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133B1 -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133B1
KR100920133B1 KR1020080111818A KR20080111818A KR100920133B1 KR 100920133 B1 KR100920133 B1 KR 100920133B1 KR 1020080111818 A KR1020080111818 A KR 1020080111818A KR 20080111818 A KR20080111818 A KR 20080111818A KR 100920133 B1 KR100920133 B1 KR 10092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ember
lifting
assembly
arm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이석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11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트러스의 적어도 일 모서리부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이 조립체, 및 일단은 상기 접이 조립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인양물을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암 조립체를 포함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미사용시에는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사용시에는 구조강도가 높은 인양물 연결장치가 구현된다.

Description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CONNECTING DEVICE AND LIFT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양작업을 위하여 인양물과 연결되는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양장치는 인양물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기계 장치로, 예를 들어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데릭, 하물 인양장치 등이 있다.
인양장치는 인양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인양하기 위하여 충분한 구조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의 인양장치는 인양물의 수평유지, 대용량 인양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갖춘 기계장치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인양장치에는 기능적인 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새로운 시도에는 인양장치가 보관 중이거나, 이동 중인 경우에 보다 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대상으로 연결장치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구조강도가 높은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미사용시에는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인양물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인양물 연결장치는 접이 조립체 및 암 조립체를 포함한다. 접이 조립체는 복수의 부재들이 트러스를 이루며, 상기 트러스의 적어도 일 모서리부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암 조립체는 일단에서 상기 접이 조립체와 연결된다. 암 조립체의 타단은 인양물을 장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모서리부는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재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심축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관통공은 중심축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다른 하나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직각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모서리부는 직각 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양물 연결장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는 접이 조립체 및 암 조립체가 서로 직교하는 축들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결부는 접이 조립체의 일 절점부에 인접한 부분에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에는 암 조립체가 상기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암 조립체는 제1 및 제2 암부재를 포함한다. 제1 암부재는 접이 조립체와 연결된다. 제2 암부재의 일단은 제1 암부재와 연결된다. 제2 암부재의 타단은 인양물을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암부재는 제1 암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부재는 회전에 의하여 제2 암부재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암부재는 접이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암부재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양물 연결장치는 접이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대를 더 포함한다. 접이 조립체는 인양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인양장치는 인양물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인양물 연결장치 및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체결수단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인양물 연결장치를 체결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접이 조립체가 트러스 구조를 이루어, 인장 및 압축하중만이 작용하는 인양물 연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이 조립체는 일 모서리부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미사용시에는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가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또한 암 조립체가 다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이 조립체와 연결되어, 인양물 의 흔들림에 의한 인양물 연결장치의 국부적인 과부하가 방지 또는 완화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양장치(100')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인양장치(100')는 인양물 연결장치(100)를 포함한다.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예를 들어 타워 크레인의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인양물 연결장치(100)에는 체결수단(10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101)을 통하여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구동장치와 결합한다.
체결수단(10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원형에 후크가 걸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양물 연결장치(100)에는 인양물(102)이 장착된다. 인양물 연결장치(100)에 장착된 인양물(102)은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하여 인양된다.
도 2는 도 1의 인양물 연결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접이 조립체(110) 및 암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은 인양물 인양을 위하여 접이 조립체(110) 및 암 조립체(120)가 전개(이하 전개상태라 한다)된 인양물 연결장치(100)를 나타낸다.
접이 조립체(110)는 인양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접이 조립체(110)는 인양대(1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접이 조립체(110)는 상기 인양대(130)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이 조립체(110)는 복수의 부재들(111a, 111b, 112, 113)이 트러스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부재들(111a, 111b, 112, 113)은 적어도 하나의 직각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부재들(111a, 111b, 112, 113)은 제1 내지 제3 절점부(114a, 114b, 114c)에서 각각 연결되어 트러스를 이룬다.
접이 조립체(110)는 적어도 일 모서리부(111)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일 모서리부(111)는 상기 직각 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모서리부(111)는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는 관통공(115)에 삽입되는 중심축(116)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의 예로, 상기 중심축(116)은 핀이 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는 핀 연결될 수 있다.
관통공(115)은 중심축(116)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115)의 예로, 관통공(115)은 장공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이 조립체(110)에는 암 조립체(120)가 장착된다. 암 조립체(120)는 일단에서 접이 조립체(110)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인양물을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암 조립체(120)는 제1 및 제2 암부재(121, 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암부재(121)는 접이 조립체(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 암부재(122)는 일단에서 제1 암부재(121)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인양물을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제2 암부재(122)에는 인양물의 인양점과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자(12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암 조립체(120)는 인양물의 인양점이 4개소가 되도록 적어도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암 조립체(120)에 인양물이 연결되면, 접이 조립체(110)는 인양물에 의하여 하중을 받게 된다. 이때에 접이 조립체(110)는 굽힘 하중등은 받지 않고 인장 및 압축 하중만을 받게 된다.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와 제4 부재(113)는 인장 하중을 받게 되고, 제3 부재(112)는 압축하중을 받게 된다.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접이 조립체(110)와 암 조립체(120)를 연결한다. 연결부(140)는 접이 조립체(110) 및 암 조립체(120)를 서로 직교하는 축들(X, Z, 도 4a 및 도 4b 참조)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인양물 연결장치(100)의 접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도 3a는 인양물 연결장치(100)가 일부 접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인양물 연결장치(100)가 완전히 접힌 상태(이하, 접힘상태라 한다)를 나타낸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3 및 제4 부재(112, 113)는 제1 절점부(114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서로 포개어진다.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는 제2 및 제3 절점부(114b, 114c)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는 제3 및 제4 부재(112, 113)의 사이로 중첩되어 접힌다. 이 때에 장공형 관통공(115)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의 원활한 회전이 구현된다.
제1 및 제2 부재(111a, 111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다른 하나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접힘 상태에서 제2 부재(111b)는 제1 부재(111a)에 삽입되고, 제1 부재(111a)는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부재들(111a, 111b, 112, 11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제1 암부재(121)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3 부재(112)는 제1 암부재(121)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암부재(122)는 제1 암부재(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 암부재(121)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제2 암부재(122)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도 3b과 같은 접힘상태로 보관하고, 인양물을 인양할 때에는 도 3a와 같이 인양물 연결장치(100)를 펼친 후 도 2과 같은 전개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접힘상태에서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제2 암부재(122)을 잡아당겨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다. 전개상태에서 인양물 연결장치(100)는 제3 부재(112)를 들어 올려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인양물 연결장치(10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접이 조립체(110)는 인양대(130, 도 2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양물이 좌우로 흔들릴 경우에도 인양대(130)에는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접이 조립체(110)의 제4 부재(113)에는 굽힘하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연결부(140)는 접이 조립체(110)의 일 절점부(114b)에 인접한 부분에 제1 축(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연결부(140)에는 암 조립체(120)가 상기 제1 축(Z)에 직교하는 제2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연결부(140)는, 예를 들어 복수의 핀을 서로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양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인양물 연결장치(100)의 국부적인 과부하가 방지 또는 완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양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양물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인양물 연결장치의 접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인양물 연결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Claims (11)

