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776B1 -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776B1
KR100921776B1 KR1020070123048A KR20070123048A KR100921776B1 KR 100921776 B1 KR100921776 B1 KR 100921776B1 KR 1020070123048 A KR1020070123048 A KR 1020070123048A KR 20070123048 A KR20070123048 A KR 20070123048A KR 100921776 B1 KR100921776 B1 KR 10092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vehicle
information
traffic
traffic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068A (ko
Inventor
김기재
윤현정
이소연
최완식
박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 주변 상태 정보 및 교통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내부 상태 정보, 주변 상태 정보 및 교통 상태 정보와 각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내부 위험 요소, 주변 위험 요소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내부 위험 요소, 주변 위험 요소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요소가 발생된 경우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하고,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에 해당하는 경보를 출력하고, 주변 차량에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정보 알림을 송출한다.
교통사고, 경보, 주변 차량, 상태 정보

Description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the car accidents}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 및 외부 위험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위험도를 경고하는 경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P10-09, 과제명: 텔레매틱스용 차량정보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개발].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텔레매틱스 기술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차량 내에서도 교통정보 안내, 인터넷, 데이터 서비스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차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한 텔레매틱스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한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면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른 정비 예약, 긴급구조 요청, 차량 주행 정보별 보험료 차등 적용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특히, 종래에는 차량 운행 중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으로 사고 발생을 경고하고 긴급구조 센터로 긴급구호를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교통사고 발생 경고 및 사고 관리 방법은 교통 사고 발생 시 사고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된 차량 상태 정보를 주변 차량 또는 긴급구호 센터 등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에는 차량 운행 중 발생되는 사고에 관련된 차량 상태 정보가 순간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된 교통 사고 발생 직후의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간 통신 또는 노변의 인프라(infra)를 통해 주변 차량 또는 해당 긴급구호 기관 등에 전달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교통사고 발생 경고 및 사고 관리 방법에서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후에야 주변 차량 또는 해당 긴급구호 기관 등에 사고 발생을 알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 발생 가능 차량 또는 주변 차량에 사고 발생 위험을 통지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 운행 중에 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리 판단하여 사고 발생 가능 차량과 그 주변 차량에 신속히 알림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 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 발생 위험 상황을 자기 차량 및 주변 차량으로 경고하기 위한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는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을 포함하는 주변 상태 정보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교통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주변 상태 정보 및 상기 교통 상태 정보를 각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위험도 판단부, 상기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이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상기 주변 차량 측으로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을 송출하는 긴급상황 알림부 및 상기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이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상기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에 해당하는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자동차 운행 중 교통사고 위험을 경보하는 방법은,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 주변 상태 정보 및 교통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주변 상태 정보 및 상기 교통 상태 정보와 각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내부 위험 요소, 주변 위험 요소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부 위험 요소, 상기 주변 위험 요소 및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요소가 발생된 경우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에 해당하는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에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정보 알림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 발생 가능 차량 및 주변 차량에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를 등급별로 경보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는 내부정보 수집부(110), 주변정보 수집부(120), 교통정보 수집부(130),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수신부(140), 차내망 게이트웨이(150), 정보 저장부(160), 위험도 판단부(170), 상태 표시부(180), 긴급상황 알림부(190) 및 긴급요청 처리부(200)을 포함한다.
내부정보 수집부(110)는 현재 운행 중인 자기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내부 상태 정보를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위험도 판단부(170)및 정보 저장부(160)에 전달한다.
여기서, 내부 상태 정보는 차량의 온도, 속도, 충격량, 브레이크 동작 상태, 에어백 전개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내부 상태 정보는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함)(미도시)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즉, ECU(미도시)는 차량에 장착된 온도 센서, 속도 센서, 충격 센서, 브레이크 동작 센서, 에어백 전개 센서 등으로부터 각각의 내부 정보를 획득하여 내부정보 수집부(110)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주변정보 수집부(120)는 현재 운행 중인 자기 차량의 주변 차량에서 발생하는 주변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위험도 판단부(170) 및 정보 저장부(160)에 전달한다. 이때, 주변 상태 정보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긴급상황 정보로서, 차량 간 통신 또는 노변의 인프라를 통해 주변정보 수집부(120)에 수신된다.
