향의 진동이 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에 의해서 보충되기 때문에, 각 반송대가 적절히 진동하고, 물품 반송 장치가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캠식 진동 부여 기구 및 상기 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단일 구동 모터가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해당하는 경우, 제1 캠식 진동 부여 기구와 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를 서로 동기시킨 상태로 구동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각 캠식 진동 부여 기구의 진동 부여 타이밍에 있어서의 엇갈림의 발생이 억제되어 각 진동 전달 부재가 적절히 진동을 전달하는 결과, 물품 반송 장치가 보다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캠식 진동 부여 기구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의 진동수와, 상기 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하는 구성이면 각 반송대의 진동이 반송대 사이로 어긋나기 어려워져, 물품 반송 장치가 보다 한층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캠식 진동 부여 기구가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갖추고 있는 캠의 캠프로파일과, 상기 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가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갖추고 있는 캠의 캠프로파일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하는 구성이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반송대의 진동의 진폭이 균일하게 되어 물품 반송 장치가 더욱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게 된다.
(1)제1 실시 형태
=== (1) 물품 반송장치의 구성예에 대해====
먼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물품 반송 장치 1의 구성예를 도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1은 상기 물품 반송 장치 1의 상면 모식도이다.
물품 반송 장치 1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부(10)와, 진동 부여부의 일례로서의 로타리피더(100) 및 리니어피더(200)와 단일의 구동원으로서의 구동 모터(300)를 포함하고 있다. 즉, 물품 반송 장치 1은 복수개(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진동 부여부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물품 반송 장치 1에서는, 상기 반송부(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송부(10)의 상단에 위치한 반송면) 상에 재치된 물품(W)가 상기 반송부(10)가 진동하는 것으로써 소정의 반송 방향(도1중, 기호 F1 및 F2가 첨부 된 화살표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반송된다. 즉, 상기 반송부 (10)은 물품(W)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어 물품(W)는 상기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물품(W)의 반송에는 상기 반송부 (10)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에 발생하는 상기 물품(W)의 상기 반송부(10)에 대한 상대 미끄러짐 현상이 이용되고 있다. 덧붙여 물품(W)이란 기계 부품이나 정제약 등을 시작으로 물품 반송 장치 1이 반송하는 대상물을 총칭한 것이다. 이하에서 물품 반송 장치(1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부(10)에 대해>>
다음에, 반송부(10)에 대해서, 이미 기술한 도1을 이용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반송부(10)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상의 제1 반송대(1 2)와 직선상의 제2 반송대(14)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반송부 (10)은 복수개의 반송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제2 반송대(14)와는 물품(W)의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제2 반송대(14)가 일체가 되어 물품(W)의 반송 경 로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반송대(12)는 상기 제1 반송대(12)의 저부로부터 윗쪽으로 향해서 상기 제1 반송대(12)의 원주 방향으로 물품(W)를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즉, 제1 반송대(12)에 의한 반송 경로는 그 반송 방향이 나선상으로 규제된 반송 경로(이하, 나선상 반송 경로)이다. 한편, 제2 반송대(14)는 반송 방향이 직선상에 규제된 경로(이하, 직선상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12)의 원주의 접선 방향으로 제2 반송대(14)가 이어져,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제2 반송대(1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과 직선상 반송 경로의 시단과는 상기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있어 상기 나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까지 반송된 물품(W)는 상기 직선상 반송 경로의 시단에 주고 받아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 나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부와, 상기 직선상 반송 경로는 수평 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또, 제1 반송대(12)의 하부에는 상기 로터리 피더(100)가 제2 반송대(14)의 하부에는 상기 리니어 피더(20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반송대(12)는 상기 로터리 피더(100)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2 반송대(14)는 상기 리니어 피더(200)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에 의해서 각각 반송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반송부(10)는 로터리 피더(100)와 리니어 피더(200)와의 협동에 의해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송대(1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은 상기 제1 반송대 (12)의 원주 방향 (즉, 상기 나선상 반송 경로의 주방향이며, 전술한 방향 Vl)이다. 또, 제1 반송대(1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진동이란,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면, 즉, 수평면 내에 있어 상기 원주 방향으로 왕복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반송대(14)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은 상기 제2 반송대(14)의 긴 방향(즉, 상기 직선상 반송 경로에 따른 방향이며, 전술한 방향 v2)이다. 또, 제2 반송대(14)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진동도 수평면 내에 있어 상기 긴 방향에 왕복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송부(10)에서 물품 반송 장치 1의 기동전의 물품(W)는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물품 반송 장치 1이 기동하면 상기 제1 반송대(12)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상기 물품(W)는 나선상 반송 경로를 따라 정렬한 상태로 상기 제1 반송대(12) 위을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상 반송 경로로부터 상기 직선상 반송 경로로 수수된 물품(W)(즉, 제1 반송대(12)로부터 제2 반송대(14)로 수수된 물품(W))는 상기 제2 반송대(14)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직선상 반송 경로를 따라서 정렬한 상태로 상기 제2 반송대(14)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의미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1은 나선상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반송부를 갖춘 물품 반송 장치와, 직선상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반송부를 갖춘 물품 반송 장치를 조합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송대(12)의 반송 방향 선단(즉, 상기 나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과 제2 반송대 (14)의 반송 방향 말단(즉, 상기 직선상 반송 경로의 시단)과의 사 이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틈새 (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틈새 (S)는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제2 반송대 (14)가 진동시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반송대 (12)의 반송 방향 선단까지 반송된 물품(W)는 상기 틈새 (S)상을 통과해서 상기 제2 반송대 (14)로 옮기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틈새 (S)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제1 반송대(12)나 제2 반송대(14)의 열팽창이나 관성의 영향 등을 고려해 결정된다.
<<로터리 피더 (100)에 대해 >>
다음 로터리 피더 (100)의 구성예 및 동작예에 대해서 도2 내지 도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은 로터리 피더(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그리고 도2는 도1중의 H-H단면을, 도3은 도2 중의 I-I단면을, 도4는 타렛트(122)의 주변도를, 도5는 도2중의 J-J단면을, 도6은 도3 중의 K-K단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도2 내지 도6중 절단면에는 햇칭이 되어 있고, 도4는 편의상 일부 다른 단면이 나타내어 있다. 도7은 리프트암(15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4에 대응하는 도다. 도8은 제1 캠 기구(140)및 제2 캠 기구(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8A는 입력축(110)이 1회전하기 전의 제1 캠 기구(140) 및 제2 캠 기구(150)상태를, 도8B는 입력축(110)이 회전해 제1 캠 기구(140) 및 제2 캠 기구(150)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9는 로터리 피더 (100)가 부여하는 진동에 관한 타이밍 차트의 일례이며, 입력축(110)이 1회 바꾸는 사이의 제1 반송대(12)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를 나타낸 도(위의 도), 및 입력축(110)이 1회 바꾸는 사이의 제1 반송대(12)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를 나타내는 도(아래 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10은 제1 반송대(12)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의 상기 제1 반송대(12)의 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1은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덧붙여 도2 내지 도7 및 도10에는 화살표로 로터리 피더(100)의 상하 방향(즉, 연직 방향)이 나타내어 있다. 또, 도8에는 화살표로 입력축(110)의 축방향 및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 도11에는 화살표로 제1 반송대(1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로터리 피더 (100)는 도2 및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축 (110)과 출력부((120))와 하우징 (130)과 제1 캠 기구 (140)와 제2 캠 기구 (150)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 (130)은 그 내부에 후술하는 제1 캠 기구 (140)로 제2 캠 기구 (150)을 수용하기 위한 거의 직방체상의 광체(筐體)이다. 이 하우징 (130)은 제1 반송대(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 (130) 안쪽의 저면에는 도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추대형상의 대좌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하우징 (130)은 상기 대좌부(132)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입설된 원주상의 지지축(134)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축(134)의 상단부는 도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천정벽을 관통해 하우징(130)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입력축 (110)은 한 쌍의 베어링(131)을 통해서 하우징(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입력축(11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의 타렛트(12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 입력축 (110)의 축방향 일단부는 도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130)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후술의 커플링(302)을 통해서 구동 모터(300)와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300)가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 (110)은 상기 입력축 (110)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한다.
출력부 (120)은 상기 하우징 (130)이 갖추는 지지축(134)에 상기 지지축(134)의 중심축 주위로 회동 가능 또는 상기 지지축(134)의 축방향(즉, 연직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또, 이 출력부는 도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기 지지축 (134)를 감합(嵌合)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축 (134)에 지지되는 통상(筒狀)의 타렛트(122)와, 상기 타렛트 (122)의 상단부에 고정된 원반상의 제1 반송대 취부판(124)을 포함하고 있다.
타렛트 (122)는 상기 지지축 (134)에 대해서 상기 지지축 (134)의 중심축 둘레로 상대 회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축 (134)의 축방향으로 상대 왕복운동 가능하다. 또, 이 타렛트 (122)는 도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외경이 다른 소경부 (122a)와 대경부 (122b) 를 가지고, 타렛트 (122)의 축방향(즉, 지지축(134)의 축방향)에 있어서, 소경부 (122a) 는 대경부 (122b) 의 상단부에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타렛트 (122)의 소경부 (122a) 의 상단부는 하우징(130)의 천정벽을 관통해 하우징(130) 외로 돌출하고 있다. 덧붙여 타렛트 (122)의 소경부 (122a)와 대경부 (122b)와의 사이의 경계부에는 타렛트 (122)의 축선과 직교하는 원환상의 평면인 단부 (122c)가 형성되고 있고, 이 단부 (122c) 에 후술하는 제1 캠 기구(140)의 구성요소인 요동암 ((146))이 고정되어 있다. 또, 타렛트 (122)의 대경부 (122b) 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 캠 기구(35)의 구성요소인 리프트 암 (154)이 고정되어 있다.
제1 반송대 취부판(124)는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124) 위에서 상기 제1 반송대(12)를 고정 지지하고 있다. 즉, 도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12)의 저면과 제1 반송대 취부판(124)의 천정면이 당접한 상태로 상기 제1 반송대(12)가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 (124)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124)는 상기 타렛트(122)의 소경부 (122a) 상단면에 볼트 고정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타렛트 (122)로 제1 반송대 취부판(124)과 상기 제1 반송대(12)는 일체적으로 상기 지지축 (134)의 중심축 둘레를 회동하고, 또는 상기 지지축(134)의 축방향으로 왕복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타렛트 (122), 제1 반송대 취부판(124) 및 제1 반송대(12)가 일체적으로 회동할 때의 회동 방향은 제1 반송대(12)의 원주 방향 즉, 상기 제1 반송대(1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으로 일치한다. 또, 상기 지지축(134)의 축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출력부(120)은 상기 지지축 (134)을 통해서, 상기 제1 반송대(12)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상기 제1 반송대(12)와 일체적으로 진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30)(보다 정확하게는 하우징 (130)이 포함하는 지지축 (134))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캠 기구(140)는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출력부(120)를 상기 제1 반 송대(12)에 있어서의 물품(W)의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제1 캠 기구(140)는 도2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 (110)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는 제1 캠(142)과 상기 제1 캠(142)와 서로 계합(係合)하는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44)와, 상기 제1 캠(142)과 상기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44)와의 협동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 암(146)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캠(142)는 원통형의 리브 캠이며, 상기 입력축(110)의 축방향 중앙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축(110)이 회전하면, 제1 캠(142)은 상기 입력축(1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제1캠(142)의 축방향 양단면에는 사방에 걸쳐 리브상의 캠면(142a, 142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면(142a, 142b)는 상기 입력축 (110)의 축방향으로 만곡하고 있고, 상기 축방향의 일단면에 형성된 캠면(142a)과 상기축 방향의 타단면에 형성된 캠면 (142b)은 동일 형상의 곡면이 되어 있다. 이러한 캠면(142a, 142b)의 형상이 제1 캠(142)의 캠프로파일을 표현하고 있다.
한쌍의 제1 캠 팔로워(144)는 상기 제1 캠(142)를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캠면 (142a,142b)에 당접하는 것이다. 요동 암(146)은 제1 캠(142)의 종절(從節)이 되는 약 장방형상의 부재이며, 그 긴 방향 일단부에 상기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4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긴 방향 일단부는 상기 제1-캠 (142)과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상기 긴 방향 일단부에 상기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44)가 각각 연직 방향에 따른 축회전에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캠 팔로워(144)사이의 간격은 상기 한 쌍의 제1캠 팔로 워(144)의 각각의 주위면이 제1캠(142)의 캠면(142a,142b)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상시 접촉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 요동 암(146)의 긴 방향 타단부는 상기 긴 방향 타단부의 중앙에 타렛트(122)의 소경부(122a)를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감합구멍에 소경부(122a)가 감합한 상태로 요동 암(146)의 긴 방향 타단부가 상기 타렛트(122)의 단부(122c)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캠 기구(140)에서는 도8 A 및 도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 (1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110)과 일체로 제1 캠(142)가 회전하고,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44)가 캠면 (142a,142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동한다. 이때, 요동 암 (146)이 상기 캠면 (142a,142b)의 곡면의 형상에 따라서 입력축(110)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요동 암(146)의 요동이 상기 요동 암(146)을 고정하는 타렛트 (122)에 전달되면 상기 타렛트(122)는 상기 요동 암(146)과 일체적으로 지지축 (134) 둘레에 회동하게 된다(즉, 요동 암(146)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왕복 동작이 타렛트 (122)의 회동 동작으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타렛트(122)가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 (124)와 일체적으로 상기 지지축(134) 주위에 회동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 (124)에 고정된 제1 반송대(12)도 상기 지지축(134)둘레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반송대(12)의 회동 방향은 상기 제1 반송대(12)의 원주 방향 즉, 상기 제1 반송대(12)에 있어서의 물품(W)의 반송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1 캠 기구(140)은 상기 출력부(120)와 상기 제1 반송대(12)를 일체적으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왕복이동)시키게 된다(바꿔 말하면, 제1 캠 기구(140)는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 게 된다). 덧붙여 타렛트(122)의 회동 동작에 있어서의 회동 범위는 충분히 작기 때문에, 상기 회동 동작(바꿔 말하면, 제1 반송대(12)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은 입력축(11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직선 왕복 이동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후의 설명에서는 로터리 피더(100)에 갖추어진 제1 캠 기구(140)에 의한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은 상기 입력축(11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으로서 설명한다. 단, 상기 제1 캠 기구(140)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의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 이외의 성분(예를 들면, 연직 방향의 성분이나,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과 교차할 방향의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2 캠 기구(150)는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출력부(120)을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제2 캠 기구(150)는 도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110)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캠(152)과, 상기 제2 캠(152)과 서로 계합하는 한 쌍의 리프트 암(154)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캠(152)은 각각 외주면에 캠면(152a)이 형성된 거의 삼각형상의 판캠이며, 입력축(110)의 상기 제1 캠(142)의 지지 위치보다 외측에 지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입력축(110)이 회전하면 한 쌍의 제2 캠(152)은 상기 입력축(1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캠면(152a)은 상기 입력축(110)의 축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주위면이며, 상기 캠면(152a)의 형상이 제2 캠(152)의 캠프로파일을 표현하고 있다.
한 쌍의 리프트 암 (154)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리프 트 암 (154)의 긴 방향 일단부가 옆쪽 U자 모양으로 형성된 판부재이다. 그리고 각 리프트 암 (154)은 상기 옆쪽 U자 모양에 형성된 부분의 내면과 각 제2 캠(152)의 캠면(152a)을 상시 접촉시키는 것으로 상기 각 제2 캠(152)과 계합한다. 즉, 각 리프트 암(154)는 상기 긴 방향 일단부의 옆쪽 U자상에 형성된 부분의 내면에 제2 캠 팔로워(154a)를 갖추고 있게 된다. 또, 한 쌍의 리프트 암 (154)의 각각의 긴 방향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암(154)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타렛트(122)의 대경부(122b)의 외주면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제2 캠 팔로워(154a) (즉, 상기 옆쪽 U자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의 내면 가운데, 상면과 아래쪽 면)는 입력축(110)의 축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면이기 때문에, 제2 캠(152)의 캠면(152 a)과 상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캠 기구(150)에서는 도8 A 및 도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 (1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110)과 일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캠(152)이 회전한다. 그리고 한 쌍의 리프트 암(154)은 각각 제2 캠 팔로워(154a)가 회전 상태의 각 제2 캠(152)에 구비된 캠면(152a)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캠 152의 캠면의 형상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한다. 또,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암(154)의 상하운동이 상기 리프트 암(154)을 고정하는 타렛트(122)에 전달되면 상기 타렛트(122)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암(154)과 일체적으로 상기 지지축(134)의 축방향(즉,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렛트(122)가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124)과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왕복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제1 반송대 취부판(124)에 고정된 제1 반송대(12)도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캠 기구(150)는 상기 출력부(120)와 제1 반송대(12)를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진동(상하운동)시키게 된다. 즉, 제2 캠 기구(150)은 연직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지만 상기 제2 캠 기구(150)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의 방향이 연직 방향 이외의 성분(예를 들면, 상기 입력축(110)의 축방향의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러나 제1 캠 기구(140)의 구동에 의해서 타렛트(122)가 지지축 (134)의 중심축 둘레로 회동할 때,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암(154)은 제2 캠 팔로워(154a)가 제2 캠(152)의 캠면(152a)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캠(152)에 대해서 입력축(110)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직진 한다(도8 B참조). 이것은 제2 캠(152)의 캠면(152a)과 제2 캠 팔로워(154a)가 함께 상기 입력축(110)의 축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제1 캠 기구(140)에 의한 출력부(120)의 회동 동작(즉, 상기 출력부(120)의 상기 반송 방향에서의 진동)이, 제2 캠 기구(150)에 의한 상기 출력부(120)의 상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한편, 제2 캠 기구(150)의 구동에 의해서 타렛트(122)가 지지축(134)의 축방향(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할 때, 상기 요동 암(146)은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44)의 주위면이 제1 캠(142)의 캠면(142a, 142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캠(142)에 대해서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8 B참조). 이 때문에 제2 캠 기구 (150)에 의한 출력부(120)의 상하 동작이 제1 캠 기구(140)에 의한 상기 출력부(120)의 회동 동작을 저해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출력부(120) 및 상기 제1 반송대(12)는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 양방향으로 동시에 진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상기 출력부(120) 및 상기 제1 반송대(12)는 반송 방향과 연직 방향과의 합성 방향(이하, 단지 합성 방향이라고 말한다)으로 진동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실시의 형태로는 상기 리프트 암(154)의 긴 방향 일단부가 옆쪽 U자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방향 일단부가 거의 L자형상으로 형성된 리프트 암(이하, 다른 리프트 암(155)이라고 한다)을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다른 리프트 암(155)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리프트 암(155)의 긴 방향 타단부의 상단과 하우징(130)의 천정벽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의 부세 부재(156)를 개재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부세(付勢) 부재(156)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상기 다른 리프트 암(155)의 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제2 캠 팔로워(155a) (즉, 다른 리프트 암(155)의 제2 캠 152와의 대향면)가 제2 캠(152)의 캠면(152a)에 상시 압접된다. 이 결과 다른 리프트 암(155)은 리프트 암(154)과 동일하게 연직 방향으로 상하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피더(1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모터(300)의 기동에 수반하여 입력축(1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110)과 일체로 제1 캠(142) 및 한 쌍의 제2캠(152)이 회전하고, 제1 캠 기 구(140) 및 제2 캠 기구(150)가 구동된다. 그리고 제1 캠 기구(140)와 제2 캠 기구(150)와의 협동에 의해 상기 제1 반송대(12)는 상기 출력부(120)와 일체적으로 상기 합성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반송대(12)는 상기 출력부(120)와 일체적으로 합성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으로써, A지점(도10중, 파선으로 나타내 보이는 제1 반송대(12)의 위치)과 B지점(도10중, 실선을 나타내 보이는 제1 반송대(12)의 위치)과의 사이를 왕복한다. 덧붙여 B지점은 반송 방향에 있어서 A지점보다 하류 측에 있다.