  1. 트러스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트러스의 적어도 일 모서리부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이 조립체; 및
    상기 접이 조립체와 연결되는 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 조립체는,
    상기 일 모서리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트러스의 일 절점부에 장착되는 제1 암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 암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인양물을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암부재를 포함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모서리부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심축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중심축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다른 하나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직각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일 모서리부는 상기 직각 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조립체 및 상기 암 조립체가 서로 직교하는 축들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트러스의 일 절점부에 인접한 부분에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암 조립체가 상기 제1 축에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부재는 상기 제1 암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암부재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암부재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암부재는 상기 접이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암부재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양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이 조립체는 상기 인양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물 연결장치.
  11. 인양물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르는 인양물 연결장치; 및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인양물 연결장치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인양장치.
KR1020080111818A 2008-11-11 2008-11-11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KR10092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818A KR100920133B1 (ko) 2008-11-11 2008-11-11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818A KR100920133B1 (ko) 2008-11-11 2008-11-11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133B1 true KR100920133B1 (ko) 2009-10-06

Family

ID=4157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818A KR100920133B1 (ko) 2008-11-11 2008-11-11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81B1 (ko) 2013-11-06 2015-08-31 현대로템 주식회사 교량 가설 빔 인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319A (ko) * 1999-06-10 2001-01-26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KR20050072409A (ko) * 2005-06-20 2005-07-11 윤여성 이동 운반장치용 집게장치
KR20060017008A (ko) * 2004-08-19 2006-02-23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US7163247B2 (en) * 1998-06-18 2007-01-16 C-Power Technologies Ab Tool hol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247B2 (en) * 1998-06-18 2007-01-16 C-Power Technologies Ab Tool holder
KR20010007319A (ko) * 1999-06-10 2001-01-26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KR20060017008A (ko) * 2004-08-19 2006-02-23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KR20050072409A (ko) * 2005-06-20 2005-07-11 윤여성 이동 운반장치용 집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81B1 (ko) 2013-11-06 2015-08-31 현대로템 주식회사 교량 가설 빔 인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9620B (zh) 抓取器和具有至少一个抓取器的吊梁
US8484925B2 (en) Lattice support structure
CN101374731B (zh) 箱形托盘
EP0408826A2 (en) Extendable mast
CN105705453A (zh) 组装起重机吊杆的起重机吊杆段及组装起重机吊杆的方法
CN103025974A (zh) 桁架支承结构
US20090107945A1 (en) Folding Boom
US7779598B2 (en) Lattice support structure
KR100920133B1 (ko) 인양물 연결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인양장치
CN1329606C (zh) 可折叠的脚手架塔台
CN217437508U (zh) 一种重型固体火箭箭体翻转吊具
JP2017024508A (ja) 拡幅車両における車体拡幅構造
JP7415727B2 (ja) 幅替リンク部材
CN111003645A (zh) 一种伸缩折叠式多节工作臂
CN111704049A (zh) 起重臂及起重机
CN217378325U (zh) 一种收晾衣结构及晾衣机
CN111483931A (zh) 一种臂架组件和起重机
JP4800656B2 (ja) 継足しジブ付きクレーン装置
JP2005255326A (ja) クレーン
WO2022264497A1 (ja) バックストップ
JP2015024882A (ja) 浮体吊具
JP6497828B1 (ja) 折り畳み式物干し具
CN217201746U (zh) 一种飞臂机构及起重设备
JP2006282361A5 (ko)
JP2516701B2 (ja) 伸展マ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