교통정보 수집부(130)는 교통정보 관리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 상태 정보를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위험도 판단부(170) 및 정보 저장부(160)에 전달한다. 이때, 교통 상태 정보는 현재 교통사고가 발생한 도로 구간 정보와 정체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정보이다. 이와 같은 실시간 교통정보는 경찰청, 교통관제 센터 등 교통정보를 관리하는 기관으로부터 송출되며 노변의 인프라 등을 통해 교통정보 수집부(130)에 수신된다.
GPS 수신부(140)는 위성항법시스템(GPS)의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시간 및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현재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이때,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는 위성항법장치(GPS)의 3차원 3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 방법에 의하여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GPS 수신부(140)는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정보 저장부(160) 및 위험도 판단부(170)에 전달한다.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내의 각 부의 상호 연결 역할을 수행하며, 각 부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및 메시지 변환 기 능을 수행한다.
정보 저장부(160)에는 수집된 차량의 내부, 주변 및 교통 상태 정보가 저장되며, 각 상태 정보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들인 기본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때, 각 상태 정보는 GPS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자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위험도 판단부(170)는 자기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위험도를 판단하여 현재 교통사고 위험도를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위험도 판단부(170)는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긴급상황 알림부(190)를 통해 주변 차량에 알리거나 긴급요청 처리부(200)를 통해 긴급구조센터에 응급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위험도 판단부(17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와 차량의 각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자기 차량의 위험도를 판단한다. 또한, 위험도 판단부(170)는 차량의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위험도를 등급별로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도 판단부(170)는 자기 차량의 운행 상태를 내부 상태 정보, 주변 상태 정보 및 교통 상태 정보를 각각 설정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한다. 이때, 위험도 판단부(170)는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본 정보를 획득하여 각 상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위험도 판단부(170)는 신속한 위험도 판단을 위해 위험도 판단부(170) 자체적으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여, 위험도 판단에 적용할 기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위험도 판단부(170)에서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도 2 및 표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태 표시부(180)는 위험도 판단부(170)로부터 판단된 위험도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도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는 모니터 또는 발광 소자 등을 이용한 시각 표시 장치 이거나 위험도 등급에 따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알림 장치일 수 있다.
긴급상황 알림부(190)는 위험도 판단부(170)에서 판단한 자기 차량의 위험도가 사고 발생 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 주변 차량으로 긴급상황을 알린다. 이때, 긴급상황 알림은 차량 간의 통신 및 노변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으로 송신된다.
긴급요청 처리부(200)는 위험도 판단부(170)에서 판단한 자기 차량의 위험도를 이용하여 긴급구조 요청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때, 긴급상황 알림부(19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요청 처리부(200)는 위험도 판단부(170)로부터 수신된 자기차량의 위험도가 긴급구조 요청이 필요한 위험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긴급구조 요청이 필요하면 자동으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긴급요청 처리부(200)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에 포함되는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응급 구조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에 긴급 구조 요청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긴급요청 처리부(200)는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이동통신망(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통하여 긴급구조센터로 긴급구조 요청 호(Call)를 발생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긴급구조 요청 호 및 메시지에는 차량의 위치와 발생 시간 및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부정보 수집부(110)가 차량의 온도, 속도, 브레이크 동작, 충격량 및 에어백 전개 여부 등의 차량 내부 상태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런데, 내부정보 수집부(110)는 차량의 사고 발생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는 또 다른 차량 내부 상태를 수집할 수 있음은 당연한다. 또한, 위험도 판단부(170)는 내부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또 다른 차량 내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위험도 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험도 판단부(170)는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 주변 위험 판단모듈(172),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 위험도 판단모듈(174) 및 메모리(175)를 포함한다.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를 각각의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내부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한다. 이때,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내부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실시간 내부 상태 정보 중 온도 변화량, 속도 변화량, 브레이크 작동 여부 및 에어백 전개 여부 정보를 각각의 기준 정보들과 비교하여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한다. 그리고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위험 요소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위험도 판단모듈(174)로 전달한다. 여기서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 에는 각 내부 위험 요소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각 상태 정보에 적용하는 기준 정보들을 획득한다. 또한,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기준 정보들을 사전에 메모리(175)에 저장하여 두고 판단시마다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표 1을 참조하여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이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한다.