또,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캠 기구(140)가 부여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폭은 기호 W1으로 나타난 길이이며, 제2 캠 기구(150)가 부여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폭은 기호 W2로 나타난 길이이다. 여기에서 제1 캠 기구(140)의 구동과 제2 캠 기구(150)의 구동과는 동기 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반송대(12)는 상기 A지점으로부터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W1 길이의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에 상기 A지점으로부터 연직 방향의 윗쪽으로 길이 W2의 거리만큼 멀어진 위치에 도달한다. 바꿔 말하면, A지점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Ax와 B지점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Bx와는 길이 W1의 거리만큼 떨어트리고, A지점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Ay와 B지점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By와는 길이 W2의 거리만큼 떨어트리고 있다.
게다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피더(100)은 입력축(1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각 방향에서 여러 차례(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3회) 진동해 반송 방향의 진동의 주기와 연직 방향의 진 동의 주기가 동일해지고 있다. 여기서 진동의 주기란, 반송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한번 왕복했을 때의 입력축 (110)의 회전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주기도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의 주기, 및 연직 방향의 진동의 주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입력축 (110)이 일회전 하는 동안에 상기 로터리 피더(100)가 부여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 회수(즉, A지점과 B지점의 사이의 왕복 회수)는 3회가 된다.
그리고 제1 반송대(12)가 A지점과 B지점과의 사이를 왕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대(12)에 재치된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이 생긴다. 상기 상대 미끄러짐 현상의 발생 메카니즘은 이미 공지되어 있고, A지점으로부터 B지점에 향하여 제1 반송대(12)가 이동하는 경우와 B지점으로부터 A지점에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서 물품(W)에 작용하는 관성력이나 마찰력에 차이가 생기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12)가 A지점으로부터 B지점까지 이동할 때의 소요 시간은 B지점으로부터 A지점까지 이동할 때의 소요 시간보다 길어지고 있다. 즉, 반송 방향 전방을 향할 때의 가속도가 작아지고 있는 한편, 반송 방향 후방으로 향할 때의 가속도는 커지고 있다. 이에 의해 도11중의 도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12)가 A지점으로부터 B지점까지 이동할 때, 물품(W)에 대해서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향하도록 작용하는 관성력은 작아져, 상기 물품(W)가 상기 제1 반송대(1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반대로 도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12)가 B지점으로부터 A지점까지 이동할 때, 물품(W)에 대해 반송 방향 하류 측에 향하도록 작용하는 관성력은 커진다. 이 결과 도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이 유발된다.
게다가 A지점으로부터 B지점에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1 반송대(12)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승 가속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 경우 도 ll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W)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상기 상대 미끄러짐이 보다 억제된다. 이에 대해, B지점으로부터 A지점으로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1 반송대(12)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강 가속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 경우, 도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W)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하기때문에,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이 촉진된다.
이러한 상대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서 물품(W)는 제1 반송대(12)위를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향하게 된다. 덧붙여 로터리 피더(100)가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서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의 폭W1, W2 와 입력축 (1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의 진동 회수는 제1 캠(142)의 캠면(142a, 142b) 및 제2 캠(152)의 캠면(152a)의 각 형상(즉, 캠프로파일)에 의해서 결정되어 있다. 즉, 물품(W)가 제1 반송대(12)위에 대해서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도록, 제1 캠(142) 및 제2 캠(152)의 각 캠프로파일이 조정되어 있다.
<<리니어 피더 (200)에 대해>>
다음으로 리니어 피더 (200)의 구성예 및 동작예에 대해서 도12 내지 도1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12 및 도13은 리니어 피더 (2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다. 그리고 도12는 도1중의 L-L단면을, 도13은 도1 2중의 M-M단면을, 각각 나타내 보이고 있다. 덧붙여 도12및 도13에 있어서, 절단면에는 햇칭이 실시되고 있고, 도1 2에는 편의상 상기 L-L단면과는 다른 단면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 도14는 리프트대(256)의 연직 방향의 왕복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14A는 리프트대 (256)가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의 도이며, 도14 B는 리프트대 (256)가 하사점에 이르렀을 때의 도이다. 도15는 제 1 캠 기구(240)의 동작과 제2 캠 기구(250)의 동작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5 중 도15A는 제 1 캠 기구(240)가 출력부(220)의 연직 방향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1 5 B는 제2 캠 기구(250)가 출력부(220)의 반송 방향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6은 제2 반송대(14)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의 상기 제2 반송대(14)의 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덧붙여 도12및 도15에는 화살표로 리니어 피더 (200)의 상하 방향(즉,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 도14에는 화살표로 연직 방향 및 입력축(210)의 축방향 및 도16에는 화살표로 연직 방향 및 리니아 피더(200)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덧붙여 리니어 피더 (200)의 각 구성요소 가운데, 전술한 로터리 피더(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리니어 피더 (200)는 도12및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피더(100)와 동일하게 입력축 (210)과 출력부(220)와 하우징(230)과 제 1 캠 기구(240)와 제2 캠 기구(250)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 (230)은 제2 반송대(14)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터리 피더(100)의 하우징(130)과 같이, 그 내부에 후술의 제 1 캠 기구(240) 및 제2 캠 기구(250)를 수용하고 있는 거의 직방체상의 케이스이다. 또, 상기 하우징(230)의 천정벽에는 거의 사각형상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 (210)은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과 동일한 구성이다.
출력부(220)는 상기 하우징(230)의 천정벽에 설치된 개구를 막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보다도 한층 작은 사각모양의 판부재이다. 그리고 이 출력부(220)는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부에 상기 입력축(210)의 축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출력부(220)는 상기 출력부(220)의 천정면과 상기 제2 반송대(14)의 저면이 당접한 상태로 상기 제2 반송대(14)를 지지 고정하고 있다. 즉, 리니어 피더(200)에 있어서, 출력부(220)는 로터리 피더(100)의 제 1 반송대 부착판(124)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제 1 캠 기구(240)는 상기 제2 반송대(14)와 상기 출력부(220)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제 1 캠 기구(240)는 도12 및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210)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는 제 1 캠(242)과 상기 제 1 캠(142)과 서로 계합하는 한 쌍의 제 1 캠 팔로워(244)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캠 242는 로터리 피더(100)의 제 1 캠(142)과 같은 구성이며, 입력 축(210)의 축방향 중앙부에 지지를 받아 상기 입력축(210)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제 1 캠 팔로워(244)도 로터리 피더(100)의 제 1 캠 팔로워(244)와 같은 구성의 것이며, 상기 출력부 (220)의 저부에 직접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캠 기구 (240)에서는 입력축(2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210)과 일체로 제 1 캠(242)이 회전해, 한 쌍의 제 1 캠 팔로워(244)가 캠면(142a, 142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동한다. 이 때 상기 출력부(220)는 상기 캠면(242a, 242b)의 곡면의 형상에 따르고, 입력축(210)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반송대(14)와 일체적으로 왕복 움직인다. 여기서 상기 제2 반송대(14)에 있어서의 물품(W)의 반송 방향과 상기 입력축(210)의 축방향이 서로 따르도록 상기 제2 반송대(14)는 상기 출력부(2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캠 기구(240)는 상기 출력부(220)와 상기 제2 반송대(14)를 일체적으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왕복운동)시키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캠 기구(240)는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200)에 갖추어진 제 1 캠 기구(240)에 의한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은 상기 입력축(21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으로서 설명한다. 단, 상기 제 1 캠 기구(240)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의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 이외의 성분(예를 들면, 연직 방향의 성분 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2 캠 기구(250)는 상기 제2 반송대(14)와 상기 출력부(220)을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제2 캠 기구 (250)는 도12 및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210)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캠(252)과, 각 제2 캠(252)과 계합하는 제2 캠 팔로워(254)와, 상기 제2 캠 팔로워(254)를 구비하여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한 쌍의 리프트대(256)와 상기 리프트대(256)를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부재 (258)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제2 캠(252)은 각각 상기 리프트대(256)와 대향하는 측의 면(이하, 대향면)에 환상홈(252a)이 형성된 원통상홈 캠이며, 입력축(210)의 상기 제 1 캠(242)의 지지 위치보다 외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축(210)이 회전하면 한 쌍의 제2 캠(252)은 상기 입력축 (2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환상홈(252a)은 각 제2 캠(252)의 상기 대향면 위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2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환상홈(252a)의 내주면이 캠면을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환상홈(252a)의 내주면이 제2 캠(252)의 캠프로파일을 표현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환상홈(252a)의 내주면은 상기 입력축(210)의 축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주위면이 되어 있다.
제2 캠 팔로워(254)는 상기 제 1 캠 팔로워(244)와 같은 구성의 것이다. 그리고 제2 캠 팔로워(254)는 상기 제2 캠 팔로워(254)의 회전축이 입력축(210)의 축방향에 이어진 상태로, 각 리프트대(256)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2 캠 팔로워(254)는 그 외주면이 상기 환상홈(252a)의 내주면(즉, 캠면)에 상시 접촉한 상태로 상기 환상홈(252a)에 계합하고 있다.
한 쌍의 리프트대(256)는 각각 상기 제2 캠(252)의 종절이며, 출력부(220)의 하단부에 장착된 직방체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이 리프트대(256)는 도12및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30)의 긴 방향(즉, 하우징(230)의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리프트대 (25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면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축방향 및 연직 방향에 대해서 평탄면을 형성하고 있다.
안내 부재(258)는 도13및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대(25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과 상기 하우징(23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직방체상의 부재이다. 상기 안내 부재(258)의 각 리프트대(256)의 상기 단면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입력축(210) 축방향 및 연직 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면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리프트대 (256)는 상기 안내 부재 (258)의 상기 각 리프트대 (256)의 상기 단면과 대향하는 면을 따라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각 리프트대 (256)는 안내 부재 (258)에 의해 상기 입력축 (210)의 축방향과 연직 방향으로 이루어진 이차원 평면상을 이동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안내 부재(258)에 의해 각 리프트대 (256)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덧붙여 리프트대 (256)와 안내 부재 (258)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틈새에는 상기 리프트대(256)의 동작을 윤활하게 하기 위해서 유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캠 기구(250)에서는 입력축(2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210)과 일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캠(252)이 회전하고, 각 제2 캠(252)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캠 팔로워 (254)가 제2 캠(252)의 환상홈(252a)의 내주면 위를 전 동한다. 또, 상기 제2 캠 팔로워 (254)는 상기 환상홈(252a)의 형상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한다. 그리고 도 14A 및 도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캠 팔로워(254)를 갖춘 한 쌍의 리프트대(256)는 각각 상기 안내 부재(258)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프트대(256)가 장착된 출력부 (220)가 상하 운동하는 결과, 상기 출력부(220)에 고정된 제2 반송대(14)도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즉, 제2 캠 기구(250)는 상기 출력부(220)와 제2 반송대(14)를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진동(상하운동) 시키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제2 캠 기구(250)는 연직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지만, 제2 캠 기구 (250)에 의한 진동의 방향은 연직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의 방향이 연직 방향 이외의 성분(예를 들면, 상기 반송 방향의 성분이나, 상기 좌우 방향의 성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러나 제 1 캠 기구(240)의 구동에 의해서 출력부(220)가 반송 방향으로 왕복 움직일 때, 리프트대(256)에 갖추어진 상기 제2 캠 팔로워(254)도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캠 팔로워(254)는 상기 제2 캠 팔로워(254)가 환상홈(252a)에 계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바꿔 말하면, 제2 캠 팔로워(254)가 환상홈(252a)의 내주면 즉 캠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각 제2 캠(252)에 대해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직진 한다(도15 A참조). 이에 의해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캠 기구 (240)에 의한 출력부(220)의 왕복 동작이 제2 캠 기 구(250)에 의한 상기 출력부(220)의 상하 동작을 저해할 것은 없다.
한편, 제2 캠 기구(250)의 구동에 의해서 출력부(220)가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할 때, 한 쌍의 제 1 캠 팔로워(244)는 제 1 캠(242)의 캠면(242a, 242b)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캠(242)에 대해서 연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1 5 B참조). 이에 의해, 제2 캠 기구(250)에 의한 출력부(220)의 상하 동작이 제 1 캠 기구(240)에 의한 상기 출력부(220)의 상기 반송 방향으로의 왕복 동작을 저해할 것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출력부(220)및 상기 제2 반송대(14)는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 양방향으로 동시에 진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꿔 말하면, 상기 출력부(120) 및 상기 제2 반송대(14)는 반송 방향과 연직 방향과의 합성 방향(이하, 간단히 합성 방향이라고 말한다)으로 진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피더(2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리니어 피더(200)에 있어서도 로터리 피더(100)와 동일하게 구동 모터(300)의 기동에 수반하여 입력축(210)이 회전하면, 제 1 캠 기구(240) 및 제2 캠 기구(250)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캠 기구(240) 및 상기 제2 캠 기구(250)의 협동에 의해, 상기 제2 반송대(14)는 상기 출력부(220)와 일체적으로 상기 합성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반송대(14)는 상기 출력부(220)와 일체적으로 합성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으로써, C지점(도16중, 파선에서 나타내 보이는 제2 반송대(14)의 위치)과 D지점(도16중, 실선에서 나타내 보이는 제2 반송대(14)의 위치)과의 사이를 왕복한다. 덧붙여 D지점은 반송 방향에 있어서, C지점보다 하류 측에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 기구(240)가 부여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폭은 기호W1로 나타난 길이이고, 제2 캠 기구(250)가 부여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폭은 기호 W2로 나타난 길이이다. 즉,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200)가 부여하는 진동의 폭과 로터리 피더(100)가 부여하는 진동의 폭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캠 기구(240)의 구동과 제2 캠 기구(250)의 구동은 동기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반송대(14)는 상기 C지점으로부터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길이W1의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에 상기 C지점으로부터 연직 방향의 윗쪽에 길이W2의 거리만큼 멀어진 위치에 도달한다. 바꿔 말하면, C지점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Cx와 D지점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Dx는 길이W1의 거리만큼 떨어트리고, C지점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Cy와 D지점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Dy와는 길이W2의 거리만큼 떨어트리고 있다.
그리고 리니어 피더(200)가 부여하는 진동의 타이밍 차트(미도시)는 로터리 피더(100)가 부여하는 진동의 타이밍 차트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리니어 피더(200)에 있어서도, 반송 방향의 진동의 주기와 연직 방향의 진동의 주기가 동일해지고 있다. 그리고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상기 리니어 피더(200)에 의해서 부여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 회수(즉, C지점과 D지점과의 사이의 왕복 회수)와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이 일회전 하는 동안에 상기 로터리 피더(100)에 의해서 부여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 회수와는 동일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함께 3회이다.
그리고 제2 반송대(14)가 C지점과 D지점과의 사이를 왕복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제2 반송대(14)에 재치된 물품(W)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 상기 제2 반송대(14) 위를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게 된다. 상대 미끄러짐 현상의 발생 원리에 대해서도 전술한 대로이다. 덧붙여 리니어 피더(200)가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서도,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의 폭(W)I, (W)2와 입력축(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의 진동 회수란, 제 1 캠(242)의 캠면(142a, 142b) 및 제2 캠(252)의 환상홈(252a)의 각 형상(즉, 캠프로파일)에 의해서 결정되어 있다.
게다가 전술한 것처럼,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200)가 부여하는 진동의 폭과 로터리 피더(100)가 부여하는 진동의 폭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갖추는 제 1 캠 (142, 242)의 캠프로파일은 상기 로터리 피더(100)와 상기 리니어 피더(200)의 사이에 있어서,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동일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로터리 피더(100)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갖추는 제2 캠(152, 252)의 캠프로파일도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동일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여기서 진폭이란, 상기 진동의 폭(바꿔 말하면, 반송방향 및 연직 방향의 각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반송대(12)나 제2 반송대(14)의 왕복 거리)의 반 값 을 의미하고 있다.
<<구동 모터(300)에 대해서>>
구동모터(300)는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아 피더(200)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구체적으로는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 및 리니아 피더(200)의 입력축(210)을 회전구동하기 위한)모터이다. 즉, 본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로터리 피더(100)및 상기 리니어 피더(200)는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 (300)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과 상기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 (210)은 커플링(302)이나 벨트 전동장치(304)를 통해서 구동 모터(300)의 구동축과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이 커플링(302)을 통해서 구동 모터(300)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은 풀리(304a)를 갖추어 상기 풀리(304a)와 쌍을 이루는 풀리(304a)가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에 갖춰져 있다. 그리고 이 한 쌍의 풀리 (304a)사이에 벨트가 장착되어 있다(다시 말하면, 구동 모터(30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리니어 피더(200)에 전달시키기 위해서, 벨트 전동장치 (30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단일의 구동 모터(300)로부터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한 쌍의 풀리 (304a)의 각각은 서로 같은 지름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 입력축(110, 210)에 대해서는 단위시 간 당의 회전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사이에 있어서, 각 입력축 (110, 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 회수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부여하는 상기 합성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의 진동수(단위시간 정도의 진동 회수)는 로터리 피더(100)와 리니어 피더 (200)의 사이에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단, 로터리 피더(100)및 리니어 피더(200)에 대해서, 상기 합성 방향에서의 진동수를 동일하게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상기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로터리 피더(100)와 리니어 피더(200)의 사이에 있어서, 각 입력축(110, 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다른 경우에는 한 쌍의 풀리(304a)의 지름의 비(즉, 감속비)를 조정하면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각 입력축(110, 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로터리 피더(100)에 의해서 부여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 회수가 3회이며, 리니어 피더(200)에 의해서 부여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 회수가 4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해당하는 경우에는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측에 갖추어진 풀리(304a)의 지름을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측에 갖추어진 풀리(304a)의 지름의3/4배에 설계하면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부여하는 상기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동일해진다.
