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873B1 - 자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873B1
KR100921873B1 KR1020070106699A KR20070106699A KR100921873B1 KR 100921873 B1 KR100921873 B1 KR 100921873B1 KR 1020070106699 A KR1020070106699 A KR 1020070106699A KR 20070106699 A KR20070106699 A KR 20070106699A KR 100921873 B1 KR100921873 B1 KR 10092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injection valve
intake pipe
intak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554A (ko
Inventor
겐이치로 이케다
야스오 나오이
쇼스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7/00Arrangements of fuel supply lines, taps, or the like, on motor 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린더 축선을 앞쪽으로 경사시켜 차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 실린더 헤드의 상부 측벽에 연료 분사 밸브가 있는 실린더 헤드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계가 접속되어 헬멧을 그 개구부가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박스가, 흡기계의 위쪽으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수납 박스의 흡기계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 감소를 억제한다.
수납 박스(79)의 저벽(底壁)(79a)에, 상기 수납 박스(79)에서 수납된 헬멧(77)의 개구부(78)로 들어가는 돌기부(81)가, 연료 분사 밸브(62)를 배치되는 부분에서 흡기계(6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82)를 형성하도록 설치한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MOTORCYCLE}
본 발명은 실린더 축선을 앞쪽으로 경사시켜 차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의 실린더 헤드 상부 측벽에, 연료 분사 밸브를 가지고, 상기 실린더 헤드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계가 접속되어 헬멧을 그 개구부가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박스가, 상기 흡기계의 위쪽으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흡기계에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엔진이, 수납 박스 하부에서 차체 프레임에 탑재되는 자동 이륜차의 경우, 연료 분사 밸브가 수납 박스의 저벽과 간섭하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 여기에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자동 이륜차에서는, 수납 박스 저벽에, 상기 흡기계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퇴피(退避)부를 형성하여, 그 퇴피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수납 박스 내에 헬멧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WO 2004/03821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은,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이 많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게 된 것으로서, 수납 박스의 흡기계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수납 박스의 수납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실린더 축선을 앞쪽으로 경사시켜 차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의 실린더 헤드 상부 측벽에, 연료 분사 밸브를 가지고, 상기 실린더 헤드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계가 접속되어 헬멧을 그 개구부가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박스가, 상기 흡기계의 위쪽에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자동 이륜차에 대하여, 상기 수납 박스의 저벽에, 상기 수납 박스에 수납된 상기 헬멧의 개구부로 들어가는 돌기부가, 상기 연료 분사 밸브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흡기계가, 상기 실린더 헤드에 접합되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오목부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를 전방에서 덮는 벽부가, 상기 흡기관과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료 분사 밸브를 상기 흡기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흡기관에 설치된 설치 좌면이, 상기 실린더 헤드에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관의 하류단에 형성되는 평탄한 접합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료 분사 밸브의 정상부에 끼워 상기 연료 분사 밸브를 상기 흡기관 사이에 끼워넣은 유지 부재가, 상기 벽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흡기관의 적어도 상기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되는 부분보다 전방이, 측면에서 보아 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여 부풀어 오른 원호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고, 상기 연료 분사 밸브가, 그 상부를 상기 오목부로 들어가도록 상기 흡기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엔진을 상기 차체 프레임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기 위하여 상기 엔진의 하부에 설치된 피벗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상기 흡기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 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흡기계는 스로틀 보디를 구비하여 상기 스로틀 보디 및 상기 연료 분사 밸브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의 전후 길이가, 상기 헬멧 개구부의 전후 길이에 맞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납 박스에 수납되는 헬멧의 