아래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차량의 온도, 속도, 브레이크 동작 여부, 충격량 및 에어백 전개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한다.
[표 1]
상태 정보 판단 정보 위험 요소 정보
온도 온도 변화량 온도 비정상
속도 속도 변화량 급감속 또는 급가속
속도 및 브레이크 동작 여부 속도 변화량, 브레이크 작동 급정거
충격량 및 에어백 전개 여부 충격량, 에어백 전개 사고 발생
먼저,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수집된 차량의 온도 변화량이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고 수집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차량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온도 비정상"에 따른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차량이 온도 변화량은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던 직전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그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수집된 차량의 속도 변화량이 기준 속도 변화량을 초과할 때, 속도 변화량이 음(-)의 방향으로 증가한 경우 "급감속"이라 판단한다. 반면, 속도 변화량이 양(+)의 방향으로 증가한 경우 "급가속"이라 판단 한다. 이와 같은 두 경우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급감속" 또는 "급가속"에 따른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차량의 속도 변화량은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그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차량의 수집되는 브레이크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한 경우에 속도 변화량에 따른 차량 상태가 "급감속"인 경우 "급정거"라고 판단하고, 그에 따른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은 차량의 수집되는 충격량 정보와 에어백 전개 정보를 이용하여 충격량이 기준 충격량 이상이고,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에 "사고 발생" 이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한다.
위와 같이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로부터 생성된 각 위험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가 위험도 판단모듈(174)로 전달된다. 또한, 생성된 각 위험 요소 정보는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정보 저장부(160)에 현재 시간 및 위치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주변 위험 판단모듈(172)는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전달된 주변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분석하여 검출된 긴급상황 정보를 위험도 판단모듈(174) 및 정보 저장부(160)에 전달한다. 이때, 주변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에는 현재 주변 차량에 발생한 위험도 등급, 위험 요소 정보, 발생 시간 및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위험 판단모듈(172)은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로부터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 및 위험 요소 정보를 검출하고,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 및 위험 요소 정보가 포함되는 주변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위험도 판단모듈(174)에 전달한다. 그리고 주변 위험 판단모듈(172)은 주변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현재 시간에 매칭하여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전달된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교통상황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한다. 그리고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위험도 판단모듈(174)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전달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에 포함된 현재 사고 발생 구간 및 정체 구간 정보 중 자기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권역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자기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권역이 현재 사고가 발생한 구간 또는 정체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그에 따른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GPS 수신부(140)를 통해 수집된 현재 시간 정보와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현재 시간이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 그에 따른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정보 저장부(160)로부터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시간과 비교한다.
이때,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은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 정보를 사전에 메모리(175)에 저장하여 두고 판단시마다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는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졸음 운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새벽 시간대일 수 있으며, 교통사고 발생 통계 등을 통해 획득한 또 다른 사고 빈도가 높은 시간대도 포함될 수 있다.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내부, 주변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여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를 3 단계로 나누어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아래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위험도를 "긴급", "경고" 및 "정상" 등급으로 나누어 판단한다.