=== (1)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의 유효성에 대해―--
 상술했던 대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1는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10)과 상기 반송부(10)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제1 캠 기구 및 상기 반송부(10)를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진동 부여부로서의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와, 상기 로터리 피더(100) 및 상기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을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 모터(300)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물품 반송 장치1에서는 로터리 피더(100)의 진동 부여 동작과 리니어 피더(200)의 진동 부여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1의 유효성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부터 진동하는 반송부상에 물품(W)를 재치하고 상기 물품(W)의 반송부에 대한 상대 미끄러짐 현상을 이용하여 물품(W)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는 이미 각종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물품 반송 장치 중에는 배경 기술의 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부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 부여부를 복수개 갖추고 있는 것도 있다.
그런데 상기 진동 부여부로서는 전자석을 이용해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전자식의 진동 부여부나 캠 기구를 이용해 상기 진동을 부여하는 캠식의 진동 부여부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전자식의 진동 부여부를 복수개 갖춘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반송부가 적절히 진동하도록 각 진동 부여부에 설치된 전자석의 구동 주파수를 조정해야 한다. 단, 상기 구동 주파수의 조정에는 수고가 요구되며, 또한, 각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을 맞추는 것도 곤란하다. 이 때문에 물품 반송 장치의 반송 속도 등을 변경하는 목적으로 상기 구동 주파수를 재차 조정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대해 캠식의 진동 부여부를 복수개 갖춘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각 진동 부여부 내에 구비된 캠의 형상(즉, 캠프로파일)에 따라 진동이 부여되기 때문에 전자식의 진동 부여부에 있어서의 구동 주파수의 조정 작업 등은 불필요해진다. 또,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조작(예를 들면, 단위시간 당의 입력축의 회전수의 조정)에 의해, 물품 반송 장치의 반송 속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캠식의 진동 부여부에 있어서도 상기 진동 부여부가 복수개 갖춰져 있는 경우에는 각 진동 부여부의 진동 부여 동작을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서 진동 부여부마다 상기 진동의 진동수를 조정하면 각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이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이 결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이 흐트러진 상태로 상기 반송부 (10)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반송부(10) 위에 재치된 물품(W)이 적절히 반송되지 않게 되는 우려도 있다. 특히, 상기 반송부가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반송대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이 되는 상기 반송대의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도1 참조)에는, 상기의 과제가 보다 현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 개별적으로 진동수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틈새(S)는 각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이 어긋나는 경우를 상정하여 비교적 긴 폭을 가지고 있었다. 이 러한 틈새 (S)에서는 각 진동 부여부의 진동 부여 동작에 엇갈림이 생겼을 경우에 상기 반송대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각 반송대의 진동(특히, 반송 방향의 진동)에 의해 상기 틈새(S)의 폭이 과도하게 확대되기도 한다. 이 결과 물품(W)이 상기 틈새(S) 위를 통과하지 못하고, 물품(W)이 틈새(S)에 빠지는 경우에는 물품(W)이 틈새에 끼어 물품(W)의 반송이 정지하는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1에서는 로터리 피더(100)및 리니어 피더(20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단일의 구동 모터(3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로터리 피더(100)의 입력축(110)과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이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기때문에, 로터리 피더(100)의 진동 부여 동작과 리니어 피더 (200)의 진동 부여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동기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터리 피더(100)가 부여하는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리니어 피더(200)가 부여하는 합성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는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 부여 동작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물품(W)의 반송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로터리 피더(100) 및 상기 리니어 피더(200)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진동수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모터(300)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각 진동수를 일시에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의 사이에서는 진동 부여 동작이 확실히 동기되기 때문에 각 진동 부여부가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이 어긋날 것도 없이, 상기 반송 속도의 조정도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 반송대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진동 부여 부의 진동 부여 동작에 생기는 엇갈림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틈새(S)의 폭이 축소되어 상기 틈새(S)에 물품(W)이 빠지는 일 없이, 적절한 물품(W)의 반송이 실현된다. 게다가 로터리 피더(100)및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틈새(S)의 폭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터리 피더(100)의 진동 부여 동작과 리니어 피더(200)의 진동 부여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동기 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결과적으로 물품 반송 장치1은 보다 적절히 물품(W)를 반송하게 된다.
=== (1) 다른 물품 반송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나선상 반송 경로를 형성한 제1 반송대(12)와 직선상 반송 경로를 형성한 제2 반송대(14)를 포함하는 반송부(10)를 갖춘 물품 반송 장치1에 대해 설명했다. 이러한 물품 반송 장치1에서는 제1 반송대(12) 위를 이동한 물품(W)이 제2 반송대(14)에 수수되고, 직선상으로 정렬된 상태로 상기 제2 반송대(14)의 반송 방향 말단에 반송된다. 특히, 제1 반송대(12) 위를 이동하는 경우보다 제2 반송대(14) 위를 이동하는 경우가 물품(W)의 정렬 상태가 양호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반송부(10)를 가지는 물품 반송 장치1는 적절히 정렬된 물품(W)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물품 반송 장치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이하, 본건예라고 한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예도 생각할 수 있다. 본 항에서는 물품 반송 장치의 다른 구성예(즉, 제1 변형예 내지 제5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각 변형예에 있어서, 진동 부여부(즉, 로터리 피더(100)나 리니어 피더(200)는 본건예와 관련되는 진동 부여부와 거의 동일의구성을 가지며 또한, 동일의 진동 부여 동작을 실시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 한다. 또,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합성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 상기 진동의 진동수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은 진동 부여부간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1 변형예에 대해>>
먼저,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17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17은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의 상면 모식도이다.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는 본건예와 같이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열된 복수개의 반송대를 가진 반송부(10)를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반송부(10)는 볼 상의 제1 반송대(12)와 직선상의 제2 반송대(14)를 각각 2 개씩 갖추고 있어,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반송대는 반송 방향에서 타원상의 반송 경로(오 발트 락이라고도 말한다)를 형성하도록 병설되어 있다. 덧붙여 이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2개의 제1 반송대(12) 가운데 반송 경로에 있고 보다 상류 측에 있는 쪽을 상류측의 제1 반송 대(12)로 보다 하류 측에 있는 쪽을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동일하게 2개의 제2 반송대(14) 가운데 보다 상류 측에 있는 쪽을 상류측의 제2 반송대 (14)로, 보다 하류 측에 있는 쪽을 하류측의 제2 반송대(14)로 한다. 또, 상기 제1 반송대(12)와 상기 제2 반송대(14)의 사이에는 본건예와 같이 틈새 (S)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하류측의 제2 반송대(14)에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송대(14)의 반송 방향 말단부에 물품(W)를 반송부(10) 밖으로 꺼내기 위한 물품 취출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취출부(14a)는 상기 제2 반송대(14)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굴절한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가 형성하는 반송 경로안에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물품(W)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벽 (1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반송대의 아래에는 진동 부여부로서의 로터리 피더(100)나 리니어 피더(20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제1 반송대(12) 아래에는 로터리 피더(100)가 각 제2 반송대(14) 아래에는 리니어 피더(20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건예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진동 부여부(즉, 2개의 로터리 피더(100) 및 2개의 리니어 피더(200))를 구동하기 위한 단일의 구동 모터(300)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300)으로부터의 구동력이 벨트 전동장치(304)를 통해서 각 진동 부여부에 전달된다. 그리고 본변형예에 대해서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로터리 피더(100)은 공통의 입력 축으로 상기 공통축(306)을 갖추고 있다. 즉, 상기 공통축(306)의 축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2개의 로터리 피더 (100)의 각각 에 갖추어진 제1캠 기구(140) 및 제2캠 기구(150)가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공통축(306)에는 3개의 풀리(304a)가 지지되고 있고, 각각 구동 모터(300)에 갖추어진 풀리(304a) 및 2개의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가지는 입력축(210)에 갖추어진 풀리(304a)와 쌍을 이루고, 상기 쌍을 이루는 풀리(304a) 사이에 벨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에서는 구동 모터(300)의 기동에 의해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저장된 물품(W)이 상기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가 형성하는 나선상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된다. 그리고 나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에 도달한 물품(W)는 상류측의 제2 반송대(14)에게 수수되어 상기 상류측의 제2 반송대(14)가 형성하는 직선상 반송 경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에 이른 물품(W)는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에 수수된 후, 상기 안내벽(12 a)와 충돌하고,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로 강제적으로 떨어진다. 여기서 정제(錠劑)와 같은 편평체상의 물품(W)는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낙하할 때에 표리가 반전한다. 그리고 표리 반전한 물품(W)는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가 형성하는 나선상 반송 경로를 따라서 이동해서 상기 나선상 반송 경로의 종단에 이르면, 하류측의 제2 반송대(14)에 수수된다. 또, 상기 하류측의 제2 반송대(14)가 형성하는 직선상 반송 경로를 이동해서 상기 물품 취출부(14a)의 말단에 도달한 물품(W)는 상기 물품 취출부(14a)에서 꺼내져 다음의 작업 공정에 수수된다.
이상과 같이,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는 본건 예의 물품 반송 장치 1보다 긴 반송 거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반송 경로가 장거리화한 만큼 물품(W)이 반송부(1 0) 위에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물품(W)의 반송 중에 상기 물품(W)의 가공 공정이나 검사공정 등의 각종 작업 공정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반송 경로가 타원상이기 때문에, 단지 반송 방향으로 연장 한 직선상 반송 경로를 마련하는 경우보다도 반송부(10)의 설치 스페이스가 축소된다.
 또, 물품(W)의 반송중에 상기 물품(W)의 검사를 하는 경우, 물품(W)이 반송중에 표리 반전하기 때문에, 겉측 및 안측의 쌍방향으로부터의 검사가 가능해진다. 또, 본변형예에서는,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가 형성하는 반송 경로 내에 상기 안내벽(12a)을 마련해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물품(W)를 떨어뜨릴 때에 물품(W)를 표리 반전시키는 것으로 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반송 경로내에 물품 반전 기구(미도시)를 마련해 상기 물품 반전 기구에 의해 물품(W)를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떨어뜨리는 일 없이 표리 반전시키는 것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다 확실히 물품(W)를 표리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물품(W)의 상면측을 검사할 때의 물품(W)의 반송 순서와 이면측을 검사할 때의 반송 순서가 일치한다. 이와 같이 표리 반전 전후로 물품(W)의 반송 순서를 일치시키면서 상기 물품(W)을 검사하는 구성은 특히, 의약품 생산 공장 등에 있어서의 바리데이션 대응으로서의 검사 작업에 유효하다.
<<제2 변형예에 대해>>
제1 변형예에서는 반송 경로의 말단에 물품 취출부(14a)가 설치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물품 취출부(14a)를 갖추지 않고, 도18에 나타내는 순환형 반송 경로가 형성되는 경우(이하, 제2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18은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3의 상면 모식도이다. 이하에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3)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3)에서는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저장된 물품(W)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순환형 반송 경로를 일주 하도록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로 돌아온 물품(W)는 상기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가 형성하는 반송 경로 내에 설치된 안내벽(12a)과 충돌해, 상기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낙하하고, 재차 상기 순환형 경로상이 반송되게 된다. 덧붙여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에서는 물품(W)는 상기 제1 반송대(12)의 저부에 낙하하는 일 없이, 상기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외주에 따라서 반송된다(바꿔 말하면, 하류측의 제1 반송대(12)는 원호상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3는 물품(W)의 순환 반송이 실시 가능해져, 동일 로트의 물품(W)에 대해 검사 작업을 반복해 실시하는 것이보다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에 있어서, 동일 로트의 물품(W)에 대하여 검사를 반복해 실시하기 위해서는 물품 취출부(14a)로부터 물품(W)를 꺼낸 후, 상기 물품(W)를 재차, 반송부(10)위에(보다 정확하게는, 상류측의 제1 반송대(12)의 저부) 공급해야 한다. 이에 대해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3에서는, 물품(W)이 반송 경로내를 순환하기때문에, 물품(W)를 꺼내고 재차 반송부(10)위에 공급하는 수고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검사 작업의 반복 실시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제3 변형예에 대해>>
본건예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에서는 반송부(10)가 복수의 반송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반송대는 반송 방향으로 병설되고 있는 것으로 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송부(10)로서 단일의 반송대가 갖춰져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반송대로서는 상기 반송대의 긴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있는 구형 모양의 반송대가 이용되는 경우(이하, 제3 실시예)도 있다. 이하에 제3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4에 대해서 도19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19, 제3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4의 상면 모식도이다. 또, 도19중에는 화살표로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제3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4에 관해 반송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긴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른 구형 모양의 반송대로서의 제3 반송대(16)이다. 또, 이 제3 반송대(16) 아래에는 복수의 진동 부여부로서 2개의 리니어 피더 (200)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리니어 피더 (200)은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즉, 제3 반송대(16)에 있어서의 물품(W)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줄지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2개의 리니어 피더 (200)의 각각이 갖추는 입력축(210)으로 구동 모터(300)의 회전축이 상기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에 따라서 같은 축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설명으로는 2개의 리니어 피더(200)가운데,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에 대해 일단측에 있는 쪽을 일단측의 리니어 피더 (200), 타단 측에 있는 쪽을 타단측의 리니어 피더 (200)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본변형예에 있어서도, 본건예 등과 동일하게 상기 2개의 리니어 피더 (200)는 단일의 구동 모터(300)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일단측의 리니어 피더 (200)에는 입력축(210)이 하우징(23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단측의 리니어 피더 (200)의 입력축(210)의 축방향 일단부는 커플링(302)을 개입시켜 구동 모터 (300)로 연결하고, 축방향 타단부는 커플링(302)을 통해서 타단측의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4에서는 구동 모터(300)가 기동하면, 2개의 리니어 피더(200)의 협동에 의해 상기 제3 반송대(16)는 상기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 및 연직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긴 방향과 연직 방향과의 합성 방향)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반송대(16) 위에 재치된 물품(W)이 상기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에 따라서 긴 방향 타단측에 반송되게 된다.
여기서 반송부(10)가 복수의 반송대를 포함하고, 반송대 사이에 틈새 (S)가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 설치된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단일의 구동 모터(3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틈새 (S)의 폭을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반송대 사이에 틈새 (S)가 설치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일의 구동 모터(300)에 의해 복수의 진동 부여부를 구동시키는 구성이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한편, 제3 변형예에서는 반송부(10)가 단일의 제3 반송대(16)이기 때문에, 당연히 틈새 (S)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휨 등에 기인해 반송의 고르지 못함이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반송대(16)의 각부에 있어서, 진동 상태의 균일성을 얻을 수 없게 되면, 상기 각부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 속도의 고르지 못함이 생겨 물품(W)를 적절히 반송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리니어 피더 (200)를 제3 반송대(16)의 긴 방향에서 직선상에 늘어놓으면 상기 반송의 고르지 못함은 억제되지만, 상기 2개의 리니아 피더 (200)의 각각의 진동 부여 동작에 엇갈림이 생기면, 상기 제3 반송대(16)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제3 변형예에서는 상기 2대의 리니어 피더 (200)의 각각을 단일의 구동 모터(300)에 의해서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2대의 리니어 피더 (200)의 각각의 진동 부여 동작이 용이하게 동기되기때문에, 상기 제3 반송대(16)의 흔들림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이상적인 물품(W)의 반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반송부(10)가 그 긴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에 따르는 구형 모양의 제3 반송대(16)인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구성은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제4 변형예에 대해>>
제3 변형예에서는 반송부(10)가 그 긴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르는 제3 반송대(16)인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단, 반송부(10)는 제3 변형 예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송부(10)가 그 짧은 방향이 반송 방향을 따르는 구형 모양의 반송대인 경우(이하, 제4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5에 대해서, 도20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20은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5의 상면 모식도이다. 또, 도20중에는 화살표로 제4 반송대(18)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5에 있어서, 반송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짧은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른 구형 모양의 반송대로서의 제4 반송대(18)이다. 또, 제4 반송대 (18)아래에는 제3 변형예와 같이, 2대의 리니어 피더 (200)가 갖춰져 있고, 상기 2대의 리니어 피더(200)는 상기 제4 반송대(18)의 긴 방향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줄지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2대의 리니어 피더(200)는 제4 반송대(18)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일 위치에 줄지어 있다. 덧붙여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리니어 피더(200)가운데, 제4반송대(18)의 긴 방향에 대해 일단 측에 있는 쪽을 일단측의 리니어 피더(200), 타단 측에 있는 쪽을 타단측의 리니어 피더 (200)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본변형예에서 본건예 등과 같이 상기 2개의 리니어 피더 (200)는 단일의 구동 모터(300)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일단측의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은 커플링(302)에 의해 구동 모터(300)로 연결하고 있다. 또, 상기 일단측의 리니 어 피더(200)의 입력축(210) 및, 타단측의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에는 각각 풀리(304a)가 지지되고 있고, 풀리 (304 a) 사이에는 벨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5에서는 구동 모터(300)가 기동하면 2개의 리니어 피더 (200)의 협동에 의해 상기 제4 반송대(18)는 상기 제4 반송대(1 8)의 짧은 방향 및 연직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짧은 방향과 연직 방향과의 합성 방향)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4 반송대(18) 위에 재치된 물품(W)가 상기 제4 반송대(18)의 짧은 방향에 따라서 짧은 방향 타단측에 반송되게 된다. 그리고 제4 반송대(18)가 반송 방향에 대해서 폭넓은 구조가 되고 있기 때문에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5는 상기 제4 반송대(18)의 긴 방향에 물품(W)를 늘어놓은 상태로 상기 물품(W)를 반송하기때문에, 한 번에 다량의 물품(W)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4 반송대(18)의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리니어 피더(200)를 직선상에 늘어놓는 것에 의해서 제3 변형예와 같이 반송의 고르지 못함이나 제4 반송대(18)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반송부(10)가 그 짧은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른 구형 모양의 제4 반송대(18)를 포함하는 경우여도 본 발명의 구성은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제5 변형예에 대해>>
제4 변형예에서는 반송부(10)가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폭이고, 또는, 짧은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른 제4 반송대(18)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반송 부(10)가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폭이고, 또는, 긴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라서 있는 반송대인 경우(이하, 제5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6에 대해서 도21및 도22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21은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6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22는 제5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6에 있어서의 구동 모터(300)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 기구에 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덧붙여 도21및 도22에는 화살표로 제5반송대19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6에서 반송부(10)은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폭이고, 또는, 긴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른 구형 모양의 반송대로서의 제5반송대(19)이다. 제5 변형예에서는 4개의 리니어 피더(200)가 각각 상기 제5 반송대(19)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리니어 피더(200)는 상기 제5반송대(19)의 짧은 방향 일단측 및 타단측에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각 2개의 리니오 피더(200)는 상기 제5 반송대(19)의 긴 방향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줄지어 있다. 덧붙여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설명에 대해서는 상기 4대의 리니어 피더(200)의 배치 위치를, 도2 1중, 기호 A내지 D에서 나타내고, 각 기호가 첨부 된 위치에 의해서 각 리니어 피더(200)를 특정하는 것으로 한다(예를 들면, 기호 A의 위치에 설치된 리니어 피더(200)는 위치A의 리니어 피더(200)라고 부른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위치A의 리니어 피더(200) 및 위치C의 리니어 피더(200)에는 각각, 입력축(210)이 하우징(230)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A의 리니어 피더 (200)가 가지는 입력축(210)의 축방향 일단부는 커플링(302)에 의해 구동 모터(300)과 연결하고 있다. 즉, 위치A의 리니어 피더(200)의 입력축(210)과 구동 모터(300)의 회전축은, 제 5 반송대(19)의 긴 방향에 있어서, 동일 축상에 줄지어 있다. 또, 위치A의 리니어 피더 (200)와 위치C의 리니어 피더(200)는 각각이 갖추는 입력축(210)의 축방향 일단부에 지지되는 풀리(304a) 및 상기 풀리(304a) 사이에 장착된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위치 A의 리니어 피더(200)가 갖추는 입력축(210)의 축방향외 단부는 커플링(302)을 통해서 위치 B의 리니어 피더(200)가 갖추는 입력축(210)으로 연결하고 있다. 위치 C의 리니어 피더(200)가 갖추는 입력축(210)의 축방향 타단부도 동일하게 커플링(302)을 통해서 위치 B의 리니어 피더(200)가 갖추는 입력축(210)과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본건예 등과 같이, 상기 4개의 리니어 피더(200)는 단일의 구동 모터(300)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6에서는 4개의 리니어 피더(20 0)의 협동에 의해, 상기 제5 반송대(19)는 상기 제5 반송대(19)의 긴 방향 및 연직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긴 방향과 연직 방향과의 합성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5 반송대(19) 위에 재치된 물품(W)은 상기 제5 반송대(19)의 긴 방향에 따라서 긴 방향 타단측에 반송되게 된다.