개구부 내로 들어가는 돌기부가 수납 박스의 저벽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부는 연료 분사 밸브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흡기계의 바로 위쪽으로 위치하고, 하부로 개방된 오목부를 형성하므로 수납 박스에 수납된 헬멧 내의 공간을 연료 분사 밸브 및 수납 박스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퇴피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분사 밸브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수납 박스의 실질적인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료 분사 밸브를 전방에서 보호하는 벽부를, 수납 박스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흡기관에 마련할 수 있고, 연료 분사 밸브를 설치된 흡기관의 운반시나 실린더 헤드로 조립할 때에 연료 분사 밸브로의 이물질 접촉을 방지하여 연료 분사 밸브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료 분사 밸브의 설치 좌면이 흡기관의 실린더 헤드로의 접합면과 평행으로 흡기관에 형성되므로, 설치 좌면의 기계 가공이 쉬워지며 흡기관의 제조 비용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료 분사 밸브를 흡기관 사이에 끼워넣는 유지 부재가 흡기관의 벽부에 체결되므로, 벽부에 의하여 연료 분사 밸브를 전 방에서 보호되면서, 그 벽부를 이용하여 연료 분사 밸브를 흡기관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흡기관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흡기관의 적어도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되는 부분보다 전방이 측면에서 보아 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여 부풀어 오른 원호 모양이 되어 있으므로, 연료 분사 밸브를 흡기관과의 사이에 끼워넣는 유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 밸브의 전방에서 흡기관에 일체로 설치되는 벽부의 높이를, 유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벽부가 연료 분사 밸브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낮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납 박스의 높이를 낮게 하고, 승무원용 시트의 높이를 극력 낮게 억제한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되는 흡기관의 요동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서 연료 분사 밸브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납 박스의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납 박스의 저벽에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스로틀 보디 및 연료 분사 밸브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흡기계의 바로 위쪽으로 위치하는 돌기부의 전후 길이를, 헬멧의 개구부의 전후 길이로 맞춤으로써, 헬멧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돌기부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수납 박스의 저벽과 연료 분사 밸브 및 스로틀 보디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수납 박스의 실질적인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주오목부 확대 도면, 도 5는 도 3의 5-5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15)은, 전단에 헤드 파이프(16)가 고착된 메인 프레임 파이프(17)와, 상기 메인 프레임 파이프(17)의 후단에 직각으로 고착되는 크로스 파이프(18)와, 크로스 파이프(18)의 양단부 앞 부분 끝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프레임 파이프(19)를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 파이프(17)는, 헤드 파이프(16)로부터 뒤쪽으로 내려가도록 경사된 다운 프레임부(17a)와, 다운 프레임부(17a)의 후단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후방에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부(17b)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 크로스 파이프(18)는 차체 프레임(15)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로스 파이프(18)의 축 방향 중앙부가 메인 프레임 파이프(17)의 후단부와 직각으로 고착된다.
상기 헤드 파이프(16)에는 전륜 WF를 걸쳐 프론트 포크(20)가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런트 포크(20)의 상단에는 조작 핸들(21)이 연결된다.
차체 프레임(15)에 있어서의 양쪽 후방 프레임 파이프(19)의 앞 부분에는, 후륜 WR의 전방 측에 배치된 엔진 E와 후륜 WR의 왼쪽 방향에 배치된 전동 장치 M에서 이루어진 유닛 스윙식의 파워 유닛 P가, 상하 요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링크(22)를 통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륜 WR은 파워 유닛 P의 후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단기통의 공냉 4 사이클 엔진인 상기 엔진 E는, 좌우에 2분할된 좌우 크랭크 케이스 반체(23L, 23R)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크랭크 케이스(23)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23)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24)과 상기 실린더 블록(24)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25)와 상기 실린더 헤드(25)에 결합하는 헤드 커버(26)를 구비하여 앞쪽으로 경사시킨 실린더 축선 C를 가지고 실린더 블록(24)에 설치되는 실린더 보아(27)에 피스톤(28)이 활주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크랭크 케이스(23)에는, 차체 프레임(15)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랭크축(2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크랭크축(29)에 상기 피스톤(28)이 커넥팅 로드(30) 및 크랭크 핀(31)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엔진 E에 있어서의 크랭크 케이스(23)의 하부에는, 상기 링크(22)를 통하여 상기 파워 유닛 P를 차체 프레임(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피벗(36)이 설치된다.