[표 2]
등급 판단 위험 요소 정보
긴급 내부 및 주변 위험 요소 정보 포함
경고 내부 또는 외부 위험 요소 정보 포함
정상 위험 요소 정보 없음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해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 주변 위험 판단모듈(172) 및 교통상황 위험 판단모듈(173)로부터 각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표 2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주변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내부 위험 요소 정보가 위험 요소 정보가 포함된 경우 위험도를 "긴급" 등급으로 판단한다. 이때, 표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변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를 "외부 위험 요소 정보" 라고 통칭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수신된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내부 위험 요소 정보인 "급정거"와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인 "정체 구간"이 포함되는 경우 "긴급"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수신된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주변 위험 요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교통 상황 위험 요소 정보인 "사고 발생 구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위험도를 "긴급"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위험 요소 정보의 내용은 주변 차량의 위험도가 "긴급" 등급인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내부 및 외부 위험 요소 정보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위험도를 "긴급" 등급으로 판단한다.
한편,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수신되는 위험 요소 정보 중 내부 위험 요소 정보에 "사고 발생"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위험 요소 정보가 하나만 검출된 경우에도 위험도를 "긴급"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표 2에서는 위험도 판단모듈(174)이 수신한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내부 및 외부 위험 요소 정보 중 어느 한 종류의 위험 요소 정보가 두개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 위험도를 "경고" 등급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수신된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내부 위험 요소 정보인 "온도 비정상"과 "급정거"가 검출되는 경우 위험도를 "경고" 등급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내부 및 외부 위험 요소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위험 요소 정보가 두개 이상 발생하는 경우 위험도를 "경고" 등급으로 판단한다.
한편,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수신된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주변 위험 요소 정보가 포함되고 그 내용이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이 "경고" 등급인 경우 에는 위험 요소 정보가 하나만 검출된 경우에도 자기 차량의 위험도를 "경고"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험도 판단모듈(174)이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각 종류의 위험 요소 정보 중 두개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위험도를 "경고" 등급으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외에도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각 종류의 위험 요소 정보가 기준 개수 이상 포함되는 경우 위험도를 "경고" 등급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 개수는 교통사고 발생 상황 통계치 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기 차량의 위험도를 "정상" 등급으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험도 판단모듈(174)이 검출되는 위험 요소 정보의 종류 및 개수를 기준으로 위험도를 판단하였으나, 특정 위험 요소 정보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위험 요소 정보의 종류 및 개수에 관련 없이 특정 위험 요소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수신되는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로부터 검출되는 각 위험 요소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를 판단한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각 위험도 등급에 따라 상태 표시부(180), 긴급상황 알림부(190) 및 긴 급요청 처리부(2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위험도 판단모듈(174)는 판단된 자기 차량의 위험도의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각 제어 명령을 상태 표시부(180), 긴급상황 알림부(190) 및 긴급요청 처리부(200)로 전송한다.
이때, 위험도 판단모듈(174)에서 판단된 위험도가 "긴급" 등급인 경우 상태 표시부(180)는 자기 차량의 "긴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알림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에 장착된 상태 표시 장치(미도시)가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이며 차량의 위험도 등급에 따라 복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상태 표시부(180)는 "긴급" 등급에 매칭되는 발광 소자를 턴온(turn on)하여 차량 탑승자가 현재 차량의 위험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에 장착된 상태 표시 장치가 차량 위험도에 따른 음성 데이터 출력이 가능한 음성 출력 장치이거나 이와 같은 음성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 장비인 경우 상태 표시부(180)는 자기 차량의 현재 위험도가 "긴급" 등급 임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표시부(180)는 모니터 장비에 문자 데이터 형식으로 현재 자기 차량의 위험도 등급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도 판단모듈(174)에서 판단된 위험도가 "긴급" 등급인 경우 긴급상황 알림부(190)는 주변 차량으로 자기 차량의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또한, 긴급요청 처리부(200)는 긴급구조센터 측으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
다음, 위험도 판단모듈(174)에서 판단된 위험도가 "경고" 등급인 경우 상태 표시부(180)는 자기 차량의 "경고"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알림을 출력한다. 그리고 이 경우 긴급상황 알림부(190)는 자기 차량의 위험도인 "경고"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주변 차량 측으로 송출한다.