그리고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6은 상기 제5 반송대(19)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의 휨을 규제하면서, 한 번에 대량의 물품(W)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 변형예나 제4 변형예와 같이, 반송의 고르지 못함이나 제5 반송대(19)의 흔들림도 억제된다. 즉, 반송부(10)가 반송 방향에 대해서 대폭이고, 또한, 긴 방향이 반송 방향에 따른 구형 모양의 제5 반송대(19)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는 가치가 있는 것이 된다.
덧붙여 구동 모터(300)으로부터 각 리니어 피더(200)에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구성은 도21에 나타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22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플링(302)을 통해서 구동 모터(300)의 회전축과 연결한 구동축(308)과 위치A의 리니어 피더(200) 및 위치 B의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갖추는 입력축(210)이 벨트전동장치(30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위치 A의 리니어 피더 (200) 및 위치 C의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갖추는 입력축(210)의 사이와 상기 위치 B의 리니어 피더(200) 및 위치 D의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갖추는 입력축(210)의 사이는 각각 벨트 전동장치(304)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구동 모터(300)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축(308)과 상기 구동축(308)에 고정된 풀리(304a)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 모터(300)로부터, 벨트 전동장치(304)를 통해서, 4개의 리니어 피더(200)의 각각이 갖추는 입력축(210)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 (1) 그 외의 실시의 형태---
이상,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등을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발명에는 이와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반송대(12)나 제2 반송대(14)를 시작으로 하는 각종의 반송대는 로터리 피더 (100)나 리니어 피더 (200)의 각각의 출력부(120,220)에 고정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즉, 상기 반송대는 상기 출력부 (120,220)와 일체적으로 진동하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송대가 상기 출력부 (120, 220)에 재치되어 있으나 상기 출력부(120, 220)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단, 상기 진동 부여부의 진동이 상기 출력부(120, 220)을 통해서 상기 반송대에 전달시키는 경우, 상기 반송대가 상기 출력부(120, 220)에 고정되어 있으면, 적절히 진동이 전달된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200) 각각이 갖추는 제1 캠 (142, 242)과 제2 캠(152, 252)은 입력축 (110, 210)에 지지되어 상기 입력축 (110, 210)이 회전하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고 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캠(142, 242)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캠(142, 242)을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제2 캠(152, 252)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캠(152, 25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서로 다른 축인 것으로 해도 좋다. 단, 각 피더에 있어서, 제1 캠(142, 242) 및 제2 캠(152, 252)이 함께 입력축(110, 210)에 지지되고 있는 경우, 제1 캠(142, 242)의 회전과 제2 캠 (152, 252)의 회전을 동기시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로터리 피더(100) 및 리니아 피더(200)의 각 각은 상기 반송대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상이 도9에 나타내는 변화를 나타내는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즉,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을 촉진시키는 진동이 상기 반송대에 부여되기 쉬워져, 결과적으로, 물품(W)를 보다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터리 피더(100)나 리니어 피더(200)와 같은 진동 부여부가 복수개 갖춰져 있는 경우, 각 진동 부여부가 가지는 제1 캠(142, 242)은 상기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해지는 캠프로파일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게다가 각 진동 부여부가 갖추는 제2 캠(152, 252)은 상기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해지는 캠프로파일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했다. 단,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 가운데, 어느 한 방향의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은 반송 방향 및 연직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진폭이 진동부여부 사이에서 상이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W)의 반송 속도는 각 진동 부여부가 부여하는 진동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면, 반송부(10)의 각부에 있어서, 균일한 반송 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반송의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반송부(10)가 복수의 반송대(예를 들면, 제1 반송대(12) 및 제2 반송대(14))를 갖추고, 반송대 사이에 틈새 (S)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틈새 (S)의 폭은 최소가 된다. 즉, 상기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상이하면, 상기 틈새 (S)의 폭을 설정할 때, 진동 부여부 사이에 있어서의 진폭의 상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에 반하여, 상기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진폭의 상이를 고려할 필요는 없고, 상기 틈새 (S)의 폭을 필요 최소 한도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특히,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폭이 진동 부여부 사이에서 동일하면, 상기 반송부(10)의 각부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위상이 일치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상기 반송부 (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송 경로에 기복(반송부(10)의 각부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위상에 엇갈림이 생겼을 경우에, 상기 반송 경로에 높낮이 차이가 형성되는 것)이 생기지도 않고, 적절한 물품(W)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점에서, 상기 제 1의 실시의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2)제2 실시 형태===
(2)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001)의 구성예 및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계 부품이나 정제약 등 물품 반송 장치(1001)의 반송 대상이 되는 것을 총칭해서 물품(W)이라고 부른다.
<<물품 반송 장치의 구성예>>
먼저, 물품 반송 장치(1001)의 구성예에 대해 도2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23은 상기 물품 반송 장치(1001)의 기기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며, 상면측에서 본 기기 배치(위의 도)와 측면측에서 본 기기 배치(아래 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23 중 위의 도에는 화살표로 재치면(1011)의 긴 방향과 짧은 방향이 나타나 아래 도에는 화살표로 상기 재치면 (1011)의 긴 방향과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001)는 물품을 소정의 반송 방향(도23의 위의 도 중, 기호 F에서 나타난 방향)으로 직진 반송시키는 장치이며,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판 (1010)과, 1대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과, 3대의 제2진동 부여 유닛(1200)과, 구동 모터(1300)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각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 및 상기 구동 모터(1300)는 도23의 아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 020)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상기의 물품 반송 장치(100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판 (1010)에 대해>
진동판(1010)에 대해서 이미 기술한 도23을 이용해 설명한다. 이 진동판(1010)은 도23의 위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형 모양의 강판이며, 그 긴 방향은 전술한 물품(W)의 반송 방향(이하, 단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있다. 이 진동판(1010)은 또한 상면에 물품(W)를 재치하기 위한 평탄한 재치면(1011)을 갖추고 있다. 상기 재치면(1011)은 당연히 구형 모양이며, 그 긴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에 따라서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재치면 (1011)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즉, 진동판 (1010)의 폭)는 비교적 길기 때문에, 상기 재치면(1011) 1개에 다량의 물품(W)를 재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001)는 다량의 물품(W)를 한 번에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진동판 (1010)의 아래쪽 면은 후술 하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제1 출력부 (1120)와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의 제2 출력부 (1220)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1010)은 상기 제1 출력부(1120) 및 상기 제2 출력부(1220)에 의해서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연직 방향이란, 재치면 (1011)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게다가 상기 진동판(1010)은 상기 재치면(1011)이 거의 수평면이 되도록 지지를 받고 있다. 즉,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거의 따르고 있다. 또, 상기 반송 방향도 수평 방향으로 거의 따르고 있다. 한편, 상기 연직 방향은 수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이 된다.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에 대해>
다음으로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구성예 및 동작예에 대해서, 기술한 도23으로 도24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24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동일한 도 중, 왼쪽 도에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단면도가 오른쪽 도에는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폭방향(반송 방향과 교차할 방향이며,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단면도가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덧붙여 도24 중, 왼쪽 도에는 화살표로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고, 오른쪽 도에는 화살표로 연직 방향 및 입력축(1110)의 축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은 도23의 아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판(10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캠 기구(즉, 후술 하는 제1 캠 기구(1140))가 갖춰져 있다. 그리고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은 상기 진동판(1010)의 하부로부터 상기 진동판 (1010)에 대해서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001)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은 상기 진동판(1010)의 긴 방향 일단부로서 상기 진동판(1010)의 짧은 방향 중앙부의 위치에 1대만 배치되어 있다.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은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1110)으로 제1 출력부 (1120)와, 하우징(1130)과, 제1 캠 기구(1140)와, 가이드 부재(1150)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130)은 그 내부에 제1 캠 기구(1140) 등을 수용하기 위한 거의 직방체상의 광체이며, 베이스 부재(1020) 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 이 하우징(1130)의 천정벽에는 거의 구형 모양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1110)은 제1 캠 기구(114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입력축(1110) 의 중심축 둘레를 회전하는 축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입력축 (1110)은 도24의 오른쪽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30)의 측벽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30)에 베어링(1131)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입력축(1110)의 축방향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길이 방향(즉, 반송 방향)에 따라서 있다. 또, 입력축(1110)의 축방향 일단은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1302)을 통해서 구동 모터(1300)의 회전축(1300a)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1300)가 기동해 상기 회전축(1300a)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 모터(1300)로부터의 구동력이 상기 커플링(1302)를 통해서 상기 입력축(111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입력축(1110)은 회전한다. 게다가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1300)로부터의 구동력을 다른 진동 부여 유닛(즉,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에 전달시키기 위한 풀리(1304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입력축(1110)의 축방향 타 단부는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1302)를 통해서 1대의 제2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210)으로 연결하고 있다.
제1 출력부(1120)는 상기 하우징(1130)의 천정벽에 설치된 개구를 막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보다 한층 작은 사각형상의 판부재이다. 이 제1 출력부(1120)는 상기 하우징(1 130)내에 있고,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즉, 반송 방향이며, 도24의 오른쪽 도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출력부(1120)은 상기 제1 출력부(1120)의 상면이 상기 하우징(1130)의 상단면보다 윗쪽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면에서 상기 진동판(1010)을 고정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출력부(1120)가 상기 입력 축(1110)의 축방향으로 왕복 움직임으로써, 상기 진동판(1010)은 상기 제1 출력부(1120)와 일체적으로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덧붙여 도24의 왼쪽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출력부(1120)의 폭방향(즉,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직방체상의 가이드 부재(1150)와 인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1150)는 상기 제1 출력부(112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면과 상기 하우징(1130)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150)가 포함하는 각면 가운데, 상기 제1 출력부(1120)의 폭방향의 단면과 대향하는 면(이하, 대향면)은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 및 연직 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면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부(1120)는 상기 대향면에 따르도록 왕복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제1 출력부(1120)는 상기 가이드 부재(1150)에 의해,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과 교차할 방향(즉, 재치면 111의 짧은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덧붙여 제1 출력부(1120)와 가이드 부재(1150)와의 사이에는 윤활유의 유막이 형성되고 있어 상기 제1 출력부(1120)은 원활히 상기 축방향으로 왕복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캠 기구(1140)는 상기 제1 출력부(1120)를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상기 제1 캠 기구(1140)는 상기 제1 출력부(1120)를 통해서 상기 진동판(1010)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제1 캠 기구 (1140)는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110)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는 제1 캠 (1142)와 상기 제1 캠(1142)과 계합하 는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14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캠(1142)은 원통형의 리브 캠이며, 상기 제1 출력부(1120)의 하부에 있고,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 중앙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축(1110)이 회전하면, 제1 캠 (1142)는 상기 입력축(11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제1 캠(1142)의 축방향 양단면에는 사방에 걸쳐 리브상의 캠면(1142a, 114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면(1142a, 1142b)은 도24의 오른쪽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으로 만곡하고 있고, 상기 축방향의 일단면에 형성된 캠면(1142a)과 상기 축방향의 타단면에 형성된 캠면 (1142b)은 동일 형상의 곡면이 되어 있다. 이러한 캠면(1142a, 1142b)의 형상이 제1 캠 (1142)의 캠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144)는 한 쌍의 회전 롤러이며, 각각 제1 출력부(1120)의 저부에서 연직 방향에 따른 중심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144)는 상기 제1 캠(1142)을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캠면(1142a, 1142b)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제1 캠 팔로워(1144)의 주위면이 상기 캠면(1142a, 1142b)과 상시 접촉하고 또한, 상기 각 제1 캠 팔로워(1144)가 상기 캠면(1142a, 1142b) 위를 전동 가능해지도록 제1 캠 팔로워(1144)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입력축(111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캠(1142)이 상기 입력축(1110)과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144)가 회전 상태의 제1 캠(1142)에 설치된 캠면(1142a,1142b)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캠면(1142a,1142b) 위로 전동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1142a,1142b)이 상기 입력축(1110)의 축방향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상태의 상기 한 쌍의 제 1 캠 팔로워(1144)는 각 제 1캠 팔로워(1144)의 사방과 상기 캠면(1142a,1142b)과의 접촉위치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축방향에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당해 한 쌍의 제 1 출력부(1120)에 고정된 진동판(1010)이 상기 제 1 출력부(1120)과 일체적으로 상기 축방향에 이어진 방향 즉, 반송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제1진동 부여 유닛(1100)은 상기 진동판(1010)에 대해서 상기 반송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부(1120)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간격(바꿔 말하면, 한 쌍의 제1 캠 팔로워(1144)의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스트로크)이 상기 제 1 진동부여 유닛(1100)이 부여하는 반송방향의 진동의 진폭에 상당한다.
<제 2 진동부여 유닛에 대해서>
다음으로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구성예 및 동작예에 대해서 이미 기술한 도23과 도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5는 제2 진동부여 유닛(12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제2 진동부여 유닛(1200)의 긴 방향(반송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모식 단면도(도25A)와, 상기 제 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폭방향(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모식단면도(도 25B)가 각각 나타내어 있다. 게다가 도 25A에는 연직방향에 상하 이동하는 제2 출력부(1220)가 상사점에 다다르는 때의 도(위의 도)와, 하사점에 다다르는 때의 도(아래 도)가 나타내어 있다. 또한, 도25A에는 화살표로 연직방향이 나타나 있으며, 도25B에는 화살표로 연직방향 및 입력축(1210)의 축방향이 나타나 있다.
제 2 진동 부여 유닛(1200)도 제 1 진동 부여 유닛(1100)과 동일하게 진동판(10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캠 기구(즉, 후술하는 제 2 캠 기구(1240))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당해 캠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상기 진동판(1010)의 하방에서 상기 진동판(1010)에 대해서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게다가 도23의 위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장치(1001)에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3대 갖추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2 진동부여 유닛(1200)은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 중 적어도 한쪽 방향에 있어서 진동판(1010)의 단부에 연직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 일단부에서 긴 방향 일단부인 위치와, 상기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 타단부에서 긴 방향 일단부인 위치와, 상기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 중앙부에서 긴 방향 타단부인 위치에 각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단부 및 짧은 방향 단부 가운데, 어느 한쪽에 해당하는 위치 혹은 쌍방으로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상기의 각 위치로 진동판(1010)에 대해서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또, 상기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중에는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에 있어서 다른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과는 다른 위치로 상기 진동판(1010)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존재하고 있다(바꿔 말하면,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배치 위치는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나란하게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중에는 상기 재치면의 짧은 방향에 대해 다른 제3 진동 부여 유닛(1200)과는 다른 위치로 상기 진동판(1010)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나 존재하고 있다(바꿔 말하면,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배치 위치는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도 나란하게 되어 있지 않다).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도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1210)과, 제2 출력부 (1220)와, 하우징(1230)과, 제2 캠 기구(1240)와, 가이드 부재(1250)를 갖추고 있다. 또, 이상과 같은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구성 기기의 구조는 모두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사이에서 동일하다.
하우징(1230)은 그 내부에 후술하는 제2 캠 기구(1240) 등을 수용하기 위한 거의 직방체상의 광체이며, 베이스 부재(1020)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 하우징(1230)의 천정벽에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하우징(1130)과 동일하게 거의 사각형상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1210)은 제2 캠 기구(124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입력축(1210)의 중심축 둘레를 회전하는 축이다. 이 입력축(1210)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과 동일하게, 상기 하우징(1230)의 측벽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하 우징(1230)에 베어링(123 1)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축방향은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길이 방향, 즉, 반송 방향을 따라서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동 모터(1300)의 기동에 의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이 회전하면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1210)은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에 연동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3의 위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가운데, 2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1210)에는 풀리(130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풀리(1304a)는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측에 설치된 풀리(1304a)와 쌍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2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각각 가지는 입력축(1210)은 쌍을 이루는 상기 풀리(1304a) 및 상기 풀리(1304a) 사이에 장착된 벨트로부터 구성되는 벨트 전동 기구(1304)로부터 구동력을 받게 된다. 한편, 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가운데, 남은 1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1210)은 커플링(1302)을 통해서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과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1210)에는 커플링(1302) 및 벨트 전동 기구(1304)에 의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 회전이 전동 된다.