상기 전동 장치 M은, V벨트 식의 무단변속기(32)와, 상기 무단변속기(32)의 출력을 감속하여 후륜 WR의 차축(33)으로 전달하는 감속 기어열(34)로 구성되어, 상기 크랭크 케이스(23)에 연결 설치되어 후륜 WR의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동 케이스(35) 내로 수납된다.
상기 전동 케이스(35)는, 크랭크 케이스(23)의 왼쪽 크랭크 케이스 반체(23 L)에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쪽 케이스(38)와, 상기 안쪽 케이스(38)를 외측에서 덮는 커버(39)와, 안쪽 케이스(38)의 후부로 결합하는 기어 케이스(40)로 이루어져, 안쪽 케이스(38) 및 커버(39) 사이에는 무단변속기(32)를 수용하는 변속기실(41)이 형성되어 안쪽 케이스(38) 및 기어 케이스(40) 사이는 감속 기어열(34)을 수용하는 기어실(42)이 형성된다.
무단변속기(32)는, 크랭크 케이스(23)로부터 변속기실(41) 내로 들어가는 크랭크축(29)의 단부로 장착되는 드라이브 풀리(43)와 크랭크축(29)으로 평행한 축선을 가지고 안쪽 케이스(38) 및 기어 케이스(40)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 출력축(44)에 장착되는 종동 풀리(45)와 주동 풀리(43)에서 종동 풀리(45)로 동력을 전달하는 무단상(無端狀)의 V벨트(46)로 구성된다.
주동 풀리(43)는, 크랭크축(29)에 고정된 고정 풀리 반체(47)와, 고정 풀리 반체(47)에 대하여 접근·이격이 가능한 가동 풀리 반체(48)를 구비하여 가동 풀리 반체(48)는, 크랭크축(29)에 고정된 램프 플레이트(49) 및 가동 풀리 반체(48) 사이에 배치되는 웨이트(50)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종동 풀리(45)는,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출력축(44)을 같은 축 주위를 들러싼 내통(51)과 축선 주위의 상대 회동 및 축선 방향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며 내통(51)을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춘 외통(52)과, 내통(51)에 고정되는 고정 풀리 반체(53)와, 상기 고정 풀리 반체(53)에 대향하여 외통(52)에 고정되는 가동 풀리 반체(54)와, 상기 가동 풀리 반체(54) 및 고정 풀리 반체(53) 사이의 상대 회전 위 상 차에 따라 양쪽 풀리 반체(53, 54) 사이에 축방향의 분력이 작용하도록 내통(51) 및 외통(52) 사이에 설치되는 토크 캠 기구(55)와, 가동 풀리 반체(54)를 고정 풀리 반체(53) 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스프링(56)을 구비하여, 고정 풀리 반체(53) 및 가동 풀리 반체(54) 사이에 V벨트(46)를 감아 설치된다.
종동 풀리(45)의 내통(51) 및 출력축(44) 사이에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를 초과함에 따라, 동력 전달 상태가 되는 원심 클러치(57)가 설치되어, 이 원심 클러치(57)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기 내통(51)과 같은 축에 또한 상대 회전이 될 수 없도록 결합하는 주동 플레이트(58)와, 상기 가동 풀리 반체(54) 사이에, 상기 외통(52) 주위를 둘러싼 코일 스프링(56)을 수축 상태로 설치한다.
그래서, 종동 풀리(45)에 있어서의 고정 풀리 반체(53) 및 가동 풀리 반체(54) 사이의 간격은, 상기 토크 캠 기구(55)에서 생기는 축방향의 탄성력과, 코일 스프링(56)에서 생기는 축방향의 탄성력과 고정 풀리 반체(53) 및 가동 풀리 반체(54) 사이의 간격을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V벨트(46)로부터의 힘과의 밸런스에 의하여 결정되어, 주동 풀리(43)에 대하여 가동 풀리 반체(48)를 고정 풀리 반체(47)로 근접시킴으로써 V벨트(46)의 주동 풀리(43)로의 감는 반경이 커지면, V벨트(46)의 종동 풀리(45)로의 감는 반경이 작아진다.