한편,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수신되는 주변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에 포함된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을 상태 표시부(180)을 통해 출력한다. 즉,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자기 차량의 위험도 등급에 따른 상태 표시와 별개로 주변 차량의 상태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태 표시부(180)는 위험도 판단모듈(174)의 제어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상태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을 경보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을 경보하는 방법은 앞서 자기 차량의 상태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위험도 등급을 알리는 방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자기 차량 및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에 따른 상태 알림은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가 적용되는 교통 상황과 각 차량의 위험도 상태 표시 장치 동작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2차선 도로에 복수의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에서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차량을 제1 차량(401)이라 나타내었다. 또한, 도 3에서는 제1 차량(401)에 의해 교통사고 경보를 받게 되는 복수의 차량을 각각 제2 차량(402), 제3 차 량(403) 및 제4 차량(404)으로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차량(401)은 2차선에서 1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시도하는 상황이며, 이때 제1 차량(401)의 교통사고 경보 장치의 내부 위험 판단모듈(171)에서는 "급가속" 및 "급감속" 위험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위험도 판단모듈(174)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1 차량(401)의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자기 차량의 위험도인 "경고" 등급의 상태 알림을 출력한다. 또한, 제1 차량(401)의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1 차선 상에서 제1 차량(401)의 후미에서 접근하던 제2 및 제3 차량(402, 403)과 1 차선 상에서 제3 차량(403)의 후미에서 운행하던 제4 차량(404)으로 "경고" 등급의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차량(401) 및 그 주변에서 운행하던 제2, 제3 및 제4 차량(402, 403, 404)은 미리 교통사고 경보를 받음으로써 서행 등을 통해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상황에서 현재 제1 차량(401)이 운행하고 있는 구간이 사고 발생 또는 정체 구간이거나 현재 운행 시간이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인 경우 제1 차량의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요소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차량(401)의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내부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 정보를 검출하게되므로, 제1 차량(401)의 위험도를 "긴급" 등급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제1 차량(401)의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상태 표시부(180), 긴급상황 알림부(190), 긴급요청 처리부(200)를 통해 "긴급" 등급에 따른 각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1 차량(401)이 1 차선 상에서 전방에 운행하던 제5 차량(405)과 충돌하여 교통사고가 발생 된 경우 제1 차량(401)의 후미에서 진행하던 제2 및 제3 차량(402, 403)은 "급정거"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제1 차량(401)의 위험도 판단모듈(174)은 "사고 발생" 위험 요소 정보를 검출하게 되어 위험도를 "긴급"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1 차량(401)의 후미에서 진행하던 제2, 제3 차량(402, 403)의 각 위험도 판단모듈(174)도 각각의 차량 위험도가 "긴급" 등급으로 판단되며, 각 차량의 주변 차량에 현재 교통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가 송출된다.
또한, 제1, 제2, 제3 차량(401, 402, 403)의 각 긴급요청 처리부(200)를 통해 긴급구조센터측으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가 송출되므로 신속한 사고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때, 도 4에서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의 위험도 판단부(170)가 차량의 위험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위험도 판단부(170)는 차내망 게이트웨이(150)를 통해 수신된 내부 정보, 주변 정보 및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300). 이때, 위험도 판단부(170)에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는 각각 내부정보 수집부(110), 주 변정보 수집부(120) 및 교통정보 수집부(130)를 통해 수집된다.
그러면, 위험도 판단부(170)는 수신된 차량 상태 정보를 각각의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한다(S310). 여기서, 위험 요소는 내부 및 외부 위험 요소를 포함하며 외부 위험 요소는 주변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를 포함한다.
이때, 내부 위험 요소는 운행 중인 자기 차량의 속도, 온도, 충격량, 브레이크 동작, 에어백 전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판단된다. 그리고 주변 위험 요소 발생 여부는 주변 차량의 현재 위험도 등급 및 위험 요소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판단된다. 또한, 교통상황 위험 요소 발생은 실시간 교통 정보 중 현재 자기 차량에 적용되는 교통 사고 발생 및 정체 구간 정보와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판단된다.