제2 출력부(1220)는 상기 하우징(1130)의 천정벽에 설치된 개구를 막는 위치에 배치된 부재이다. 상기 제2 출력부(1220)는 도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보다도 한층 작은 폭을 가지는 상단부(1220a)와, 상기 상단부(1220a)와 인접한 상기 상단부(1220a) 및 상기 개구 보다 폭넓은 중단부(1220b)와, 상기 중단부(1220b)와 인접한 상기 중단부(1220b)보다 폭이 좁고 상기 상단부(1220a)보다 폭넓은 하단부(1220c)를 갖추고 있다. 덧붙여 상단부(1220a), 중단부(1220b) 및 하단부 (1220c)는 함께 거의 직방체상이며,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보다 한층 작은 길이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하단부(1220c)의 저면에는 후술 하는 제2 캠 팔로워(1244)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20d)가 갖추어져 있다.
이 제2 출력부(1220)는 상기 하우징(1230) 내에 있고, 연직 방향(즉, 도25 B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출력부(1220)는 상기 제2 출력부(1220)의 상면이 상기 하우징(1230)의 상단면보다 윗쪽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면에서 상기 진동판(1010)을 고정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출력부(1220)가 연직 방향으로 왕복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1010)은 상기 제2 출력부(1220)와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2 출력부(1220)의 폭방향(즉,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측에는 도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방체장의 가이드 부재(125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1250)는 상기 제2 출력부(1220) (보다 정확하게는, 제2 출력부(1220)의 하단부(1220c))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면과 상기 하우징(1130)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250)가 포함하는 면 가운데, 상기 제2 출력부(122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면과 대향하는 면(이하, 대향면)은 상기 입력축(1210)의 축방향 및 연직 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면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출력부(1220)는 상기 대향면에 따르도록 연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즉, 상기 제2 출력부(1220)는 상기 가이드 부재(1250)에 의해 상기 입력축(12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즉, 재치면(11)의 짧은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덧붙여 제2 출력부(1220)와 가이드 부재 (1250)와의 사이에는 윤활유의 유막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제2 출력부(1220)는 원활히 연직 방향에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도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1220a)와 상기 중단부(1220b)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에는 용수철 부재(1232)의 일단이 고정되고 있고, 상기 용수철 부재(1232)에 의해 제2 출력부(1220)는 하부에 부세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용수철 부재(1232)의 타단은 하우징(1230)의 내벽면 가운데, 상기 단차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캠 기구(1240)은 상기 제2 출력부(1220)를 연직 방향으로 상하이동 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상기 제2 캠 기구(1240)는 상기 제2 출력부(1220)를 통해서 상기 진동판(1010)을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제2 캠 기구(1240)는 도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210)의 회전에 수반해 회전하는 제2 캠(1242)과 상기 제2 캠 (1242)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캠 팔로워(1244)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캠(1242)은 외주면에 캠면(1242a)이 형성된 거의 삼각형상의 판캠이며, 상기 입력축 (1210)의 축방향 중앙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축(1210)이 회전하면, 제2 캠 (1242)은 상기 입력축(12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제2 캠(1242)이 가지는 캠면 (1242a)은 상기 입력축(1210)의 축방향에 대해서 평탄한 주위면이며, 상기 캠면(1242a)의 형상이 제2 캠(1242)의 캠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있다. 덧붙여, 전술한 것처럼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각 구성 기기의 구조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캠 (1242)의 캠프로파일도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사이에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2 캠 팔로워(1244)는 전술한 제2 출력부(1220)의 지지부(1220d)에 회전 자재로 지지를 받은 회전 롤러이며, 그 중심축은 상기 입력축(1210)의 축방향에 따라 있다. 또, 상기 용수철 부재(1232)의 부세력(용수철 힘)은 상기 제2 출력부(1220)을 통해서, 제2 캠 팔로워(1244)에 미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2 캠 팔로워(1244)는 하부에 부세되어 중심축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 캠(1242)에 눌러지고 있다. 즉, 제2 캠 팔로워(1244)의 주위면은 상기 캠면(1242a)과 상시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2 캠(1242)이 회전하면, 상기 제2 캠 팔로워(1244)는 상기 제2 캠(124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캠면(1242a) 위를 전동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 (1210)이 회전하며, 상기 입력축(1210)과 일체로 제2 캠(1242)도 회전한다. 그리고 제2 캠 팔로워(1244)는 용수철 부재(1232)의 부세력에 의해서 회전 상태의 제2 캠(1242)에 꽉 눌러진 상태로 상기 제2 캠(1242)의 캠면(1242a)위를 전동한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2 캠(1242)이 거의 삼각형상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캠 팔로워(1244)의 주위면과 상기 캠면(1242a)과 의 접촉 위치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전동 상태의 상기 제2 캠 팔로워 (1244)가 연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제2 캠 팔로워(1244)를 지지하는 제2 출력부(1220)도 상기 가이드 부재(1250)에 의해서 상기 제2 동력부(122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규제되면서 연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이 결과, 상기 제2 출력부(1220)에 고정된 진동판(1010)도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상기 진동판(1010)에 대해서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게 된다. 덧붙여 도25A중, 위의 도에 나타난 제2 출력부(1220)의 위치(상사점)와 아래 도에 나타난 위치(하사점)와의 간격(바꿔 말하면, 제2 캠 팔로워 (244)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스트로크)이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에 상당한다. 그리고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가지는 제2 캠 (1242)의 캠프로파일이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도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 동일하게 되어 있다.
<구동 모터 (1300)에 대해>
구동 모터(1300)는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및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 (1110)과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의 입력축 (1210)을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1대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과 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1300)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구동 모터(1300)의 회전축(1300a)은 커플링(1302)을 통해서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측의 입력축(1110)으로 연결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의 회전은 커플링(1302)이나 벨트 전동 기구(1304)를 통해서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입력축(1210)에 전동 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1300)로부터의 구동력은 상기 커플링(1302)이나 벨트 전동 기구(1304)에 의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및 각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전달된다. 또, 각 입력축(1110,1210)에 설치된 각 풀리(1304a)는 서로 같은 지름이며, 상기 입력축 (1110,1210)의 회전수(즉, 단위시간 당 회전 회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각각 포함하는 제2 캠(1242)의 캠프로파일이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있어서 입력축(1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 회수도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대해 입력축(11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회수와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대해 입력축(1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회수가 동일해지도록 제1 캠(1142) 및 제2 캠(1242)의 각 캠프로파일 이 조정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으로부터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으로부터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 각 진동이 동기 하도록 상기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조정되면, 재치면 (1011)에 재치된 물품(W)이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직진 반송되도록 상기 진동판 (1010)은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및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공통의 구동 모터(1300)에 의해서 구동되고 또한, 상기 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한 번 조정되면, 이후 상기 각 진동은 동기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진동판(1010)에 부여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모터(1300)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으로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을 동기 시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대해 입력축(11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회수와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있어서 입력축(1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회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 진동 부여 유닛 사이에 있어서, 입력축(1110, 1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진동의 회수가 상이하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쌍을 이루는 풀리(1304a)의 지름의 비(즉, 감속비)를 조정함으로써,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의해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를 동일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대해 입력축(11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회수가 3회이며,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대해 입력축 (12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회수가 4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 측에 설치된 풀리(1304a)의 지름을 상기 2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도23의 위의 도 중, 재치면(11)의 긴 방향 일단 측에 배치된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의 입력축(1210)측에 갖추어진 풀리(1304a)의 지름의3/4배로 설계하면 좋다. 이에 의해,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를 동일하게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품 반송 장치의 동작예>>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품 반송 장치(1001)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진동판 (1010)의 재치면(1011) 위의 소정 위치에 물품(W)가 재치된 상태로, 구동 모터(1300)가 기동하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입력축(1110)과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의 입력축(1210)이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입력축(1110, 1210)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서는 제1 캠 기구(1140)의 구동에 의해서 제1 출력부(1120)가 반송 방향으로 왕복 움직이고,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서는 제2 캠 기구((1240))의 구동에 의해서 제2 출력부(1220)가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한다. 이 결과, 상기 제1 출력부(1120) 및 상기 제2 출력부(1220)에 고정 지지된 진동판(1010)에, 반송 방향의 진동과 연직 방향의 진동이 각각 부여되게 된다. 이 때, 3대의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각각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 진동수 및 진폭이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의해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상기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것처럼 상기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한 번 조정되면, 이후 상기 각 진동은 서로 동기 한 상태로 상기 진동판(1010)에 부여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진동판(1010)은 상기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한다(보다 정확하게는,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상으로 타원 운동을 실시한다). 그리고 진동판(1010)의 진동(즉, 진동판(1010)의 타원 운동)에 의해서, 상기 진동판(1010)의 재치면(1011)위의 물품(W)는 상기 진동판(1010)에 대해서 상대 미끄러짐을 일으키고, 상기 상대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서, 상기 물품(W)가 반송 방향으로 직진 반송되게 된다.
=== (2)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의 유효성에 대해―--
상술한 대로,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001)는 물품(W)를 직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방향에 진동하는 진동판(1010)과 제1 캠 기구(1140)에 의해 상기 진동판(1010)에 상기 반송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적어도 1 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과 제2 캠 기구((1240))에 의해 상기 진동판(1010)에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을 포함하는 물품 반송 장치이다.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장치라면, 상기 진동판(1010)에 있어서의 진동의 고르지 못함이 방지되고, 물품을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1001)의 유효성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부터 물품(W)를 직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1010)에 대한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을 이용해 상기 물품(W)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는 이미 존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으로서 폭이 넓은 재치면을 포함하는 평판을 갖추고 있는 물품 반송 장치도 존재하고 있다. 이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상기 진동판의 재치면에 다량의 물품(W)를 재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다량의 물품(W)를 한 번에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재치면의 면적이 확장하는 만큼, 물품 반송 장치의 물품 반송 능력(단위시간 당에 반송되는 물품(W)의 양)이 향상하게 된다.
그렇지만, 재치면의 면적이 확장되는 만큼, 상기 진동판이 적절히 진동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판에 부여된 진동은 상기 진동판의 각부에 전달되는 사이에 감쇠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 특히, 연직 방향의 진동은 감쇠하기 쉽고,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이 부여된 위치로부터 떨어지는 만큼 적절히 전달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진동판에 연직 방향 및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장치(예를 들면, 리니어 피더 등의 진동 피더) 가 물품 반송 장치내에 1대만 이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장치가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진동판과 접촉하고 있는 면적(이하, 접촉 면적)이 상기 재치면의 면적에 대해서 충분히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진동판의 상기 진동 장치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진동이 적절히 전달되지 않는 우려가 있다. 이 결과, 상기 진동판에서 적절히 진동이 전달되는 부분과 진동이 적절히 전달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현상, 이른바 진동의 고르지 못함이 생겨 버려, 물품(W)를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1001)에서는 감쇠하기 쉬운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적어도 3대 이상(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3대)설치되고 있고, 진동판(1010)에서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이 광범위하게 걸쳐져 적절히 전달되게 된다. 이에 의해, 폭이 넓은 재치면(1011)을 포함하는 진동판(1010)을 구비하는 경우여도 상기 진동의 고르지 못함이 방지되고 물품(W)를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2) 물품 반송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상기의 설명에서는 물품 반송 장치에 1대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과, 3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이 갖춰져 있는 경우(이하, 본건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및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대수는 상기의 대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적어도 3대 이상 갖춰져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도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4대 갖춰져 있는 경우(이하, 제1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26은 제1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2)의 기기 배치를 상면측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에서, 화살표로 진동판(1010)의 재치면 (1011)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하, 제1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제1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2)에 있어서, 본건예와 같은 구성이 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한다.
본변형예에서는 도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진동판 (1010)의 각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제2 출력부 (1220)가 상기 진동판(1010)의 각 각부를 고정지지하고 있다. 덧붙여 본변형예에 있어서도, 4대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각각 가지는 제2 캠(1242)의 캠프로파일은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 그 진폭과 진동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으로부터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으로부터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한 번 조정되면, 이후 상기 각 진동은 서로 동기된 상태로 상기 진동판(1010)에 부여된다. 바꿔 말하면, 본 변형예와 관련되는 구동 모터(1300)도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과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을 동기시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대수가 증가하는 만큼, 상기 진동판(1010)의 진동의 고르지 못함에 대한 방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대수가 증가하면,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한 상기 진동판(1010)의 지지개소도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판(1010)이 스스로 무게에 의해서 휘어 버리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에서는 제1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2)가 바람직하다. 단,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대수의 증가에 따라 물품 반송 장치의 제조 코스트도 상승하기때문에, 코스트면을 고려하면, 본건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1001)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에 대해서는, 적어도1대이상 갖춰져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이 2대 갖춰져 있는 경우(이하, 제2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27은 제2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 3의 기기 배치를 상면측으로부터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며, 도중, 화살표에서 진동판 (1010)의 재치면 1 0 1 1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하, 제2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 (100) 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제1 변형 예의 경우와 같이, 제1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 (1002)에 대하여, 본건예와 같은 구성이 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이 진동판(1010)의 긴 방향 중앙부에서 짧은 방향 단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은 제1 변형예의 경우와 같이 4대 갖추어져 있고,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은 진동판(1010)의 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이 가지는 각 기기(예를 들면, 제1 캠 기구(1140)등)의 구성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사이에서 동일하다. 이 때문에,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이 가지는 제1 캠(1142)의 캠프로파일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이 부여하는 반송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 그 진폭과 진동수가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으로부터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는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으로부터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한 번 조정되면, 이후 상기 각 진동은 서로 동기한 상태로 상기 진동판 (1010)에 부여된다. 바꿔 말하면, 본변형예와 관련되는 구동 모터(1300)도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과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을 동기시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대수가 증가했을 경우도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의한 상기 진동판(1010)의 지지개소도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판(1010)의 휨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의 대수가 증가한 만큼, 진동판 (1010) 진동의 고르지 못함에 대한 방지 효과도 향상한다(단, 반송 방향의 진동은 감쇠하기 어렵고,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대수는 1대로 충족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점에 있어서는 제2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3)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대수가 증가하면, 제1 변형예와 같이 물품 반송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비싸지기 때문에 코스트면을 고려하면, 본건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1001)가 바람직하다.
또, 본건예에 있어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개별의 하우징(1130, 123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이 하우징을 공유하는 경우(이하, 제3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28은 제3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4)의 기기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며, 상기 기기 배치를 상면측에서 나타내기 위한 단면(위의 도)과 측면측에서 나타내기 위한 단면(아래 도)이 각각 나타나고 있다. 또, 도28중, 위의 도에는 화살표로 재치면(1011)의 긴 방향과 짧은 방향이 나타나고 있고, 아래 도에는 화살표로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과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하, 제3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제1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2)에 관해서나 본건예와 같은 구성이 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이하, 제3 변형예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410) 및 제3 변형예의 제2 진동 부여 유닛 (1420))에 개별의 하우징을 갖추어져 있지 않고, 단일의 하우징(이하, 제3 변형예의 하우징 143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3 변형예의 하우징(1430)내에 제1 캠 기구(1440)와 제2 캠 기구(1450)가 함께 수용되어 있다. 또, 제3 변형 예에서는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캠 기구(1440) 및 1대의 제3 변형예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420) (도28의 위의 도에서, 재치면 (11)의 긴 방향 타단부에 배치된 제3 변형 예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420))이 가지는 제2 캠 기구(1450)에 대한 공통의 입력축으로서 공통축(1460)이 갖추어져 있고, 상기 공통축(1460)이 커플링(1302)을 통해서 구동 모터(1300)의 회전축(1300a)과 연결하고 있다. 또, 나머지 2대의 제3 변형예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420)에는 각각 개별의 입력축(1470)이 설치되고 있고, 벨트 전동 기구(1304)에 의해 상기 공통축(1460)의 회전이 각 상기 입력축 (1470)에 전동된다. 덧붙여 상기 공통축(1460) 및 상기 각 입력축(1470)은 베어링(1431)을 통해서 상기 제3 변형예의 하우징(1430)에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제3 변형예의 하우징(1430)의 상기 제1 캠 기구(1440) 및 상기 제2 캠 기구(1450)의 윗쪽에 위치한 부분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각 개구를 차지하도록 제3 변형예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410)의 제1 출력부(1412) 및 제3 변형 예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420)의 제2 출력부(14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진동 부여 유닛에 대해서 개별의 하우징을 설치하지 않는 대신에 공통의 하우징을 설치했을 경우, 코스트면에 있어 보다 유리한 구성이 된다. 이 점에서는 제3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4)가 바람직하다. 단, 개별의 하우징이 설치되고 있는 경우, 제1진동 부여 유닛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의 배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에 있어서는 본건 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1)가 바람직하다.