후륜 WR의 차축(33)은, 안쪽 케이스(38) 및 기어 케이스(40)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아 상기 출력축(44) 및 상기 차축(33)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 기어열 (34)이 기어실(42)로 수납된다.
다시, 도 1에 대하여, 파워 유닛 P에 있어서의 전동 케이스(35)의 후부와 좌우 한 쌍의 후방 프레임 파이프(19) 중에 왼쪽의 후방 프레임 파이프(19) 사이에는 후방 쿠션 유닛(59)이 설치된다. 또, 엔진 E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25)의 하부로부터 배기 가스를 인도하는 배기관(60)은 엔진 E로부터 후륜 WR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 배기관(60)은, 후륜 WR의 우측 방향으로 배치된 배기 머플러(61)로 접속된다.
도 3에 주목하여, 엔진 E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25)의 상부 측벽에는 연료 분사 밸브(62)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 헤드(2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계(63)가 접속되어, 이 흡기계(63)는 상기 실린더 헤드(25)와는 다른 물체로서, 상기 실린더 헤드(25)로 접합되는 흡기관(64)과, 상기 흡기관(64)으로 설치되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와, 상기 흡기관(64)의 상류단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스로틀 보디(65)와, 상기 스로틀 보디(65)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후륜 WR의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66)를 구비하여, 에어 클리너(66)는 그 하부의 전동 케이스(35)에 지지를 받는다. 또, 상기 흡기관(64)은, 상기 엔진 E를 상기 차체 프레임(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기 위하여 상기 엔진 E에 있어서의 크랭크 케이스(23) 하부에 설치되는 피벗(36)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VL상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대하여, 상기 흡기관(64)은, 적어도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설치되는 부분보다 앞쪽의 측면에서 보아 앞쪽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여 부풀어 오른 원호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이 실시예에서는, 흡기관(64)의 전체가, 앞쪽 비스 듬히 위쪽으로 향하여 부풀어 오른 원호 모양이 되는 측면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흡기관(64)의 하류단에는, 상기 실린더 헤드(25)의 상부 측벽에 인슈레이터(67)를 통하여 접합되는 평탄한 접합면(68)이 형성된다.
위쪽으로 돌출한 커플러부(62a)가 후부에 있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는, 상기 흡기관(64) 내로 통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드(25)에 설치되는 흡기 포트(69)를 향하여 연료를 분사하도록 흡기관(6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기관(64)에 설치된 설치용 구멍(70)에 연료 분사 밸브(62)의 첨단 측이 삽입된다. 게다가, 상기 설치용 구멍(70)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링 모양의 접촉 단부(71)가 형성되어, 연료 분사 밸브(62)는 상기 접촉 단부(71)에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용 구멍(70)으로 삽입된다.
한편, 흡기관(64)에는, 상기 설치용 구멍(70)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전방에서 덮는 벽부(64a)가 일체로 설치되어 이 벽부(64a)의 상단에 설치되는 설치 좌면(72)에, 상기 커플러부(62a)를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의 후부에 끼워 맞춘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상기 흡기관(64)의 접촉 단부(71) 사이에 끼워 설치하는 유지 부재(73)가 복수, 예를 들면 한 쌍의 볼트(74)로 체결된다. 게다가, 상기 설치 좌면(72)은, 흡기관(64)을 실린더 헤드(25)와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관(64)의 하류단에 형성되는 평탄한 접합면(68)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설치용 구멍(70)의 링 모양 단부(71)도 상기 접합면(68)과 평행 또한 평탄하게 형성된다.
차체 프레임(15)에 있어서의 양쪽 후방 프레임 파이프(19)의 앞 부분 사이에 는, 수납 박스(79)가 상기 흡기계(63)의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수납 박스(79)를 위쪽으로부터 덮는 승무원용 시트(80)가 개폐 가능하고, 상기 수납 박스(79)의 앞쪽 상부에 지지된다.