그런 후, 위험도 판단부(170)는 판단된 위험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자기 차량의 위험도 등급을 판단한다(S320). 이때, 발생된 위험 요소를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판단부(170)는 위험도 등급을 3 등급으로 나누어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도 4에서는 위험도가 가장 높은 등급을 제1 등급으로 나타내고 위험도가 가장 낮은 등급을 제3 등급으로 나타내었다.
그런 다음, 단계 S320의 판단결과 자기 차량의 현재 위험도가 제1 등급인 경우 위험도 판단부(170)는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긴급" 상태 알림을 출력한다(S331).
한편, 단계 S320의 판단결과 자기 차량의 현재 위험도가 제2 등급인 경우 위 험도 판단부(170)는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경고" 상태 알림을 출력한다(S332).
또한, 단계 S320의 판단결과 자기 차량의 현재 위험도가 제3 등급인 경우 위험도 판단부(170)는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정상" 상태 알림을 출력한다(S333).
이때,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상" 상태 알림은 생략하였으나, 도 4에서는 위험도 판단부(170)가 제3 등급인 경우 자기 차량의 상태를 "정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자기 차량의 상태를 "정상"으로 상태 알림을 출력하는 방식은 "긴급" 또는 "경고" 상태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331에서 "긴급" 상태 알림을 출력한 후, 위험도 판단부(170)는 긴급상황 알림부(190) 및 긴급요청 처리부(200)를 통해 각각 주변 차량으로 긴급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고 긴급구조센터 등으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S341). 이때, 긴급상황 알림 및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는 각각 자기 차량의 "긴급" 상태 정보와 위험 요소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332에서 "경고" 상태 알림을 출력한 후, 위험도 판단부(170)는 긴급상황 알림부(190)를 통해 주변 차량 측으로 "경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다(S342).
그런 다음, 위험도 판단부(170)는 자기 차량의 위험도가 제1 등급 및 제2 등급이 발생한 경우의 위험 요소 정보 및 등급 정보를 현재 시간 정보에 매칭하여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50). 이때, 정보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차량의 위험도에 따른 각 정보들은 교통사고 발생 시 사고 분석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위험도 판단부(170)는 GPS 수신부(140)를 통해 현재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위험도 판단부(170)는 단계 S310 이후에 판단된 외부 위험 요소 중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태 표시부(180)를 통해 자기 차량에 장착된 상태 표시 장치에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 상태 표시는 단계 S331 및 S332 에서 자기 차량의 상태 알림을 출력할 때 동시에 출력 가능하다. 또한, 주변 차량의 위험도 등급 상태 표시는 단계 S320 이전에 출력되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탑승자가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가 송출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가 처리되어 긴급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요청 처리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도이다.
이때,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의 긴급요청 처리부(200)를 통해 송출되는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을 통해 긴급구조센터에 전송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를 망 구성상 교통사고 경보 단말로 지칭하였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요청 처리를 위한 망 구성은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 호 세션 제어 기능(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하 "CSCF" 라고 함)(520),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530), BGCF(Breakout Gateway Control Function)(540),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550), SGW(Signaling Gateway)(560), IMS-MGW(IP Multimedia Subsystem-Media Gateway)(570), CS(Circuit Switched) 네트워크(580) 및 긴급구조센터(590)를 포함한다.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은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위험도 판단부(170)가 자기 차량의 위험도가 "긴급" 등급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긴급요청 처리부(200)를 통해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S600). 이때, 긴급요청 처리부(200)는 IMS 망의 CSCF(520)로 긴급구조 호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은 IP-CAN((IP-Connectivity Access Network)(미도시)를 거쳐 IMS 망에 접속한다. IP-CAN은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에 패킷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망이며, 예를 들어 GPRS 또는 WCDMA 등의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그러면, CSCF(520)는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으로부터 긴급구조 호 요청을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긴급호 코드를 이용하여 SIP 서버(530)로 긴급구조 호 요청을 한다(S610).