=== (2) 그 외의 실시의 형태---
이상,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근거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를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하기 위한의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본 발명에는 이와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진동판(1010)은 상기 진동판(1010)의 재치면(11)이 거의 수평면이 되도록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했으나, 예를 들면, 상기 재치면(1011)이 경사면이 되도록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진동판(1010)은 반송 방향(재치면(1011)의 경사 방향), 및 경사한 재치면(1011)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진동판(1010)이 진동하는 것으로써 상기 진동판 (1010)의 재치면(1011) 위의 물품(W)이 상기 반송 방향에 직진 반송되는 것으로 했다. 이 때, 물품(W)가 반송될 방향은 항상 일정한 것으로 해도 좋다. 혹은 물품(W)의 반송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미도시)가 상기 재치면(1011)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치면 (1011)위에서 직진 반송해 온 물품(W)가 상기 규제 부재에 충돌하면, 상기 규제 부재가 규제할 방향으로 물품(W)가 반송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물품(W)가 반송될 방향이 상기 규제 부재와의 충돌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물품(W)의 반송 방향이 재치면(1011)의 긴 방향에 따라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에 따라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게다가 상기 반송 방향이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의 어느 방향에도 따르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재치면(1011)의 대각선 방향에 따라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상기 반송 방향이 재치면의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따라 있는 경우, 보다 범용성이 높은 물품 반송 장치가 실현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송 방향이 상기 대각선 방향에 따라서 있는 경우, 상기 재치면(1011)위를 이동해 온 물품(W)의 도달 위치가 광범위하게 걸쳐있기 때문에 반송되어 온 물품(W)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스페이스를 보다 넓게 확보해야 한다. 이에 대해, 반송 방향이 재치면(1011)의 긴 방향(짧은 방향)에 따라서 있는 경우, 재치면(1011)을 이동해 온 물품(W)의 도달 위치는 상기 재치면 (1011)의 긴 방향 단부(짧은 방향 단부)로 한정되기 때문에, 반송 방향이 상기 대각선 방향에 따라서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상기 회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중에는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에 있어서, 다른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과는 다른 위치로 상기 진동판 (1010)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존재하는 것으로 했다. 게다가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중에는 상기 재치면(1011)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 다른 제3 진동 부여 유닛(1200)과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1010)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도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모두가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또는 짧은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단,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라면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즉, 연직 방향의 진동)의 전달 범위가 넓어지는 결과, 상기 진동판 진동의 고르지 못함에 대한 방지 효과도 향상한다. 이에 의해, 물품(W)를 보다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각각은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및 짧은 방향 중 적어도 한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 (1010)의 단부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 중에 상기 재치면(1011)의 긴 방향 중앙부에서 짧은 방향 중앙부인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1010)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존재해도 좋다. 단,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라면 상기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의 전달 범위가 한층 더 넓어지고, 상기 진동판(1010) 진동의 고르지 못함에 대한 방지 효과도 보다 향상하는 결과, 물품(W)를 보다 한층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을 구동하기 위한 단일의 구동 모터(13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진동 부여 유닛마다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각 구동 모터가 서-브 제어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상기 제2의 실시의 형태라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으로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을 동기시킨 상태로 구동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재치면(1011) 위에 있어서의 물품(W)의 반송 속도(이하, 물품 반송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1300)의 회전축(1300a)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면 좋아지게 되어, 상기 물품 반송 속도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에 엇갈림이 생기기 어려워져, 상기 부여 타이밍의 어긋남에서 기인하는 상기 진동판(1010)의 흔들림 등 물품의 반송에 대한 악영향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 결과, 물품(W)를 보다 한층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진동판(1010)이 제1 출력부(1120) 및 제2 출력부(1220)에 고정 지지되어 제1 캠 기구(1140)가 상기 제1 출력부(1120)와 상기 진동판(1010)을 일체적으로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고, 제2 캠 기구((1240))가 상기 제2 출력부(1220)와 상기 진동판(1010)을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으로 했다. 단,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진동판 (1010)이 제1 출력부(1120) 및 제2 출력부(1220)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출력부(1120)의 표면 및 상기 제2 출력부(1220)의 표면에 재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라면, 진동판(10)이 제1 출력부(1120) 및 제2 출력부(1220)에 고정되고 있기 때문 에, 제1 캠 기구(1140)및 제2 캠 기구(1240)가 상기 제1 출력부(1120) 및 상기 제2 출력부(1220)를 통해서, 상기 진동판(1010)을 적절히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 실시의 형태에서는 적어도 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이 각각 포함하는 제1 캠(1142)의 캠프로파일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사이에서 동일한 것으로 했다. 게다가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이 각각 포함하는 제2 캠(1242)의 캠프로파일이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서 동일한 것으로 했다. 단,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제1 캠(1142)의 캠프로파일이 제1진동 부여 유닛 (1100)사이에서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 동일하게 상기 제2 캠(1242)의 캠프로파일이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사이에서 상이해도 좋다. 단,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라면 물품(W)를 보다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판 (1010) (보다 정확하게는, 재치면 (1011))의 각부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 속도는 상기 각부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1010)의 진동의 진폭에 의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캠(1142)의 캠프로파일이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 각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에 의해 부여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폭도 제1 진동 부여 유닛 (11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된다. 동일하게 상기 제2 캠(1242)의 캠프로파일이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 각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에 의해 부여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도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된다. 이 결과, 진동판(1010)의 각부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 속도가 균일하게 되고, 상기 물품 반송 속도가 상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반송의 고르지 못함 (재치면(1011)위의 물품(W)가 국소적으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지 않게 되는 현상)도 억제된다. 게다가 각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의 진폭이 상위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판(1010)의 흔들림도 억제된다. 이 결과, 물품(W)를 보다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적어도 1대 이상의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각각이 부여하는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사이에서 동일하고, 적어도 3대 이상의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각각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사이에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게다가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상기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상이해도 좋다. 또, 상기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 사이에서 상이해도 좋다. 게다가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도 제2 진동 부여 유닛 (1200)사이에서 상이해도 좋다.
단,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이면, 물품(W)를 보다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각부의 물품 반송 속도는 상기 각부에 있어서의 진동판 (1010)의 진동의 진동수에도 의존한다. 이 때문에, 상기 각부에 부여되는 각 진동의 진동수가 동일하면, 상기 물품 반송 속도의 균일성이 보 다 향상하고, 반송의 고르지 못함의 발생도 방지되는 결과, 물품(W)를 한층 더 적절히 직진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전술한 것처럼, 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경우, 각 진동이 동기하도록 상기 각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조정되면, 재치면(1011)에 재치된 물품(W)가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직진 반송되도록 상기 진동판 (1010)은 적절히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상의 점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3)제3 실시 형태
=== (3) 물품 반송 장치의 구성예에 대해―--
먼저,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의 개요에 대해서, 도29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29는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를 나타내는 도이며, 상기 물품 반송 장치 (2001)의 상면(윗 도)과 측면(아래 도)이 모식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도29의 아래 도에는 화살표로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는 도29에 나타낸 타원상의 반송 경로(오 발트 락이라고도 말한다)를 갖추고, 상기 오 발트 락에 따라서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오 발트 락은 복수의 반송대(구체적으로는, 후술의 제1 반송대(2012), 제2 반송대 (2014), 제3 반송대 (2016), 제4 반송대(2018))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각 반송대는 상기 각 반송대에서의 물품의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에는 상기 복수의 반송대 가운데, 특정의 반송대에 진동을 부여하 기 위해서,「제1 캠식 진동 부여 기구」로서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제2 캠식 진동 부여 기구」로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각각 갖춰져 있다. 이들의 진동 부여 유닛은 각각 베이스 부재(2040)위에 고정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상기 특정의 반송대를 진동시키기 위한 캠 기구가 갖춰져 있다. 또, 제1 진동 부여 유닛(2 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2300)가 갖춰져 있다. 게다가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또는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의해 진동이 부여된 반송대로부터 상기 반송대에 인접한 반송대에 진동을 전달시키는「진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스틸 벨트(2030)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물품 반송 장치(2001)에서 물품은 상기 오 발트 락에 따라서 반송되도록 각 반송 대 위를 이동한다. 또, 상기 각 반송대의 반송 방향 말단부까지 이동해 온 것 물건은 반송대 사이에 있어서 하류측의 반송대로 건네져 상기 하류측의 반송대 위를 이동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오 발트 락이 폐쇄계 경로로 되어 있고, 물품을 순환 반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물품 반송 장치(200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반송대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는 제1 반송대(2012), 제2 반송대(2014), 제3 반송대 (2016) 및, 제4 반송대(2018)로 이루어진 4대의 반송대를 갖추고 있고, 상기 4대의 반송대가 상기 오 발트 락을 형성하도록 병열되어 있다. 또, 상기 4대의 반송대 가운데, 제1 반송대(2012) 및 제3 반송대(2016)는 선회 반 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고, 물품을 선회 반송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볼상의 반송대이다. 한편, 제2 반송대(2014) 및 제4 반송대(2018)는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물품을 직진 반송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직선 레일상의 반송대이다. 그리고 제1 반송대(2012)에는 물품 수입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품 수입부에 투하된 물품은 제1 반송대(2012), 제2 반송대(2014), 제3 반송대(2016), 제4 반송대(2018)의 순서로 각 반송대 위를 이동하게 된다. 또, 각 반송대는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면(2012a, 2014a, 2016a, 2018 a)과 상기 재치면(2012 a, 2014 a, 2016a, 2018a)의 폭방향 단부에 있어서 상기 재치면과 교차하도록 설치된 측벽(2012b, 2014b, 2016b, 2018b)을 갖추고 있다. 덧붙여 상기 측벽 (2012b, 2014 b, 2016b, 2018b)은 각 반송대의 재치면(2012a, 2014a, 2016a, 2018a)에 재치된 물품의 반송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각 반송대의 반송 방향 시단으로부터 종단에 걸쳐서 늘어져 있다. 게다가 각 반송대는 상기 각 반송대로 서로 이웃이 되는 반송대와의 사이에 물품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물품 수수부(2012h, 2014h, 2016h, 2018h)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있어서 물품은 상기 틈새를 넘어서 수수된다. 이하, 각 반송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반송대마다 나누어 설명한다.
<제1 반송대>
제1 반송대(2012)는 재치면(2012a)위의 물품을 선회 반송 방향(도29중, 기호 Dl로 나타낸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해서, 상기 선회 반송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선회 반송 방향과 그 정반대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이며, 도29중, 기호 V1로 나타내는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제1 반송대(2012)는 후술의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갖추어진 제1 반송대 고정판(2124)에 의해서 진동 가능하게 고정 지지를 받고 있다(도35 참조). 또, 제1 반송대(2012)의 재치면(2012a)은 나선면으로 되고 있고, 전술한 물품 수입부가 상기 재치면 (2012a)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즉, 제1 반송대(2012)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품 수입부에 물품이 투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반송대(2012)가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면 상기 물품은 나선상의 재치면(2012a)을 오르기 위하여 상기 재치면(2012a)위를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반송대(2012)의 선회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부까지 도달한 물품은 상기 종단부에 설치된 물품 수수부(2012h)로부터 제2 반송대(2014)의 직진 반송 방향 선단부에 설치된 물품 수수부(2014h)로 건네진다. 게다가 도29의 위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2012)의 제4 반송대(2018)의 직진 반송 방향 종단부에 설치된 물품 수수부(2018h)와 인접하는 부분에도 물품 수수부(2012h)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수수부(2012h)의 끝에는 물품을 상기 물품 수입부로 되돌리기 위한 물품 반환부(2012c)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 발트 락 위을 이동해 온 물품이 제4 반송대(2018)의 물품 수수부(2018h) (보다 정확하게는, 직진 반송 방향 종단측의 물품 수수부(18h))로부터 제1 반송대의 물품 수수부(2012h)로 건네진 후, 상기 물품 반환부(2012c)에 의해 물품의 이동 방향이 규제된다(바꿔 말하면, 물품 은 도29의 위의 도 중,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은 상기 물품 수입부로 강하하고, 다시 상기 오 발트 락 위를 이동하게 된다.
<제2 반송대>
제2 반송대(2014)는 재치면(2014a)위의 물품을 직진 반송 방향(도29중, 기호 D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해서, 상기 직진 반송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직진 반송 방향과 그 정반대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서 도29중, 기호 V2로 나타낸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제2 반송대(2014)는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송대((2012)) 및 제3 반송대(2016)의 외주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반송대(2014)의 직진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즉, 물품 수수부(2014h))가 스틸 벨트(2030)에 의해 제1 반송대(2012) 및 제3 반송대(2016)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반송대(2014)는 상기 제1 반송대(2012) 및 상기 제3 반송대(2016)에 의해서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반송대(2014)의 재치면(2014a)은 수평 방향에 따른 평면이 되고 있기 때문에, 제1 반송대(2012)로부터 제2 반송대(2014)로 건네진 물품은 상기 제2 반송대(2014)의 직진 반송 방향 선단부로부터 종단부에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 반송대>
제3 반송대(2016)는 재치면(2016a)위의 물품을 선회 반송 방향(도29중, 기호 D3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해서, 상기 선회 반송 방향(보다 정확 하게는, 선회 반송 방향과 그 정반대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이며, 도29중 기호 V3으로 나타낸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제3 반송대(2016)는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구비된 제3 반송대 고정판(2224)에 의해서 진동 가능하게 고정지지를 받고 있다(도39 참조). 또, 도29의 위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반송대(2016)의 재치면(2016a)은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외주에 따라서 원호상으로 구불어진 평면이고(바꿔 말하면, 제3 반송대(2016)가 형성하는 반송 경로는 커브하고 있고), 또한, 수평 방향에 따라서 있다. 이 때문에, 제2 반송대(2014)로부터 제3 반송대(2016)로 건네진 물품은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선회 반송 방향 선단부로부터 종단부에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4 반송대>
제4 반송대(2018)는 재치면(2018a)위의 물품을 직진 반송 방향(도29중, 기호 D4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반송시키기 위해서, 상기 직진 반송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직진 반송 방향과 그 정반대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서 도29중, 기호 V4로 나타낸 방향) 및 연직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제4 반송대(2018)는 상기 제2 반송대(2014)와 동일하게 상기 제1 반송대(2012) 및 제3 반송대(2016)의 외주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4 반송대(2018)의 직진 반송 방향의 각 단부(즉, 물품 수수부(2018h))가 스틸 벨트 (2030)에 의해 제1 반송대(2012)및 제3 반송대(2016)에 연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4 반송대(2018)도 상기 제1 반송대(2012) 및 상기 제3 반송대(2016)에 의해서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제4 반송 대(2018)의 재치면(2018a)은 제2 반송대(2014)의 재치면(2014a)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에 따른 평면이 되고 있고, 제3 반송대(2016)로부터 제4 반송대(2018)로 건네진 물품은 상기 제4 반송대(2018)의 직진 반송 방향 선단부로부터 종단부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진동 부여 유닛 (2100)의 구성예에 대해>>
다음으로,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구성예를 도30 내지 도35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3 0 내지 도35는 각각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30 내지 도32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30은 입력축(21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도31은 도30중의 A-A단면을, 도3 2는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각각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33및 도34는 입력축(21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다. 그리고 도33은 제1 캠 기구(2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34는 제2 캠 기구(2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5는 출력부(2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덧붙여 도30, 도31, 및 도33 내지 도35에는 화살표로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상하 방향(즉,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은 상기 제1 반송대(20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진동(도29의 아래 도에 있어서, 각각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기구이다. 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은 도30및 도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130)과 입력축(2110)과 출력부(2120)와 제1 캠 기구(2150) 및 제2 캠 기구(2140)을 갖추고 있고, 도29의 아래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40) 위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은 상기 두 개의 캠 기구에 의해서 생성되는 상기 진동을 제1 반송대(2012)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부여한다. 이하,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
하우징(2130)은 그 내부에 후술하는 제1 캠 기구(2150)와 제2 캠 기구(2140)를 수용하기 위한 거의 직방체상의 광체이다. 이 하우징(2130)은 제1 반송대(2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130)내 저부에는 원추대 형상의 대좌부(2132)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 대좌부(2132)의 중앙에는 연직 방향에 따른 원주상의 지지축 (21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2134)은 후술하는 통상(筒狀)의 타렛트(2122)와 감합한 상태로 상기 타렛트(2122)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지지축(2134)의 상단부는 하우징(213 0)의 천정벽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2130) 밖으로 돌출하고 있다.
<입력축>
입력축(2110)은 베어링(2131)을 통해서 하우징(2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를 받은 축이며, 후술의 제1 캠 기구(2150) 및 제2 캠 기구(2140)가 구동하는 축이다.
또한, 상기 입력축(2110)의 축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있고, 도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2130)에 고정된 구동 모터(2300) (구동 모터(23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에 직결하고 있다. 한편, 축방향 타단부는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130)외에 돌출하고, 커플링(2302)을 통해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입력축(2210)으로 연결하고 있다.
<출력부>
출력부(2120)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축(2134)둘레에 회동하고 또한,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이다. 이 출력부(2120)는 도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筒狀)의 타렛트(2 122)와 원반상의 제1 반송대 고정판(2124)을 가지고 있다.
타렛트(2122)는 상기 지지축(2134) 둘레에 상대 회동하고, 또한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상대 왕복 움직이는 것(즉, 연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2134)에 지지되어 있다. 이 타렛트(2122)은 도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심원통으로써 서로 외경이 다른 소경부(2122a) 및 대경부(2122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타렛트(2122)가 지지축(2134)에 지지를 받은 상태에서는 소경부(2122a)가 대경부(2122b)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소경부(2122a)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2130)의 천정벽을 관통하고, 하우징(2130) 밖에 돌출하고 있다. 덧붙여 소경부(2122a)와 대경부(2122b)와의 사이의 경계에는 링 모양의 평면을 가지는 단부(212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2 122c)에는 도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요동 암(2146)이 고정되어 있다. 또, 대경부 (2122b)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리프트 암(2154)이 고정되어 있다.
제1 반송대 고정판(2124)는 그 위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반송대(2012)를 고정하는 것이다. 즉, 도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대(2012)는 상기 제1 반송대 고정판(2124)에 당접한 상태로 상기 제1 반송대 고정판(2124)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반송대 고정판(2124)의 중앙부에는 지지축(2134)의 상단부와 감합하기 위한 감합부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감합부는 도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2134)의 상단부와 감합한 상태로, 상기 소경부(2122a)의 상단부와 접합해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타렛트(2122) 및 제1 반송대 고정판(2124) (즉, 출력부(2120))는 상기 제1 반송대(2012)와 일체적으로 상기 지지축(2134)둘레에 회동하고, 또는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왕복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타렛트(2122), 제1 반송대 고정판(2124)의 회동 방향은 제1 반송대(2012)에 있어서의 선회 반송 방향(즉, 전술한 방향 V1)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출력부(2120)가 상기 지지축(2134)둘레에 회동하고,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왕복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진동이 부여되게 된다.
<제1 캠 기구>
제1 캠 기구(2150)는 상기 출력부(2120)를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왕복동 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제1 캠 기구(2150)는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 캠 기구(2150)는 도31및 도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캠(2152)과 한 쌍의 리프트 암(2154)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1 캠(2152)은 거의 삼각형상의 판캠이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갖추고 있는 캠이다. 각 제1 캠(2152)은 상기 입력축(2 110)에 지지되고 있고, 도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캠(214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2110)이 회전하면, 각 제1 캠(2152)은 상기 입력축(21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각 제1 캠(2152)의 외주면은 캠면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캠면의 형상이 제1 캠(2152)의 캠프로파일에 상당한다. 한 쌍의 리프트 암(2154)은 상기 한 쌍의 제1 캠(2152)의 종절이며, 도32및 도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2110)의 축방향과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늘어져 있는 부재이다. 또한, 각 리프트 암(2154)의 긴 방향 일단부는 도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쪽 U자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각 제1 캠(2152)과 계합하고 있다. 즉, 각 리프트 암(2154)의 긴 방향 일단부가 제1 캠(2152)에 대한 제1 캠 팔로워(2154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1 캠 팔로워(2154a)는 각 제1 캠(2152)의 캠면과 상시 접촉하고 있다. 한편, 각 리프트 암(2154)의 긴 방향 타단부는 전술한 것처럼 타렛트(2122)의 대경부(2122b)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도35 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캠 기구(2150)에서는 입력축(21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2110)과 일체적으로 한 쌍의 제1 캠(2152)이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상태의 각 제1 캠 (2152)의 캠면과 상시 접촉하고 있는 각 제1 캠 팔로워(2154a)는 상기 캠면의 각 제1 캠 팔로워(2154a)와의 접촉 위치가 변화하는 것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왕복 움직인다. 이에 따라, 해당 제1 캠 팔로워(2154a)를 갖추는 리프트 암(2154)도 연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리프트 암(2154)이 연직 방향으로 왕복 움직임에 의해, 상기 리프트 암(2154)을 고정하는 타렛트(2122)가 상기 지지축(2134)의 축방향으로 왕복 움직인다. 이 결과, 상기 출력부(2120)가 상기 제1 반송대(2012)와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제1 캠(2152)의 캠면의 형상(즉, 캠프로파일)에 따라 리프트 암(2154)이 연직 방향으로 왕복 움직이는 것으로, 제1 캠 기구(2150)는 출력부(2120)를 통해서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게 된다. 덧붙여 한 쌍의 리프트 암(2154)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스트로크가 상기 제1 캠 기구(2150)가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에 상당한다.