상기 수납 박스(79)에는, 쉘(77a) 내에 내장 패드(77b)가 붙여져 이루어지며, 헬멧(77)을 그 개구부(78)가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수납이 가능하다.
도 5를 아울러 참조하면, 상기 수납 박스(79)의 저벽(79a)에는, 상기 수납 박스(79)에 수납된 상기 헬멧(77)의 개구부(78)로 들어가는 돌기부(81)가,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 및 상기 스로틀 보디(65)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63)의 바로 위쪽으로 위치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82)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게다가,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는, 그 상부의 커플러부(62a)를 상기 오목부(82) 내로 들어가도록 상기 흡기관(64)에 설치된다.
게다가, 스로틀 보디(65) 및 연료 분사 밸브(6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흡기계(6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81)의 전후 길이는, 상기 헬멧(77)의 개구부(78)의 전후 길이에 맞춰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차체 프레임(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 엔진 E의 실린더 헤드(25) 상부 측벽에, 연료 분사 밸브(62)를 가지는 흡기계(63)가 접속되어 헬멧(77)을 그 개구부(78)가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박스(79)가, 흡기계(63)의 위쪽에서 차체 프레임(15)으로 고정되지만, 수납 박스(79)의 저벽(79a)에, 상기 수납 박스(79)에 수납된 헬멧(77)의 개구부(78)로 들어가는 돌기부(81)가, 연료 분사 밸브(62)를 배치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6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82)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수납 박스(79)에 수납된 헬멧(77) 내의 공간을 연료 분사 밸브(62) 및 수납 박스(79)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퇴피부로 할 수 있고, 연료 분사 밸브(62)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수납 박스(79)의 실질적인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흡기계(63)는, 실린더 헤드(25)에 접합되는 흡기관(64)과 상기 흡기관(64)에 설치되는 연료 분사 밸브(62)를 구비하여 돌기부(81)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앞쪽으로 덮는 벽부(64a)가, 흡기관(64)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연료 분사 밸브(62)를 전방에서 보호하는 벽부(64a)를, 수납 박스(79)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흡기관(64)에 마련할 수 있고, 연료 분사 밸브(62)를 설치한 흡기관(64)의 운반시나 실린더 헤드(25)로 조립할 때, 연료 분사 밸브(62)로의 이물질 접촉을 방지하여 연료 분사 밸브(62)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연소 분사 밸브(62)를 흡기관(64)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관(64)의 벽부(64a)에 설치된 설치 좌면(72)이, 실린더 헤드(25)에 접합하기 위하여, 흡기관(64)의 하류단으로 형성되는 평탄한 설치 좌면(68)과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설치 좌면(72)의 기계 가공이 쉬워져, 흡기관(64)의 제조 비용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연료 분사 밸브(62)의 정상부에 끼워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상기 흡기관(64) 사이에 끼워 맞춘 유지 부재(73)가, 상기 벽부(64a)의 설치 좌면(72)에 체결되므로, 벽부(64a)에 의하여 연료 분사 밸브(62)를 앞쪽으로 보호하면서, 그 벽부(64a)를 이용하여 연료 분사 밸브(62)를 흡기관(64)에 고정하도록 하고, 흡기관(64)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는, 연료 분사 밸브(62)를 상기 유지 부재(73) 사이에 끼워 맞추도록 흡기관(64)에 설치되는 링 모양 단부(71)도 상기 접합면(68)과 평행 또한 평탄하게 형성되므로, 링 모양 단부(71)의 기계 가공도 쉬워져, 흡기관(64)의 제조 비용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흡기관(64)의 적어도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설치되는 부분보다 전방, 이 실시예에서는 흡기관(64) 전체가 측면에서 보아 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여 부풀어 오른 원호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료 분사 밸브를 흡기관 사이에 끼워 맞춘 유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 밸브 전방에서 흡기관에 일체로 설치되는 벽부의 높이를, 유지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벽부가 연료 분사 밸브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낮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그 상부를 수납 박스(79)의 오목부(82)로 들어가도록 상기 흡기관(64)에 설치되므로, 수납 박스(79)의 높이를 낮게 하고, 승무원용 시트(80)의 높이를 극히 낮게 억제된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