이때, CSCF(520)는 S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인프라 시스템으로써 각 역할에 따라 Proxy-CSCF, Interogating-CSCF, Serving-CSCF로 나뉜다.
그런다음, SIP 서버(530)는 CSCF(520)으로부터 긴급구조 요청 호 요청을 받아, CSCF(520)로 긴급구조 호 서비스 로직을 제공한다(S620).
이때, SIP 서버(530)는 CSCF(520)로부터 포워딩된 SIP 메시지를 처리하는 서버로서 구체적으로 프록시 서버, 레지스터 서버 및 리디렉션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긴급구조 호 서비스 로직에 따라, CSCF(520)는 긴급구조 호를 진행한다. 이때, 도 5에서는 긴급구조센터가 일반공중통신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공중육상통신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SCF(520)는 CS 네트워크(580)으로 접속하기 위해 긴급구조 호 서비스 로직에 따라 BGCF(540)로 긴급구조 호 요청을 한다(S630).
그러면 BGCF(540)는 CS 네트워크(580)로의 착신호에 대한 라우팅 최적화를 고려하여 적당한 MGCF(550)를 선택하여 긴급구조 호 요청을 전송한다(S640).
그러면, MGCF(550)는 BGCF(540)로부터 수신한 SIP 메시지 형식의 긴급구조 호 요청인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CS 네트워크(580)로 전송하기 위해 ISUP(ISDN User Part) 메시지 형식의 IAM(Initial Address Message)로 시그널링 변환하여, SGW(560)로 전달한다(S650).
그런 다음, 긴급구조 호 요청 IAM을 수신한 SGW(560)는 CS 네트워크(580)를 통해 긴급구조센터(590)로 긴급구조 호를 연결한다(S660).
이와 같은 신호 연결을 통해 긴급구조 호가 설정되면 IMS-MGW(570)를 통해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 측으로 메시지가 전달되어 호가 완성된다(S670).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510)가 IMS 망을 통해 긴급구조 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교통사고 경보 단말(510)이 IMS 망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CDMA 또는 WCDMA 등) 등을 통해 긴급구조센터(590)와 긴급구조 호를 설정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긴급구조 요청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위험도 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경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요청 처리를 위한 개략적인 망 구성도이다.

Claims (12)

  1.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을 포함하는 주변 상태 정보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교통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주변 상태 정보 및 상기 교통 상태 정보를 각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요소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발생된 위험 요소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며, 상기 교통 사고 위험도는 발생된 위험 요소가 주변 및 교통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외부 위험 요소, 그리고 상기 내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위험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복수 등급으로 분류되는, 위험도 판단부;
    상기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이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상기 주변 차량 측으로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을 송출하는 긴급상황 알림부; 및
    상기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이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상기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에 해당하는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상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성항법시스템으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지피에스 수신부;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이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큰 등급인 경우 외부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을 송출하는 긴급요청 처리부; 및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주변 상태 정보 및 상기 교통 상태 정보와 상기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이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내부 위험 요소와 상기 주변 또는 교통상황에 대응하는 위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요소가 동시에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큰 등급으로 판단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온도, 속도, 충격량, 브레이크 작동 여부 및 에어백 전개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온도 변화량 및 속도 변화량을 각각 기준 변화량과 비교하고,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 및 상기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내부 위험 요소 발생을 판단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교통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속한 권역이 교통사고 발생 및 정체 발생 구간인 경우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교통 상태 정보가 수집되는 시간대가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인 경우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상기 주변 상태 정보에 포함된 주변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등급에 해당하 는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교통사고 경보 장치.