<제2 캠 기구>
제2 캠 기구(2140)는 상기 출력부(2120)를 상기 지지축(2134) 둘레에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제2 캠 기구(2140)는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이 제1 캠 기구(2150)는 도31및 도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캠(2142)과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와 요동 암(2146)을 포함 하고 있다.
  제2 캠(2142)는 원통형의 리브 캠이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서 갖추고 있는 캠이다. 이 제2 캠(2142)는 입력축(2110)의 축방향 중앙부에 지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2110)이 회전하면, 제2 캠(2142)은 상기 입력축(21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 제2 캠(2142)의 축방향 양단면에는 리브상의 캠면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캠면의 형상이 제2 캠(2142)의 캠프로파일에 상당한다.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 둘레에 회전하는 롤러이며, 상기 제2 캠(2142)을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캠면에 당접하는 것이다. 제2 캠 팔로워(2144) 사이의 간격은 각 제2 캠 팔로워(2144)의 각각의 주위면이 상기 제2 캠(2142)의 캠면에 상시 접촉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요동 암(2146)은 제2 캠(2142)의 종절이 되는 거의 장방형상의 부재이며, 그 긴 방향 일단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긴 방향 일단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캠(214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2 캠(2142)과 대향하고 있다. 요동 암(2146)의 긴 방향 타단부는 상기 긴 방향 타단부의 중앙에 타렛트(2122)의 소경부(2122a)를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감합구멍에 소경부(2122a)가 감합한 상태로 요동 암(2146)의 긴 방향 타단부가 상기 타렛트(2122)의 단부(2122c)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캠 기구(2140)에서는 입력축(2110)이 회전하면, 상기 입력축(2 110)과 일체로 제2 캠(2142)이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상태의 제2 캠(2142)의 캠면과 상시 접촉하고 있는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는 회전축 둘레로 전동함과 동시에, 상기 캠면의 각 제2 캠 팔로워(2144)와의 접촉 위치가 변화하는 것으로써, 입력축(2110)의 축방향에 이어지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이 제2 캠 팔로워(2144)의 요동이 상기 제2 캠 팔로워(2 144)를 지지하는 요동 암(2146)에 전달되는 결과, 상기 요동 암(2146)이 상기 타렛트(2 122)와 일체적으로 지지축(2134)둘레에 회동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요동 동작은 상기 요동 암(2146)을 통해서 타렛트(2122)의 회동 동작으로 변환된다. 이 결과, 상기 출력부(2120)가 상기 제1 반송대(2012)와 일체적으로 선회 반송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제2 캠(2142)의 캠면의 형상(즉, 캠프로파일)에 따라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가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요동함으로써, 제2 캠 기구(2140)는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게 된다. 덧붙여 한 쌍의 제2 캠 팔로워(2144)가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스트로크(즉, 요동 암(2146)이 지지축(2134)둘레에 회동할 때의 회동 스트로크)가 상기 제2 캠 기구(2140)가 부여하는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폭에 상당한다.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서는 각 제1 캠 팔로워(2154a)는 제1 캠(2152)의 캠면과 상시 접촉하고 있고, 각 제2 캠 팔로워(2144)도 제2 캠(2142)의 캠면과 상시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캠 기구(2150)에 의한 상기 출력부(2120)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왕복운동 동작과 제2 캠 기구(2140)에 의한 상기 출력부(2120)의 지지축(2134)회전의 회동 동작이란, 서로 저해하지 않는다. 이 결과, 상기 출력부(2120)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왕복운동 동작과 지지축(2134)회전의 회동 동작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반송대(2012)는 제1 캠 기구(2150) 및 제2 캠 기구(2140)의 협동에 의해,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양방향의 합성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입력축(2110)이 일회전 하는 사이에 상기 제1 캠 기구(2150)가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와 상기 제2 캠 기구(2140)가 부여하는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제1 캠(2152)의 캠프로파일과 제2 캠(2142)의 캠프로파일이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을 구동하기 전에, 미리 제1 캠(2152)에 있어서의 제1 캠 팔로워(2154a)와의 접촉 위치 및 제2 캠(2142)에 있어서의 제2 캠 팔로워(2144)와의 접촉 위치가 조정되고 있으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운전 중, 상기 제1 캠 기구(2150)와 제2 캠 기구(2140)를 완전하게 동기시킨 상태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상기 합성 방향으로의 진동이 적절히 부여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반송대(2012) 위의 물품은 상기 제1 반송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제2 진동 부여 유닛 (2200)의 구성예 및 동작예에 대해>>
 다음으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구성예 및 동작예를 도36 내지 도39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36 내지 도39는 각각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36 내지 도38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36은 입력축(22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도37은 도36 중의 B-B단면을, 도38은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각각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39는 출력부(2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덧붙여 도36, 도37, 및 도39에는 화살표로 제2 진동 부여 유닛 (2200)의 상하 방향(즉, 연직 방향)이 나타나고 있다.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은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반송대(2016)에 연직 방향의 진동(도29의 아래 도에 대하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기구이다. 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은 도36및 도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230)과, 입력축(2210)과, 출력부(2220)와, 제1 캠 기구(2240)를 갖추고 있고, 베이스 부재(2040) 위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은 상기 제1 캠 기구(2240)에 의해서 생성된 연직 방향의 진동을 제3 반송대(2016)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3 반송대(2016)로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은 도36 내지 도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캠 기구(즉,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제2 캠 기구(2140))를 갖추고 있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이하,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각 구성요소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갖춰져 있는 것과 거의 동 일하다. 예를 들면,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제1 캠 기구(2240)는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제1 캠(2242)으로 그 긴 방향 일단부에 상기 제1 캠(2242)과 계합하는 제1 캠 팔로워(2244a)가 형성된 한 쌍의 리프트 암 (2244)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캠(2242)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의 형상(즉, 제1 캠(2242)의 캠프로파일)도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갖추는 제1 캠(2152)의 캠프로파일과 동일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즉, 한 쌍의 리프트 암(2244)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스트로크)과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포함하는 입력축(2210)의 축방향 일단부는 하우징(2230) 밖에 돌출하고 있고, 전술한 것처럼 커플링(2302)을 통해서 제1진동 부여 유닛(2100)의 입력축(2110)과 연결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동 모터(2300)가 기동하면, 양 입력축(2110, 2210)은 동시에 또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부여하는 진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캠 기구(2240)가 출력부(2220)(타렛트(2222) 및 제3 반송대 고정판 (2224))를 연직 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키는 것으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은 상기 제3 반송대(2016)로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한다. 또, 전술한 것처럼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갖추어진 제1 캠(2242)의 캠프로파일과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갖추고 있는 제1 캠(2242)의 캠프로파일이 서로 동일하게 되 어 있다. 또한,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입력축(2110)과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입력축(2210)이 동시에 또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부여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을 구동하기 전에, 미리 제1 캠 기구(2240)에 의한 연직 방향의 진동의 부여 타이밍이 조정되고 있으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과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진동을 부여하는 타이밍이 완전하게 동기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반송대(2012)와 상기 제3 반송대(2016)와는 동기한 상태로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또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과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의 진폭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반송대(2012)와 제3 반송대(2016)가 진동 개시전에 연직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있으면, 양 반송대의 진동 중에 상기 양 반송대는 연직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구동 모터에 대해>>
구동 모터(2300)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각 입력축 (2110, 2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모터(2300)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공통의 구동원이며, 물품 반송 장치 (2001) 내에 1대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2300)는 전술한 것처럼,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하우징(213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구동 모터(2300)의 구동축(미도시)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입력축(2110)의 축방향 일단부와 직결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2300)의 구동축이 회전하면, 그 구동력은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및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각 입력축(2110, 2210)으로 동시에 전달된다.
<<스틸 벨트에 대해>>
스틸 벨트(2030)는 각 반송대에 갖추어진 물품 수수부(2012h, 2014h, 2016h, 2018h)에 걸쳐진 단책상의 강재판이다. 이 스틸 벨트(2030)는 짧은 방향 및 두께 방향(즉, 짧은 방향 및 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높고 또한, 긴 방향에서 신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은 구부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스틸 벨트(2030)가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건너서 상기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걸쳐져 있다(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소에 스틸 벨트(2030)가 장착되어 있다). 또, 각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 양단부는 각 반송대의 측벽(2012b, 2014b, 2016b, 2018b)에 볼트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스틸 벨트(2030)는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이 상기 측벽(2012b, 2014b, 2016b, 2018b)에 따라 만곡한 상태로, 각 반송대를 연결하고 있다(도29의 위의 도 참조). 이상과 같이,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걸쳐 스틸 벨트(2030)가 각 반송대를 연결하는 것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반송대 가운데, 보다 상류측의 반송대의 진동이, 상기 스틸 벨트 (2030)에 의해서, 보다 하류측의 반송대에 전달되게 된 다. 여기서, 각 스틸 벨트 (2030)은 상기 틈새를 걸치고, 한편, 그 긴 방향에 있어서의 형상이 만곡한 상태로 걸쳐 있기 때문에, 각 반송대의 진동(특히, 선회 반송 방향 또는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을 어지럽히지 않고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스틸 벨트(2030)가 진동을 전달하는 메카니즘에 대해서 제1 반송대(2012)의 물품 수수부(2012h)와 제2 반송대(2014)의 물품 수수부(2014h)와의 사이에 걸친 스틸 벨트 (20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스틸 벨트(2030)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부여한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진동을 상기 제1 반송대(2012)로부터 제2 반송대(2014)에 전달한다. 상기 스틸 벨트(2030)는 상기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서, 제1 반송대(2012)의 진동(보다 정확하게는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에 맞추고, 상기 스틸 벨트(2030)의 만곡부분이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에 어긋나는 움직임을 한다. 상기 스틸 벨트(2030)의 움직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반송대(2012)의 측벽(2012b)에 고정된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 일단부는, 상기 제1 반송대(2012)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제1 반송대 (2012)와 일체적으로 선회 반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물품 수수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반송대(2012)는, 제2 반송대(2014)와 간섭하지 않고 선회 반송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긴 방향 일단부가 이동하면 스틸 벨트(2030)전체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 타단부가 고정된 제2 반송대(2014)도 일체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만곡부분이 상기 긴 방향으로 어긋나 가고(바꿔 말 하면, 스틸 벨트(2030)의 만곡 정도가 변화하고),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 일단부가 선회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으로, 긴 방향 타단부가 직진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틸 벨트 (2030)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반송대(2012)의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이 제2 반송대(2014)의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으로 변환된다. 즉, 상기 스틸 벨트(2030)는 제1 반송대(2012)의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진동을 제2 반송대(14)에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스틸 벨트(2030)는 상기 제1 반송대(2012)의 연직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도 상기 제2 반송대(2014)에 전달한다. 이 결과, 상기 진동이 전달된 상기 제2 반송대(2014)는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걸쳐 각 스틸 벨트(2030)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으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단, 연직 방향의 진동은 감쇠하기 쉽기 때문에 전술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의해서 보충된다. 따라서, 상기 각 스틸 벨트 (2030)은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으로부터 부여되는 진동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으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에 대해서도 전달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각 반송대는 그 반송 방향(선회 반송 방향 또는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전술한 것처럼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제2진동 부여 유닛(2200)의 각 진동 부여 타이밍이 완전하게 동기하고 있기 때문에, 각 반송대도 완전하게 동기하여 진동하게 된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는 오 발트 락에 따라서, 물품을 일정한 속도로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3)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의 유효성에 대해―--
상술한 대로,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는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기 위한 제1 반송대(2012)로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기 위한 제2 반송대(2014)와,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과, 상기 제1 반송대(2012)로부터 상기 제2 반송대(2014)로의 상기 물품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해서 각 반송대에 설치된 물품 수수부(2012h, 2014h)의 사이에 수수되어 상기 제1 반송대(12)로부터 상기 제2 반송대 (2014)에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스틸 벨트(30)를 갖춘다. 이러한 구성의 물품 반송 장치 (2001)에서는 상기 물품 반송 장치(2001)를 비용절약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2001)의 유효성에 대해 설명한다.
배경 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대로, 물품 반송 장치에 의한 물품 반송중에 물품에 대해서 검사, 가공, 인쇄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반송중의 물품에 대해서 상기 각종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충분한 스페이스 및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상기 스페이스 및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책으로서는 물품 반송 장치에 복수의 반송대를 마련해 상기 복수의 반송대를 조합해 장거리의 반송 경로를 형성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는 목적으로 물품을 직선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반송대 중에 직선 레일상의 반송대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 의약품 등 의 물품에 대해서는 소위 바리데이션 대응을 위해서 반복해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부터 상기 복수의 반송대에 의해서 순환형 반송 경로를 형성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복수의 반송대가 설치된 상기 물품 반송 장치에서는 각 반송대의 진동을 이용해 물품을 반송시키기 때문에 상기 각 반송대를 그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반송대를 진동시키기 때문에, 물품 반송 장치 내에 상기 각 반송대의 외부로부터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여기구를 마련하게 된다. 단, 반송대마다 상기 진동 부여 기구를 마련해 버리면 상기 진동 부여 기구의 대수에 따라 물품 반송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비싸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에는「진동 전달 부재」로서의 스틸 벨트(2030)를 갖출 수 있고, 상기 스틸 벨트(2030)에 의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진동(즉,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진동)을 각 반송대에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상기 진동 부여 유닛을 각 반송대에 대해서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고, 상기 진동 부여 유닛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해 상기 진동 부여 유닛의 대수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복수의 반송대를 마련해 올 발트 락을 형성시켰을 경우, 각 반송대의 물품 수수부 사이에 스틸 벨트 (2030)를 걸치는 것으로, 각 반송대를 적절히 진동시키면서 진동 부여 유닛의 대수를 필요 최소한의 대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대)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물품 반송 장치(2001)의 제조 코스트가 억제되어 상기 물품 반송 장치 (2001)를 비용절약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3) 그 외의 실시의 형태---
이상,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근거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등을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하기 위한의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본 발명에는 이와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송대에 의해 순환형의 오 발트 락이 형성되었을 경우(이하, 본건예라고도 말한다)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40에 나타내는 비순환형의 반송 경로가 형성되는 경우(이하, 제1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40은 제1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 (2002)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1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2)는 본건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1)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도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반송대(2018)의 직진 반송 방향 종단 측에 물품 취출부(2018d)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품 취출부(2018d)까지 반송된 물품은 상기 물품 취출부(2018d)로부터 배출된 후, 후단의 공정으로 옮기게 된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반송대(2016)의 재치면(2016a)이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외주에 따라서 원호상으로 구불어진 평면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재치면(2016a)이 제1 반송대(2012)의 재치면 (2012a)과 같이 나선면인 경우(이하, 제2 변형예)도 생각 할 수 있다. 도41은 제2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3)를 나타내는 도다.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재치면(2016a)이 나선면인 경우, 오 발트 락 일주(一周) 정도의 반송 거리는 본건예나 제1 변형예와 비교해서 보다 길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반송대(2016)의 물품 수수부(2016h)에 건네진 물품은 사기 물품 수수부(2016h)의 끝에 설치된 물품 반환부(2016c)에 의해 나선상의 재치면(2016a) 가운데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즉, 제3 반송대 (2016)의 저부)까지 강하한다. 그 후, 강하한 물품은 상기 나선상의 재치면(2016a)을 오르도록 상기 재치면(2012a)위를 이동한다. 또한 본 변형예와 관련되는 제3 반송대(2016)의 재치면(2016a) 위에는 물품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반전시키기 위한 물품 반전부(2016e)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반전부(2016e)는 메카니칼 방법에 의해 물품의 자세를 반전시키는 부재(소위 어태치먼트)이다. 그리고 물품이 상기 물품 반전부(2016e)를 통과할 때, 상기 물품의 표리가 반전하기때문에, 상기 물품 반전부(2016e) 통과 후에 있어서는 물품의 뒤편(물품 반전부(2016e)의 통과전에는 재치면(2016a)과 마주보고 있던 측)을 검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본변형예에 대해서는 물품의 겉 및 뒤편으로부터 상기 물품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재치면(2016a) 위에 설치되는 부재는 상기 물품 반전부(2016e)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목적되는 물품만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자세의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제3 반송대(2016)의 저부에 강하시키고, 상기 물품을 배제하기 위한 자세 판별 부재가 설치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송대에 의해서 오 발트 락이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상기 복수의 반송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경로가 오 발트 락인 경우, 물품 반송 장치(2001)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억제하면서, 반송중의 물품에 대해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충분한 반송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직선 레일장의 반송대(즉, 제2 반송대(2014) 및 제4 반송대(2018))가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물품을 직선적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상기 물품에 대해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단, 상기 반송 경로의 형상은 오 발트 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42에 나타내는 거의 삼각형상의 반송 경로가 형성되고 있는 경우(제3 변형예)나, 도43에 나타내는 거의 사각형상의 반송 경로가 형성되고 있는 경우(제4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42및 도43은 각각 제3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4), 제4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5)를 나타내는 도다.
제3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4)는 본건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1)에 있어서의 반송대에 더해지고,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는 제5 반송대(2020)와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는 제6 반송대(202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제3 변형예에 있어서, 물품은 제1 반송대(2012)의 물품 수입부에 투하된 후, 상기 제1 반송대(2012)로부터 제6 반송대(2022)까지 순서대로 각 반송대 위를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6 반송대(2022)의 반송 방향 종단 측에 설치된 물품 취출부(2022d)로부터 배출된다.
제4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5)는 상기 제3 변형예의 물품 반송 장 치(2004)에 있어서의 반송대에 더하여, 선회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물품을 선회 반송시키는 제7 반송대(2024)와 직진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해 상기 물품을 직진 반송시키는 제8 반송대(2026)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 물품은 제1 반송대(2012)의 물품 수입부에 투하된 후, 상기 제1 반송대(2012)로부터 제8 반송대(2026)까지 순서대로 각 반송대 위을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8 반송대(2026)의 반송 방향 종단 측에 설치된 물품 취출부(2026d)로부터 배출된다.