또, 엔진 E를 차체 프레임(15)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기 위하여 엔진 E에 있어서의 크랭크 케이스(23) 하부에 설치된 피벗(36)의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 VL상에, 상기 흡기관(64)이 배치되므로, 연료 분사 밸브(62)가 설치되는 흡기관(64)의 요동 방향을 거의 전후방향으로서, 연료 분사 밸브(62)의 상하 방향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수납 박스(79)의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기계(63)가 구비되는 스로틀 보디(65) 및 연료 분사 밸브(6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6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납 박스(79)의 저벽(79a)에 설치되는 상기 돌기부(81)의 전후 길이가, 상기 헬멧(77)의 개구부(78)의 전후 길이에 맞추어 설정되므로, 헬멧(77)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상기 돌기부(81)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수납 박스(79)의 저벽(79a)과, 연료 분사 밸브(62) 및 스로틀 보디(65)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수납 박스(79)의 실질적인 용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기계(63)의 일부를 구성하는 흡기관(64)이 실린더 헤드(25)와는 다를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실린더 헤드와 일체의 흡기관에 연료 분사 밸브(62)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방향에서 본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오목부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5-5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차체 프레임
25 실린더 헤드
36 피벗
62 연료 분사 밸브
63 흡기계
64 흡기관
64a 벽부
68 접합면
72 설치 좌면
73 유지 부재
77 헬멧
78 개구부
79 수납 박스
79a 수납 박스의 저벽
81 돌기부
82 오목부
C 실린더 축선
E 엔진
VL 연직선

Claims (8)

  1. 실린더 축선(C)을 앞쪽으로 경사시켜 차체 프레임(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엔진(E)의 실린더 헤드(25) 상부 측벽에, 연료 분사 밸브(62)를 가지고 상기 실린더 헤드(2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흡기계(63)가 접속되고, 헬멧(77)을 그 개구부(78)가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박스(79)가, 상기 흡기계(63)의 위쪽에서 차체 프레임(15)에 고정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79)의 저벽(79a)에, 상기 수납 박스(79)에 수납된 상기 헬멧(77)의 개구부(78)로 들어가는 돌기부(81)가,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63)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82)를 형성하도록 돌출 설치되며,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그 상부를 상기 오목부(82)로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흡기관(6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계(63)가, 상기 실린더 헤드(25)에 접합되는 흡기관(64)과 상기 흡기관(64)에 설치되는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구비하여, 상기 오목부(82)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전방에서 덮는 벽부(64a)가, 상기 흡기관(64)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상기 흡기관(64)에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흡기 관(64)에 설치되는 설치 좌면(72)이, 상기 실린더 헤드(25)에 접합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관(63)의 하류단에 형성되는 평탄한 접합면(68)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의 정상부에 끼워맞춰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를 상기 흡기관(64) 사이에 끼워넣는 유지 부재(73)가, 상기 벽부(64a)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64)이 적어도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설치되는 부분보다 전방이, 측면에서 보아 전방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여 부풀어 오른 원호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6. 삭제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진(E)을 상기 차체 프레임(1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기 위하여 상기 엔진(E)의 하부에 설치되는 피벗(36)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VL) 상에, 상기 흡기관(6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계(63)는 스로틀 보디(65)를 구비하여 상기 스로틀 보디(65) 및 상기 연료 분사 밸브(6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흡기계(63)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81)의 전후 길이가, 상기 헬멧(77)의 개구부(78)의 전후 길이에 맞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KR1020070106699A 2006-11-22 2007-10-23 자동 이륜차 KR10092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6003 2006-11-22
JP2006316003A JP5072328B2 (ja) 2006-11-22 2006-11-22 自動二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54A KR20080046554A (ko) 2008-05-27
KR100921873B1 true KR100921873B1 (ko) 2009-10-13

Family

ID=3947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699A KR100921873B1 (ko) 2006-11-22 2007-10-23 자동 이륜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2328B2 (ko)
KR (1) KR100921873B1 (ko)
CN (1) CN101186228B (ko)
TW (1) TW2008339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5196B2 (ja) * 2008-11-14 2013-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235797B2 (ja) * 2009-06-22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ボディのカプラ配置
JP2011031873A (ja) * 2009-07-07 2011-02-1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11031872A (ja) * 2009-07-07 2011-02-1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US8662232B2 (en) * 2009-09-15 2014-03-04 Honda Motors Co., Ltd. Electric two-wheeled motor vehicle