  8. 자동차 운행 중 교통사고 위험을 경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행 중인 차량의 내부 상태 정보, 주변 상태 정보 및 교통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내부 상태 정보, 상기 주변 상태 정보 및 상기 교통 상태 정보와 각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내부 위험 요소, 주변 위험 요소 및 교통상황 위험 요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내부 위험 요소, 상기 주변 위험 요소 및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요소가 발생된 경우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판단하며, 상기 교통 사고 위험도는 발생된 위험 요소가 주변 및 교통 상황 위험 요소에 대응되는 외부 위험 요소, 그리고 상기 내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내부 위험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복수 등급으로 분류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에 해당하는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차량에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정보 알림을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위험 요소, 상기 주변 위험 요소 및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에 상기 주변 위험 요소에 포함된 상기 주변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 도에 해당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위험 요소, 상기 주변 위험 요소 및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온도 변화량, 속도 변화량, 충격량, 브레이크 작동 여부 및 에어백 전개 여부 정보들을 각각 설정된 기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내부 위험 요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주변 위험 요소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사고 발생 또는 정체 발생 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와 현재 시간이 교통사고 발생 위험 시간대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교통상황 위험 요소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는 등급별로 판단되며,
    상기 차량의 내부 위험 요소와 상기 주변 또는 교통상황 위험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를 최상위 등급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가 최상위 등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위험도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구조 요청을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경보 방법.
KR1020070123048A 2007-11-29 2007-11-29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092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048A KR100921776B1 (ko) 2007-11-29 2007-11-29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048A KR100921776B1 (ko) 2007-11-29 2007-11-29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068A KR20090056068A (ko) 2009-06-03
KR100921776B1 true KR100921776B1 (ko) 2009-10-15

Family

ID=4098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048A KR100921776B1 (ko) 2007-11-29 2007-11-29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51B1 (ko) * 2012-09-03 2019-07-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2x 통신을 이용한 블랙박스 영상 자동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3253259B (zh) * 2012-12-28 2015-03-18 湖南吉利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制动故障外部报警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682048B1 (ko) * 2015-04-29 2016-12-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교통사고 정보 제공시스템
CN105654681A (zh) * 2016-01-18 2016-06-08 唐洁 安全事故报警装置及系统
KR102484854B1 (ko) * 2016-10-14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발생 시 법률 및 보험 자문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JP7050449B2 (ja) * 2017-10-04 2022-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路側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危険検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87A (ko) * 2001-11-13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09022A (ko) * 2003-07-15 2005-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경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87A (ko) * 2001-11-13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09022A (ko) * 2003-07-15 2005-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경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068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6116A1 (en) Roadside and emergency assistance system
US10625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a preventive alert
US108725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traffic monitoring device, traffic monitoring device, and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0921776B1 (ko) 교통사고 경보 장치 및 방법
US11120643B2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vehicle for providing an accident notification regarding an accident to an emergency call center
US8902080B2 (en) Vehicle-mounted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oadside-to-vehicle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20164B1 (ko) 차량-대-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험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854087B2 (e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regarding an accident or a breakdown of a vehicle
CN102369562B (zh) 在事件后与基础设施的语音连接
KR100893005B1 (ko) 차량 사고 경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시스템,텔레메틱스 단말 및 그 방법
CN110060465B (zh) 一种用于车辆行人交互系统的交互方法及交互系统
US10636309B2 (en) Vehicle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075832B1 (ko) 고속도로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전방 차량사고 네비게이션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1025B1 (ko)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의 공공기반시설이 양방향 교차 통신하는 종합 교통정보 시스템
US201700152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a driver of a vehicle
Öörni Reliability of an in‐vehicle warning system for railway level crossings–a user‐oriented analysis
JP3747462B2 (ja) 車両用自動通報装置
TW202118672A (zh) 駕駛評量系統及其方法
Tippannavar et al. IoT enabled Smart Car with V2X Enhanced Comunication and Safety Alert system
WO2023241353A1 (zh) 预警信息发送方法、采集装置、基站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alukder et al. Vehicle Collision Detection & Prevention Using VANET Based IoT With V2V
CN217902525U (zh) 车辆碰撞触发急救系统
KR102289545B1 (ko) 차량 2차 사고 방지용 네비게이션, 이를 이용한 차량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4333230A (zh) 车辆碰撞触发急救系统及方法
KR20230157756A (ko) 전동차 주행안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