또, 제3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5 반송대(2020)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제3 진동 부여 유닛(2400)이 갖추어지고, 제4 변형예에 있어서는 또한 제7 반송대(202 4)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제4 진동 부여 유닛(25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진동 부여 유닛(2400) 및 상기 제4 진동 부여 유닛(2500)은 전술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진동 부여 유닛(2400) 및 상기 제4 진동 부여 유닛(2500)이 각각 가지는 입력축(2410, 2510)에는 커플링 (2302)이나 벨트 전동 기구(2304)를 통해서 구동 모터(2300)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제3 변형예 및 제4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 입력축은 단일의 구동 모터(2300)에 의해서 구동된다. 덧붙여 제4 변형예에서는 도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반송대(2020)의 재치면이 나선면이며, 상기 제5 반송대(2020)의 선회 반송 방향 시단측의 물품 수수부의 끝에는 물품 반환부(2020c)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5반송대(2020)의 재치면이 원호상으로 구불어진 평면이어도 좋다.
또한 이것들 변형예 이외의 형상의 반송 경로가 형성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건예보다 반송대의 대수가 적고, 제1 반송대(2012)와 제2 반송대(2014)만에 의해 반송 경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과 제2 진동 부여 유닛 (2200)이 별개 독립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즉,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은 각각 하우징(2130,2230)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진동 부여 유닛과 제2 진동 부여 유닛이 하우징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도44나 도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속하는 출력부(2120), 제1 캠 기구(2150) 및 제2 캠 기구(2140)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출력부(2220) 및 제1 캠 기구((2240))가 동일의 하우징에 수용되고 있어도 좋다. 도44는 제1의 복합 진동 부여 유닛(2600)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45는 제2의 복합 진동 부여 유닛(2700)의 모식 단면도이다. 양도(兩圖)는 모두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각 복합 진동 부여 유닛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각 복합 진동 부여 유닛의 구성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각 복합 진동 부여 유닛 중, 앞서 상술한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한다.
제1의 복합 진동 부여 유닛(2600)에는 도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2 100)에 속하는 제1 캠 기구(2150) 및 제2 캠 기구(2140)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제1 캠 기구(2240)를 구동하는 공통축(26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통축(2610)은 베어링(2621)을 개입시켜 하우징(2620)에 고정되어 있고, 그 축방향 일단부는 구동 모터(2300)로 직결하고 있다. 또,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속하는 타렛트(2122)를 지지하는 지지축(2622a)과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타렛트(2222)를 지지하는 지지축(2622b)이 상기 공통축(26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620) 내에 있어서,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속하는 제1 캠 기구(2150)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제1 캠 기구(2240)가 상기 공통축(26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공통축(2610)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리프트 암(2244)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속하는 리프트 암(2244)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리프트 암 사이의 위치 관계를 실현하기 위해서, 도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타렛트(2222)의 대경부(2222b)에는 상기 대경부(2222b)의 외주로부터 상기 공통축(2610)의 축방향 양단측에 튀어 나온 장출부(2222d)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장출부(2222d)의 긴 방향(즉, 상기 축방향에 이어진 방향)의 각 단부에 제2 진동 부여 유닛(2 200)에 속하는 리프트 암(2244)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복합 진동 부여 유닛(2700)에 있어서도, 상기의 공통축(2710)이 베어링(2721)을 통해서 하우징(2720)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속하는 타렛트(2122)를 지지하는 지지축(2722a)으로 제3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타렛트(2222)를 지지하는 지지 축(2722b)이 상기 공통축(2610)에서 보아 같은 측에 설치되고 있고, 상기 공통축(2610)의 축방향으로 줄지어 있다. 이 때문에, 도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속하는 제1 캠 기구(2150) 및 제2 캠 기구(2140)로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속하는 제1 캠 기구((2240))가 상기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제1 반송대(2012)에 부여한 진동을 스틸 벨트(2030)에 의해 제2 반송대(2014)에 전달시키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제2 반송대(2014)에 진동을 부여하고, 상기 진동을 상기 제2 반송대(2014)로부터 상기 제1 반송대(2012)에 전달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반송대의 물품 수수부 사이 전부에, 스틸 벨트 (2030)가 수수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반송대의 물품 수수부 사이 가운데, 제1 반송대(2012) 및 제2 반송대(2014)의 물품 수수부(2012h, 2014h) 사이에만 스틸 벨트(2030)가 수수되어 있어도 좋다. 단,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는, 진동 부여 유닛(특히, 제1 진동 부여 유닛 (2100))의 대수를 필요 최소 한도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물품 반송 장치 (2001)가 보다 비용절약화 되게 된다. 게다가 각 반송대의 물품 수수부 사이 전부에 스틸 벨트(2030)가 수수되고 있는 경우, 각 반송대의 진동을 동기시키는 것이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점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 반송대(2016)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갖춰져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3 반송대(2016)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여 유닛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단, 연직 방향의 진동은 감쇠하기 쉽고,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부여하는 연직 방향의 진동만으로 각 반송대를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연직 방향의 진동을 보충하는 제2진동 부여 유닛(2200)을 갖추는 것에 의해, 각 반송대를 적절히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적절한 물품 반송을 하게 된다. 또, 제3 반송대(2016)에 연직 방향 및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 부여 유닛이 설치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지만,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은 연직 방향의 진동에 비해 감쇠 하기 어렵고, 스틸 벨트 (2030)에 의해서 적절히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별도,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는 기구를 마련하는 것으로, 물품 반송 장치의 코스트가 증가해 버린다. 즉, 상기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는 성능면 및 코스트면에 있고 밸런스를 잡힌 것이어서, 이 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제2 진동 부여 유닛 (2200)을 구동하기 위한 단일의 구동 모터(23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 및 상기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각각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각 구동 모터가 서-브 제어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이 면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구동과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구동을 동기시키는 것이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각 진동 부여 유닛의 진동 부여 타이밍에 있어서의 엇갈림의 발생을 억제해 각 진동 전달 부재가 적절히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각 반송대의 진동도 동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보다 적절히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이면, 각 반송대에 있어서의 물품의 이동 속도(즉, 물품 반송 속도)를 조정할 때, 구동 모터 (2300)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면 상기 물품 반송 속도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점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의 진동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양 진동수가 서로 차이가 나도 좋다. 단,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이면 각 반송대의 진동이 반송대 사이에 어긋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물품 반송에의 악영향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물품 반송 장치가 보다 한층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게 되는 점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이 포함하는 제1 캠(2152)의 캠프로파일과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이 포함하는 제1 캠(2242)의 캠프로파일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양 캠프로파일이 서로 차이가 나도 좋다. 단, 상기 제 3의 실시 의 형태이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반송대의 진동의 진폭이 균일하게 되어, 상기 진폭이 반송대 사이에 상위했을 경우에 생기는 물품 반송으로의 악영향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물품 수수간에 있어서의 물품의 수수가 적절히 행해지게 되어, 물품 반송 장치가 한층 더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책상의 스틸 벨트(2030)가 각 물품 수수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넘긴 상태로 상기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걸쳐져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틸 벨트(2030) 이외의 진동 전달 부재(예를 들면, 코이노레 용수철 등)가 각 물품 수수부 사이에 걸쳐져 있어도 좋다. 단, 스틸 벨트(2030)는 전술한 것처럼, 짧은 방향 및 두께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높으며 또한, 긴 방향에 대해 신축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틸 벨트(2030)는 진동 전달시에 긴 방향의 신축이나 짧은 방향이 접혀 스스로의 무게에 의한 휨 등을 일으키는 일 없이, 각 반송대에 진동을 적절히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스틸 벨트(2030)는 각 반송대로 공진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각 반송대의 진동을 어지럽힐 것도 없다. 게다가 상기 스틸 벨트(2030)가 물품 수수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걸쳐 상기 물품 수수 사이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각 반송대가 다른 반송대로 간섭하는 일 없이 진동하면서 상기 각 반송대의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 양단부 가 각 반송대의 측벽 (2012b, 2014b, 2016b, 2018b)에 고정되고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틸 벨트(2030)의 긴 방향 양단부가 각 반송대에 있어서, 상기 측벽(2012b, 2014b, 2016b, 2018b) 이외의 부분(예를 들면, 각 반송대의 저면)에 고정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이면 상기 스틸 벨트(2030)의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 스틸 벨트(2030)는 각 반송대의 진동(보다 정확하게는 각 반송대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에 맞추고, 그 긴 방향에 있어서의 만곡부분이 상기 긴 방향에 어긋나도록 움직인다. 이와 같은 스틸 벨트(2030)의 움직임에 의해,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은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에, 직진 반송 방향의 진동은 선회 반송 방향의 진동에 각각 변환되고 전달되게 된다. 즉, 스틸 벨트(2030)는 인접한 2대의 반송대 가운데, 상류측의 반송대로부터 하류측의 반송대에 진동을 전달할 때에 상기 하류측의 반송대를 그 반송 방향에 적절히 진동시키도록 상기 상류측의 반송대의 진동을 변환하고, 상기 진동을 상기 하류측의 반송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각 반송대는 적절히 진동하고 물품 반송 장치는 더욱 적절히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상기 제 3의 실시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1은 물품 반송 장치 1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2는 로터리피더(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1 중의 H-H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3은 로터리피더(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2중의 I-I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4는 로터리피더(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타렛트(122)의 주변도이다.
도5는 로터리피더(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2 중의 J-J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6은 로터리피더(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3 중의 K-K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7은 리프트암(154)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8은 제1 캠 기구(140)및 제2 캠 기구(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8 A는, 입력축(110)이 회전하기 전의 제1 캠 기구(140)및 제2 캠 기구(150)상태를, 도8 B는 입력축(110)이 회전해 제1 캠 기구(140)및 제2 캠 기구(150)의 상태가 변화한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9는 로터리피더(100)가 부여하는 진동에 관한 타이밍 차트의 일례이다.
도10은, 제1 반송대(12)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의 상기 제1 반송대(12)의 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1)은 물품(W)의 상대 미끄러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2)는 리니어피더(2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1중의 L-L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3은 리니어피더(2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12중의 M-M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14는 리프트대(256)의 연직 방향의 왕복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14A는 리프트대(256)가 상사점(上死點)에 이르렀을 때의 도이며, 도14B는 리프트대(256)가 하사점(下死點)에 이르렀을 때의 도이다.
도15는 제1 캠 기구(240)의 동작과 제2 캠 기구(250)의 동작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이며, 도15A는 제1 캠 기구(240)가 출력부(220)의 연직 방향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이며, 도15B는 제2 캠 기구(250)가 출력부(220)의 반송 방향의 진동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16은 제2 반송대(14)가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의 상기 제2 반송대(1 4)의 운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17은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2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18은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3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19는 제3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4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20은 제4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5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21은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6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22는 제5 변형예와 관련되는 물품 반송 장치 6에서 구동 모터(300)으로부 터의 구동력의 전달 기구에 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다.
도23은 물품 반송 장치(1001)의 기기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24는 제1 진동 부여 유닛(1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5는 제2 진동 부여 유닛(12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6은 제1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2)의 기기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27은 제2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3)의 기기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28은 제3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1004)의 기기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29는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장치(200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0은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입력축 (21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31은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30중의 A-A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32는 제1 진동 부여 유닛(2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33은 입력축(21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이며, 제1 캠 기구(2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4는 입력축(21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이며, 제2 캠 기구(2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5는 출력부(212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6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입력축 (2210)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37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36중의 B-B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38은 제2 진동 부여 유닛(22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39는 출력부(222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40은 제1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41은 제2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3)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42는 제3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4)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43은 제4 변형 예의 물품 반송 장치(2005)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44는 제1의 복합 진동 부여 유닛(2600)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45는 제2의 복합 진동 부여 유닛(2700)의 모식 단면도이다.

Claims (29)

  1.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를 상기 반송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1 캠 기구 및 상기 반송부를 상기 연직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2 캠 기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을 구동하는 단일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상기 반송 방향 및 상기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동수는, 상기 진동 부여부간에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제1 캠 기구와 상기 제2 캠 기구를 구동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 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입력축과,
    상기 반송 방향 및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출력부로서, 상기 출력부상에서 상기 반송부를 고정 지지하는 출력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캠 기구와 상기 제2캠 기구는 상기 출력부와 상기 반송부를 일체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 기구가 구비하는 회전 가능한 제1캠과, 상기 제2캠 기구가 구비하는 회전 가능한 제2캠은, 함께 상기 입력축으로 지지되고, 상기 입력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포함하는 상기 제1 캠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상기 진동 부여부간에 동일하게 되는 캠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포함하는 제2 캠은,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의 각각이 부여하는 진동의 상기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진폭이 상기 진동 부여부간에 동일하게 되는 캠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개의 반송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상기 반송대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반송대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진동 부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물품 반송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반송대는, 상기 반송 방향이 타원상 경로를 형성하도록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9.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그 긴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있는 사각형상의 반송대이며,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는 상기 반송대의 긴 방향에서 직선상으로 나란히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10.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그 짧은 방향이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있는 사각형상의 반송대이며,
    상기 복수개의 진동 부여부는 상기 반송대의 긴 방향에서 직선상으로 나란히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070099169A 2006-10-04 2007-10-02 물품반송장치 KR100924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3011 2006-10-04
JP2006273011A JP5102993B2 (ja) 2006-10-04 2006-10-04 物品搬送装置
JP2007049756A JP5285862B2 (ja) 2007-02-28 2007-02-28 物品搬送装置
JPJP-P-2007-00049757 2007-02-28
JP2007049757A JP2008213964A (ja) 2007-02-28 2007-02-28 物品搬送装置
JPJP-P-2007-00049756 2007-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632A KR20080031632A (ko) 2008-04-10
KR100924040B1 true KR100924040B1 (ko) 2009-10-27

Family

ID=3896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169A KR100924040B1 (ko) 2006-10-04 2007-10-02 물품반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83597A1 (ko)
EP (1) EP1908707B1 (ko)
KR (1) KR100924040B1 (ko)
DE (1) DE602007009008D1 (ko)
TW (1) TW2008313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8856C2 (en) * 2012-05-22 2013-11-25 Iso Groep Machb B V Apparatus and method for seperating objects.
JP7274698B2 (ja) * 2019-03-26 2023-05-17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
US20210379546A1 (en) * 2020-06-09 2021-12-09 Seoul Viosys Co., Ltd. Led mixer using vibratory bowl feeder
CN112519663A (zh) * 2021-01-15 2021-03-19 成都宇葵新良商贸有限公司 一种用于木材等长条形材料的便于装卸的运输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549A (ja) * 1994-09-29 1996-04-09 Daikin Ind Ltd 部品供給装置
JP2003040423A (ja) 2001-07-23 2003-02-13 Sankyo Mfg Co Ltd 物品搬送装置
JP2006124046A (ja) 2004-10-26 2006-05-18 Sankyo Mfg Co Ltd 物品搬送装置
JP2006124111A (ja) 2004-10-29 2006-05-18 Sankyo Mfg Co Ltd 物品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2166B (en) * 1978-06-26 1983-01-19 Hirose Y Vibrating bowl feeder
JPH0798567B2 (ja) * 1988-11-21 1995-10-25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部品搬送機における部品詰り除去方法
JP2518705B2 (ja) * 1989-12-07 1996-07-31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部品供給装置
US5865297A (en) * 1994-09-01 1999-02-02 Shinko Electric Co., Ltd. Vibratory parts-feeder
US5813517A (en) * 1996-02-12 1998-09-29 Chase-Logeman Corporation Vibratory parts feeding system
US6009994A (en) * 1996-12-30 2000-01-04 Jervis B. Webb Company Modular conveyor system
JP4695784B2 (ja) * 2001-07-23 2011-06-08 株式会社三共製作所 物品搬送装置
JP2005217136A (ja) * 2004-01-29 2005-08-11 Tdk Corp 積層電子部品の整列方法及び装置
JP4576208B2 (ja) * 2004-03-09 2010-11-04 株式会社三共製作所 物品搬送装置
EP1607350A1 (fr) * 2004-06-15 2005-12-21 Lorze AG - Sivatech Dispositif de fourniture de pièces à bol vibrant
KR100723351B1 (ko) * 2004-10-26 2007-05-30 가부시끼가이샤 산쿄 세이사쿠쇼 물품 반송 장치
JP4555661B2 (ja) * 2004-10-27 2010-10-06 株式会社三共製作所 物品搬送装置
US7228957B1 (en) * 2005-12-09 2007-06-12 Tna Australia Pty Limited Slip conveyo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549A (ja) * 1994-09-29 1996-04-09 Daikin Ind Ltd 部品供給装置
JP2003040423A (ja) 2001-07-23 2003-02-13 Sankyo Mfg Co Ltd 物品搬送装置
JP2006124046A (ja) 2004-10-26 2006-05-18 Sankyo Mfg Co Ltd 物品搬送装置
JP2006124111A (ja) 2004-10-29 2006-05-18 Sankyo Mfg Co Ltd 物品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8707B1 (en) 2010-09-08
EP1908707A2 (en) 2008-04-09
TW200831378A (en) 2008-08-01
EP1908707A3 (en) 2008-09-03
US20080083597A1 (en) 2008-04-10
KR20080031632A (ko) 2008-04-10
DE602007009008D1 (de)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40B1 (ko) 물품반송장치
US20090008222A1 (en) Vibratory conveying appratus
US6708815B2 (en) Article conveyor device
KR20060043487A (ko) 물품 반송 장치
JP5102993B2 (ja) 物品搬送装置
US6598733B2 (en) Article conveyor device
WO2011126987A1 (en) Differential impulse conveyor with improved drive
KR20130139198A (ko) 이동 기구, 전자 부품 반송 장치, 전자 부품 검사 장치
KR100723351B1 (ko) 물품 반송 장치
KR20150083011A (ko) 진동식 반송장치
TWI604548B (zh) 用於測試處理機的振動裝置
ES2225071T3 (es) Dispositivo ordenador para disponer en una sucesion ordenada productos recibidos a granel.
KR20170031071A (ko) 리니어 피더
CN107635894B (zh) 单排振动送料机
JP5285862B2 (ja) 物品搬送装置
JP2008213964A (ja) 物品搬送装置
JP2006124080A (ja) 物品搬送装置
JP6990798B1 (ja) 振動式物品搬送装置および振動式物品搬送方法
KR20190040684A (ko) 테스트핸들러용 진동 장치
JP6202427B2 (ja) 物品搬送装置
RU22760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риентирования изделий различной формы при их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и им. л.п. петренко - версия lxvii
JP6191438B2 (ja) 連続搬送装置および連続搬送方法
KR200418650Y1 (ko) 카운터 웨이트 타입 진동 컨베이어
KR200431442Y1 (ko) 고추 공급장치
JP2015024915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