JP5546878B2 (ja) * 2010-01-19 2014-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140753B2 (ja) 2015-03-31 2017-05-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684870B2 (ja) * 2018-07-31 2020-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824463B1 (ja) * 2020-06-23 2021-02-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185A (ja) * 2004-04-26 2004-08-19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
JP2004231186A (ja) * 2004-04-26 2004-08-19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
JP2006273227A (ja) 2005-03-30 2006-10-12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KR20060106671A (ko) * 2005-03-31 2006-10-1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이륜차의 차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756Y2 (ko) * 1985-06-07 1989-08-01
US5433286A (en) * 1988-09-27 1995-07-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cycle
JP2756795B2 (ja) * 1988-09-27 1998-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へルメット収納装置
JP2551382Y2 (ja) * 1990-09-07 1997-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る車両
JP4394769B2 (ja) * 1999-03-30 2010-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ヘルメット収納装置
JP4423724B2 (ja) * 2000-02-07 2010-03-03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4007788B2 (ja) * 2001-10-22 2007-11-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JPWO2004038213A1 (ja) * 2002-10-25 2006-02-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445710B2 (ja) * 2003-03-11 2010-04-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ヘルメット収納構造
JP4104522B2 (ja) * 2003-09-30 2008-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構造
JP4546206B2 (ja) * 2004-09-29 2010-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418446B2 (ja) * 2006-05-22 2010-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185A (ja) * 2004-04-26 2004-08-19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
JP2004231186A (ja) * 2004-04-26 2004-08-19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
JP2006273227A (ja) 2005-03-30 2006-10-12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KR20060106671A (ko) * 2005-03-31 2006-10-12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이륜차의 차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72328B2 (ja) 2012-11-14
TW200833941A (en) 2008-08-16
KR20080046554A (ko) 2008-05-27
TWI331645B (ko) 2010-10-11
CN101186228B (zh) 2010-06-02
JP2008126902A (ja) 2008-06-05
CN101186228A (zh)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873B1 (ko) 자동 이륜차
US7398753B2 (en) Engine with built-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3301283B1 (en) Single 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162135B1 (en) Scooter-type motorcycle
US8256564B2 (en) Vehicle and vehicle exhaust pipe
EP1296036B1 (en) Motorcycle hav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664156B2 (en) Engine unit of motorcycle
US20050028790A1 (en) Mounting structure for a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an engine of a small size vehicle
JP4108954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系配置構造
JP5235797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のカプラ配置
AU2017213525B2 (en) Saddle-ride type vehicle
WO2018163909A1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WO2015040888A1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428036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吸気構造
JP3585232B2 (ja) 自動二・三輪車
EP3379044B1 (en) Dohc-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568162B2 (ja) 自動二・三輪車
JP6680822B2 (ja) 鞍乗型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構造
EP3670877B1 (en) Internal-combustion engine and saddle-type vehicle
JP6875439B2 (ja) 燃料噴射装置配置構造
WO2014038304A1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3095176A (ja) 燃料噴射エンジンの吸気系の部品配置構造
JP2004161274A (ja) 自動二・三輪車
JP6011319B2 (ja) 自動二輪車の吸気系
WO2005007495A1 (ja) 鞍乗型車両用エンジン及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